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059A - 외과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외과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059A
KR20090033059A KR1020080094316A KR20080094316A KR20090033059A KR 20090033059 A KR20090033059 A KR 20090033059A KR 1020080094316 A KR1020080094316 A KR 1020080094316A KR 20080094316 A KR20080094316 A KR 20080094316A KR 20090033059 A KR20090033059 A KR 2009003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unit
handle
prob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526B1 (ko
Inventor
신야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9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61B2017/294Connection of actuating rod to jaw, e.g. relea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61B2017/32009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additional movable means performing clam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61B2017/320095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with sealing or cauteriz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과 수술 장치는,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는 시스(18)와, 상기 시스(18) 내에 삽통됨과 함께,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고, 초음파가 전달되는 축 형상의 프로브 본체(11)와, 상기 프로브 본체(11)의 선단부에 설치된 프로브 선단부(3a)와, 상기 시스(18)의 선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상기 프로브 선단부(3a)와 교합하는 조(17)와,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에 외감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관상체(33a)를 갖고, 상기 관상체(33a)의 외주 벽부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설된 긴 구멍 형상의 슬릿(234)을 갖는 제1 관상 부재(33)와, 상기 제1 관상 부재(33)의 후단부에서 내감되어 있는 제2 관상 부재(34)와, 상기 시스(18)의 내부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조(17)를 회동시키는 관 형상의 구동 부재(19)와, 상기 구동 부재(1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체(235)를 갖고, 상기 돌출체(235)가 상기 제2 관상 부재(34)에 관통되어 상기 구동 부재(19)와 상기 제2 관상 부재(34)를 연결하는 연결체(240)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 관상 부재(33)의 상기 슬릿(234)에 계합되는 계합부(236b)를 갖고,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를 상기 제1 관상 부재(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0094316
돌출체, 슬릿, 연결체, 외과 수술 장치, 관통 구멍, 압입부, 선단부, 기단부, 시스, 핸들부

Description

외과 수술 장치{SURGICAL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이 전달되는 프로브와, 이 프로브와 교합 가능한 조(jaw)를 갖고, 상기 프로브와 조 사이에서 협지시킨 생체 조직을 초음파 및 고주파의 복합 에너지를 이용하여 절개, 절제, 혹은 응고 등의 처치를 행하는 외과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절개, 절제, 혹은 응고 등의 처치를 행하는 초음파 처치 장치의 일례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65496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가늘고 긴 삽입부의 기단부에 바로 앞측의 조작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부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자가 배설되어 있다. 삽입부의 선단부에는, 생체 조직을 처리하기 위한 처치부가 배설되어 있다.
삽입부는, 가늘고 긴 원관 형상의 시스를 갖는다. 시스의 내부에는 막대 형상의 진동 전달 부재(프로브)가 삽통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의 기단부는 초음파 진동자에 비틀어 넣는 식의 결합부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초음파 진동자가 발생한 초음파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의 선단측의 프로브 선단부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처치부에는 프로브 선단부에 대치하여 조가 배설되어 있다. 조의 기단부는, 지축을 통하여 시스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스의 내부에는, 조를 구동하는 조작 로드가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조작부에는, 조작 핸들과, 회전 노브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 핸들은, 고정 핸들과, 가동 핸들을 갖는다. 여기에서, 고정 핸들에는, 시스의 기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 핸들에는, 조작 로드의 기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핸들의 가동 핸들의 조작에 수반하여 조작 로드가 축 방향으로 진퇴 구동되고, 이 조작 로드의 동작에 연동하여 조를 프로브 선단부에 대하여 개폐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조의 폐 조작에 수반하여 프로브 선단부와 조의 사이에서 생체 조직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자로부터의 초음파 진동이 진동 전달 부재를 통하여 처치부측의 프로브 선단부에 전달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절개, 절제, 혹은 응고 등의 처치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노브의 조작에 수반하여 처치부의 프로브 선단부와 조를 동시에 축 둘레 방향의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장치에서는, 시스의 기단부를 고정 핸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스 착탈부와, 조작 로드의 기단부를 가동 핸들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작 부재 착탈부가 각각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부의 내부의 구성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작부의 내부 구성이 복잡하게 되므로, 조립 작업이 어려워,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외과 수술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외과 수술 장치는,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는 시스와, 상기 시스 내에 삽통됨과 함께,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고, 초음파가 전달되는 축 형상의 프로브 본체와, 상기 프로브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프로브 선단부와, 상기 시스의 선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상기 프로브 선단부와 교합하는 조와, 상기 시스의 기단부에 외감(外嵌)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관상체를 갖고, 상기 관상체의 외주 벽부에 상기 시스의 축 방향을 따라 연설된 긴 구멍 형상의 슬릿을 갖는 제1 관상 부재와, 상기 제1 관상 부재의 후단부에서 내감(內嵌)되어 있는 제2 관상 부재와, 상기 시스의 내부에 상기 시스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조를 회동시키는 관상의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체를 갖고, 상기 돌출체가 상기 제2 관상 부재에 관통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제2 관상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체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 관상 부재의 상기 슬릿에 계합되는 계합부를 갖고,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연결체를 상기 제1 관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시스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과 수술 장치는, 상기 시스의 기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부를 갖고, 상기 핸들부는, 고정 핸들과, 상기 고정 핸들에 대하여 회동 지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핸들을 갖고, 상기 제1 관상 부재는, 상기 고정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착탈부를 갖고, 상기 제2 관상 부재는, 상기 가동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착탈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는, 기단부에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넓어져 있는 플레어부를 갖고, 상기 플레어부와 상기 구동 부재 사이에 상기 시스와 상기 구동 부재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일 수단은, 상기 시스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쌍을 이루는 백업 링과, 상기 백업 링 간에 상기 시스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O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상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돌출체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돌출체는, 상기 관통 구멍에 비틀어 넣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비틀어 넣어짐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상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돌출체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돌출체는, 상기 관통 구멍에 관통되는 관통부의 부분에 상기 관통 구멍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것이며,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일부 명확해질 것이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은 특히 이하에 기재된 수단들과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며, 상술된 요약 설명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외과 수술 장치인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드 피스(1)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는, 초음파 응고 절개 처치 장치이다. 이 초음파 응고 절개 처치 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절개, 절제, 혹은 응고 등의 처치를 행함과 함께, 고주파에 의한 처치를 행할 수도 있다.
핸드 피스(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자 유닛(2)과, 프로브 유닛( 프로브부)(3)과, 핸들 유닛(조작부)(4)과, 시스 유닛(시스부)(5)의 4개의 유닛을 갖는다. 이들 4개의 유닛은, 각각으로 분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자 유닛(2)의 내부에는 전류를 초음파 진동으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에 의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6)가 짜넣어져 있다. 초음파 진동자(6)의 외측은 원통 형상의 진동자 커버(7)에 의해 덮어져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자 유닛(2)의 후단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전원 장치 본체(8)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9)이 연장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자(6)의 전단부에는 초음파 진동의 진폭 확대를 행하는 혼(10)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혼(10)의 선단부에는 프로브 부착용의 나사 구멍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프로브 유닛(3) 전체의 외관을 도시한다. 이 프로브 유닛(3)은 전체의 길이가 초음파 진동의 반파장의 정수배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프로브 유닛(3)은, 선단부 및 기단부를 갖고, 또한 장축을 갖는 금속제의 막대 형상의 진동 전달 부재(11)를 갖는다. 진동 전달 부재(11)의 기단부에는 혼(10)의 나사 구멍부(10a)와 나합하기 위한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사부(12)가 진동자 유닛(2)에서의 혼(10)의 나사 구멍부(10a)에 나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브 유닛(3)과, 진동자 유닛(2) 사이가 짜맞추어져 있다. 이 때, 초음파 진동자(6)와 프로브 유닛(3)의 연결체에는 고주파 전류가 전달되는 제1 고주파 전기 경로(13)가 형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1)의 선단부에는 프로브 선단부(3a)가 형성되어 있다. 프로브 선단부(3a)는, 거의 J자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브 선단부(3a)는, 바이폴라 전극의 한쪽의 제1 전극부를 형성한다. 프로브 유닛(3)은 프로브 선단부(3a)에서 처치에 필요한 진폭이 얻어지도록, 축 방향의 도중의 진동의 마디부 수개소에서 축 방향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프로브 유닛(3)의 축 방향의 도중에 있는 진동의 마디 위치의 수개소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무 링(3b)(도 7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고무 링(3b)에 의해 프로브 유닛(3)과 시스 유닛(5)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프로브 유닛(3)의 축 방향에서의 가장 기단부측의 진동의 마디 위치에는 플랜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플랜지부(14)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의 3개소에 키 홈 형상의 계합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는, 시스 유닛(5)의 선단부, 도 9는, 시스 유닛(5)의 기단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 유닛(5)은, 원통체에 의해 형성된 시스 본체(16)와, 시스 본체(16)의 선단에 배설된 조(17)를 갖는다. 시스 본체(16)는, 외통인 금속제의 시스(18)와, 내통인 금속제의 구동 파이프(구동 부재)(19)를 갖는다. 구동 파이프(19)는, 시스(18) 내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8)의 외주면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외피(18a)로 피복되어 있다. 구동 파이프(19)의 내주면측에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튜브(24)가 배설되어 있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8)의 선단부에는, 좌우 한쌍의 돌기(25)가 시스(18)의 전방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들 돌기(25)에는, 조(17)의 기단부가 지점 핀(27)을 통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브 유닛(3)과 시스 유닛(5)의 짜맞춤시에는, 조(17)는,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에 대치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17)는,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의 만곡 형상에 맞추어 프로브 선단부(3a)의 만곡 형상과 대응하는 거의 J자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17)는, 구동 파이프(19)의 축 방향의 진퇴 동작에 의해 지점 핀(27)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17)와, 프로브 선단부(3a)에 의해 핸드 피스(1)의 처치부(1A)가 구성되어 있다.
조(17)는, 도전성 부재인 금속제의 조 본체(201)(도 14 참조)와, 이 조 본체(201)에 부착되는 파지 부재(202)를 갖는다. 파지 부재(202)는, 고주파 처치용의 전극 부재(203)(도 15 참조)와, 초음파 처치용의 절연 부재(204)(도 16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 부재(203)는, 바이폴라 전극의 다른 쪽의 제2 전극부를 형성한다.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부재(203)의 하면에는, 프로브 선단부(3a)의 만곡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홈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205)에 의해 프로브 선단부(3a)와 교합하는 교합면(20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홈부(205)의 홈 폭 W는 프로브 선단부(3a)의 직경 치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브 선단부(3a)의 직경 치수로부터 소정의 비율만큼 폭 넓게 설정되어, 전극 부재(203)의 교합면(206)과 프로브 선단부(3a)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홈부(205)의 양측의 벽면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의 개구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홈 폭이 커지는 경사면(20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205)의 양쪽 측벽(203a)에는, 하측의 개구면측에 미끄러짐 방지용의 치부(20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치부(203b)는, 조(17)와 프로브 선단부(3a)의 교합시에 프로브 선단부(3a)와 조(17) 사이에서 협지된 협지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러짐 방지부를 형성한다. 전극 부재(203)의 두께 T는 강성, 및 응고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전극 부재(203)에는, 홈부(205)의 저부에 절결부(20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05b)는, 프로브 선단부(3a)의 만곡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05b)에는, 절연체, 예를 들면 폴리데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 재료의 패드 부재(207)가 배설되어 있다. 패드 부재(207)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브 선단부(3a)가 당접하는 프로브 당접 부재이다. 이 패드 부재(207)에 프로브 선단부(3a)가 당접함으로써, 전극 부재(203)의 제1 전극부와 프로브 선단부(3a)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17)는, 프로브 선단부(3a)와의 교합면(206)의 선단부에 블록 형상의 선단 칩(208)을 갖는다. 이 선단 칩(208)은, 절연체,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 칩(208)에 의해 조(17)와 프로브 선단부(3a)의 교합시에 프로브 선단부(3a)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허용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204)에는, 상기 패드 부재(207)의 선단부에 상기 선단 칩(208)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204)는, 상기 패드 부재(207)와 선단 칩(20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극 부재(203)와 절연 부재(204)는, 일체적으로 짜맞추어져 파지 부재(20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연 부재(204)의 후단부에는, 훅 형상의 계합부(20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 부재(203)의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 칩(208)과 계합하는 선단 칩 계합부(20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부재(203)와 절연 부재(204)를 짜맞출 때에는, 전극 부재(203)의 홈부(205)의 절결부(205b)에 상기 패드 부재(207)가 삽입된 상태에서, 선단 칩 계합부(203c)에 선단 칩(208)이 계합되고, 또한 절연 부재(204)의 후단부의 계합부(209)가 전극 부재(203)의 후단부에 계합된다.
또한, 파지 부재(202)에는, 프로브 선단부(3a)와의 교합면(206)과는 반대측에 부착용의 돌기부(210)가 돌설되어 있다. 이 돌기부(210)에는 나사 삽통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조 본체(201)의 선단측에는, 파지 부재(202)의 돌기부(210)와 계합하는 파지 부재 계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 부재 계합부(212)에는, 파지 부재(202)가 계합되어 있다. 또한, 파지 부재 계합부(212)의 측벽부에는, 나사 구멍(2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 본체(201)의 파지 부재 계합부(212)와 파지 부재(202)의 돌기부(210)와의 계합시에는 조 본체(201)의 나사 구멍(213)에 나삽되는 고정 나사(214)가 파지 부재(202)의 나사 삽통 구멍(211) 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나사(214)가 나사 구멍(213)에 나착됨으로써, 조 본체(201)에 파지 부재(202)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파지 부재(202)의 전극 부재(203)와 조 본체(201)는 고정 나사(21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조 본체(201)의 기단부는, 두 갈래 형상의 아암부(215a, 215b)를 갖는다. 각 아암부(215a, 215b)에는, 조 본체(201)의 중심선의 위치로부터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15a1, 215b1)를 갖는다. 그리고, 각 연장부(215a1, 215b1)가 지점 핀(27)을 통하여 시스(18)의 선단부의 좌우의 돌편(25)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아암부(215a, 215b)가 붙어 있는 부분에는, 연결 핀 삽입 구멍(2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핀 삽입 구멍(216)에는, 조 본체(201)와 구동 파이프(19)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핀(21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 본체(201)와 구동 파이프(19) 사이가 연결 핀(217)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파이프(19)가 축 방향으로 진퇴 동작함으로써, 구동 파이프(19)의 구동력이 연결 핀(217)을 통하여 조(17)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조(17)가 지점 핀(27)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된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가 후방으로 인장 조작됨으로써, 조(17)가 지점 핀(27)을 중심으로 프로브 선단부(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개 위치)을 향하여 구동된다. 반대로, 구동 파이프(19)가 전방에 압출 조작됨으로써, 조(17)가 지점 핀(27)을 중심으로 프로브 선단부(3a)측에 접근하는 방향(폐 위치)을 향하여 구동된다. 조(17)가 폐 위치에 회동 조작됨으로써, 조(17)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 사이에서 생체 조직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조(17)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에 의해 핸드 피스(1)의 처치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처치부(1A)는, 복수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처치 기능(제1 처치 기능과 제2 처치 기능)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처치 기능은, 초음파 처치 출력과, 고주파 처치 출력을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처치 기능은, 상기 고주파 처치 출력 만을 단독으로 출력하는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치부(1A)의 제1 처치 기능과 제2 처치 기능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처치 기능은, 초음파 처치 출력을 최대 출력 상태에서 출력시키는 기능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처치 기능은, 상기 초음파 처치 출력을 상기 최대 출력 상태보다도 출력 상태가 낮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설정 출력 상태에서 출력시키는 기능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17,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17)는, 상기 홈부(205)의 선단부에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홈부(205)의 홈 폭이 커지는 끝이 넓은 선단측 홈 폭 변경부(205t1)를 갖는다. 또한, 조(17)는, 상기 홈부(205)의 기단부에 말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홈부(205)의 홈 폭이 커지는 끝이 넓은 말단측 홈 폭변경부(205t2)를 갖는다. 이들 선단측 홈 폭 변경부(205t1)와 말단측 홈 폭 변경부(205t2)의 부분에서는, 프로브 유닛(3)과 시스 유닛(5)을 짜맞출 때에, 프로브 선단부(3a)에 대하여 조(17)의 전극 부재(203)의 짜맞춤 위치가 시스 유닛(5)의 축 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경우에 그 프로브 선단부(3a)와 조(17)의 전극 부재(203)와의 짜맞춤 위치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1은, 구동 파이프(19)를 도시한다. 구동 파이프(19)는, 관 형상의 본체부(221)와, 작용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21)는, 시스(18)의 내부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작용부(222)는, 상기 본체부(221)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17)와 접속되는 접속부(223)를 갖는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21)의 관상체의 선단부의 둘레벽은,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거의 초승달형의 원호 단면 형상 부분을 남기고, 남은 부분이 절결된 초승달형의 원호 단면 형상부(224)를 갖는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 단면 형상부(224)는,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완만하게 교축 가공되어, 선단측을 조인 끝이 가는 형상부(225)를 갖는다. 도 22,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이 가는 형상부(225)의 선단에는, U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U자 형상 성형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용부(222)는, 이 U자 형상 성형부(22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U자 형상 성형부(226)는, 대향 배치된 2개의 측면(226a, 226b)과, 상기 2개의 측면(226a, 226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면(226c)을 갖는다. 상기 접속부(223)는, 상기 U자 형상 성형부(226)의 상기 2개의 측면(226a, 226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용부(222)는, 상기 연결면(226c)의 선단부에서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27)을 갖는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227)은, 상기 끝이 가는 형상부(225)의 기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단부(227a)가 배치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튜브(24)는, 상기 구동 파이프(19)의 본체부(221)의 전방에 돌출되는 돌출부(228)를 갖는다. 이 돌출부(228)는, 상기 U자 형상 성형부(226)의 후단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절연 튜브(24)의 기단부는, 시스 본체(16)의 기단부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튜브(24)에 의해 구동 파이프(19)와 프로브 유닛(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9는, 시스 본체(16)의 기단부를 도시한다.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에는,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넓어져 있는 플레어부(229)를 갖는다. 상기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는, 상기 시스(18)의 플레어부(229)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플레어부(229)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에는, 상기 시스(18)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수단(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 수단(230)은, 2개의 백업 링(231, 232)과, 1개의 O링(233)을 갖는다. 2개의 백업 링(231, 232)은, 상기 플레어부(229)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쌍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O링(233)은, 상기 백업 링(231, 232) 사이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스 본체(16)의 기단부에는, 핸들 유닛(4)과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기구부(31)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대직경의 손잡이 부재(32)와, 금속제의 원통체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통체(제1 관상 부재)(33)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접속 관체(제2 관상 부재)(34)를 갖는다.
가이드 통체(33)는,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의 플레어부(229)에 외감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관상체(33a)를 갖는다. 관상체(33a)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도 외경이 큰 대직경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33b)에는, 손잡이 부재(32)가 외감되어 있다. 가이드 통체(33)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속 플랜지부(제1 착탈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상체(33a)의 외주 벽부는,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설된 긴 구멍 형상의 슬릿(234)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이드 통체(33)의 후단부측에는, 접속 관체(34)의 선단부측이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감되어 있다. 접속 관체(34)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가 내감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에는, 나사를 갖는 핀(돌출체)(235)이 고정되어 있다. 나사를 갖는 핀(235)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 형상의 나사 부재(236)를 갖는다. 접속 관체(34)에는, 나사를 갖는 핀(235)의 수나사부(236a)와 나합하는 나사 구멍부(237)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부재(236)의 두부에는, 수나사부(236a)보다도 대직경의 대직경부(23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를 갖는 핀(235)의 대직경부(236b)는, 가이드 통체(33)의 슬릿(234)에 계합되는 계합부이다.
나사를 갖는 핀(235)에는, 나사 부재(236)의 두부와는 반대측에, 수나사부(236a)보다도 소직경의 소직경부(238)가 돌설되어 있다. 이 소직경부(238)는,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에 형성된 고정 구멍(239)에 압입되어 감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의 수나사부(236a)가 상기 접속 관체(34)의 나사 구멍부(237)에 나사 삽입되는 상태에서 관통되어 상기 구동 파이 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한 연결체(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의 대직경부(236b)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의 상기 슬릿(234)에 계합됨으로써,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32)는, 가이드 통체(33)의 대직경부(33b)와의 감합부에 의해 가이드 통체(33)의 고정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부재(32)는, 상기 고정부(35)보다도 후방측에 핸들 유닛(4)과의 착탈부(36)가 배치되어 있다.
도 29∼도 32는, 손잡이 부재(32)와 핸들 유닛(4)의 착탈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다. 손잡이 부재(32)의 착탈부(36)는, 도 30∼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 형상의 가이드 홈(41)과, 계합 오목부(42)를 갖는다. 가이드 홈(41)은, 손잡이 부재(32)의 기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설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41)은, 손잡이 부재(32)의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오목부(42)는, 가이드 홈(4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42)는, 가이드 홈(41)의 경사면보다도 소직경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42)에는, 핸들 유닛(4)측의 후술하는 계합 레버(43)가 계탈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1, 도 32는 계합 오목부(42)에 계합 레버(43)가 계합된 상태, 도 29, 도 30은 계합 오목부(42)로부터 계 합 레버(43)가 뽑아내어진 계합 해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34,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관체(34)의 기단부에는, 핸들 유닛(4)측과의 착탈시에 사용되는 2개의 가이드 홈(제2 착탈부)(44)을 갖는다. 각 가이드 홈(44)에는, 핸들 유닛(4)측의 후술하는 2개의 계합 핀(45)이 각각 계탈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홈(44)의 종단부에는 계합 핀(45)이 시스 본체(16)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합 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통체(33)의 접속 플랜지부(33c)는, 비원 형상의 계합부(46)를 갖는다. 계합부(46)에는, 접속 플랜지부(33c)의 원 형상의 외주면의 복수 개소,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소를 절결시킨 3개의 평면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평면부(46a) 사이의 각 접합부에는, 평면부(46a)보다도 대직경의 각부(4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속 플랜지부(33c)에는, 대략 삼각 형상에 가까운 단면 형상의 계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비원 형상의 계합부(46)는 반드시 대략 삼각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등 비원형이면 여러 가지의 형상이 생각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유닛(4)은, 주로 고정 핸들(47)과, 유지 통(48)과, 가동 핸들(49)과, 회동 조작 노브(50)를 갖는다. 고정 핸들(47)은, 상부에 유지 통(48)이 배설되어 있다. 고정 핸들(47)과 유지 통(48) 사이에는 스위치 유지부(51)를 갖는다. 스위치 유지부(51)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통(48)의 하단부에 고정된 스위치 부착부(52)와, 고정 핸들(47)의 상단부에 고정된 커버 부재(53)를 갖는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부(52)는, 전면측에 복수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핸드 스위치(제1 스위치(54)와 제2 스위치(55))를 부착하는 스위치 부착면(52a)을 갖는다. 이들 제1 스위치(54)와 제2 스위치(55)는, 핸드 피스(1)의 처치부(1A)의 처치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 부착부(52)는, 제1 스위치(54)와 제2 스위치(55)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위치(54)는, 상기 스위치 부착면(52a)의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치 기능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제1 처치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2 스위치(55)는, 상기 스위치 부착면(52a)의 하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기능의 다른 1개의 제2 처치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핸들(49)은, 상부에 거의 U자 형상의 아암부(56)를 갖는다. U자 형상의 아암부(56)는, 2개의 아암(56a, 56b)을 갖는다. 가동 핸들(49)은, 2개의 아암(56a, 56b) 사이에 유지 통(48)이 삽입되는 상태에서, 유지 통(48)에 짜맞추어져 있다.
아암(56a, 56b)은 각각 지점 핀(57)과, 작용 핀(58)을 갖는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통(48)의 양측부에는, 핀 받이 구멍부(59)와 창부(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56a, 56b)의 지점 핀(57)은 유지 통(48)의 핀 받이 구멍부(59)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핸들(49)의 상단부는, 지점 핀(57)을 통하여 유지 통(48)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고정 핸들(47)과 가동 핸들(49)의 각 하단부에는 각각 링 형상의 손가락 걸 이부(61, 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 손가락을 걸어 쥠으로써 지점 핀(57)을 통하여 가동 핸들(49)이 회동하고,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이 개폐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핸들(49)의 각 작용 핀(58)은 유지 통(48)의 창부(60)를 통하여 유지 통(48)의 내부에 연장되어 있다. 유지 통(48)의 내부에는 가동 핸들(49)의 조작력을 조(17)의 구동 파이프(19)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력 전달 기구(63)는, 주로 금속제이고 원통 형상인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수지제의 슬라이더 부재(65)를 갖는다. 용수철 받이 부재(64)는, 유지 통(48)의 중심선과 동축에 배치되고, 프로브 유닛(3)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외주면에는, 코일 용수철(67)과, 상기 슬라이더 부재(65)와, 스토퍼(68)와, 용수철 받이(69)가 배설되어 있다. 용수철 받이(69)에는, 코일 용수철(67)의 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68)는, 슬라이더 부재(65)의 후단측의 이동 위치를 규제한다. 코일 용수철(67)은, 용수철 받이(69)와 슬라이더 부재(65) 사이에 일정한 장비 역량으로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65)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의 계합 홈(6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 홈(65a)에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핸들(49)의 작용 핀(58)이 삽입된 상태로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핸들(49)을 쥐고,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이 폐 조작되면 이 때의 가동 핸들(49)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작용 핀(58)이 지점 핀(57)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지점 핀(57)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고 있는 슬라이더 부재(65)가 축 방향을 따라 전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더 부재(65)에 코일 용수철(6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용수철 받이 부재(64)도 슬라이더 부재(65)와 함께 진퇴 동작한다.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선단부에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측과의 착탈시에 사용되는 한쌍의 계합 핀(45)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쌍의 계합 핀(45)을 통하여 시스 유닛(5)의 접속 관체(34)에 가동 핸들(49)의 조작력이 전달되고, 조(17)의 구동 파이프(19)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조(17)의 조 본체(201)가 지점 핀(27)을 통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에 의해 조(17)의 파지 부재(202)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 사이에서 생체 조직을 끼울 때에, 프로브 선단부(3a)의 휘어짐에 추종하여 고정 나사(214)를 지지점으로 하여 파지 부재(202)가 일정한 각도 회동하여 파지 부재(20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힘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초음파를 출력함으로써, 혈관 등의 생체 조직의 응고, 절개가 가능하게 된다.
유지 통(48)의 전단부에는, 링 형상의 축받이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70)에는, 금속제이고, 원통 형상인 회전 전달 부재(71)가 축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71)는, 축받이부(7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2)와, 축받이부(70)로부터 유지 통(48)의 내부측으로 연설되는 대직경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에는, 회동 조작 노브(50)가 외감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회동 조작 노브(50)의 전단부에는, 상기 계합 레버(43)가 배설되어 있다. 계합 레버(43)의 중간부는, 핀(74)을 통하여 돌출부(7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계합 레버(43)의 기단부는, 회동 조작 노브(50)의 전면에 형성된 레버 수납 오목부(75)의 내부측에 연장되어 있다.
회동 조작 노브(50)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계합 레버(43)를 계합 해제 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 버튼(76)이 배설되어 있다. 이 조작 버튼(76)에는, 하향의 작동 핀(77)이 돌설되어 있다. 작동 핀(77)은, 회동 조작 노브(50)의 벽 구멍을 통하여 레버 수납 오목부(75)의 내부측에 연장되어 있다. 작동 핀(77)의 하단부에는, 계합 레버(43)의 기단부가 핀(78)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돌출부(72)의 선단부에는, 회동 조작 노브(50)의 빠짐 방지 링(80)이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72)의 선단부에는, 수나사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링(80)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79)와 나착되는 암나사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빠짐 방지 링(80)의 암나사부(80a)가 돌출부(72)의 수나사부(79)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동 조작 노브(50)가 회전 전달 부재(71)에 고정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용수철 받이(69)에는 금속제의 4개의 위치 결정 핀(81)이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71)의 대직경부(73)에는,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1개의 핀(81)이 삽입되는 긴 구멍 형상의 계합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구멍부(82)는, 프로브 유닛(3)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핸들(49) 의 조작시에는 핀(81)을 계합 구멍부(82)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진퇴 동작이 회전 전달 부재(7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하여,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시에는,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전달 부재(71)의 회전 동작이 핀(81)을 통하여 용수철 받이 부재(64)측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시에는,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유지 통(48)의 내부의 회전 전달 부재(71)와, 핀(81)과,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슬라이더 부재(65)와, 코일 용수철(67)의 짜맞춤 유닛이 일체적으로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71)의 내주면에는, 시스 유닛(5)의 접속 플랜지부(33c)에 대하여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수단(9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1a, 41b는, 이 계합 수단(94)을 나타낸다. 이 계합 수단(94)은,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시에, 접속 플랜지부(33c)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부(94a)와, 삽입 구멍부(94a) 내에 배치된 도전 고무 링(부세 수단)(94b)을 갖는다.
도전 고무 링(94b)의 내주면 형상은, 접속 플랜지부(33c)의 계합부(46)와 거의 동일 형상, 즉 원 형상의 내주면의 복수 개소,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소를 절결시킨 3개의 평면부(94b1)와, 3개의 평면부(94b1) 사이의 각 접합부에 배치되고, 평면부(94b1)보다도 대직경의 3개의 각부(94b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거의 삼각 형상에 가까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의 내주면 형상과, 접속 플랜지부(33c)의 계합부(46)가 대응하고 있는 위치, 즉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와, 도전 고무 링(94b)의 3개의 각부(94b2)가 각각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전 고무 링(94b)은 자연 상태의 비압축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핸들 유닛(4)과 시스 유닛(5) 사이를 시스 유닛(5)의 중심축의 축 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은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에 압접되는 압접 위치로 절환된다. 이 때,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는, 도전 고무 링(94b)의 3개의 평면부(94b1)와 당접함으로써, 압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시에, 시스 유닛(5)의 접속 플랜지부(33c)가 도전 고무 링(94b)의 내부로 곧바로 삽통되는 삽입 동작시(도 29 및 도 30 참조)에는,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은 자연 상태의 비압축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때, 핸들 유닛(4)측의 계합 레버(43)는,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의 가이드 홈(41)의 경사면에 올라탄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를 핸들 유닛(4)에 대하여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유닛(4)측의 계합 레버(43)가 가이드 홈(41)의 일단부의 계합 오목부(42)에 삽입되는 상태로 계합된다. 이 때, 도 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은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에 압접되는 압접 위치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시스 유닛측 전기 경로(40)(가이드 통체(33)와, 고정 나사(39)와, 이음관(38)과, 시스(18)와, 선단 커버(25)와, 지점 핀(27)과, 조 본체(28)와의 사이에 형성됨)와 핸들 유닛측 전기 경로(95)(전기 접점 부재(96)와,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위치 결정 핀(81)과, 회전 전달 부재(71)와의 사이에 형성됨) 사이가 도전 고무 링(94b)을 통하여 도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체에는, 고주파 전류가 전달되는 제2 고주파 전기 경로(97)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 유닛(4)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내주면에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관상 부재(98)를 갖는다. 관상 부재(98)는,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브 유닛(3)과 핸들 유닛(4)의 접속시에는 제1 고주파 전기 경로(13)와 제2 고주파 전기 경로(97) 사이가 관상 부재(98)에 의해 절연된다.
관상 부재(98)의 내주면에는, 프로브 유닛(3)의 플랜지부(14)의 3개의 계합 오목부(15)(도 6 참조)와 대응하는 3개의 계합 볼록부(99)가 형성되어 있다. 프로브 유닛(3)과 핸들 유닛(4)의 접속시에는, 프로브 유닛(3)의 플랜지부(14)의 3개의 계합 오목부(15)에 관상 부재(98)의 3개의 계합 볼록부(99)가 계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에 의해, 프로브 유닛(3)과 핸들 유닛(4)의 관상 부재(98)와의 회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그 때문에,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시에는 유지 통(48)의 내부의 짜맞춤 유닛과 함께 프로브 유닛(3)과 진동자 유닛(2)의 연결체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로브 유닛(3)의 플랜지부(14)와 관상 부재(98) 사이의 계합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관상 부재(98)를 D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프로브 유닛(3)의 플랜지부(14)를 이에 대응하는 D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도 43∼도 45는, 유지 통(48)에 짜맞추어진 원통 형상의 접점 유닛(66)을 나타낸다. 접점 유닛(66)은, 수지제의 원통 형상의 전극 유지 부재(83)를 갖는다. 전극 유지 부재(83)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3개(제1∼제3)의 전극 받이부(84, 85, 86)를 갖는다. 선단부측의 제1 전극 받이부(84)는, 가장 직경이 작고, 후단부측의 제3 전극 받이부(86)는, 가장 직경이 크다.
도 46은, 제1 전극 받이부(84), 도 47은, 제2 전극 받이부(85), 도 48은, 제3 전극 받이부(86)를 각각 도시한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받이부(84)는, 1개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4a)과, 2개의 관통 구멍(84b, 84c)을 갖는다. 2개의 관통 구멍(84b, 84c)의 중심선은, 접속 부재 고정 구멍(84a)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극 받이부(85)는, 1개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5a)과, 2개의 관통 구멍(85b, 85c)을 갖는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전극 받이부(86)는, 1개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6a)과, 2개의 관통 구멍(86b, 86c)을 갖는다.
제1 전극 받이부(84)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5a), 제2 전극 받이부(85)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6a), 제3 전극 받이부(86)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6a)의 위치는, 각각 전극 유지 부재(83)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9 및 도 50은, 제1∼제3 전극 받이부(84, 85, 86)에 짜맞추어지는 전극 부재(87A, 87B, 87C)를 나타낸다. 이들 전극 부재(87A, 87B, 87C)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전극 받이부(84)에 짜맞추어지는 전극 부재(87A)만을 설명하고, 다른 제2, 제3 전극 받이부(85, 86)의 전극 부재(87B, 87C)의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극 부재(87A)는, 1개의 직선 형상의 고정부(87a)와, 2개의 굴곡부(87b, 87c)를 갖는다. 직선 형상의 고정부(87a)의 일단에 한쪽의 굴곡부(87b), 타단에 다른 쪽의 굴곡부(87c)가 각각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부재(87A)는, 거의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87a)의 중앙 위치에는 구멍(88)과, L자 형상의 배선 접속부(89)를 갖는다. 2개의 굴곡부(87b, 87c)에는 중앙 위치에 내측을 향하여 만곡시키는 형상의 가운데가 오목한 부(90)가 각각 성형되어 있다.
제1 전극 받이부(84)에 전극 부재(87A)를 짜맞추는 경우에는 전극 부재(87A)의 고정부(87a)의 구멍(88)과, 제1 전극 받이부(84)의 접점 부재 고정 구멍(85a)에 고정 핀(91)이 삽입된다. 이 고정 핀(91)에 의해 제1 전극 받이부(84)에 전극 부재(87A)가 고정된다. 이 때, 제1 전극 받이부(84)의 한쪽의 관통 구멍(85b)에는, 전극 부재(87A)의 한쪽의 굴곡부(87b)의 축소부(90), 다른 쪽의 관통 구멍(85c)에는, 전극 부재(87A)의 다른 쪽의 굴곡부(87c)의 가운데가 오목한 부(90)가 각각 삽입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전극 받이부(85)에 전극 부재(87B)를 짜맞추는 경우 및 제3 전극 받이부(86)에 전극 부재(87C)를 짜맞추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유닛(66)의 전극 유지 부재(83)의 후단부에는 대직경의 고정 플랜지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랜지부(83a)의 외주면 에는, 복수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소에 계합 볼록부(83b)가 돌설되어 있다. 유지 통(48)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고정 플랜지부(83a)의 3개의 계합 볼록부(83b)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합 오목부(4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유지 통(48)에 전극 유지 부재(83)를 짜맞추는 경우에는 고정 플랜지부(83a)의 3개의 계합 볼록부(83b)가 유지 통(48)의 계합 오목부(48a)에 삽입되는 상태로 계합 고정된다. 이에 의해, 유지 통(48)에 대한 전극 유지 부재(83)의 축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유지 통(48)에는, 전극 유지 부재(83)의 고정 플랜지부(83a)와 당접하는 단차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43b)에 전극 유지 부재(83)의 고정 플랜지부(83a)가 맞부딪혀진 상태에서 고정 나사(48c)에 의해 전극 유지 부재(83)가 유지 통(48)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지 통(48)에 대한 전극 유지 부재(83)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접점 유닛(66)에 짜맞추어진 3개의 전극 부재(87A, 87B, 87C)의 배선 접속부(89)에는, 스위치 유지부(51)에 짜넣어진 3개의 배선(93a∼93c)의 각 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접점 유닛(66)에는, 또한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판 용수철으로 이루어지는 거의 C자 형상의 전기 접점 부재(96)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점 부재(96)는, 용수철 받이 부재(64)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핸들 유닛측 전기 경로(95)는, 전기 접점 부재(96)와,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위치 결정 핀(81)과, 회전 전달 부재(71)로 이루어진다.
접점 유닛(66)에는, 진동자 유닛(2)의 전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동자 유닛(2)의 후단의 1개의 케이블(9)의 내부에는,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용의 2개의 배선(101, 102)과, 고주파 통전용의 2개의 배선(103, 104)과, 스위치 유지부(51) 내의 배선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3개의 배선(105, 106, 107)이 짜넣어져 있다. 초음파 진동자용의 2개의 배선(101, 102)의 선단부는 초음파 진동자(6)에 접속되어 있다. 고주파 통전용의 한쪽의 배선(103)의 선단부는, 초음파 진동자(6)에 접속되어 있다.
진동자 유닛(2)의 후단에는, 4개의 전기 접속용의 제1∼제4 도전판(111∼114)이 배설되어 있다. 제1 도전판(111)에는, 고주파 통전용의 다른 쪽의 배선(104)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제4 도전판(112∼114)에는, 3개의 배선(105, 106, 107)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진동자 유닛(2)의 전단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진동자 커버(7)의 선단부에는, 접속 원통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원통부(121)의 외주면에는 링의 일부가 절결된 판 용수철 형상의 C링(122)이 장착되어 있다. 접속 원통부(121)의 내측에는 외경 치수가 서로 다른 3단(제1∼제3)의 원통부(123∼125)가 돌설되어 있다. 제1 원통부(123)는, 외경이 가장 작고, 접속 원통부(121)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가장 길다. 제2 원통부(124)는, 외경이 제1 원통부(123)보다도 크고, 접속 원통부(121)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제1 원통부(123)보다도 짧다. 제3 원통부(125)는, 외경이 가장 크고, 접속 원통부(121)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제2 원통부(124)보다도 짧다.
제1 원통부(123)의 외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제1 접점 부재(131)가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원통부(124)의 외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제2 접점 부재(132), 제3 원통부(125)의 외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제3 접점 부재(13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 접점 부재(131)에는, 제2 도전판(112), 제2 접점 부재(132)에는, 제3 도전판(113), 제3 접점 부재(133)에는, 제4 도전판(11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원통부(123)의 내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제4 접점 부재(134)가 장착되어 있다. 제4 접점 부재(134)는, 제1 도전판(111)에 접속되어 있다.
핸들 유닛(4)과 진동자 유닛(2)의 연결시에는, 핸들 유닛(4)의 접점 유닛(66)과, 진동자 유닛(2)의 전단부가 접속된다. 이 때,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A)와 진동자 유닛(2)의 제1 접점 부재(131) 사이가 접속된다. 동시에,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B)와 진동자 유닛(2)의 제2 접점 부재(132) 사이,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C)와 진동자 유닛(2)의 제3 접점 부재(133) 사이, 및 접점 유닛(66)의 C자 형상 전기 접점 부재(96)와 진동자 유닛(2)의 제4 접점 부재(134) 사이가 각각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드 피스(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자 유닛(2)과, 프로브 유닛(3)과, 핸들 유닛(4)과, 시스 유닛(5)의 4개의 유닛으로 분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 피스(1)의 사용시에는, 진동자 유닛(2)과, 프로브 유닛(3) 사이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진동자 유닛(2)과 프로브 유닛(3)의 연결체에 고주파 전류가 전달되는 제1 고주파 전기 경로(13)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핸들 유닛(4)과, 시스 유닛(5) 사이가 연결된다. 핸들 유닛(4)과, 시스 유닛(5)의 연결시에는,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속 관체(34)가 핸들 유닛(4)의 회전 전달 부재(7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시에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유닛(4)측의 계합 레버(43)는,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의 가이드 홈(41)의 경사면에 올라탄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의 내주면 형상과, 접속 플랜지부(33c)의 계합부(46)가 대응하고 있는 위치, 즉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와, 도전 고무 링(94b)의 3개의 각부(94b2)가 각각 일치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시스 유닛(5)의 접속 플랜지부(33c)가 도전 고무 링(94b)의 내부에 곧바로 삽통된다. 이 삽입 동작시에는,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은 자연 상태의 비압축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시스 유닛측 전기 경로(40)와 핸들 유닛측 전기 경로(95) 사이는 도통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이 삽입 동작의 종료 후,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를 핸들 유닛(4)에 대하여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행해진다. 이 조작에 의해,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유닛(4)측의 계합 레버(43)가 가이드 홈(41)의 일단부의 계합 오목부(42)에 삽입되는 상태로 계합된다. 이 때, 도 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고무 링(94b)은 접속 플랜지부(33c)의 3개의 각부(46b)에 압접되는 압접 위치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시스 유닛측 전기 경로(40)와 핸들 유닛측 전기 경로(95) 사이가 도전 고무 링(94b)을 통하여 도통된다. 이 결과,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체에는, 고주파 전류가 전달되는 제2 고주파 전기 경로(97)가 형성된다.
이 시스 유닛(5)의 축 둘레 방향의 회전 조작시에는, 동시에 핸들 유닛(4)측의 한쌍의 계합 핀(45)이 시스 유닛(5)의 가이드 홈(44)의 종단부의 계합 홈(44a)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에 의해, 핸들 유닛(4)측의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시스 유닛(5)측의 접속 관체(34) 사이가 계합 핀(45)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 결과,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을 폐 조작할 때의 핸들 유닛(4)측의 조작력이 시스 유닛(5)측의 조(17)의 구동 파이프(19)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가,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 상태이다.
그 후,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체와, 초음파 진동자(6)와 프로브 유닛(3)의 연결체가 합체되는 상태로 짜맞추어진다. 이 짜맞춤 작업시에는, 핸들 유닛(4)의 접점 유닛(66)과, 진동자 유닛(2)의 전단부가 접속된다. 이 때,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A)와 진동자 유닛(2)의 제1 접점 부재(131) 사이가 접속된다. 동시에,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B)와 진동자 유닛(2)의 제2 접점 부재(132) 사이, 접점 유닛(66)의 전극 부재(87C)와 진동자 유닛(2)의 제3 접점 부재(133) 사이, 및 접점 유닛(66)의 C자 형상 전기 접점 부재(96)와 진동자 유닛(2)의 제4 접점 부재(134) 사이가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시스 유닛(5)과 핸들 유닛(4)의 연결체의 제2 고주파 전기 경로(97)가 케이블(9)의 내부의 고주파 통전용의 배선(104)과 접속된다. 또한, 케이블(9)의 내부의 3개의 배선(105, 106, 107)과 스위치 유지부(51) 내의 배선 회로 기판이 접속된다. 이 상태가, 핸드 피 스(1)의 짜맞춤 작업의 종료 상태이다.
그리고, 이 핸드 피스(1)의 사용시에는,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을 개폐 조작한다. 이 가동 핸들(49)의 조작에 연동하여 구동 파이프(19)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구동 파이프(19)의 축 방향의 진퇴 동작에 연동하여 조(17)를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에 대하여 개폐 구동한다. 여기에서,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을 폐 조작한 경우에는, 이 가동 핸들(49)의 조작에 연동하여 구동 파이프(19)가 전방으로 압출 조작된다. 이 구동 파이프(19)의 압출 조작에 연동하여 조(17)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측에 접근하는 방향(폐 위치)을 향하여 구동된다. 조(17)가 폐 위치에 회동 조작됨으로써, 조(17)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 사이에서 생체 조직을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 핸들(47)의 응고용 스위치 버튼(54) 또는 절개용 스위치 버튼(55)의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압입 조작된다. 응고용 스위치 버튼(54)의 압입 조작시에는,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에 고주파 전류를 도통하는 제1 고주파 전기 경로(13)와, 시스 유닛(5)의 조 본체(28)에 고주파 전류를 도통하는 제2 고주파 전기 경로(97)에 각각 통전된다. 이에 의해,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와, 시스 유닛(5)의 조 본체(28)에 의해 고주파 처치용의 2개의 바이폴라 전극이 구성된다. 그리고,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와, 시스 유닛(5)의 조 본체(28)의 2개의 바이폴라 전극 사이에 고주파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조(17)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 사이의 생체 조직에 대하여 바이폴 라에 의한 고주파 처치를 행할 수 있다.
절개용 스위치 버튼(55)의 압입 조작시에는, 상기 고주파 통전과 동시에 초음파 진동자(6)에 구동 전류가 통전되어, 초음파 진동자(6)가 구동된다. 이 때, 초음파 진동자(6)로부터의 초음파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11)를 통하여 프로브 선단부(3a)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고주파 통전과 동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절개, 절제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의 응고 처치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가동 핸들(49)을 개 조작한 경우에는, 이 가동 핸들(49)의 개 조작에 연동하여 구동 파이프(19)가 바로 앞측으로 인장 조작된다. 이 구동 파이프(19)의 인장 조작에 연동하여 조(17)가 프로브 유닛(3)의 프로브 선단부(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개 위치)을 향하여 구동된다.
또한,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시에는,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전달 부재(71)의 회전 동작이 핀(81)을 통하여 용수철 받이 부재(64)측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시에는,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유지 통(48)의 내부의 회전 전달 부재(71)와, 핀(81)과,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슬라이더 부재(65)와, 코일 용수철(67)과의 짜맞춤 유닛이 일체적으로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유지 통(48)의 내부의 용수철 받이 부재(64)와 함께 회전하는 관상 부재(98)를 통하여 회동 조작 노브(50)의 회전 조작력이 프로브 유닛(3)의 진동 전달 부재(11)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유지 통(48)의 내부의 짜맞춤 유닛과, 진동자 유닛(2)과 프로브 유닛(3)의 연결체가 함 께 일체적으로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시스 유닛(5)의 손잡이 부재(32)와 가이드 통체(33)가 회전한다. 또한, 이 가이드 통체(33)와 함께 시스(18)가 회전함과 함께, 가이드 통체(33)의 회전은, 나사를 갖는 핀(235)을 통하여 접속 관체(34)와 구동 파이프(19)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회동 조작 노브(50)와 함께 처치부(1A)의 조(17)와, 프로브 선단부(3a)가 동시에 축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드 피스(1)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에는, 나사를 갖는 핀(23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은, 상기 접속 관체(34)의 나사 구멍부(237)에 비틀어 넣어지는 상태로 관통되어 상기 구동 파이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하는 연결체(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의 플레어부(229)에 가이드 통체(33)가 외감되어 있다.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의 대직경부(236b)는, 상기 가이드 통체(33)의 상기 슬릿(234)에 계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에 의해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을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에 의해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을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에 의해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시스(18)의 기단부를 고정 핸들(4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스 착탈부와, 조(17)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의 기단부를 가동 핸들(4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부재 착탈부가 각각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 내의 구성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통체(33)는, 핸들 유닛(4)측과의 착탈시에 사용되는 접속 플랜지부(제1 착탈부)(33c)를 갖는다. 접속 관체(34)의 기단부에는, 상기 가동 핸들(49)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가이드 홈(제2 착탈부)(44)을 갖는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이 시스(18)의 기단부를 고정 핸들(4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스 착탈부와, 조(17)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의 기단부를 가동 핸들(4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부재 착탈부가 각각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 내의 구성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어,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18)는, 기단부에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넓어져 있는 플레어부(229)를 갖고, 상기 플레어부(229)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에 상기 시 스(18)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수단(230)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체강 내가 기복되어 있는 내시경하 수술의 환경에서 핸드 피스(1)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시스(18)와 상기 구동 파이프(19) 사이로부터 침입한 체내의 기복 가스 등이 핸들 유닛(4)의 내부측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핸들 유닛(4)의 내부의 기밀성의 확보를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시일 수단(230)은,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쌍을 이루는 백업 링(231, 232)과, 상기 백업 링(231, 232) 사이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O링(233)을 갖는다. 이에 의해, O링(233)에 의한 섭동 저항을 작게 하면서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속 관체(34)는,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이 관통되는 나사 구멍부(237)를 갖고,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은, 상기 나사 구멍부(237)에 비틀어 넣어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수나사부(236a)를 갖는다. 이에 의해,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의 수나사부(236a)가 상기 접속 관체(34)의 나사 구멍부(237)에 비틀어 넣어지는 상태로 관통되어 상기 구동 파이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한 연결체(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를 갖는 핀(235)의 대직경부(236b)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의 상기 슬릿(234)에 계합됨으로써,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 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53∼도 56은, 본 발명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도 1∼52 참조)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5)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나사를 갖는 핀(235) 대신에 코마형 핀(341)을 사용하여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접속 관체(34)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나사 구멍부(237) 대신에 나사 홈이 없는 둥근 구멍(342)이 형성되어 있다.
코마형 핀(341)은,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형상의 제1 압입부(343)와, 이 제1 압입부(343)의 일단부에 돌설된 제2 압입부(344)와, 제1 압입부(343)의 타단부에 돌설된 원주 형상의 계합부(345)를 갖는다. 제1 압입부(343)는,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에 압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압입부(344)는, 구동 파이프(19)의 고정 구멍(239)에 압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345)는, 제1 압입부(343)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통체(33)의 외주 벽부는,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설 된 긴 구멍 형상의 슬릿(346)을 갖는다. 이 슬릿(346)의 홈 폭은, 코마형 핀(341)의 계합부(345)의 직경과 거의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마형 핀(341)의 계합부(345)가 슬릿(346)을 따라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슬릿(346)의 기단부에는, 슬릿(346)의 폭보다도 대직경의 둥근 구멍(347)이 연접되어 있다. 이 둥근 구멍(347)은, 코마형 핀(341)의 제2 압입부(344)가 삽통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조작이 행해진다. 우선, 가이드 통체(33)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접속 관체(34)가 삽입되고, 또한 접속 관체(34)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구동 파이프(19)가 삽입된 상태로 세트된다. 이 때,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통체(33)의 둥근 구멍(347)과,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과, 구동 파이프(19)의 고정 구멍(239)이 겹치는 상태로 위치 정렬된다.
계속해서,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마형 핀(341)이 제2 압입부(344)로부터 가이드 통체(33)의 둥근 구멍(347) 내에 삽입된다. 이 코마형 핀(341)의 삽입 시에는, 코마형 핀(341)의 제2 압입부(344)는, 가이드 통체(33)의 둥근 구멍(347)으로부터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을 통하여, 구동 파이프(19)의 고정 구멍(239)측에 압입된다. 이 때, 동시에 코마형 핀(341)의 제1 압입부(343)는, 가이드 통체(33)의 둥근 구멍(347)을 통하여,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코마형 핀(341)을 통하여 상기 구동 파이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한 연결체(240)가 형성된다.
그 후,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마형 핀(341)의 계합부(345)가 슬릿(346) 내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슬릿(346)을 따라 코마형 핀(341)의 계합부(345)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연결체(240)와 상기 가이드 통체(33) 사이가 축 방향의 이동을 허가하면서 직경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드 피스(1)에서는,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파이프(19)의 기단부에는, 코마형 핀(341)이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마형 핀(341)은, 상기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에 압입되는 상태로 관통되어 상기 구동 파이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하는 연결체(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의 플레어부(229)에 가이드 통체(33)가 외감되어 있다. 상기 코마형 핀(341)의 계합부(345)는, 상기 가이드 통체(33)의 상기 슬릿(346)에 계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슬릿(346)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은, 상기 코마형 핀(341)에 의해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을 상기 코마형 핀(341)에 의해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가 상기 가이드 통체(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파이프(19)와, 접속 관체(34)와, 가이드 통체(33)의 3부품 간을 상기 코마형 핀(341)에 의해 상기 시스(18)의 축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시스(18)의 기단부를 고정 핸들(4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스 착탈부와, 조(17)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의 기단부를 가동 핸들(4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부재 착탈부가 각각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 내의 구성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들 유닛(4)의 유지 통(48)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 관체(34)는, 둥근 구멍(347)을 갖고, 상기 코마형 핀(341)은, 상기 둥근 구멍(347)에 압입되는 제1 압입부(343)를 갖는다. 그리고, 코마형 핀(341)의 제1 압입부(343)를 가이드 통체(33)의 둥근 구멍(347)을 통하여, 접속 관체(34)의 둥근 구멍(342)에 압입시킨다. 이에 의해, 코마형 핀(341)을 통하여 상기 구동 파이프(19)와, 상기 접속 관체(34)를 연결한 연결체(240)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나사를 갖는 핀(235)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비틀어 넣어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나사를 갖는 핀(235)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3부품 간의 짜맞춤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비틀어 넣어지는 부분의 길이를 어느 정 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틀어 넣어지는 부분을 없앴기 때문에, 가이드 통체(33)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상기 3부품 간의 짜맞춤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3부품 간의 짜맞춤 부분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당 분야의 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 및 변경들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것이다. 따라서, 광의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짜맞춤 유닛의 연결 부분을 떼어낸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진동자 유닛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진동자 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프로브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프로브 유닛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a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b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a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IXB-IXB선 단면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부착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가 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가 개 조작된 상태를 도 1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조 본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전극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전극 부재와 프로브 선단부의 교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전극 부재와 프로브 선단부의 교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9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조의 파지 부재의 생체 조직 접촉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프로브 선단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구동 파이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2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구동 파이프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구동 파이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24-24선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25-25선 단면도.
도 26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나사를 갖는 핀을 짜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7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나사를 갖는 핀을 짜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나사를 갖는 핀을 짜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9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연결시의 회전 계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연 결시의 회전 계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1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연결시의 회전 계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연결시의 회전 계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3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연결부의 가이드 홈과 계합 오목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4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접속 관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접속 관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6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의 고정 핸들의 베이스 부재에 짜맞춤 부재를 짜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7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계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8은, 도 37의 38-38선 단면도.
도 39는, 도 37의 39-39선 단면도.
도 40은, 도 37의 40-40선 단면도.
도 41a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계합부의 계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1b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핸들 유닛과 시스 유닛의 계합부의 계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2는, 도 37의 42-42선 단면도.
도 43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극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4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극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5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극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6은, 도 37의 46-46선 단면도.
도 47은, 도 37의 47-47선 단면도.
도 48은, 도 37의 48-48선 단면도.
도 49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극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0은,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전극 부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1은, 도 37의 51-51선 단면도.
도 52는, 제1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진동자 유닛의 케이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 부의 짜맞춤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4는, 제2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코마형 핀을 짜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5는, 제2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코마형 핀을 짜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6은, 제2 실시 형태의 초음파 처치 장치의 시스 유닛의 기단부의 짜맞춤 부분에 코마형 핀을 짜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시스 유닛
16: 시스 본체
17: 조
18: 시스
19: 구동 파이프
31: 착탈 기구부
32: 손잡이 부재
33: 가이드 통체
34: 접속 관체

Claims (6)

  1. 외과 수술 장치로서,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는 시스(sheath)(18)와,
    상기 시스(18) 내에 삽통(inserted)됨과 함께, 선단부와 기단부를 갖고, 초음파가 전달되는 축 형상의 프로브 본체(11)와,
    상기 프로브 본체(11)의 선단부에 설치된 프로브 선단부(3a)와,
    상기 시스(18)의 선단부에 피봇 지지되고, 상기 프로브 선단부(3a)와 교합하는 조(jaw)(17)와,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에 외감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관형상체(33a)를 갖고, 상기 관형상체(33a)의 외주 벽부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설된 긴 구멍 형상의 슬릿(234)을 갖는 제1 관형상 부재(33)와,
    상기 제1 관형상 부재(33)의 후단부에서 내감되어 있는 제2 관형상 부재(34)와,
    상기 시스(18)의 내부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조(17)를 회동(回動)시키는 관 형상의 구동 부재(19)와,
    상기 구동 부재(1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체(235)를 갖고, 상기 돌출체(235)가 상기 제2 관형상 부재(34)에 관통되어 상기 구동 부재(19)와 상기 제2 관형상 부재(34)를 연결하는 연결체(240)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 관형상 부 재(33)의 상기 슬릿(234)에 계합되는 계합부(236b)를 갖고, 상기 슬릿(234)을 따라 상기 연결체(240)를 상기 제1 관형상 부재(33)에 대하여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구비하는 외과 수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 수술 장치는, 상기 시스(18)의 기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부(4)를 갖고,
    상기 핸들부(4)는, 고정 핸들(47)과, 상기 고정 핸들(47)에 대하여 회동 지축(57)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핸들(49)을 갖고,
    상기 제1 관형상 부재(33)는, 상기 고정 핸들(47)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착탈부(33c)를 갖고,
    상기 제2 관형상 부재(34)는, 상기 가동 핸들(49)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착탈부(44)를 갖는 외과 수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18)는, 기단부에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넓어져 있는 플레어부(229)를 갖고,
    상기 플레어부(229)와 상기 구동 부재(19) 사이에 상기 시스(18)와 상기 구동 부재(19) 사이를 시일(seal)하는 시일 수단(230)을 설치한 외과 수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수단(230)은,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쌍을 이루는 백업 링(231, 232)과, 상기 백업 링(231, 232) 사이에 상기 시스(18)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O링(233)을 갖는 외과 수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형상 부재(34)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돌출체(235)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237)을 갖고,
    상기 돌출체(235)는, 상기 관통 구멍(237)에 비틀어 넣어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비틀어 넣어짐부(236a)를 갖는 외과 수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형상 부재(34)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돌출체(341)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342)을 갖고,
    상기 돌출체(341)는, 상기 관통 구멍(342)에 관통되는 관통부의 부분에 상기 관통 구멍(342)에 압입되는 압입부(343)를 갖는 외과 수술 장치.
KR1020080094316A 2007-09-28 2008-09-25 외과 수술 장치 KR101055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4,047 US7766929B2 (en) 2007-09-28 2007-09-28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US11/864,047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059A true KR20090033059A (ko) 2009-04-01
KR101055526B1 KR101055526B1 (ko) 2011-08-08

Family

ID=4050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16A KR101055526B1 (ko) 2007-09-28 2008-09-25 외과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6929B2 (ko)
EP (1) EP2067444A3 (ko)
JP (1) JP2009082710A (ko)
KR (1) KR101055526B1 (ko)
CN (1) CN1013963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882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고주파 열치료술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6410B2 (en) * 2008-03-31 2012-06-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US20100274160A1 (en) * 2009-04-22 2010-10-28 Chie Yachi Switching structure and surgical equipment
US20100331742A1 (en) * 2009-06-26 2010-12-30 Shinya Masuda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WO2011099571A1 (ja) 2010-02-12 2011-08-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処置具
US20120116265A1 (en) 2010-11-05 2012-05-10 Houser Kevin L Surgical instrument with charging devices
US9011471B2 (en) 2010-11-05 2015-04-21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pivoting coupling to modular shaft and end effector
US9526921B2 (en) 2010-11-05 2016-12-27 Ethicon Endo-Surgery, Llc User feedback through end effector of surgical instrument
US10085792B2 (en) 2010-11-05 2018-10-02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motorized attachment feature
US10660695B2 (en) 2010-11-05 2020-05-26 Ethicon Llc Sterile medical instrument charging device
US9381058B2 (en) 2010-11-05 2016-07-05 Ethicon Endo-Surgery, Llc Recharge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10881448B2 (en) 2010-11-05 2021-01-05 Ethicon Llc Cam driven coupling between ultrasonic transducer and waveguide in surgical instrument
US9089338B2 (en) 2010-11-05 2015-07-28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evice packaging with window for insertion of reusable component
US9649150B2 (en) 2010-11-05 2017-05-16 Ethicon Endo-Surgery, Llc Selective activ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in medical device
US9000720B2 (en) 2010-11-05 2015-04-07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evice packaging with charging interface
US9247986B2 (en) 2010-11-05 2016-02-02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integral switches
US9017851B2 (en) 2010-11-05 2015-04-28 Ethicon Endo-Surgery, Inc. Sterile housing for non-sterile medical device component
US9375255B2 (en) 2010-11-05 2016-06-28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instrument handpiece with resiliently biased coupling to modular shaft and end effector
US9072523B2 (en) 2010-11-05 2015-07-07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evice with feature for sterile acceptance of non-sterile reusable component
US10959769B2 (en) 2010-11-05 2021-03-30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slip ring assembly to power ultrasonic transducer
US9161803B2 (en) 2010-11-05 2015-10-20 Ethicon Endo-Surgery, Inc. Motor driven electrosurgical device with mechanical and electrical feedback
US20120116381A1 (en) 2010-11-05 2012-05-10 Houser Kevin L Surgical instrument with charging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US9510895B2 (en) 2010-11-05 2016-12-06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modular shaft and end effector
US9421062B2 (en) 2010-11-05 2016-08-23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instrument shaft with resiliently biased coupling to handpiece
US9597143B2 (en) 2010-11-05 2017-03-21 Ethicon Endo-Surgery, Llc Sterile medical instrument charging device
US9782215B2 (en) 2010-11-05 2017-10-10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integral switches
US20120116261A1 (en) * 2010-11-05 2012-05-10 Mumaw Daniel J Surgical instrument with slip ring assembly to power ultrasonic transducer
US9017849B2 (en) 2010-11-05 2015-04-28 Ethicon Endo-Surgery, Inc. Power source management for medical device
US9782214B2 (en) 2010-11-05 2017-10-10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sensor and powered control
US9039720B2 (en) 2010-11-05 2015-05-2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ratcheting rotatable shaft
GB2490151B (en) * 2011-04-20 2018-03-28 Surgical Innovations Ltd Surgical instrument insert and surgical instrument system
US9510891B2 (en) 2012-06-26 2016-12-06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s with structures to provide access for cleaning
CN104411262B (zh) * 2012-07-05 2017-10-20 奥林巴斯株式会社 处理器具和超声波处理器具系统
US9161769B2 (en) * 2012-07-30 2015-10-20 Covidien Lp Endoscopic instrument
WO2014150526A1 (en) * 2013-03-15 2014-09-25 Misonix, Incorporated Sheath coupling member and associated instrument assembly
US20140330298A1 (en) * 2013-05-03 2014-11-06 Ethicon Endo-Surgery, Inc. Clamp arm features for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JP5801022B1 (ja) * 2014-01-14 2015-10-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切開具
US10285724B2 (en) * 2014-07-31 2019-05-14 Ethicon Llc Actuation mechanisms and load adjustment assemblies for surgical instruments
US10136938B2 (en) 2014-10-29 2018-11-27 Ethicon Llc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sensor
US10076379B2 (en) * 2014-12-15 2018-09-18 Ethicon Llc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removable components for cleaning access
US11090097B2 (en) 2015-03-17 2021-08-17 Covidien Lp Connecting end effectors to surgical devices
CN106999241B (zh) 2015-04-24 2019-09-17 奥林巴斯株式会社 医疗设备
GB201600546D0 (en) * 2016-01-12 2016-02-24 Gyrus Medical Ltd Electrosurgical device
US11457909B2 (en) * 2017-11-14 2022-10-04 Min Ho Jung Sheath device for 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CN111643201B (zh) * 2020-07-02 2021-06-01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口腔牙齿种植使用的夹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690B1 (en) * 1995-04-06 2003-12-30 Olympus Optical Co., Ltd. Ultrasound treatment system
JP4109096B2 (ja) * 2002-01-11 2008-06-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超音波処置具
JP2004154330A (ja) * 2002-11-06 2004-06-03 Olympus Corp 超音波処置装置
JP4602681B2 (ja) * 2004-03-30 2010-12-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超音波凝固切開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組み立て、分解方法
KR20070012658A (ko) * 2004-03-30 2007-01-26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초음파 처치 장치 및 이 장치의 조립, 분해 방법, 및 초음파 처치 시스템
US20090088742A1 (en) 2007-09-27 2009-04-02 Shinya Masuda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882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고주파 열치료술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7444A3 (en) 2009-10-07
JP2009082710A (ja) 2009-04-23
US20090088667A1 (en) 2009-04-02
CN101396301A (zh) 2009-04-01
KR101055526B1 (ko) 2011-08-08
EP2067444A2 (en) 2009-06-10
US7766929B2 (en) 2010-08-03
CN101396301B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526B1 (ko) 외과 수술 장치
KR101056327B1 (ko) 외과 수술 장치
KR101171412B1 (ko) 외과 수술 장치
JP4918565B2 (ja) 外科手術装置
EP1943970B1 (en) Ultrasonic operating apparatus
EP1943969B1 (en) Ultrasonic operating apparatus
JP4758519B2 (ja) 外科手術器具
JP5322720B2 (ja) 外科手術装置
JP5322721B2 (ja) 外科手術装置
JP2009050704A (ja) 外科用の手術装置
JP2009233329A (ja) 超音波処置装置
EP2042113A1 (en)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JP2010162216A (ja) 超音波処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