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671A -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671A
KR20090031671A KR1020087027562A KR20087027562A KR20090031671A KR 20090031671 A KR20090031671 A KR 20090031671A KR 1020087027562 A KR1020087027562 A KR 1020087027562A KR 20087027562 A KR20087027562 A KR 20087027562A KR 20090031671 A KR20090031671 A KR 2009003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la
substituted
region
group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348B1 (ko
Inventor
유안-쫑 첸
슈엔-루 흥
치-룽 센
치-펭 창
신-유 린
웨이-수안 첸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아 시니카
파미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947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316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아 시니카, 파미진 인크. filed Critical 아카데미아 시니카
Publication of KR2009003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1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tissue or cell typing, e.g. human leukocyte antigen [HLA]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42Toxicological screening, e.g. expression profiles which identify tox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2Haploty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4Heterocyclic carbon compound [i.e., O, S, N, Se, Te, as only ring hetero atom]
    • Y10T436/142222Hetero-O [e.g., ascorbic acid, etc.]
    • Y10T436/143333Saccharide [e.g., DNA,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LA-B*1502 또는 HLA-B*5801와 같은 특정의 HLA 대립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유전 표지(예, HLA-B*1502, HLA-B*5801, 또는 HLA-B*4601)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환자의 약물 부작용(예,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독성 표피 괴사 용해, 또는 과민 증후군)의 발병 위험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Figure P1020087027562
HLA 대립유전자, 약물 부작용(ADR)

Description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HLA ALLELE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SUCH}
약물 부작용(Adverse Drug Reaction, 이하 "ADR"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은 약물의 원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영향이다. 특히, 약물 부작용은 예방,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복용량에 있어서 발생한다. 널리 인용된 메타 분석에 의하면, ADR은 흔한 사망 원인 중 4위부터 6위까지를 차지하고 있다(Lazarou et al., JAMA, 279(15):1200-1205, 1998). 피부 ADR은 전체 병원 입원의 약 2∼3%을 차지한다(Bigby et al., JAMA, 256(24):3358-3363, 1986). 이는 그 중증도를 더해가는 경증성 반점구진(mild maculopapular, MPE)으로부터, 과민 증후군(hypersensitivity syndrome, HSS),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SJS) 및 독성 표피 괴사 용해(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Lyell’s syndrome) 등의 생명을 위협하는 ADR에까지 이른다. 후자의 치사율은 40%에 달할 수 있다.
HSS는 피부발진에 더하여 전신 소견(예, 열, 관절염, 호산구증가증 및 림프절병증)을 동반하는 다기관 병발(예, 간 또는 신장)이 특징이다(Roujeau et al., N. Engl. J. Med., 331:1272-1285, 1994). SJS 및 TEN은, 자반성 반점의 수포성 발진과, 반점 병발 및 피부 박리를 동반하는 과녁 징후(target-like lesion)의 속 발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복합체 매개성 과민 질환이다(Roujeau et al. J Invest Dermatol, 1994, 102:28S-30S). 이들은 대부분 술폰아미드, 항경련제, 알로퓨리놀(allopurinol),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 항말라리아제 등의 약물에 기인한다(Roujeau et al., N. Engl. J. Med., 333(24):1600-1607, 1995). 대만에서, 항경련제(예, CBZ, 페니토인 및 페노바르비탈)와 알로퓨리놀은 SJS/TEN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약물이다.
약리게놈학의 최근의 발전에 따라, ADR에 대한 감수성이 특정의 대립유전자와 관련되어 있음이 암시되었다. 예를 들면, 티오퓨린 메틸트랜스퍼라제 유전자의 유전자 다형(genomic polymorphism)은 류마티스 질환 또는 암에 대한 약물인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에 의해 유발되는 ADR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Yates et al., Ann. Intern. Med., 126(8):608-614, 1997). 어떤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HSS에 대한 감수성은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는 것도 시사되었다(Gennis MA, Am. J. Med., 91(6):631-634, 1991; Edwards SG, Postgrad. Med. J., 75(889):680-681, 1999). 그러나 정확한 원인 유전 인자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 약리게놈학 연구는, 환자에 있어서의 ADR-관련 대립유전자의 검출이 그 환자의 ADR 발병의 위험 여부를 평가함에 유용한 접근 방식임을 시사한다. 임상검사개선수정안(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에 의해 인증된 이러한 종류의 분자적 진단이 현재 미국 및 유렵의 참조 시험소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특정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립유 전자 특이적 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 정확한 결정을 얻기 위해서는 대립 유전자 내의 복수의 영역을 표적으로 해야 한다. 예를 들면, HLA-B 대립유전자(예, HLA-B*1502 또는 HLA-B*5801)를 결정하기 위한 현재 사용가능한 방법은, 그 대립유전자 내의 적어도 6개의 영역의 검출을 요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환자의 약물 부작용, 특히, SJS, TEN, 또는 HSS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CBZ) 등의 다양한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에 HLA-B*1502가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HLA-B*5801은 특히 알로퓨리놀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에 관련되어 있다. HLA-B*5801은 알로퓨리놀-유발 HSS와도 관련되어 있다. CBZ에 의해 유발되는, 반점구진 발진, 다형 홍반, 두드러기, 및 고정약진 등의 경증 피부 반응들은 특히 HLA-B*4601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원은, 환자로부터의 생체 시료를 사용하여 HLA 형결정(typing)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약물에 반응하여 약물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약 40%의 감도로 ADR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위험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위험 인자의 감도는 적어도 약 50%, 60%, 70%, 80%, 85% 또는 90%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감도는 적어도 95%이다. 그 약물은 바람직하게는 CBZ, 옥스카르바제핀(상표명: 트리렙탈(trileptal)), 리카르바제핀, 알로퓨리놀, 페니토인, 설파살라진, 아목시실린, 이브프로펜 및 케토프로펜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또는, 그 약물 은 바람직하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HLA-B 대립유전자가 위험 인자(risk factor)이다.
환자의, 약물에 반응하여 약물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의 평가는 HLA-B*1502, HLA-B*5801 및 HLA-B*4601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HLA-B 대립유전자의 존재의 결정에 의해 수행되며, 이때 HLA-B 대립유전자의 존재는 약물 부작용의 위험의 지표이다. 그 약물은 CBZ, 옥스카르바제핀, 리카르바제핀, 알로퓨리놀, 옥시퓨리놀, 페니토인, 설파살라진, 아목시실린, 이부프로펜, 및 케토프로펜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약물 부작용은 SJS, TEN, 또는 HSS 등의 피부 약물 부작용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약물은 CBZ, 옥스카르바제핀, 리카르바제핀에서 선택되며, 대립유전자는 HLA-B*1502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HLA-B*5801은 SJS, TEN, 또는 HSS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며, 약물은 알로퓨리놀 또는 옥시퓨리놀에서 선택될 수 있다. HLA-B*1503 또는 *1558 등의, HLA-B15, B58 또는 B46의 다른 아형도 ADR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대립유전자는 예를 들면 혈액, 타액, 소변 또는 모발 등의 생체 시료로부터 마련된 게놈 DNA를 사용하여 대립유전자 내의 영역/뉴클레오티드를 직접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대립유전자는 예를 들면 혈청학적 방법 또는 미세세포독성법에 의해서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 대립유전자의 등가 유전 표지(equivalent genetic marker)의 검출에 의해 결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등가 유전 표지는, 예를 들면, SNP(단일 염기 다형), 마이크로새털라이트 표 지(microsatellite marker) 또는 다른 종류의 유전자 다형이다. 환언하면, 대립유전자 그 자체보다는, 오히려 HLA-B*1502, 5801 또는 4601 반수체형(haplotype)의 존재가 약물 부작용의 지표이다. HLA-B B*1502 반수체형의 등가 유전 표지의 예로는 DRB1*1202, Cw*0801, Cw*0806, A*1101, 및 MICA*019를 들 수 있다. HLA-B*5801의 등가 유전 표지의 예로는 HLA-A*3303, Cw*0302, DRB1*0301, 및 MICA*00201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약리게놈학 프로파일링의 방법이다. 이 방법은 HLA-B*1502, HLA-B*5801, 및 HLA-B*4601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HLA-B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는, HLA-B*1502 및 HLA-B*5801와 같이, 상기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결정한다. 다른 예에서는, 3개의 대립유전자 모두의 존재를 결정한다. 상기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른 유전 인자(genetic factor)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유전 인자는 ADR을 포함하는 어떤 질병 또는 의학적 상태의 소인과도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다른 유전 인자는 티오퓨린 메틸트랜스퍼라제와 QT연장증후군에 대한 유전자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HLA-B*1502 또는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 방법은 (1)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 또는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2)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 또는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 역 양쪽의 존재가 환자의 HLA-B*1502 또는 HLA-B*5801 보유의 지표인, 상기 환자의 관심대상의 대립유전자의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영역은 실시간(Real Time) PCR 또는 ELISA와 결합된 경쟁적 서열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부합화 분석(CSSO-ELISA)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HLA-B*1502의 영역 1-6 또는 HLA-B*5801의 영역 1-6으로부터 선택된 2개 영역의 검출이 HLA-B*1502 또는 HLA-B*5801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하기에 충분하다. 또는, HLA-B*1502 또는 HLA-B*5801 내의 3개 내지 그 이상의 영역이 검출된다.
HLA-B*1502의 영역 1, 영역 2, 및 영역 3의 검출은, 영역 1 내의 위치 1 및 3, 영역 2 내의 위치 1 및 6, 영역 3 내의 위치 1 및 3의 뉴클레오티드의 동정에 의해 각각 달성할 수 있다(이들 위치에서 센스 가닥이나 안티센스 가닥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
HLA-B*5801 영역 1-6의 검출은 영역 1 내의 위치 1, 2, 및 5, 영역 2 내의 위치 1, 4, 6, 7, 8, 15, 16, 및 20, 영역 3 내의 위치 2, 4, 5, 8, 및 9, 영역 4 내의 위치 3 및 5, 영역 5 내의 위치 1 및 9, 그리고 영역 6 내의 위치 3 및 10의 뉴클레오티드의 동정에 의해 각각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립유전자, 예를 들면 HLA-B*1502 또는 HLA-B*5801를 검출하기 위한 키트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키트는 HLA-B*1502의 영역 1-6 또는 HLA-B*5801의 영역 1-6으로부터 선택된 영역을 각각 표적으로 하는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프로브는 다른 영역을 표적으로 한다. 상기 키트는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internal control allele)를 표적으로 하는 제3 프로브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또한 HLA-B*1502 또는 HLA-B*5801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적인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적인 프로브를 더 포함해도 좋다.
어떤 화합물이 어떤 약물(예, CBZ, 알로퓨리놀, 또는 페니토인)에 의해 유발되는 ADR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예, HLA-B*1502, HLA-B*5801, 또는 HLA-B*4601)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ADR(예, SJS/TEN, HSS, 또는 경증 피부 ADR)을 유발하는 후보 화합물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1) ADR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ADR 환자로부터 T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2) ADR을 유발하는 약물에 반응성인 T세포를 증식하는 단계, (3) 상기 환자로부터 항원 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를 분리하는 단계, (4) 상기 증식된 T세포를 상기 항원 제시 세포의 존재하에 어떤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화합물이 상기 증식된 T세포를 활성화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T세포를 활성화하는 화합물이, 같은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그 약물 부작용을 유발하는 후보 화합물이다.
환자의 ADR 발병 확률이 일반집단(general population)의 ADR 발병 확률보다 높으면 그 환자는 ADR의 "위험"이 있다. 그 환자의 ADR 발병 확률은 일반집단의 ADR 발병 확률의 적어도 약 1.5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배, 그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 4, 5, 6, 7, 8 또는 9배,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배이다. 그 확률은, 위험 인자의 발생 수(incidence)를 이용하는 등의,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 험 인자가 일반집단의 5%에 있어서 존재한다. 만일 이 인자가 ADR을 가진 환자의 10%에서 존재한다면, 이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의 ADR 발병 확률은 일반집단의 ADR 발병 확률의 2배만큼 높다.
ADR의 "위험 인자”는 ADR과 관련된 인자이다. 위험 인자의 감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60%, 70%, 80%, 85% 또는 90%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감도는 적어도 95%이다. ADR을 예측하기 위한 위험 인자의 "감도(sensitivity)"는 그 위험 인자를 보유한 ADR 환자의 백분율이다. 환언하면, 만일 모든 SJS 환자가 대립유전자 A를 가지면, SJS를 예측하기 위한 그 대립유전자 A의 감도는 100%이다. 만일 40명의 SJS 환자 중 20명이 대립유전자 B를 갖는다면, 그때의 SJS를 예측하기 위한 그 대립유전자 B의 감도는 50%이다.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의“등가 유전 표지”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에 연관된 유전 표지로서, 즉, 그것은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와 연관불균형을 나타낸다.
"약리게놈학 프로파일링”은 질병 또는 의학적 상태, 특히 약물에 대한 부작용과 관련된, 대상자(subject)에 존재하는 유전 인자의 결정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약리게놈학 프로파일링에 있어서는 유전 인자들의 패널(panel)이 결정되며, 이 인자들은 동일한 질병 또는 의학적 상태, 또는 약물에 대한 반응에 관련되어 있을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본원에서 약물 화합물은, 약물 화합물 그 자체, 또는 그 약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할로, 히드록시, 아실아미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릴옥시, 아릴, 아릴옥시아릴,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콕시, 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기로 치환된 외에는 그 약물과 같은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기는 이하에 정의된다. 상기 치환기가 함유하는 탄소수는 0∼10, 0∼6, 0∼4, 또는 0∼2일 수 있다.
본원에서, "알킬"은 탄소수 1∼10 또는 1∼6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킬"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5개의 치환기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디노, 알킬 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옥실아릴,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사이 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아릴, 치환된 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 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로 차단된 아미노기를 갖는 치환된 알킬기 및 알킬기/(-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SO2-NRR로 치환된) 치환 알킬기(R은 수소 또는 알킬).
"알콕시"는 "알킬-O-"의 기를 의미하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iso-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sec-부톡시, n-펜톡시, n-헥속시, 1,2-디메틸부톡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치환된 알콕시"는 "치환된 알킬-O-"의 기를 의미한다.
"아실"은 H-C(O)-, 알킬-C(O)-, 치환된 알킬-C(O)-, 알케닐-C(O)-, 치환된 알케닐-C(O)-, 알키닐-C(O)-, 치환된 알키닐-C(O), 사이클로알킬-C(O)-, 치환된 사이클로알킬-C(O)-, 아릴-C(O)-, 치환된 아릴-C(O)-, 헤테로아릴-C(O)-, 치환된 헤테로아릴-C(O), 헤테로사이클릭-C(O)-,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C(O)-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아실아미노" 란 -C(O)NRR의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각 R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치환된 아릴, 사 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이며; 각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하여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아실옥시"는 알킬-C(O)O-, 치환된 알킬-C(O)O-, 알케닐-C(O)O-, 치환된 알케닐-C(O)O-, 알키닐-C(O)O-, 치환된 알키닐C(O)O-, 아릴-C(O)O-, 치환된 아릴-C(O)O-, 사이클로알킬-C(O)O-, 치환된 사이클로알킬-C(O)O-, 헤테로아릴-C(O)O-, 치환된 헤테로아릴-C(O)O-, 헤테로사이클릭-C(O)O-,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C(O)O-의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알케닐"은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2∼10, 더 바람직하게는 2∼6이고, 적어도 1개소, 바람직하게는 1∼2개소의 알켄성 불포화를 갖는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케닐"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5개의 치환기를 갖는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아실, 아 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옥시아릴,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 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및 통상의 차단기(Boc, Cbz 포르밀 등)에 의해서 차단된 아미노기를 갖는 치환된 알케닐기 및 알케닐기/(-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SO2-NRR로 치환된) 치환 알케닐기(R은 수소 또는 알킬).
"알키닐"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 더 바람직하게는 3∼6이고, 적어도 1개소, 바람직하게는 1∼2개소의 알킨성 불포화를 갖는 알키닐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알키닐"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5개의 치환기를 갖는 알키닐기를 의미한다: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릴, 치환된 아 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옥시아릴,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Boc, Cbz 포르밀 등)에 의해서 차단된 아미노기를 갖는 치환된 알키닐기, 및 알키닐기/(-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SO2-NRR로 치환된) 치환 알키닐기(R은 수소 또는 알킬).
"아미노아실"은 -NRC(O)알킬, -NRC(O)치환된 알킬, -NRC(O)사이클로알킬, -NRC(O)치환된 사이클로알킬, -NRC(O)알케닐, -NRC(O)-치환된 알케닐, -NRC(O)-알키닐, -NRC(O)-치환된 알키닐, -NRC(O)-아릴, -NRC(O)치환된 아릴, -NRC(O)헤테로아릴, -NRC(O)치환된 헤테로아릴, -NRC(O)헤테로사이클릭, 및 -NRC(O)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의 기를 의미하고(R은 수소 또는 알킬),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아미노카보닐옥시"는 -NRC(O)O-알킬, -NRC(O)O치환된 알킬, -NRC(O)O-알케닐, -NRC(O)O-치환된 알케닐, -NRC(O)O알키닐, -NRC(O)O-치환된 알키닐, -NRC(O)O-사이클로알킬, -NRC(O)O치환된 사이클로알킬, -NRC(O)O-아릴, -NRC(O)O-치환된 아릴, -NRC(O)O헤테로아릴, -NRC(O)O-치환된 헤테로아릴, -NRC(O)O-헤테로사이클릭, 및 -NRC(O)O-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R은 수소 또는 알킬)의 기를 의미하고,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옥시카보닐아미노"는 -OC(O)NRR, -OC(O)NR-알킬, -OC(O)NR-치환된 알킬, -OC(O)NR-알케닐, -OC(O)NR-치환된 알케닐, -OC(O)NR-알키닐, -OC(O)NR-치환된 알키닐, -OC(O)NR-사이클로알킬, -OC(O)NR-치환된 사이클로알킬, -OC(O)NR-아릴, -OC(O)NR-치환된 아릴, OC(O)NR-헤테로아릴, -OC(O)NR-치환된 헤테로아릴, -OC(O)NR-헤테로사이클릭, 및 -OC(O)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R은 수소 또는 알킬)을 의미하고, 여기서 각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하여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다.
"아릴" 또는 "Ar"은, 단일환(예, 페닐)을 갖거나 방향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다중축합환(예, 나프틸 또는 안트릴)을 갖는, 탄소수 6∼14의 불포화 방 향족 탄소환기를 의미한다(예, 2-벤즈옥사졸리논, 2H-1,4-벤즈옥사진-3(4H)-온-7-일, 등). 바람직한 아릴에는 페닐과 나프틸이 포함된다.
치환된 아릴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히드록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 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아미도, 시아노,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할로, 니트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SO(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시클로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 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치환-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통상의 차단기(Boc, Cbz 포르밀 등)에 의해 차단된 치환된 아릴상의 아미노기, 및 -SO2-NRR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 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R은 수소 또는 알킬).
"치환된 아릴옥시아릴"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한쪽 또는 양쪽의 아릴환상의 1∼3개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아릴옥시아릴기를 의미한다: 히드록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아미도, 시아노,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할로, 니트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사이 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 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 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 -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에 의해 차단되거나 -SO2-NRR로 치환된, 치환된 아릴상의 아미노기(R 은 수소 또는 알킬).
"사이클로알킬"은 단일환을 갖는 탄소수 3∼8의 사이클릭 알킬기로,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옥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다만타닐 등의 다중환 알킬기는 상기 정의에서 제외된다. "사이클로알케닐"은 탄소수가 3∼8이고, 한 곳 또는 여러 곳이 불포화되어 있으나 방향족은 아닌 사이클릭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치환-사이클로알킬"과 "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5개의 치환기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8의 사이클로알킬기 및 사이클로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옥소(=O), 티옥소(=S),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옥시아릴,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Boc, Cbz 포르밀 등)에 의해서 차단된 아미노기를 갖는 치환된 알키닐기 및 알키닐기/(-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SO2-NRR로 치환된) 치환 알키닐기(R은 수소 또는 알킬).
"사이클로알콕시"는 -O-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는 -O-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의미하며, 클로로 또는 브로모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아릴"은 그 환내에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탄소수 2∼10의 방향족 탄소환기를 의미한다. 그러한 헤테로아릴기는 단일환을 가질 수 있고(예, 피리딜 또는 퓨릴) 또는 다중축합환(인돌리지닐 또는 벤조티에닐)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에는 피리딜, 피롤릴, 인돌릴, 퓨릴이 포함된다.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히드록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 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아미도, 시아노,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할로, 니트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 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 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 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 로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아릴,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Boc, Cbz 포르밀 등)에 의해 차단된 치환된 아릴상의 아미노기, 및 -SO2-NRR(R은 수소 또는 알킬).
"헤테로아릴옥시"기는 -O-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하고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는 -O-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은 그 환내에 산소, 질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4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탄소수 1∼10의, 단일환 또는 다중축합된 환을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된 기를 의미한다. 융합된 환 시스템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은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3개 의 치환기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낸다: 옥소(=O), 티옥소(=S),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아실, 아실아미노, 티오카보닐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디노, 알킬아미디노, 티오아미디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카보닐아미노, 아미노티오카보닐아미노, 아미노카보닐옥시, 아릴, 치환된 아릴, 아릴옥시, 치환된 아릴옥시, 아릴옥시아릴, 치환된 아릴옥시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니트로, 카복시, 카복시알킬, 카복시-치환된 알킬, 카복시-사이클로알킬, 카복시-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카복시아릴, 카복시-치환된 아릴, 카복시헤테로아릴, 카복시-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구아니디노, 구아니디노설폰, 티올, 티오알킬, 치환된 티오알킬, 티오아릴, 치환된 티오아릴, 티오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티오사이클로알킬, 티오헤테로아릴, 치환된 티오헤테로아릴, 티오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티오헤테로사이클릭,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사이클로알콕시, 치환된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아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옥시카보닐아미노, 옥시티오카보닐아미노, -OS(O)2-알킬, -OS(O)2-치환된 알킬, -OS(O)2-아릴, OS(O)2-치환된 아릴, -OS(O)2-헤테로아릴, -OS(O)2-치환된 헤테로아릴, -OS(O)2-헤테로사이클릭, -O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OSO2-NRR, -NRS(O)2-알킬, -NRS(O)2-치환된 알킬, -NRS(O)2-아릴, -NRS(O)2-치환된 아릴, NRS(O)2-헤테로아릴, -NRS(O)2-치환된 헤테로 아릴, -NRS(O)2-헤테로사이클릭, NR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알킬, -NRS(O)2-NR-알킬, -NRS(O)2-NR-치환된 아릴, -NRS(O)2-NR-헤테로아릴, -NRS(O)2-NR-치환된 헤테로아릴, -NRS(O)2-NR-헤테로사이클릭, NRS(O)2-NR-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알킬)아미노, 모노-및 디-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미노, 모노- 및 디-헤테로사이클릭 모노- 및 디-(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미노, 비대칭성 이치환된 아민으로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릭 및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상이한 치환기들을 갖는 것, 통상의 차단기에 의해 차단된 아미노기를 갖는 치환된 알키닐기 및 알키닐기/(-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알케닐, -SO2-치환된 알케닐, -SO2-사이클로알킬, -SO2-치환된 사이클로알킬, -SO2-아릴, -SO2-치환된 아릴, -SO2-헤테로아릴, -SO2-치환된 헤테로아릴, -SO2-헤테로사이클릭, -SO2-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SO2-NRR로 치환된) 치환 알키닐기 (R은 수소 또는 알킬).
헤테로사이클 및 헤테로아릴은 아제티딘,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인돌리진, 이소인돌, 인돌, 디하이드로인돌, 인다졸, 퓨린, 퀴놀리진, 이소퀴놀린, 퀴놀린, 프탈라진, 나프틸피리딘, 퀴녹살린, 퀴나졸린, 시놀린, 프테리딘, 카바졸, 카볼린, 페난트리딘, 아크리딘, 페난트롤린, 이소 티아졸, 페나진, 이속사졸, 페녹사진, 페노티아진,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린, 프탈이미드,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4,5,6,7-테트라하이드로벤조[b]티오펜, 티아졸, 티아졸리딘, 티오펜, 벤조[b]티오펜,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피페리디닐, 피롤리딘,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사이클릴옥시"는 -O-헤테로사이클릭기를 의미하고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옥시"는 -O-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태양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몇몇의 증거들에 의해, 수개의 유사한 다발적 전신 ADR의 발병기전에, MHC 분자에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내인 단백질에 결합하는 약물 또는 그 대사물의 MHC-제한 제시(MHC-restricted presentation), 및 T 세포의 활성화가 따른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Svensson et al., Pharmacol. Rev., 53(3):357-379, 2000). SJS/TEN 등의 물집 반응에서 피부 침윤성 CD8+ 세포독성 T 세포가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Hari et al., Clin. Exp. Allergy, 31(9):1398-1408, 2001), CD4+ 헬퍼 T 세포는 반점구진 발진 등의 경증 피부 ADR의 특징이었다(Pichler et al., Int. Arch. Allergy Immunol., 113(1-3):177-180, 1997).
HLA-B*1502, HLA-B*5801, 및 HLA-B*4601의 각각은, CBZ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 알로퓨리놀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HSS, 및 CBZ에 의해 유발되는 경증 피부 ADR(예, 반점구진 발진, 다형 홍반, 두드러기, 또는 고정약진)에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HLA-B 대립유전자는 CBZ 화합물, 알로퓨리놀 화합물, 또는 그와 유사 구조를 갖는 다른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ADR(예, SJS, TEN, HSS, 또는 경증 피부 ADR)의 발병 위험 여부의 결정을 위한 유전 표지로서 유용하다.
테그레톨, 테골, G-32883, 비스톤, 칼렙신, 카르바트롤, 에피톨, 핀렙신, 시르탈, 스타제핀, 텔레스민, 또는 티모닐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CBZ는 방향족 항경련제이다. 페니토인(딜란틴) 및 페노바르비탈을 포함하는 다른 방향족 항경련제는 CBZ와 유사한 ADR을 유발한다. 따라서, HLA-B*1502은 이들 다른 방향족 항경련제에 대한 ADR의 위험을 평가하는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HLA-B*1502을 위험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족 항경련제에는 CBZ, 페니토인 또는 페노바르비탈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이 포함된다. CBZ-10,11 에폭시드, CBZ-10,11-디올, CBZ-2,3-디올, 디하이드로 CBZ, CBZ 카테콜 및 CBZ o-퀴논, p-하이드록시 페니토인, 페니토인 디하이드로디올, 페니토인 카테콜, 페니토인 메틸카테콜, 및 페니토인 o-퀴논 등의, 상기 약물의 대사물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참조, 예, Gennis et al., 1991; Leeder, Epilepsia, 39 Suppl. 7:S8-16, 1998; Naisbitt et al., Mol. Pharmacol., 63(3):732-741, 2003).
알로퓨리놀은 고요산혈증 및 만성 통풍의 약물이다.
본 발명은 환자 내의 어떤 HLA 대립유전자나 그의 등가 유전 표지의 존재에 기초하여 그 환자의 ADR, 특히 SJS, TEN, 또는 HSS의 발병 위험 여부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환자에 있어서의 HLA-B*1502의 존재는 그 환자의 CBZ 화합물, CBZ에 구조적으로 유사한 다른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의 발병의 위험의 지표이다. 표 I은 HLA-B*1502 보유자에서 SJS/TEN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예시한다.
[표 I] HLA-B* 1502를 갖는 환자에서 SJS와 관련된 약물 화합물
활성성분명 또는 그 상표명 활성성분의 구조
카르바마제핀, 에피톨, 테그레톨, 마이크로트롤 비포트롤, 카르바마제핀 , 카르바마제핀, 파르마벤, 카르바마제핀, 카르바트롤, SPD-417 5H-디벤즈[b,f]아제핀-5-카르복스아미드 [CAS]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1
옥스카르바제핀, 트리렙탈 GP-47680, GP-47779, GP-47779 MHD, KIN-493, 옥사카르바제핀, TRI-476, TRI- 477, TRI-477(MHD), 트리렙탈 NP, [CAS] : 5H-디벤즈[b,f]아제핀-5-카르복스아미드, 10,11-디하이드로-10-옥소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2
리카르바제핀 BIA-2-093 BIA-2-005 [CAS]:(S)-(-)-10-아세톡시-10,11-디하이드로-5H-디벤조/b,f/아제핀-5-카르복스아미드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3
모다피닐, 스파론(Sparlon)(신제제약물), [CAS] : 아세트아미드, 2-[(디페닐메틸)설피닐]-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4
  
다른 예에서, 환자에 있어서의 HLA-B*5801의 존재는 알로퓨리놀 화합물, 알로퓨리놀에 구조적으로 유사한 다른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에 의해 유발되는 SJS/TEN 또는 HSS의 위험의 지표이다. 표 Ⅱ는 HLA-B*5801을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SJS/TEN 또는 HSS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예시한다.
[표 Ⅱ] HLA-B* 5801를 갖는 환자에서 SJS와 관련된 약물 화합물
활성성분명 또는 그 상표명 활성성분의 구조
알로퓨리놀, 알로프림, 질로프림, Apo-알로퓨리놀, 퓨리놀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5
옥시퓨리놀, 옥시프림 [CAS] : 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6(5H,7H)-디온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6
페북소스타트, TEI-6720, TMX-67 [CAS]: 5-티아졸카복시산, 2-[3-시아노-4-(2-메틸프로폭시)페닐]-4-메틸-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7
Y-700 1-(3-시아노-4-네오펜틸옥시페닐)피라졸-4-카복시산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8
모다피닐, 스파론(Sparlon)(신제제 약물), [CAS] : 아세트아미드, 2-[(디페닐메틸)설피닐]-
Figure 112008077813132-PCT00009
다른 예에서는, 환자에 있어서의 HLA-B*4601의 존재는 CBZ에 의해 유발되는 경증성 피부 ADR(예, 반점구진 발진)의 발병 위험의 지표이다.
다른 HLA-B 대립유전자들도 피부 ADR의 소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직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은 B*2701-B*2723 등의 HLA-B27 대립유전자에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Khan, Curr. Opin. Rheumatol., 12(4):235-238, 2000; Feltkamp et al., Curr. Opin. Rheumatol., 13(4):285-290, 2001).
유전 표지(예, HLA 대립유전자)의 존재는 그 내부의 표지 또는 특정 영역의 직접적인 검출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대립유전자 검출을 위한 게놈 DNA는 환자로부터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PUREGENE DNA 정제 시스템(Gentra Systems사, 미국 미네소타)에 의해 마련할 수 있다. 관심 대상의 유전 표지 내의 영역의 검출은 그 영역의 센스 또는 안티센스 가닥 중 임의의 것에 위치한 뉴클레오티드의 검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서열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부합화(sequence-specific oligonucleotides hybridization), 실시간 PCR, 또는 CSSO-ELISA와 같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들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M. Hiratsuka et al, J. of Biochemical and Biophysic. Methods, 67:87-94, 2006).
HLA-B*1502의 존재는 도 1에 나타낸 영역 1-6 중의 적어도 2개를 검출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들 영역의 존재는 예를 들면 영역 1 내의 위치 1 및 3, 영역 2 내의 위치 1 및 6, 영역 3 내의 위치 1 및 3과 같은 이들 영역 내의 특정 위치의 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영역 1-6 중의 임의의 2개의 존재는 그 환자가 HLA-B*1502 보유자임을 가리킨다.
HLA-B*5801의 존재는 도 2에 나타낸 영역 1-6 중의 적어도 2개를 검출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들 영역의 존재는 예를 들면 영역 1 내의 위치 1, 2 및 5, 영역 2 내의 위치 1, 4, 6, 7, 8, 15, 16, 및 20, 영역 3 내의 위치 2, 4, 5, 8, 및 9, 영역 4 내의 위치 3 및 5, 영역 5 내의 위치 1 및 9, 영역 6 내의 위치 3 및 10과 같은 이들 영역 내의 특정 위치의 뉴클레오티드를 검출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영역 1-6 중의 임의의 2개의 존재는 그 환자가 HLA-B*5801 보유자임을 가리킨다.
PCR로부터 얻어진 DNA 산물은 예를 들면, 가수분해 프로브(TaqMan, Beacons, Scorpions), 부합화 프로브와 같은 서열 특이적 프로브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들 프로브는 예를 들면 HLA-B*1502의 영역 1-6 또는 HLA-B*5801의 영역 1-6과 같은 관심 대상의 영역에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PCR 산물은 DNA-결합제(예, SYBR® Green)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 있다.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의 존재는 그 대립유전자의 등가 유전 표지의 검출에 의해서도 결정할 수 있다.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에 가까운 유전 표지는 그 대립유전자와 공 분리(co-segregate)하거나 또는 연관불균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 표지(등가 유전 표지)의 존재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의 존재의 지표이며, 따라서 ADR 발병 위험의 지표이다. HLA-B*1502의 등가 유전 표지의 예로는 DRB1*1202, Cw*0801, Cw*0806, A*1101, 및 MICA*019를 들 수 있다. HLA-B*5801의 등가 유전 표지의 예로는 A*3303, Cw*0302, DRB1*0301, 및 MICA*00201을 들 수 있다.
등가 유전 표지는, 예를 들면, HLA 대립유전자, 마이크로새털라이트 표지, 또는 단일 염기 다형(SNP) 표지 등의 어떤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 유용한 등가 유전 표지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로부터 보통 약 200 kb 또는 그 미만(예, 100 kb, 80 kb, 60 kb, 40 kb, 또는 20 kb)에 있다. 상술한 방법 또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등가 유전 표지의 존재나 부재를 검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의 RNA, cDNA, 또는 단백질 산물을, 그 대립유전자의 존재나 부재의 결정을 위해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청형구분법 또는 미세세포독성법을 HLA 대립유전자의 단백질 산물의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위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 및/또는 그 등가 유전 표지를, 항원 제시 세포와 T-세포 간의 상호작용에 연루되는 악세사리 분자 및 공자극 분자의 유전 표지와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이들 유전 표지는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및 단일 염기 다형(SNP) 표지를 포함한다. 악세사리 및 공자극 분자는 세포 표면 분자(예, CD80, CD86, CD28, CD4, CD8, T 세포 수용체(TCR), ICAM1, CD11a, CD58, CD2 등) 및 염증성 또는 전염증성 사이토킨, 케모킨(예, TNF-α), 및 매개물질(예, 보체, 세포자멸사 단백질, 효소, 세포외 기질 성분, 기타)을 포함한다. 또한 관심의 대상으로 되는 것은 약물의 생활성화나 해독에 연루되는 약물 대사 효소의 유전 표지이다. 이들 유전 표지에는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및 SNP 표지도 포함된다. 상기 약물 대사 효소에는 I상 효소(예, 시토크롬 P450 슈퍼패밀리 등) 및 II상 효소(예, 미세소체 에폭시드 하이드롤라제, 아릴아민 N-아세틸트랜스퍼라제, UDP-글루큐로노실-트랜스퍼라제 등)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리게놈학적 프로파일링 방법을 제공한다. 소정의 개체에 대하여 유전 인자들의 패널이 결정되며, 각 유전 인자는 ADR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의학적 상태의 소인과 관련된다. 본 방법에서 상기 유전 인자들의 패널은, HLA-B*1502, HLA-B*5801 및 HLA-B*4601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립유전자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은 상기 그룹 중의 2개의 대립유전자 또는 또는 3개의 대립유전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HLA-B*1502, 5801 및/또는 4601에 더하여, 상기 패널은 티오퓨린 메틸트랜스퍼라제와 QT연장증후군에 대한 유전자들 같은 다른 알려진 유전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악세사리 분자, 공자극 분자 및/또는 약물 대사 효소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전 표지들(예, HLAB*1502, HLA-B*5801 또는 HLA-B*4601)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키트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용어 "프로브”는 본원에서 다른 물질을 검출하는데 유용한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브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 내의 특정 영역에 특이적으로 부합화(hybridize)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접합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접합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발색단 또는 리간드 함유 분자(예, 항원)에 공유적으로 결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하며, 이는 수용체 분자에 고도로 특이적이다(예, 항원 특이적인 항체). 프로브는 다른 프라이머와 함께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 내의 특정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PCR 프라이머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로브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나 그 대립유전자의 단백질 산물을 인식하는 항체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키트는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는 일반집단에 나타나는 어떤 대립유전자라도 좋다(예, GAPDH, G-액틴, KIR).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의 검출은 키트의 성능을 보증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키트는 환자로부터 생체 시료를 수집하기 위한 도구 및/또는 시약 뿐 아니라 그 시료로부터 게놈 DNA, cDNA, RNA 또는 단백질을 준비하기 위한 도구 및/또는 시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놈 DNA의 관련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PCR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약리게놈학적 프로파일링에 유용한 유전 인자(예, 티오퓨린 메틸트랜스퍼라제)용의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
일 예에서, 상기 키트는 제1 프로브 및 제2 프로브를 포함하며, 그 각각은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이나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에서 선택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는 서로 다른 영역을 표적으로 한다. 이들 두 프로브는 한쌍의 PCR 프라이머, 또는 부합화 분석(hybridization assay)에 유용한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키트는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제3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HLA-B*1502 또는 HLA-B*5801 내의 부가적인 영역의 검출을 위한 부가적인 프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ADR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예, HLA-B*1502, HLA-B*5801 또는 HLA-B*4601)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ADR(예, SJS/TEN 또는 HSS)을 유발하는 약물 화합물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약물은 T 림프구를 활성화하여 그 결과로서 ADR을 유발하는 어떤 HLA 복합체에 의해 제시될 수 있음이 시사되어 있다. 이들 약물에 반응성인 T 세포는 이들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ADR의 발병에 연루되어 있음이 시사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T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화합물은 이들 ADR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ADR을 유발하는 후보 화합물이다. 결과적으로, 이 방법을 신약 개발에 있어 스크리닝법으로 사용하여 그러한 ADR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화합물을 찾아낼 수 있다.
환자의 이들 질환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의 보유 여부의 결정을 위해 ADR 환자에게 유전자형 판별을 행할 수 있다. 환자로부터 T 림프구 및 항원 제시 세포(예, B 세포 또는 단구)를 분리하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시험관내에서 배양한다(Naisbitt DJ, Mol Pharmacol. 2003 Mar;63(3):732-41 , Wu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06 Jul;118(1):233-41. E-published on 2006 Apr 27). 그렇게 분리된 B 세포를 엡스타인 바르(Epstein-Bar) 바이러스에 의해 형질전환하여 B 세포주를 생성할 수 있다. 약물에 반응성인 T 세포를 그 약물과 자가 항원 제시 세포 쌍방의 존재하에 증식시킬 수 있다. 증식된 T 세포를 자가 항원 제시 세포의 존재 하에 시험 화합물에 노출하여 그 시험 화합물이 그 T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시험 화합물은 동일한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환자에게서 ADR을 유발할 수 있는 후보 화합물이다.
더이상의 면밀한 퇴고 없이도, 상술한 설명은 충분히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다른 부분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기재된 모든 간행물은 그 전체로서 참고문헌으로서 여기에 편입된다.
실시예 1
실시간 PCR을 사용한 HLA-B*1502 및 HLA-B*5801의 검출
환자의 혈액 또는 타액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했다. 각각 HLA-B*1502의 영역 1 및 5, 영역 1 및 4, 또는 영역 1, 3 및 4(도 1)를 표적으로 하는 PCR 프라이머 세쌍을 합성했다. 이에 더하여, HLA-B*5801의 영역 2 및 4(도 2)를 표적으로 하는 한쌍의 프라이머를 합성했다. 표적으로 된 영역을 SYBR® Green 실시간 PCR 시스템(Applied Biosystem)을 사용하여 증폭 및 검출하였다. 즉, 프라이머, 게놈 DNA, 및 Power SYBR® Green PCR 마스터 혼합물(상기 실시간 PCR 시스템에 포함된 것)을 함께 혼합하고 다음과 같이 PCR을 행하였다:(i) 폴리머라제를 95℃에서 10분간 활성화시킴, (ii) 95℃에서 15초간 변성(denaturation)시키고 DNA 쇄를 71℃에서 1분간 결합(annealing)/신장(extension)시킴, (iii) 상기 변성/결합/신장을 40 사이클 행함, 및 (iv) 95℃에서 15초간, 60℃에서 1분간 처리하여, 증폭 산물을 그 주형으로부터 떼어냄. 킬러 세포 이뮤노글로불린 유사 수용체(killer-cell immunoglobulin-like receptor(KIR))의 PCR 증폭을 내부 대조로서 채용하였다. 환자에 있어서의 HLA-B*1502 또는 HLA-B*5801의 존재 또는 부재를, HLA-B*1502 또는 HLA-B*5801의 Ct값 및 HLA-B*1502/HLA-B*5801과 KIR 간의 Ct값의 차이(ΔCt값)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 Ct값(문턱 사이클(threshold cycle))은, 리포터 염료의 방출 강도가 배경 잡음을 초과하는 사이클 수를 판별함으로써 결정된다. 문턱 사이클은 반응의 최 지수증가적 단계(the most exponential phase)에서 결정되며, 전통적 PCR법에서 사용되는, 축적된 PCR 산물의 종말점 측정(end pont measurement)보다 신뢰성이 더 높다. 문턱 사이클은 표적 주형의 카피수에 반비례하며, 주형수(template number)가 클수록 측정되는 문턱 사이클은 낮다.
인간 B 세포주로부터 추출한 170개의 게놈 DNA 시료와 인간의 혈액 또는 타액으로부터 마련한 35개의 게놈 DNA 시료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 HLA-B*1502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HLA-B*1502 및 KIR의 Ct값은 각각 23-27 및 19-25의 범위에 있었다. HLA-B*1502과 KIR 간의 ΔCt의 범위가 7 미만일 때 HLA-B*1502 양성으로 인식되었다. 이들 170개의 슈퍼콘트롤 중에 HLA-B*1502를 갖는 15개의 gDNA가 존재하였고 Dynal SSO 키트에 의해 입증되었으며, 그 결과는 이 방법의 감도 및 특이도가 >99%에 달함을 보여준다.
인간 B 세포주로부터 추출한 170개의 게놈 DNA 시료와 인간의 혈액 또는 타액으로부터 준비한 87개의 게놈 DNA 시료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 HLA-B*5801의 존재의 검출을 위해 시험하였다. HLA-B*5801 양성 환자로부터 유래한 DNA 시료에 대해, HLA-B*5801 및 KIR의 Ct값은 각각 22-28 및 10-26의 범위에 있었다. HLA-B*5801과 KIR 간의 ΔCt의 범위가 7 미만일 때 HLA-B*5801 양성으로 인식되었다. HLA-B*5801 음성 환자로부터 유래한 DNA 시료에 대해, HLA-B*5801의 Ct값은 약 34였고 ΔCt는 13보다 컸다. 전체 시료 중 51개의 gDNA가 HLA-B*5801 양성으로 밝혀졌으며 Dynal SSO 키트에 의해 입증되었다. 이들 결과는 감도 및 특이도가 공히 >99%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2
CSSO-ELISA를 이용한 HLA-B*1502 및 HLA-B*5801의 검출
CSSO-ELISA를 행하는 과정을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게놈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특정 영역을 함유하는 산물을 생성한다. 정방향 프라이머 또는 역방향 프라이머를 리간드 I(LI)로 라벨링했으며, 이 리간드 I(LI)는 효소(예, HRP)와 연결된 Molecular I에 의해 인식 가능하다. PCR 반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영역, 즉, HLA-B*1502의 영역 1-6 또는 HLA-B*5801의 영역 1-6을 함유하는 산물을 생성하도록 설계 및 수행된다. 2개의 경쟁적 서열 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CSSO1 및 CSSO2)를 설계하였다. CSSO1은 HLA-B*1502의 영역 1-6 또는 HLA-B*5801의 영역 1-6 중 하나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며, CSSO2는 HLA-B*15의 보통형(즉, 비-B*1502 대립유전자 또는 비-B*-5801)에 프라임(prime)하도록 설계되었다. CSSO1은 리간드 2로 라벨링했으며, 리간드 2는 반응 판 또는 스트립(strip)에 코팅된 Molecular Ⅱ에 의해 인식 가능하다. 얻어진 PCR 산물을 반응 판 또는 스트립 상에서 상기 두 CSSO에 부합시켰다. 자유 분자들을 모두 세정하여 제거한 후, 효소의 기질을 반응 판에 첨가하였다. 그 효소 반응은 색깔의 존재에 의해 신호되었으며, HLA-B*1502 또는 HLA-B*5801의 존재를 가리킨다.
   
실시예 3
CBZ-유발 SJS / TEN HLA -B*1502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를 위해 총 238명의 ADR 환자(몽골로이드 또는 몽골로이드 자손)를 창 궁 메모리얼 하스피탈(Chang Gung Memorial Hospital) 또는 타이완의 몇몇 다른 의료 센터로부터 모집하였다. 그들의 복용량 및 지속 기간을 포함한 약물 섭취 이력, 및 ADR 표현형을 기록하였다. 임상 형태의 진단 기준은 Roujeau, J. Invest Dermatol., 102(6):28S-30S, 1994에 따라 정의되었다. 예를 들면, SJS는 체표면적의 10% 미만의 피부 박리, SJS-TEN 중복은 10∼30%의 피부 박리, 및 TEN 은 30% 초과의 경우이다. SJS, SJS-TEN 중복 및 TEN을 SJS/TEN으로 통칭한다.
각 환자에서, 의심스러운 약물을 끊게 하고 증상을 관찰하였다. 그 약물을 끊었을 때 가라앉지 않는 피부 ADR을 발병한 환자는 제외되었다.
상술한 기준에 따라, 112명의 환자가 SJS/TEN로 진단되었고 126명의 환자는 다양한 약물에 대한 경증 과민 반응을 나타냈다. 112명의 SJS/TEN 환자 중, 42명은 CBZ(테그레톨), 17명은 알로퓨리놀, 및 53명은 CBZ 및 알로퓨리놀이 아닌 약을 복용하에 있었다.
73명의 테그레톨-내성 환자는 대조로서 포함되었다. 타이완인 일반집단으로부터의 자원자(n=94; 연령 범위: 20∼80세)도 모집하였다. 상기 연구는 시설내 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상황을 잘 설명하여 동의서를 받았다.
이들 환자 모두에 대해 유전자형 판별을 행하였다. 즉, 서열 특이적 올리고 뉴클레오티드(SSO)를 사용한 리버스 라인 블롯 어세이(reverse line blot assay)를 행하기 위한 시약을 DYNAL Biotech Ltd.사(Bromborough, UK)로부터 구입하였다. HLA 클래스 I 또는 클래스 Ⅱ 좌(loci)의 제2 및 제3 엑손에 대한 비오틴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산물을 생성하고, 나일론 막에 고정된 프로브의 SSO의 라인 블롯에 부합화하였다. 특정 프로브에 결합된 비오틴화 PCR 산물의 존재를 스트렙타비딘-호오스래디시 퍼옥시다제(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HRP)), 및 양성 프로브의 위치에 청색 "라인"을 생성하는 가용성 색소 기질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프로브 반응성 패턴을, 유전자형 판별 소프트웨어 Dynal RELI™ SSO(DYNAL Biotech Ltd.; Bromborough, UK)에 의해 해석하였다. 추가로 잠재적 모호성을, IHWG 테크니컬 매뉴얼(International Histocompatibility Working Group)에 따라 수행된, 서열에 기초한 형구별(sequence-based typing) 및 DNA 시퀀싱에 의해 결정하였다(참조, Genomic Analysis of the Human MHC DNABased Typing for HLA alleles and Linked Polymorphisms. Marcel G.J. Tilanus, Editor in Chief, ISBN No. 0-945278-02-0).
일부 환자에 대해서는, SNP 유전자형 판별을 고속 MALDI-TOF 질량분석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즉, SpectroDESIGNER 소프트웨어(Sequenom, San Diego, CA, USA)를 사용하여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설계하였다.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수행하고, 도입되지 않은 dNTP들을 새우 알칼린 포스파타제(Hoffman-LaRoche, Basel, Switzerland)를 사용하여 탈인산화한 후, 프라이머 연장을 행하였다. 정제된 프라이머 연장 반응물을 384-엘 리먼트 실리콘 칩(SpectroCHIP, Sequenom) 상에 스폿(spot)하고, Bruker Biflex Ⅲ MALDI-TOF SpectroREADER 질량 분석계(Sequenom) 및 SpectroTYPER(Sequenom)로 처리된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이한 그룹에서의 대립유전자 빈도를 카이자승법(Chi-square method) 및 예이츠 보정(Yates correction)에 의해 2x2 표를 구성함으로써 비교하였다. 복수의 HLA 대립유전자를 비교하기 위해, 원 P값에 그 좌(loci) 내에 존재하는 HLA 대립유전자의 관측수를 곱하여 P값을 수정하였다(Pc). 0값이 있을 수 있어 이를 수용하기 위해 모든 셀에 0.5를 더하는 Haldane 수정(Haldane's modification)을 하여 교차비를 계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LA-B 좌(HLA-B*1502) 내의 DNA 변종 대립유전자는 환자, 특히 CBZ(테그레톨)을 투여받는 환자에 있어서 약물 유발 SJS/TEN과 관련이 있었다.
CBZ-유발 SJS/TEN을 갖는 42명의 타이완인 환자에 있어서 HLA-B*1502 빈도
대립유전자 환자 N=42 대조군 1a N=142 대조군 2b N=94 대조군 3c N=73 X2 교차비 Pc
B*1502 42(100%) 9(6.3%) 137.28 1194.47 3.6×10-30
B*1502 42(100%) 5(5.3%) 110.919 1383.2 2.15×10-24
B*1502 42(100%) 3(4.1%) 98.936 1712 9.1×10-22
a, SJS 외의 경증 ADR을 가진 환자
b, 타이완인 일반집단
c, CBZ-내성인 환자
X2, 예이츠 보정된 카이자승
Pc, 원 P값에 HLA-B 대립유전자의 관측수(35)를 곱하여 계산
CBZ를 투여받은 SJS/TEN 환자 42명 중 42명(100%)에 있어서 HLA-B*1502가 검출되었다. 상기 대립유전자는 다른 약물(페니토인 8명, 알로퓨리놀 2명, 아목시실린 2명, 설파살라진 1명, 케토프로펜 1명, 이부프로펜 1명, 및 미지 약물 2명)을 투여받은 SJS/TEN 환자 53명 중 17명(32%)에 있어서도 발견되었다. 특히 페니토인 복용후 SJS/TEN이 발병한 환자 17명 중 8명(47.05%)도 HLA-B*1502 대립유전자를 보유하였다. 한편, 상기 대립유전자는 CBZ-내성 그룹의 4.1%(3/73), 페니토인-내성 그룹의 0%(0/32), SJS 외의 경증 ADR을 가진 환자의 6.3%(9/142) 및 일반집단의 5.3%(5/94)에서도 발견되었다. 상기 내성 그룹을 대조군으로 한, CBZ-유발 SJS/TEN과 관련된 B*1502의 교차비, 감도, 특이성, 양성 예측치, 및 음성 예측치 는 각각 1712, 100%, 95.89%, 96.0%, 및 100%였다. 이러한 높은 예측치 및 감도 에 의해, 이 HLA-B 대립유전자의 형구분을 약물-유발 SJS/TEN, 특히 CBZ 또는 페니토인 유발 SJS/TEN에 대한 고위험 환자를 판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CBZ에 의해 유발되는 경증성 ADR은 다른 대립유전자인 HLA-B*4601과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CBZ에 대한 경증 반응을 갖는 환자 16명 중의 10명(62.5%) 이 HLA-B*4601를 보유했다. 대조적으로, 상기 대립유전자는 CBZ-내성 그룹의 26%(19/73)에서만 발견되었다. CBZ-유발 경증 피부 ADR에 관련된 B*4601의 교차비는 4.73이었다. 따라서, HLA-B*4601은 CBZ에 의해 유발되는 경증성 피부 ADR의 위험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CBZ-유발 피부 ADR을 갖는 환자의 표현형/유전형 데이터
ID 의심 약물 표현형 HLA-B 유전형
1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802
2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501
3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006
4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802
5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802
6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SJS B*1502/B*3802
7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001
8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901
9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5801
10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5801
11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1525
12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002
13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006
14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5801
15 카르바마제핀 오버랩 SJS/TEN B*1301/B*1502
16 카르바마제핀 오버랩 SJS/TEN B*1502/B*3501
17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802
18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601
19 카르바마제핀 SJS B*1301/B*1502
20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5801
21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601
22 카르바마제핀, NSAID SJS B*1502
23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3501
24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601
25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601
26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5801
27 카르바마제핀 SJS B*1501/B*1502
28 카르바마제핀 SJS B*1502/B*4001
29 카르바마제핀 SJS B*1502
30 카르바마제핀, 멜록시캄, 술린닥, 페니토인 SJS B*1502/B*5801
31 카르바마제핀 SJS B*1502/4601
32 카르바마제핀 SJS B*1502/5801
33 카르바마제핀 SJS B*1502/4601
34 카르바마제핀 SJS B*1502/5502
35 카르바마제핀 SJS B*1502
36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SJS B*1502/4002
37 카르바마제핀 SJS B*1502/4001
38 카르바마제핀 SJS B*1502
39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SJS B*1502
40 카르바마제핀 오버랩 SJS/TEN B*1502/4001
41 카르바마제핀 오버랩 SJS/TEN B*1502/4601
42 카르바마제핀 SJS B*1502/3802
43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5801/B*4601
44 카르바마제핀 다형 홍반 B*4001/B*4601
45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1301/B*4001
[표 2의 계속]
ID 의심 약물 표현형 HLA-B 유전형
46 카르바마제핀 및 혈관부종 B*4601/B*5401
47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4001/B*4601
48 카르바마제핀, NSAID 반점구진성 발진 B*4001/B*4001
49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1301/B*5502
50 카르바마제핀 입술 부종, 구강 및 생식기 궤양 B*4601/B*5801
51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 B*4601/B*5801
52 카르바마제핀 및 혈관부종 B*4001
53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4001/B*5101
54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1301/4001
55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4001/B*4601
56 카르바마제핀 다형 홍반 B*4601/B*5401
57 카르바마제핀 반점구진성 발진 B*4601
58 카르바마제핀 다형 홍반 B*4601/5101
실시예 4
알로퓨리놀 -유발 SJS / TEN HLA -B*5801 간의 상관관계
HLA-B*5801이 알로퓨리놀-유발 SJS/TEN에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HLA-B 대립유전자는 알로퓨리놀로 치료받은 SJS/중증 ADR 환자 17명 모두(100%)에게서 발견되었으나(표 3 및 4), 타이완인 일반집단의 18%에서만 밝혀졌다(교차비 155, 감도 100%, 특이성 82%, 양성 예측치 84.7%, 음성 예측치 100%, Pc=3.7×10-9). 이 결과는 HLA-B*5801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전 표지와 조합하여 알로퓨리놀을 복용하는 환자의 SJS/TEN 발병 위험의 평가에 유용한 유전 표지임을 시사한다,
알로퓨리놀-유발 중증 피부 ADR을 가진 17명의 타이완인 환자에 있어서의 HLA-B*5801 빈도
대립유전자 환자 n=17 대조군1a n=142 대조군 2b n=94 X2 교차비 Pc
B*5801 17(100%) 26(18.3%) 47.2 153.86 2.1×10-10
B*5801 17(100%) 17(18.0%) 41.7 155 3.7×10-9
a, 알로퓨리놀-유발 피부 ADR 외의 ADR를 가진 환자
b, 타이완인 일반집단
X2, 예이츠 보정된 카이자승
Pc, 원 P값에 HLA-B 대립유전자의 관측수(35)를 곱하여 계산
알로퓨리놀-유발 피부 ADR을 갖는 환자의 표현형/유전형 데이타
환자 ID 의심 약물 표현형 HLA-B 유전형
59 알로퓨리놀 SJS B*0705/B*5801
60 알로퓨리놀 SJS B*4001/B*5801
61 알로퓨리놀 SJS B*1554/B*5801
62 알로퓨리놀 SJS B*3901/B*5801
63 알로퓨리놀 SJS B*5801
64 알로퓨리놀 SJS B*3901/B*5801
65 알로퓨리놀 SJS B*3901/B*5801
66 알로퓨리놀 SJS B*4001/B*5801
67 알로퓨리놀 SJS B*1502/B*5801
68 알로퓨리놀 SJS B*4001/B*5801
69 알로퓨리놀 SJS 및 다리 혈관염 B*4601/B*5801
70 알로퓨리놀 SJS, 및 태선 모양 B*4001/B*5801
71 알로퓨리놀 SJS B*4002/B*5801
72 알로퓨리놀 SJS B*4001/B*5801
73 알로퓨리놀 SJS B*5101/B*5801
74 알로퓨리놀 TEN B*1301/5801
75 알로퓨리놀 SJS B*5801
실시예 5
HLA-B*5801과 알로퓨리놀-유발 HSS 간의 상관관계
HLA-B*5801은 피부 발진(예, 광범위 반점구진, 탈락 피부염), 열, 호산구증가증, 비전형적 순환 림프구, 백혈구증가증, 급성 간장세포손상, 또는 신장 기능 악화를 포함하는, 알로퓨리놀-유발 HSS와도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Arellano et al., Ann. Pharmacother., 27:337, 1993).
31명의 환자를 연구했으며, 그 중 21명이 SJS, 3명이 SJS/TEN, 1명이 TEN, 그리고 15명이 HSS였다. 연구에 등록된 모든 케이스에 있어서, 알로퓨리놀에 노출되고 나서 처음 2달 내에 ADR 증후군이 발현하고 알로퓨리놀을 금지했을 때 ADR 증상이 사라졌다면 알로퓨리놀이 원인 약물로 간주되었다. 알로퓨리놀에 재노출된 뒤 증상이 없거나, HSS, SJS 또는 TEN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증 피부 발진을 가진 환자들은 배제되었다.
31명의 환자 모두에 있어서 알로퓨리놀 노출 후 첫 2달 내에 HSS 증상이 발현하였으며 2명의 환자는 알로퓨리놀에의 재노출로부터 2일 내에 재발이 있었다. 12명의 환자는 알로퓨리놀에 부가하여 다른 약물을 투여받았으나, 그들의 의료 기록에 의하면 알로퓨리놀 없이 이들 병용약만을 투여받았을 때는 ADR이 일어나지 않았다. 모든 환자는 고요산혈증 및/또는 통풍관절염 이외에도 고혈압(14/31), 만성 신질환(16/31), 및 당뇨병(9/31)을 포함하는 다른 만성 질환을 갖고 있었다.
적어도 6개월(평균=38개월, 범위= 6∼107개월)간 알로퓨리놀을 투여받으면서 ADR 증후군이 나타나지 않은 98명의 통풍관절염 환자는 알로퓨리놀-내성 대조군에 포함되었다. 상기 내성 그룹의 성별 분포는 중국인에 있어서의 통풍의 일반적인 유병율과 공통점이 있다. 또한, 93명의 정상 대상자가 정상대조군으로 기능하였다. 이들 3그룹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중증 ADR 환자, 내성 환자, 정상 대상자에 있어서의 알로퓨리놀 노출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양 및 지속기간
중증 ADR (n=31) 내성 (n=98) 정상 대상자 (n=93)
성별
남 여 12 19 89 9 52 41
연령(년)
평균 (범위) 57.9 (18-91) 57.3 (21-84) 53.9 (22-91)
알로퓨리놀 투여향 (mg/일)
평균 (범위) 143.3 (50-300) 159.2 (100-400) 없음
알로퓨리놀 노출의 지속기간
평균 (범위) 28.2일(1-56) 38개월(6-107) 없음
알로퓨리놀-유발 중증 ADR 환자 31명 전부(100%), 98명의 알로퓨리놀 내성 환자 중 16명(16.3%)(교차비 315, Pc <10-15) 93명의 정상 대상자 중 19명(20%)(교차비 241, Pc <10-13)에 있어서 HLA-B*5801 대립유전자가 존재했다. 알로퓨리놀-내성 그룹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HLA-B*5801의 부재는 알로퓨리놀-유발 ADR에 대하여 음성 예측치가 100%였고, 이 대립 유전자의 존재는 양성 예측치가 66%였다. 따라서, HLA-B*5801은 피부 ADR(예, SJS/TEN 또는 HSS) 및 알로퓨리놀-유발 DRESS(호산구 증가증과 전신 증상을 동반하는 약물 반응(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를 포함하는 알로퓨리놀-유발 중증 ADR에 대해 높은 특이도(84%)와 감도(100%)를 갖는 유용한 표지이다.
실시예 6
HLA-B*1502 또는 HLA-B*5801의 등가 유전 표지
관심 대상의 HLA 대립유전자에 가까운 유전 표지는 관심 대상의 대립유전자와 공분리 또는 연관 불균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표지(등가 유전 표지)의 존재는 그 대립유전자의 존재의 지표이다.
ADR 환자에 있어서의 잠재적 등가 유전 표지의 발생률을 시험하기 위해, HLA-B*1502 반수체형에서 몇가지 표지에 대하여 ADR과의 연관성을 결정하였다. 실제로, DRB1*1202, Cw*0801, Cw*0806, A*1101, 및 MICA*019과 같은, HLA-B*1502 반수체형의 HLA 표지는, CBZ에 노출되었던 SJS/TEN 환자에 있어 상당히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표 6).
HLA-B*5801 연관 표지도 결정되었다. HLA-B*5801 동종접합인 4명의 환자에 있어서 대립유전자 분포를 분석하여 이들 대립유전자의 조상 반수체형(ancestral haplotype)이 HLA-A*3303, Cw*0302, B*5801 및 DRB1*030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이 조상 반수체형은 31명의 알로퓨리놀-ADR 환자 중 12명(38.7%)에서 나타났으나, 내성 환자의 7.1%, 정상 대상자의 9.7%에서만 나타났다.
B*1502-조상 반수체형의 표지와 ADR 간의 상관관계
CBZ SJS/TEN (n=42) CBZ 경증 (n=16) CBZ 내성 (n=73) 알로퓨리놀 SJS/TEN (n=17) 일반집단 (n=94)
HLA-B*1502 42 (100%) 0 (0%) 3 (4.1%) 1 (5.8%) 5 (5.3%)
HLA-Cw*0801 38 (90%) 미검출 10 (13.7%) 2 (11.7%) 10 (10.6%)
HLA-Cw*0806 3 (7.1%) 미검출 0 (0%) 0 (0%) 0 (0%)
HLA-A*1101 31 (73.8%)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28 (29.8%)
HLA-DRB1*1202 35 (83.3%)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19 (20.2%)
알로퓨리놀-유발 중증 ADR 환자, 알로퓨리놀-내성 환자, 및 정상 대상자에 있어서 HLA-B*5801 조상 반수체형의 개별 또는 결합 좌의 빈도
알로퓨리놀- ADR (n=31) 알로퓨리놀- 내성 (n=98) 정상 대상자 (n=93)
B*5801 31 (100%) 16 (16.3%)1 19 (20.4%)2
Cw*0302 29 (93.5%) 15 (15.3%) 19 (20.4%)
A*3303 20 (64.5%) 18 (18.4%) 20 (21.5%)
DRB1*0301 21 (67.7%) 14 (14.3%) 14 (15.1%)
B*5801, Cw*0302 29 (93.5%) 15 (15.3%) 19 (20.4%)
B*5801, Cw*0302, A*3303 20 (64.5%) 13 (13.3%) 16 (17.2%)
B*5801, Cw*0302, DRB1*0301 19 (61.3%) 9 (9.2%) 10 (10.8%)
B*5801, Cw*0302, A*3303, DRB1*0301 12 (38.7%) 7 (7.1%) 9 (9.7%)
1: 교차비(알로퓨리놀-ADR/내성): 315(95% Cl, 18.3-5409.5), pc = 7.5×10-16.
2: 교차비(알로퓨리놀-ADR/정상): 241(95% Cl, 14.1-4111), pc = 6.1×10-14.
또한 HLA-B*5801와 연관된 MHC 표지를 단기일렬반복다형분석(Short Tandem Repeat Polymorphism assay, STRP)으로 결정했다. 즉, MHC 영역에 위치한 20개의 고도로 다형인 마이크로새털라이트 표지를 NCBI 데이타베이스에서 선택하였다(즉, D6S258, D6S2972, D6S510, D6S265, D6S388, D6S2814, HLAC_CA1, HLABC_CA2, MIB, MICA, TNFd, BAT2_CA, D6S273, D6S1615, DQCAR, G51152, D6S2414, D6S1867, D6S1560, 및 D6S1583). 이들 표지의 평균 이형접합도는 0.72이고 추정 간격(estimated spacing)은 230kb였다.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기재된 이들 표지의 서열에 기초하여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GeneAmp 9700 써모사이클러(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여 PCR을 실행하여 이들 표지를 증폭하여 환자에 있어서의 그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였다(게놈 DNA 10 ng 및 각 프라이머 0.33 μM를 함유하는 5-㎕ 부피 중에서). 적절한 사이즈를 갖고 형광 신호를 나타내는 6개까지의 PCR 산물을 캐필러리 젤 전기 영동에 걸었다. 내부 사이즈 표준으로서 LIZ500 사이즈 표준(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다형성 단위복제배열의 사이즈를 ABI 3730 DNA 서열분석기(Applied Biosystems)의 전기 영동에 의해 결정하였다. 대립유전자 사이즈 측정은 GENMAPPER 프로그램 버전 3.0(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립유전자 콜링(calling) 및 비닝(binning)을 행하였다. 퀄리티 콘트롤의 목적으로 3개의 CEPH 대조 개체(1331-01, 1331-02, 1347-2) 및 H20를 모든 유전자형 판별 실험에 포함시켰다.
연관불균형 플롯을 사용하여, HLA-C 및 TNFd 간에 위치한 대립유전자 블록이 알로퓨리놀-유발 ADR 환자군에서 발견되었으나, 알로퓨리놀-내성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블록에서는 HLA-B 대립유전자에 가까운 반수체형(MIB*358-MICA*206-TNFd*140)이 동정되었다. 이 반수체형과 ADR의 연관은, HLA-B*5801과 동일한 ADR의 연관(p=0.0018)과 일치한다. STRP 표지의 사용 및 MICA 대립유전자의 서열분석에 의해, 모든 알로퓨리놀-유발 ADR 환자가 동일한 B 대립유전자(B*5801), MICA 대립유전자(MICA*00201) 및 TNF STRP 표지(TNFd*140)를 보유함이 밝혀졌다. 1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다른 모두는 동일한 MIB 표지(MIB*358)를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CBZ-반응성 T 세포의 옥스카르바제핀 및 리카르바제핀에 대한 교차 반응성
CBZ-유발 SJS/TEN을 갖는 2명의 환자를 창 궁 메모리얼 하스피탈(Chang Gung Memorial Hospital)에서 모집하였다. 그 환자 중 1명은 HLA-B*1502/B*4601를, 다른 1명은 HLA-B*1502/B*5101를 보유하였다. 그 환자들로부터 PUREGENE DNA 정제 시스템(Gentra systems, Minnesota, USA)을 사용하여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서열 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역 라인 블롯법(DYNAL Biotech Ltd., Bromborough, U.K.)을 사용하여 HLA-B 대립유전자를 입증했다.
환자로부터 말초 혈액 일핵 세포(PBMC)를 Ficoll-Isopaque(Pharmacia Fine Chemicals, Piscataway, NJ)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PBMC 부분을 엡스타인 바르 바이러스에 의해 형질 전환하여 자가 B-세포주를 수립하였다.
CBZ에 반응성인 T 세포를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증식하였다. 환자로부터 마련된 PBMC를 10% 열-불활성화 인간 혈청, IL-2(25U/ml), 및 CBZ(25 g/ml)(Sigma)를 함유하는, 37℃, 5% CO2 인큐베이터 내의 완전 RPMI 배지 내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그 T 세포를, CBZ의 존재하에, 조사된 (50Gy) 자가 B 세포와 함께 10일간 공배양하여 증식하였다. 상기 공 배양 절차를 2사이클 행한 후, CBZ-활성화 T 세포를 수집하여 ELISPOT 분석(eBioscience)을 행하였다.
CBZ-반응성 T 세포에 대해 그 화합물(예: CBZ 10, 11-에폭시드, 옥스카르바제핀(상표명: trileptal), 리카르바제핀, 및 술린닥)에 대한 교차 반응성을 시험하였다. 즉, T 림프구(5×103 세포)를, 시험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10% PBS를 함유하는 200l RPMI 배지 중의 자가 B세포와 혼합하였다. 그 세포를 항 인터페론 γ항체로 도포된 ELISPOT 플레이트(Millipore)의 웰 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세포 배양액의 상징액을 수집하고 거기 함유된 인터페론γ을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항체 매개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CBZ-반응성 T 세포가 CBZ 10,11-에폭시드, 옥스카르바제핀, 및 리카르바제핀에 교차 반응성을 나타내나, 술린닥에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다른 실시형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구성들은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개의 특징은 동일의, 등가의, 또는 유사한 목적을 수행하는 대안적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재된 각 구성은 등가 또는 동일한 일련의 일반적인 특징의 단순한 예시이다.
전술한 바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행하여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도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양쪽의 존재가 환자의 HLA-B*1502 보유의 지표인, 상기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1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3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2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6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3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3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CSSO-ELISA 또는 실시간 PCR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
  6.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양쪽의 존재가 환자의 HLA-B*1502 보유의 지표인, 상기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1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3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2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6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3의 검출이, 그 내부의 위치 1 및 3의 뉴클레오티드를 동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CSSO-ELISA 또는 실시간 PCR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
  11.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1 프로브, 및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2 프로브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internal control allele)의 검출을 위한 제3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인,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들이 1쌍의 프라이머인, 키트.
  15.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1 프로브,
    HLA-B*1502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2 프로브, 및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1502 보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3 프로브 키트.
  16.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양쪽의 존재가 환자의 HLA-B*5801 보유의 지표인, 상기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7.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양쪽의 존재가 환자의 HLA-B*5801 보유의 지표인, 상기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8.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1 프로브, 및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2 프로브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키트.
  19.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1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1 프로브,
    HLA-B*5801의 영역 1 내지 6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제2 영역의 검출을 위한 제2 프로브, 및
    내부 대조 대립유전자의 검출을 위한 제3 프로브를 포함하는, 환자의 HLA-B*5801 보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3 프로브 키트.
  20.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약물 부작용 환자로부터 T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약물에 반응성인 T세포를 증식하는 단계,
    상기 환자로부터 항원 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증식된 T세포를 상기 항원 제시 세포의 존재하에 어떤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합물이 상기 증식된 T세포를 활성화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식된 T세포를 활성화하는 화합물이, 상기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그 약물 부작용을 유발하는 후보 화합물인,
    어떤 화합물이, 어떤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환자에 있어서 약물 부작용을 유발하는 후보 화합물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KR1020087027562A 2006-05-11 2007-05-11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 KR101450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012106P 2006-05-11 2006-05-11
US60/800,121 2006-05-11
PCT/US2007/068782 WO2007134235A2 (en) 2006-05-11 2007-05-11 Hla allele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su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671A true KR20090031671A (ko) 2009-03-27
KR101450348B1 KR101450348B1 (ko) 2014-10-14

Family

ID=3869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562A KR101450348B1 (ko) 2006-05-11 2007-05-11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943309B2 (ko)
EP (1) EP2016198B1 (ko)
JP (1) JP2009536828A (ko)
KR (1) KR101450348B1 (ko)
CN (1) CN101454462A (ko)
AU (1) AU2007249225B2 (ko)
BR (1) BRPI0710436A8 (ko)
CA (1) CA2651954C (ko)
DK (1) DK2016198T3 (ko)
ES (1) ES2422735T3 (ko)
IL (1) IL194900A (ko)
MY (1) MY150648A (ko)
NZ (2) NZ597628A (ko)
PL (1) PL2016198T3 (ko)
PT (1) PT2016198E (ko)
TW (1) TWI335937B (ko)
WO (1) WO20071342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478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Hla-b*5801 대립유전자 검출용 핵산 분자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6021A1 (en) * 2003-11-27 2005-06-01 Consortium National de Recherche en Genomique (CNRG) Method for HLA typing
US8927462B2 (en) 2010-04-12 2015-01-06 Academia Sinica Method for identifying HLA complexe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CN103827312B (zh) * 2011-06-23 2016-06-15 长庚医疗财团法人基隆长庚纪念医院 评估抗癫痫药物苯妥英引发药物不良反应风险的方法
CN102296109A (zh) * 2011-06-30 2011-12-28 北京思尔成生物技术有限公司 HLA-B*1502基因的SYBR Green I检测方法及其专用引物与试剂盒
US20150225788A1 (en) 2011-12-12 2015-08-13 Wen-Hung Chung Risk assessment for phenytoin-induced adverse drug reactions
CN102660635B (zh) * 2012-01-14 2014-03-12 长沙三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定性检测hla-b*1502基因亚型的荧光pcr试剂盒
CN103114138B (zh) * 2013-01-27 2014-12-03 复旦大学 Pcr-ssp法定性检测hla-b*1502基因的方法及临床试剂盒
SG11201601761QA (en) * 2013-09-17 2016-04-28 Agency Science Tech & Res Method for detection of a genetic variant
CN104017898B (zh) * 2014-06-25 2016-04-27 上海荻硕贝肯生物科技有限公司 快速检测hla-b*5801等位基因的引物、试剂盒及方法
CN104232781B (zh) * 2014-09-26 2017-04-19 陕西佰美基因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HLA‑B*5801等位基因的TaqMan探针实时荧光PCR方法
CN106119362B (zh) * 2016-06-30 2019-09-10 江苏伟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hla-b*1502等位基因的引物组及试剂盒
CN108929902B (zh) * 2018-07-28 2022-03-25 北京博奥晶典生物技术有限公司 用于检测等位基因hla-b*5801的肽核酸引物组合物、试剂盒及方法
CN109355358A (zh) * 2018-10-22 2019-02-19 江苏美因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高效检测药源性皮肤不良反应相关基因多态性的试剂盒及方法
CN109554460B (zh) * 2018-12-17 2022-03-22 上海市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基于hla基因多态性位点预测h7n9易感人群的检测方法及其用途
CA3137521A1 (en) * 2019-05-06 2020-11-12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Methods for assessing the risk of developing severe cutaneous adverse drug reactions induced by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detection kit thereof and uses thereof
TWI804620B (zh) * 2019-05-06 2023-06-11 長庚醫療財團法人林口長庚紀念醫院 評估疾病調節抗風濕藥物引發嚴重皮膚藥物不良反應風險的方法、其檢測套組及其用途
CN111620924A (zh) * 2020-06-04 2020-09-04 华中农业大学 基于天然产物的药物设计方法、五环三萜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13308532A (zh) * 2021-05-28 2021-08-27 上海康黎诊断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人hla-b*1502基因突变的特异性引物探针组合及其试剂盒,以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238A (en) * 1990-11-19 1996-12-10 G. D. Searle & Co. Method for making intermediates useful in synthesis of retroviral protease inhibitors
DK0689609T4 (da) 1993-03-18 2005-07-25 Innogenetics Nv Fremgangsmåde til typisering af HLA-B under anvendelse af specifikke primere og probesæt
US5550039A (en) 1995-03-07 1996-08-27 Hoffmann-La Roche Inc. Oligonucleotide primers for HLA class I B locus DNA typing
US6583139B1 (en) 1997-07-31 2003-06-24 Eugene D. Thorsett Compounds which inhibit leukocyte adhesion mediated by VLA-4
TW200507853A (en) * 2003-02-17 2005-03-01 Novartis Ag Use of s-10-hydroxy-10,11-dihydro-carbamazepine for the treatment of anxiety and bipolar disorders
US7470513B2 (en) * 2003-11-10 2008-12-30 Academia Sinica Risk assessment for adverse drug rea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478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Hla-b*5801 대립유전자 검출용 핵산 분자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22735T3 (es) 2013-09-13
NZ572259A (en) 2012-03-30
TW200844238A (en) 2008-11-16
EP2016198B1 (en) 2013-05-01
BRPI0710436A8 (pt) 2018-06-26
CA2651954C (en) 2014-02-25
NZ597628A (en) 2013-07-26
TWI335937B (en) 2011-01-11
IL194900A0 (en) 2009-08-03
CA2651954A1 (en) 2007-11-22
JP2009536828A (ja) 2009-10-22
EP2016198A4 (en) 2010-07-21
AU2007249225A1 (en) 2007-11-22
US20080145846A1 (en) 2008-06-19
AU2007249225B2 (en) 2013-06-27
US8142999B2 (en) 2012-03-27
US20110212439A1 (en) 2011-09-01
EP2016198A2 (en) 2009-01-21
US7943309B2 (en) 2011-05-17
BRPI0710436A2 (pt) 2012-10-09
DK2016198T3 (en) 2013-07-15
PL2016198T3 (pl) 2013-12-31
CN101454462A (zh) 2009-06-10
MY150648A (en) 2014-02-14
PT2016198E (pt) 2013-07-29
KR101450348B1 (ko) 2014-10-14
IL194900A (en) 2013-02-28
WO2007134235A2 (en) 2007-11-22
WO2007134235A3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348B1 (ko)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hla 대립유전자 및 그 검출 방법
US7470513B2 (en) Risk assessment for adverse drug reactions
Dieudé et al. Association of the CD226 Ser307 variant with systemic sclerosis: Evidence of a contribution of costimulation pathways in systemic sclerosis pathogenesis
Horsthemke et al. Somatic mosaicism for maternal uniparental disomy 15 in a girl with Prader–Willi syndrome: confirmation by cell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candidate downstream genes
Qin et al. Association study of rs924080 and rs11209032 polymorphisms of IL23R-IL12RB2 in a Northern Chinese Han population with Behcet’s disease
AU2013219191A1 (en) Hla alleles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such
Aminkeng et al. TNFa microsatellite polymorphism modulates the risk of type 1 diabetes in the Belgian population, independent of HLA-DQ
WO200811020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hla-dq haplotype in a subject
Zeggini Genetic dissection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n juvenile oligoarthritis
Valentonyte Identification of sarcoidosis susceptibility genes by association mapping and candidate gene approaches
Hakonarson Advances in Understanding Chronic Illness: Pediatric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