KR20090083103A -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103A
KR20090083103A KR1020080009075A KR20080009075A KR20090083103A KR 20090083103 A KR20090083103 A KR 20090083103A KR 1020080009075 A KR1020080009075 A KR 1020080009075A KR 20080009075 A KR20080009075 A KR 20080009075A KR 20090083103 A KR20090083103 A KR 2009008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ata
control unit
data servi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3103A/ko
Priority to US12/358,090 priority patent/US20090190637A1/en
Priority to CN200910005970XA priority patent/CN101500335B/zh
Priority to EP09151564A priority patent/EP2086283A1/en
Publication of KR2009008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04L69/162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involving adaptations of sockets bas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 수행 중,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과, 그에 이용되는 듀얼 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듀얼 모드,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뎀, 무선인터넷, 단말기

Description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Dual mod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및 사용이 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두 가지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혹은 dual standby mode) 휴대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듀얼 모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이종망이 혼재된 지역 또는 다른 사업자로의 로밍 시에 사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이다.
통상적인 한 가지 무선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무선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에서만 통신이 기능하다. 하지만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과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GSM)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경우 CDMA 서비스 지 역과 GSM 서비스 지역에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높다.
이와 같은 듀얼 모드 단말기는 듀얼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CDMA 칩과 GSM 칩을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은 두 개의 칩 중에서 마스터로 설정된 칩(이하, '마스터 칩'이라 한다)에 탑재된다. 다른 하나의 칩은 슬레이브(이하, 슬레이브 칩이라 한다)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마스터 칩에만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이유는,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 모두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에 비해서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양쪽을 모두 코딩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마스터 칩이나, 슬레이브 칩 중 활성화된 하나의 칩만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지 않는 다른 칩은 유휴 상태가 되므로, 시스템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모드 단말기의 각 칩들이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각각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 수행 중,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두 개의 제어부를 모두 사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더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는 데이터 프로토콜 스 택(data protocol stack)을 거쳐 외부 인터넷 환경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서비스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이하, 패킷 서비스)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랩탑(또는 노트북) 컴퓨터의 무선 모뎀으로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laptop call, 이하 모뎀 서비스)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킷 서비스는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GVM(General Virtual Machine), JAVA,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플랫폼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부는 활성 제어부와 비활성 제어부로 표현된다. 활성 제어부란 사용자가 해당 제어부에 대응하는 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한 경우의 제어부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부가 CDMA 칩(제 1 제어부)과 GSM 칩(제 2 제어부)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CDMA 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한 경우, CDMA를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제어부를 활성 제어부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GSM 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한 경우, GSM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제어부가 활성 제어부가 된다. 또한, 활성 제어부로 설정되지 않은 다른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로 지칭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1 단말부(10)와, 제 2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제 2 단말부(20)를 포함하며, 제 1 단말부(10)와 제 2 단말부(20)를 매개하는 연결 메모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말부(10)는 제 1 제어부(11), 제 1 카드 슬롯(13), 입력부(15), 제 1 메모리(17), 제 1 무선통신부(18) 및 표시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단말부(20)는 제 2 제어부(21), 제 2 카드 슬롯(23), 제 2 메모리(27), 제 2 무선통신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이 탑재되는 마스터 칩으로 사용된다. 제 2 제어부(21)는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이 탑재되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는 슬레이브 칩으로 사용된다. 제 1 제어부(11)가 마스터 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 2 카드 슬롯(23)이 제 1 제어부(11)에 연결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 2 제어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 1 메모리(17), 제 2 메모리(27) 및 연결 메모리(37)를 메모리부로 통합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입력부(15) 및 표시부(19)가 제 1 단말부(10)에 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입력부(15) 및 표시부(19)는 제 2 단말부(20)의 제어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 1 단말부(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제어부(11)는 제 1 단말부(10)를 포함하여 듀얼 모드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 1 제어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1)는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 2 제어부(21)와 통신한다. 이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어부(11)는 소켓 레이어(socket layer)를 이용한다. 즉, 소켓(14)과 후술되는 연결 메모리(37)를 통해 제 2 제어부(21)와 통신한다.
이러한 제 1 제어부(11)가 활성 제어부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패킷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제 1 제어부(11)는 자신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러나, 제 1 제어부(11)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통해 다른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모뎀 서비스)가 수행 중이면, 제 1 제어부(11)는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이용하여 해당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는 모뎀 서비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 1 제어부(11)는 CDMA 칩, GSM 칩, WiBro(Wireless Broadband) 칩,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칩 중에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CDMA 칩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1 카드 슬롯(13)은 제 1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할 제 1 카드가 수납되는 곳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드는 CDMA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이다. 한편, 제 1 제어부(11)가 GSM 칩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 1 카드로 GSM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가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5)는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 1 제어부(11)에 전달한다. 입력부(15)를 통해 발생되는 사용자의 명령은 데이터 서비스의 실행 요청과,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제어부(11, 21)의 선택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5)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메모리(17)는 제 1 단말부(1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1 메모리(17)는 데이터 서비스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12)과, 그 어플리케이션(12)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 1 메모리(17)는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구현할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1 제어부(11)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처리 요청 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하는 소켓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방식의 소켓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따라서 제 1 메모리(17)에는 BSD 방식의 소켓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 1 무선통신부(18)는 단말기 간의 소통을 통하여 제 1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통신부(18)는 제 1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 1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1 무선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제 1 제어부(11)로 전송한다.
그리고 표시부(19)는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17, 27, 37)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9)는 제어부(11, 21)의 제어 하에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제어부(11, 21)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 중 무선 모뎀으로 이용할 하나의 제어부(11, 21)를 선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19)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9)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9)는 입력부(15)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단말부(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제어부(21)는 제 2 단말부(2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 2 제어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1)는 후술되는 연결 메모리(37)와 소켓(24)을 통해 제 1 제어부(21)와 통신한 다. 그리고 제 1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제 2 제어부(21)가 활성 제어부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패킷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제 2 제어부(21)는 자신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통해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통해 다른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모뎀 서비스)가 수행 중이면, 활성 제어부는 제 1 제어부(11)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이용하여 해당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는 모뎀 서비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제 2 제어부(21)는 CDMA 칩, GSM 칩, WiBro 칩, HSDPA 칩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GSM 칩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2 카드 슬롯(23)은 제 2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할 제 2 카드가 수납되는 곳으로, 제 2 카드로 GSM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카드 슬롯(13, 23) 중에 한 곳에 카드가 삽입된 경우,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삽입된 카드에 따른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카드 슬롯(13, 23)에 모두 카드가 삽입된 경우,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제 1 또는 제 2 무선통신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무선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제 2 메모리(27)는 제 2 단말부(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2 메모리(27)는 제 2 데이터 프로 토콜 스택(26)을 구현할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 2 메모리(27)는 제 2 제어부(21)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 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하는 BSD 방식의 소켓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 2 무선통신부(28)는 단말기 간의 소통을 통하여 제 2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통신부(28)는 제 2 제어부(2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변조하고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 2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 2 무선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제 2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연결 메모리(37)는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가 동시에 접근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메모리이다. 연결 메모리(27)는 디피램(DPRAM; Dual Ported RAM)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메모리(37)는 소켓(14, 24)을 이용하는 신호 또는 명령의 전송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특히, 패킷 서비스)를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통해 수행하려는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소켓(14)을 통해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 1 제어부(11)는 연결 메모리(37)로 소켓 오픈 명령을 전송하고, 제 2 제어부(21)는 연결 메모리(37)부터 소켓 오픈 명령을 수신하여 자신의 소켓(24)을 오픈하게 된다. 이에 제 1 제어부(11)의 어플리케이션(12)은 소켓(14, 24)을 매개로 하여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이 연결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 1 제어부(11)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제 1 제어 부(11)는 소켓(14)을 오픈하고, 오픈된 소켓(14)을 매개로 어플리케이션(12)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연결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12)이 제 1 제어부(11)에 탑재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제어부(11) 또는 제 2 제어부(21)에서 각각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에서 각각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 중 어느 하나(예컨대, 제 1 제어부)에서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패킷 서비스)가 수행되는 도중, 새로운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모뎀 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입력된다. 이 경우, 활성 제어부는 나머지 하나(예컨대, 제 2 제어부)를 통해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모뎀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11)와 제 2 제어부(21)는 각각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선정된 제어부(11, 21)를 통해 모뎀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는 입력부(15)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와, 듀얼 모드 단말기(100)가 외부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됨에 따라 외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제어부(제 1 및 제 2 제어부)가 모두 외부 컴퓨터의 종류와 상관없이 무선 모뎀으로 이용된다면, 이처럼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제어부(11, 21)를 별도로 선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 라 선택적으로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에 대해서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패킷 서비스 수행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모뎀 서비스 수행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데이터 서비스 수행 방법은 활성 제어부를 선택하는 S10 과정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활성 제어부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무선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부가 선택된다.
활성 제어부를 선택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 1 및 제 2 카드 슬롯(13, 23) 중에 한 곳에 카드가 삽입된 후, 듀얼 모드 단말기(100)가 부팅되면,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삽입된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모드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부(11, 21)가 자동으로 활성 제어부로 선택된다. 즉, 사용자가 CDMA UIM만을 삽입하여 부팅시키는 경우, 제 1 제어부(11)가 활성 제어부로 선택되며, 사용자가 GSM SIM만을 삽입하여 부팅시키는 경우, 제 2 제어부(21)가 활성 제어부로 선택된다.
활성 제어부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CDMA UIM과 GSM SIM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등을 통해 사용하기 원하는 무선 통신 모드를 직접 선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 제어부와 비활성 제어부가 선택될 수 있다.
활성 제어부가 선택되면, 즉, 듀얼 모드 단말기(100)가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드로 설정되면, 이어서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제어부(11, 21)를 설정하는 S11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은 모뎀 서비스 수행 시, 듀얼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외부 컴퓨터가 인식 가능한 제어부(11, 21)를 미리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외부 컴퓨터가 모든 제어부(11, 21)를 인식 가능하고, 모든 제어부(11, 21)를 무선 모뎀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이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S11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듀얼 모드 단말기(100)가 외부 컴퓨터와 USB 등을 통해 연결되고, 상호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S12 과정이 수행된다.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은 사용자가 MMS를 사용하거나,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려는 경우(즉, 패킷 서비스), 또는 듀얼 모드 단말기(100)를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고 무선 모뎀 기능의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즉 모뎀 서비스)에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마스터 칩인 제 1 제어부(11)는 수행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확인하는 S13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요청된 데 이터 서비스가 패킷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 1 제어부(11)는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S14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가 모뎀 서비스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 1 제어부(11)는 모뎀 서비스를 수행하는 S15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S14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활성 제어부는 S141 과정으로 진입하여 현재 활성 제어부에서 이미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데이터 서비스도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자신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해당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S142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활성 제어부가 제 1 제어부(11)인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12)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자신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사용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성 제어부는 패킷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가능한 한 자신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활성 제어부 자신이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후에 모뎀 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있게 되면, 활성 제어부를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경우 활성 제어부는 자신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패킷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하더라도, 비활성 제어부를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S141 과정에서, 현재 활성 제어부에서 이미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수 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에서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이미 수행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S143 과정을 수행한다.
확인 결과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해당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S144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와 비활성 제어부는 소켓(14, 24)을 통해 상호 통신하며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활성 제어부가 제 1 제어부(11)인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12)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사용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S143 과정에서 확인 결과, 비활성 제어부에서도 이미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데이터 서비스 수행 불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S145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모뎀 서비스 수행하는 S15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활성 제어부는 S151 과정으로 진입하여 S11 과정에서 설정된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가 현재 활성 제어부인지 비활성 제어부인지 확인한다.
S11 과정에서 설정된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가 현재의 활성 제어부인 경우, 활성 제어부는 자신이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다른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S152 과정을 수행한다.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자신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해 당 모뎀 서비스를 수행하는 S153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활성 제어부가 제 1 제어부(11)인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외부 컴퓨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자신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사용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모뎀 서비스의 수행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활성 제어부는 S156 과정으로 진입하여 모뎀 서비스의 수행이 불가하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반면에 S151 과정에서,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가 비활성 제어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활성 제어부는 현재 비활성 제어부에서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이미 수행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S154 과정을 수행한다.
확인 결과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해당 모뎀 서비스를 수행하는 S155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만을 이용하여 모뎀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활성 제어부가 제 1 제어부(11)인 경우, 제 1 제어부(11)는 외부 컴퓨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사용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S154 과정에서 확인 결과, 비활성 제어부에서도 이미 다른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 제어부는 데이터 서비스 수행 불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S156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술하였듯이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가능한 모든 제어부를 대상으로 하여 데 이터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모뎀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의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향으로 처리한다. 이는 패킷 서비스를 가능한 한 활성 제어부에서 처리하려는 원칙을 따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면, 활성 제어부는 S16 과정으로 진입하여 다른 데이터 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있는 지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데이터 서비스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활성 제어부는 다시 S13 과정으로 진입하여 S13 과정 내지 S16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활성 제어부인 제 1 제어부(11)에서 패킷 서비스가 수행 중인 상태에서 S16 과정에서 모뎀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된 경우를 예로 들어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여기서,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는 제 2 제어부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S16 과정에서 모뎀 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입력되었으므로, 활성 제어부는 S15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에 S151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는 모뎀 서비스 수행 제어부가 비활성 제어부인 제 2 제어부(21)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S154 과정으로 진입한다.
S154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는 제 2 제어부(21)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인지하고, S155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에 활성 제어부는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이용하여 모뎀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모뎀 서비스의 경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별도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으면서도 수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패킷 서비스와 모뎀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제 1 제어부(11)의 어플리케이션(12)은 패킷 서비스의 수행(즉, 제 1 제어부(11)의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16)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에만 이용되며, 모뎀 서비스는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만을 통해 수행된다.
다른 예로, 활성 제어부인 제 1 제어부(11)에서 모뎀 서비스가 수행 중인 상태에서 S16 과정에서 패킷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6 과정에서 패킷 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입력되었으므로, 활성 제어부는 S14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에 S141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는 활성 제어부인 제 1 제어부(11)에서 모뎀 서비스가 수행 중임을 인지하고, S143 과정으로 진입한다.
S143 과정에서 활성 제어부는 비활성 제어부인 제 2 제어부(21)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지 않음을 인지한다. 이에 활성 제어부는 S144 과정으로 진입하여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술하였듯이, 제 1 제어부(11)는 모뎀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12)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활성 제어부는 소켓(14, 24)을 통해 어플리케이션(12)과 제 2 제어부(21)의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26)을 연결하여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하나의 단 말기(1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서 서비스의 수행(S19)은 외부(사용자 또는 컴퓨터)로부터 종료 요청이 입력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S19 과정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는 S17 과정이 수행되면, 활성 제어부는 S18 과정으로 진입하여 현재 수행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가 함께 수행되는 상태에서 과정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종료 요청한 경우, 활성 제어부는 해당 데이터 서비스만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따라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수행 방법은 두 개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두 개의 제어부를 모두 사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두 개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CDMA 칩과, GSM 칩을 이용하여 두 개의 제어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행할 수 있는 칩이라면 다양하게 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활성 제어부가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의 전반적인기능을 제어 및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스터 칩으로 설정된 제어부를 통해 수행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듀얼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두 개의 서로 상이한 제어 칩을 구비하고 각 제어 칩에 모두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예컨대, 모바일 기기, PC, notebook, PMP 등)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패킷 서비스 수행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모뎀 서비스 수행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17)

  1.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 수행 중,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과정, 및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는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소켓 레이어(socket layer)를 통해 상기 제 2 제어부의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과 통신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패킷 서비스와, 컴퓨터의 무선 모뎀으로 이용되어 데이터의 중계를 수행하는 모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서비스는,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GVM(General Virtual Machine), JAVA,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앞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상기 모뎀 서비스를 수행할 하나를 선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는 각각 CDMA 칩, GSM 칩, WiBro 칩, HSDPA 칩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패킷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모뎀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서비스는 상기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10. 어플리케이션과 제 1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1 제어부와,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된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 요청이 입력되면,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각각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 수행)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소켓 레이어(socket layer)를 통해 상기 제 2 제어부의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토콜 스택과 통신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패킷 서비스와, 컴퓨터의 무선 모뎀으로 이용되어 데이터의 중계를 수행하는 모뎀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듀얼 모드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서비스는,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GVM(General Virtual Machine), JAVA,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서비스는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중 외부 입력을 통해 선정된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는 각각 CDMA 칩, GSM 칩, WiBro 칩, HSDPA 칩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패킷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서비스는 상기 모뎀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KR1020080009075A 2008-01-29 2008-01-29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90083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75A KR20090083103A (ko) 2008-01-29 2008-01-29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US12/358,090 US20090190637A1 (en) 2008-01-29 2009-01-22 Dual mod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service thereof
CN200910005970XA CN101500335B (zh) 2008-01-29 2009-01-22 双模式终端及其处理数据服务的方法
EP09151564A EP2086283A1 (en) 2008-01-29 2009-01-28 Dual mod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ser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75A KR20090083103A (ko) 2008-01-29 2008-01-29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03A true KR20090083103A (ko) 2009-08-03

Family

ID=4062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75A KR20090083103A (ko) 2008-01-29 2008-01-29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90637A1 (ko)
EP (1) EP2086283A1 (ko)
KR (1) KR20090083103A (ko)
CN (1) CN1015003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506A (ko) * 2012-11-06 2015-07-15 지티이 코포레이션 듀얼 모드 듀얼 스탠바이 이동 단말 및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4953A (zh) * 2009-12-17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卡手机及其智能卡注册方法
US8630614B2 (en) 2012-06-01 2014-01-14 Uros Technology S.A. R.L. Management of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JP6156092B2 (ja) * 2013-11-21 2017-07-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式の切替制御方法
CN105744652B (zh) * 2016-01-27 2021-08-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和通信方法
CN105722059B (zh) * 2016-01-28 2020-05-15 东莞市宏东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双调制解调器系统的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717A (en) * 1997-05-05 2000-07-1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IT1305659B1 (it) * 1998-02-16 2001-05-15 Giorgio Liverotti Terminale cellulare gsm perfezionato
US20040133668A1 (en) * 2002-09-12 2004-07-08 Broadcom Corporation Seamlessly networked end user device
KR100548336B1 (ko) * 2003-04-22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이한 패킷 프레임 모드를 지원하는 이중 모드 단말기 및그 지원 방법
US8744516B2 (en) * 2004-02-05 2014-06-03 Sri International Generic cli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KR100576523B1 (ko) * 2004-11-16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808993A3 (en) * 2005-12-08 2007-08-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140255A1 (en) * 2005-12-21 2007-06-2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across different wireless technologies using a multimode mobile device
KR100738554B1 (ko) 2006-01-26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7693544B2 (en) * 2006-06-29 2010-04-06 Intel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of receiv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US7983711B2 (en) * 2006-08-24 2011-07-19 Kyocera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for dual mode phone and method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506A (ko) * 2012-11-06 2015-07-15 지티이 코포레이션 듀얼 모드 듀얼 스탠바이 이동 단말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0637A1 (en) 2009-07-30
CN101500335A (zh) 2009-08-05
CN101500335B (zh) 2012-09-05
EP2086283A1 (en)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354B2 (en)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niversal IC card
US11917508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management platform
JP4885945B2 (ja) 無線通信端末中のsimカードによる周辺装置の管理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周辺装置
WO2019119544A1 (zh) 嵌入式sim卡的数据访问的方法和设备
US7481373B2 (en) Triggering a proactive session from an applet in a smart card
US9635549B2 (en) Provi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function
CN108227680B (zh) 汽车诊断仪及其运行系统方法、汽车诊断系统
KR1024826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8476060A (zh) 用于双模蓝牙设备之间建立经典蓝牙连接的方法和双模蓝牙设备
KR1007843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로밍 시 메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71586A1 (en) Automated Subscription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Having Multiple Subscription Profiles
KR20090083103A (ko) 듀얼 모드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US20120093075A1 (en) Multiple SIM support with single modem software architecture
CN111356209B (zh) 多频WiFi热点开启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494578B2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CN110502280B (zh) 安卓操作系统的启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8170605B2 (en) Dual mode mobile terminal and data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EP3694151A1 (en) Terminal network sharing method, apparatus, air conditioning adjust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048858A1 (en) Wireless customer premise equipment and accessing method therefor
EP1973360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CN112312394B (zh) 一种无线保真Wi-Fi管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CN113767676B (zh) 一种带宽配置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及存储介质
CN109783278B (zh) 一种移动设备及其修改蓝牙软件的方法与存储装置
CN113259994A (zh) 5g虚拟网元控制网卡收发数据包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