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549A -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549A
KR20090032549A KR1020070097886A KR20070097886A KR20090032549A KR 20090032549 A KR20090032549 A KR 20090032549A KR 1020070097886 A KR1020070097886 A KR 1020070097886A KR 20070097886 A KR20070097886 A KR 20070097886A KR 20090032549 A KR20090032549 A KR 2009003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content
registration
ser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679B1 (ko
Inventor
김창현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의 인증 기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하고, 컴퓨터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내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요청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여 등록 결과를 통보 받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등록 결과에 따른 인증 식별번호를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기기를 통해서 고객이 원하는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는 다양한 사용자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거나, 판매할 수 있으며, 통신망 사업자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고, 사용자기기 관리방식을 통해 터미널에 대한 관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 USB(Universal Serial Bus) 모뎀, 인증, 콘텐츠 관리서버

Description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OF USER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 휴대용 가전기기로 콘텐츠 관리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고, 접속된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개인 휴대용 가전기기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전자 사전,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기(예를 들어, 소니사의 PSP, 닌텐도사의 DS)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사용하는 기기들(Hand-Held Device)이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고, 이러한 개인 휴대용 가전기기(Portable Device)들, 즉 사용자기기들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기기들은 모두 일정량 이상의 저장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몇몇 사용자기기들은 무선 모뎀들과 연결하고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사용자기기를 통해서는 단순히 공개된 콘텐츠를 사용하게 되며, 유료콘텐츠의 경우에는 사용자기기의 인증을 수행해야 하나 각기 다른 여러 종류의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은 정해진 바가 없는 상태이다. 휴대폰의 경우에는 휴대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송된 번호를 콘텐츠 제공없체 서버로 전달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문자 메시지 인증 방식과,  휴대폰의 고유번호 즉,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공유번호 인증 방식 등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업체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휴대폰으로 유료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의된 바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콘텐츠 제공 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들이 휴대폰 외에 휴대하고 다니는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전자사전, PMP, DMB 등과 같은 사용자기기들에 무선 모뎀의 연결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이나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것은 가능하나, 기존에 휴대폰과 같이 유료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동통신망의 유료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같은 이동통신사에 가입한 사용자의 휴대폰을 통하여 제공하거나, 미리 이동통신사와 MP3 플레이어 제조사의 협상을 통하여 서로 간에 약속된 인증방식으로 MP3 데이터를 수신할 수는 있으나, 모든 사용자기기들이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유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를 통해 유무선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 내에 포함된 모뎀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콘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기기의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기기로 제공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와 USB 방식으로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이동통신 망의 콘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기기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기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등록된 기기임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기기의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기기로 제공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사용자 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컴퓨터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내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여 등록 결과를 통보 받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등록 결과에 따른 인증 식별번호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콘텐츠 회원 인증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기기에 대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고유 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다른 견지에서의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에 연결된 무선 모뎀으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내의 WAP 서버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청 받는 과정과,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사용자기기로 상기 로그인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기기에서 입력한 로 그인 정보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WAP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AP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회원 및 장치 등록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회원 확인 및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WAP 서버에서 콘텐츠 이용을 위한 회원 키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모뎀은, 상기 사용자기기와 USB 형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컴퓨터와 연결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장치 등록 메시지를 전달받는 사용자기기와, 상기 장치 등록 메시지를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 등록에 따른 인증 번호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달하는 컴퓨터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입력된 장치 등록 요청에 따라 장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장치에 따른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장치 등록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장치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등록 결과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회원 및 장치 DB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콘텐츠 회원 확인 및 장치 등록 상태 확인을 요하고, 상기 사용자기기에 대한 고유번호를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전달하여 그에 따른 장치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견지에서의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무선 모뎀을 통하여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고,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회원키를 전달받는 사용자기기와,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송수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요청 및 로그인 정보로 콘텐츠 회원 여부 및 장치 등록 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회원이며, 상기 사용자기기가 등록된 경우,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 회원키를 전달하는 WAP 서버와, 상기 WAP 서버로부터 전달된 확인 요청 정보를 통해 콘텐츠 회원 확인 및 장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회원 및 장치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WAP 서버로 전달하는 회원 및 장치 DB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모뎀은, 상기 사용자기기와 USB 형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를 통해서 고객이 원하는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는 다양한 사용자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 사업자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사용자기기 관리방식을 통해 터미널에 대한 관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를 통해 유무선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사용자기기 내에 포함된 모뎀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콘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기기의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기기의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기기로 제공받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와 USB 방식으로 연결된 모뎀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콘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기기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기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등록된 기기임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기기의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기기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콘텐츠 관리서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기기(100)는 MP3 플레이어, PMP, DMB 수신기, 전자 사전,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기 등으로서, USB 모뎀(105)과 USB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다. USB 모뎀(105)은 사용자기기(10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USB 모뎀(105)은 무선으로 이동통신망의 무선 응용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ateway, 이하 WAP이라 한다)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콘텐츠 관리서버(100)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되는 무선 접속 방식으로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과, 와이브로(Wibro) 방식을 통한 접속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 이동통신 망에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모든 기술 방식의 접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USB 모뎀(105)과 연결된 사용자기기(100)는 콘텐츠 관리서버(100)와의 연결을 통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기기(100)의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콘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서버(100)는 접속된 사용자기기(100)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등록 여부 및 인증 절차의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이며,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콘텐츠 관리서버(100)는 USB 모뎀(105)과 연결된 사용자기기(10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기기(100)와 USB 모뎀(105)이 서로 간 에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서, USB 타입의 인터페이스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USB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간에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기기(100)와 USB 모뎀(105)이 서로 연결된 방식 외에도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 모뎀을 사용자기기(100)내에 포함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USB 모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기기(100)에는 USB 모뎀 관리부(210)와 기능부(202)를 포함하며, USB 모뎀(105)의 연결메뉴가 구성되어 있고, 이 메뉴를 통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브라우징 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부(202)는 장치 고유번호(204)와, 콘텐츠 재생부(206), 콘텐츠 저장부(208)를 포함한다. 기능부(202)는 사용자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든 사용자기기에는 동일한 장치 고유번호(204)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장치 고유번호(204)는 콘텐츠 관리서버(110)와의 협약을 통하여 각 사용자기기(100) 종류별, 기능별, 제조날짜, 버전 등을 생산카운트번호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일련번호이다.
이는 사용자기기(100)의 시리얼번호로 사용되며, 콘텐츠 제공업체의 콘텐츠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인증수행을 위해 사용된다.
콘텐츠 재생부(206)는 스트리밍 콘텐츠 또는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 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콘텐츠 저장부(208)는 콘텐츠 관리서버 및 무선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한다. USB 모뎀 관리부(210)는 USB 모뎀(105)과 USB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하며, USB 모뎀(105)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USB 모뎀(105)은 USB 연결부(214)와 통신 모뎀(216)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USB 연결부(214)는 사용자기기(100)들과 연결 및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하나의 USB 모뎀(105)만으로도 다수의 사용자기기(100)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기기(100)의 인증을 위한 고유번호가 사용자기기(100)내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기기(100) 별로 USB 모뎀(105)을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USB 모뎀 관리부(210)를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기기(100)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통신모뎀(216)은 무선통신방식을 통하여 콘텐츠 관리서버(216)와 접속하며, USB 연결부(21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콘텐츠 관리서버(216)로 송신하고, 콘텐츠 관리서버(216)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USB 연결부(214)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기기로의 콘텐츠 제공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기기(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1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사용자기기(100)는 장치 등록을 위해 컴퓨터(304)와의 연결을 통하여 장치 고유번호를 전달한다.
사용자기기(100)의 장치 고유번호를 전달받은 컴퓨터(304)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콘텐츠 관리서버(110)와 연결하게 된다. 콘텐츠 관리서버(110)는 애플리케이 션 서버(308)와, WAP/WEB 서버(310), 유선 다운로드 서버(312), 회원 및 장치 정보 DB(314), 콘텐츠 파일 DB(31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는 컴퓨터(304)와의 연결을 수행하며, 콘텐츠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컴퓨터(304)로부터 전달된 사용자기기(100)의 장치 고유번호를 회원 및 장치 정보 DB(314)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 관리 서버(11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기기(100)의 등록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기기(100)는 콘텐츠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사용자기기(100)와 연결된 USB 모뎀(105)을 통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110)의 WAP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WAP/WEB 서버(310)에 접속하고,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WAP 게이트웨이는 사용자기기(10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송수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기기(100)로부터 전달된 무선방식 언어(WML)를 HTML 언어로 변화하거나, HTML 언어를 WML 형식의 언어로 변환하여 사용자기기(100)로 전달하는 것이다.
WAP/WEB 서버(310)에서는 사용자기기(100) 및 사용자기기(100) 사용자에 대한 확인을 위해 로그인 정보인 아이디/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 이에 사용자기기(100)로부터 장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WAP/WEB 서버(310)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회원 및 장치 정보 DB(314)로 전달하며, 콘텐츠 회원 여부 확인 및 사용자기기(100)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회원 및 장치 정보 DB(314) 상에 기 저장된 콘텐츠 회원임을 확인하고, 사용자기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이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WAP/WEB 서버(310)로 전달하고, WAP/WEB 서버(310)에서는 콘텐츠 이용을 위한 회원 키 정보를 사용자기기(100)로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기기(100)는 회원키를 이용하여 유선 다운로드 서버(312)로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유선 다운로드 서버(312)와 연결된 콘텐츠 파일(예를 들어, MP3 파일) DB(316)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스트리밍 서버(318)로 회원키를 포함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스트리밍 서버(318)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컴퓨터와의 연결을 통한 장치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SB 모뎀과 연결된 사용자기기(400)는 410단계에서 컴퓨터(304)와 연결을 수행하여 장치 등록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기기(400)는 컴퓨터(304)로 장치 고유번호를 전송한다. 컴퓨터(304)는 412단계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고, 장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 관리 서버(110)의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로 전송한다. 이때, 장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콘텐츠 회원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로그인 정보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8)에서는 414단계에서 컴퓨터(304)로부터 전송된 장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회원 및 장치 DB(314)로 전달하여 콘텐츠 회원 및 장치 등록 상태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회원 및 장치 DB(314)에서 는 사용자기기(4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등록해둔 시리얼 번호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기기(4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새로운 장치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기기(400)가 회원 및 장치 DB(314)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416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8)가 회원 및 장치 DB(314)로 사용자기기(400)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장치 등록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회원 및 장치 DB(314)에서는 전달받은 고유번호를 사용자기기(400)의 시리얼번호로서 추가하고, 418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8)로 장치 등록 결과 메시지를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8)에서는 사용자기기(400)가 이동통신망의 WAP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420단계에서 컴퓨터(304)로 사용자기기(400)에 대한 인증 식별번호(예를 들어, 이동국 식별 번호(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생성하여 이를 전송한다.
이후 422단계에서 컴퓨터(304)는 수신한 인증 식별번호를 사용자기기(400)로 전달하고, 사용자기기(400)는 전달받은 인증 식별번호를 기록해둔다.
이를 통해 사용자기기(400)는 USB 모뎀을 통해서 콘텐츠 다운로드 및 무선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브라우징 서비스 전에 사용자기기의 인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SB 모뎀과 연결된 사용자기기(400)는 510단계에서 WAP 게이트웨이(502)로 사용자기기(400)의 고유번호(serial)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WAP 게이트웨이(502)는 512단계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110)내의 WAP 서버(310)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WAP 서버(310)에서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를 통하여 이전 접속여부를 WAP 서버(310)내에 저장되어 있는 쿠키(cookie)를 통해 확인하고, 사용자기기(400)와 이전 접속이 없었던 경우에는 514단계에서 WAP 게이트웨이(502)로 사용자기기(400)에 대한 로그인 정보로서, 아이디/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한다.
다만, WAP 서버(310)내에 사용자기기에 대한 쿠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의 입력없이 무선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WAP 게이트웨이(502)는 WAP 서버(310)로부터 전달받은 로그인 정보를 516단계에서 사용자기기(400)로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기기(400)에서는 518단계에서 로그인정보를 입력하여 WAP 게이트웨이(502)로 전송하고, WAP 게이트웨이(502)에서는 520단계에서 사용자기기(4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WAP 서버(310)로 전달한다.
이에 WAP 서버(310)에는 522단계에서 회원 및 장치 DB(314)로 로그인 정보 및 사용자기기(400)의 고유번호를 전달함으로써, 회원 및 장치 DB(314)는 본 사용자기기(4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회원여부를 확인하고, 고유번호를 통해 장치의 등록 상태를 확인한다. 즉, 회원 및 장치 DB(314)에 기저장된 회원 로그인 정보 및 장치 등록 고유번호를 전달받은 로그인 정보와 고유번호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한다면, 524단계에서 콘텐츠 회원 및 장치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WAP 서버(310)로 전달한다.
이에 WAP 서버(310)에서는 수신한 인증 결과 메시지를 토대로 쿠키를 셋팅하여 WAP 게이트웨이(502)로 전달하고,  WAP 게이트웨이(502)는 528단계에서 사용자기기로 세팅된 쿠키를 정보를 사용자기기(4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세팅된 쿠키에는 회원 키와, 아이디정보,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추후 콘텐츠를 제공받은 무선 스트리밍 서버를 토대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를 통해 유무선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사용자기기와 연결된 무선 모뎀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콘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기기의 고유번호를 토대로 기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등록된 기기임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기기의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사용자기기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식으로서, 사용자기기를 가진 고객이 사용자기기의 고유번호를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기기에 대한 인증된 경우, 이를 통하여 원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언제 어 디서나 즐길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는 다양한 사용자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것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콘텐츠 관리서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USB 모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기기로의 콘텐츠 제공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와 컴퓨터와의 연결을 통한 장치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브라우징 서비스 전에 사용자기기의 인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사용자기기           105 : USB 모뎀
304 : 컴퓨터               110 : 콘텐츠 관리 서버
308 : 애플리케이션 서버    310 : WAP/WEB 서버
312 : 유선 다운로드 서버   314 : 회원 및 장치 DB
316 : 콘텐츠 파일 DB

Claims (8)

  1. 사용자 기기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컴퓨터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내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을 수행하여 등록 결과를 통보 받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등록 결과에 따른 인증 식별번호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콘텐츠 회원 인증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등록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기기에 대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고유 번호를 등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3. 사용자기기에 연결된 무선 모뎀으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내의 WAP 서버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사용자기기로 상기 로그인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기기에서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WAP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AP 서버에서 회원 및 장치 DB로 상기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회원 및 장치 등록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회원 확인 및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WAP 서버에서 콘텐츠 이용을 위한 회원 키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뎀은,
    상기 사용자기기와 USB 형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5. 컴퓨터와 연결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장치 등록 메시지를 전달받는 사용자 기기와,
    상기 장치 등록 메시지를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 등록에 따른 인증 식별번호를 상기 사용자기기로 전달하는 컴퓨터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입력된 장치 등록 요청에 따라 장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장치에 따른 인증 식별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컴퓨터로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장치 등록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장치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등록 결과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회원 및 장치 DB
    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콘텐츠 회원 확인 및 장치 등록 상태 확인을 요하고, 상기 사용자기기에 대한 고유번호를 상기 회원 및 장치 DB로 전달하여 그에 따른 장치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장치.
  7.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무선 모뎀을 통하여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고,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며,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회원키를 전달받는 사용자기기와,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송수신방식으로 변환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요청 및 로그인 정보로 콘텐츠 회원 여부 및 장치 등록 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회원이며, 상기 사용자기기가 등록된 경우,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 회원키를 전달하는 WAP 서버와,
    상기 WAP 서버로부터 전달된 확인 요청 정보를 통해 콘텐츠 회원 확인 및 장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회원 및 장치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WAP 서버로 전달하는 회원 및 장치 DB
    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뎀은,
    상기 사용자기기와 USB 형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기기의 인증 장치.
KR1020070097886A 2007-09-28 2007-09-28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42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886A KR101426679B1 (ko) 2007-09-28 2007-09-28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886A KR101426679B1 (ko) 2007-09-28 2007-09-28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549A true KR20090032549A (ko) 2009-04-01
KR101426679B1 KR101426679B1 (ko) 2014-08-06

Family

ID=4075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886A KR101426679B1 (ko) 2007-09-28 2007-09-28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865B2 (ja) * 2003-03-26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期限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期限管理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70031832A (ko) * 2004-07-21 2007-03-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시스템, 콘텐츠 처리장치, 통신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0754173B1 (ko) * 2005-03-24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790496B1 (ko) * 2006-03-07 2008-01-02 와이즈와이어즈(주) 인증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시스템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79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556B1 (ko)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 패밀리 클라우드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201232B2 (en) Authentication, identity, and service management for compu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US7992212B2 (en) Mobile terminal and gateway for remotely controlling data transfer from secure network
AU2006294321B2 (en) An information subscribing system for portable termianl device having direct network connecting function
EP1681828A1 (en) An access information relay device, a network device, an access information managing device, a resource managing device and an access control system
US20080066181A1 (en) DRM aspects of peer-to-pee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KR20110042711A (ko) 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097122A (ko) 서비스를 다운로딩하기 위한 핫 스폿에서의 캐시 서버
CN101952832B (zh) 个人许可服务器及其使用方法
JP2009500734A (ja) オンライン・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に対する集中アクセス許可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9237687A5 (ko)
JP4372936B2 (ja) 代行管理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装置
JP2009075987A (ja) ネットワーク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サーバ、再生機器、認証サーバおよび認証端末
KR100676052B1 (ko) 싱크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89303A1 (en) Mobile gaming system
JP4979723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基盤アクセス方法
KR100876477B1 (ko) 무선모뎀과 연결된 휴대용 사용자기기의 정보를 등록하는방법 및 장치
KR20090032549A (ko) 사용자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030005644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200700410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방법 및 시스템
JP2002345006A (ja) 情報処理を代行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2002259254A (ja) 端末認証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13680A (zh) 认证处理装置及认证处理方法
KR100587158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07174048A (ja) 携帯電話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