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436A -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436A
KR20090030436A KR1020070095747A KR20070095747A KR20090030436A KR 20090030436 A KR20090030436 A KR 20090030436A KR 1020070095747 A KR1020070095747 A KR 1020070095747A KR 20070095747 A KR20070095747 A KR 20070095747A KR 20090030436 A KR20090030436 A KR 2009003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hased array
array antenna
voltage valu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257B1 (ko
Inventor
손성호
엄순영
전순익
황운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57B1/ko
Priority to US12/136,678 priority patent/US7994980B2/en
Publication of KR2009003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신호의 총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하여 보정하기 위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결합된 전파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수단; 상기 전력 분배수단을 통해 분배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위상배열 안테나, 위상오차, 전력 세기(전압) 검출, 위상 보정, 유전자 알고 리즘, 방향탐지

Description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Phase Correction Apparatus of Phased Array Antenna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신호의 총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하여 보정하기 위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상배열 안테나에 존재하는 위상오차 보정 및 전파도래 방향탐지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의 검출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7-F-041-01, 과제명 : 지능형 안테나 기술].
일반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자연계에 있는 생물의 진화과정에 있어서, 자연계의 생물은 어떤 세대(generation)를 형성하는 개체(individual)들의 집합, 즉 개체군(population) 중에서 환경에 대한 적합도(fitness)가 높은 개체가 높은 확률로 살아남아 재생(reproduction)할 수 있게 되며, 이때 교배(crossover) 및 돌연변이(mutation)로서 다음 세대의 개체군을 형성하게 된다.
유전자 알고리즘(GA : Genetic Algorithm)에서 개체의 수를 개체군의 크기(population size)라고 한다. 각각의 개체는 염색체(chromosome)를 가지고 있으며, 염색체는 복수 개의 유전자(gene) 집합으로 구성된다. 유전자의 위치를 유전자좌(locus)라 하고, 유전자가 취하게 되는 유전자의 후보를 대립 유전자(형질, allele)라고 한다. 생물의 경우에 염색체는 어떤 개체의 특징을 상세하게 결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머리가 검은 것은 염색체 중에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도록 하는 유전자의 조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개체의 형질을 표현형(phenotype)이라고 하고, 이에 대응되는 염색체의 구조를 유전형(genotype)이라 한다. 여기에서 표현형이 여러 개의 유전자좌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형태가 결정되는데, 이것을 에피스타시스(epistasis)라고 한다. 또한, 표현형을 유전형으로 바꾸는 것을 코드화(coding)라 하고, 그 역을 디코드화(decoding)라고 한다.
이러한 자연계의 생물의 진화과정을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모델링한 알고리즘을 유전자 알고리즘이라 한다.
일반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해결 방법, 즉 문제의 해를 하나의 개체로 인코딩하여 해집합을 구성하고, 이 개체들을 집합으로 만들어 개체군을 구성한 후 개체 간의 교배 및 돌연변이를 통해 새로운 해를 생성하여, 적합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최적의 해를 구하는 해 탐색 방법 또는 최적화 방법의 일종이다. 이때, 종결 조건은 보통 일정한 수의 세대가 진화되었거나, 일정한 수의 세대가 지나도록 더 이상 적합도가 개선되지 않거나, 또는 적합도가 어느 임계값 이상이 되었을 때 등이 된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문제 해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NLP(Non-Linear Problem) 또는 NP-Complete(Nondeterministic Polynomial time - Complete) 또는 NP-Hard(Nondeterministic Polynomial time - Hard)와 같이 계산적 복잡성(computational complexity)을 갖는 문제의 최적해를 찾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탐색 또는 최적화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는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색(expolration)과 획득한 정보의 유효한 이용(exploitation)의 조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획득한 정보의 유효한 이용은 기존의 등고선법(hill-climbing)과 유사하며,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색이 강조될수록 랜덤 탐색(random search)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이러한 두 가지의 조건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이를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중요한 것 3가지만 예를 들자면, 개체군의 크기(population size : M), 교배 확률(probability of crossover : pc), 및 돌연변이 확률(probability of mutation : pm)이 있다.
일반적으로 큰 교배 확률(pc)과 돌연변이 확률(pm)의 값은 알고리즘의 탐색(exploration)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진화 초기에 적합도가 높은 탐색공간을 찾는데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동시에 이용(exploitation) 능력을 감소시켜 어느 정도 좋은 해를 찾은 후에는 이 탐색공간 내에서 최적해로 수렴하는데 있어서는 수렴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작은 교배 확률(pc)과 돌연변이 확률(pm)의 값은 반대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개체군의 크기 M이 작으면 적합도 계산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나, 개체간의 다양성의 빠른 손실로 인해 최적의 해를 구하기 전에 수렴할 위험성을 내포한다. 반면에, 개체군의 크기가 크면 최적해에 도달할 확률은 높으나 많은 기억용량과 계산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둘의 성능 평가 항목을 모두 만족시켜 주는 최적의 개체군의 크기를 정하는 방법은 문제의 성격과 다른 제어 파라미터들의 값에 따라 다르다.
한편, 위상배열 안테나는 다수의 배열 방사소자에서 위상 변위기, 감쇄기, 저잡음증폭기/고출력증폭기 등과 같은 능동소자를 거쳐 결합기/분배기까지 일련의 동축케이블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아무리 잘 제작된 위상배열 안테나라 하더라도 각 채널의 경로 차에 의한 상대 위상오차가 존재하고, 또한 제작 과정 및 변형 등에 의해 배열 방사소자의 위치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들은 배열 소자 각 채널에 대한 상대 위상오차로 발생하여 안테나 이득 감소, 부엽 증가, 주빔 편향 등의 좋지 못한 현상들을 유발한 다.
따라서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채널에 존재하는 위상오차를 자동으로 빠르게 보정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러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보정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디지털 위상 변위기를 가지는 위상배열 안테나의 경우, 모든 비트 조합으로부터 방사패턴을 가장 좋게 하는 위상 보정값을 찾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배열소자 개수가 10개만 되어도 최적의 보정값을 찾는다는 것은 무지하고 소모적인 일이다. 그리고 아날로그 위상 변위기에 대해서는 이러한 방법을 활용할 수도 없다.
다른 방법으로, 방사소자 하나씩만 동작하게 하고 나머지는 동작하지 않도록 한 다음 동작시킨 방사소자를 포함하는 각 채널의 위상을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보정값을 찾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보정하고자 하는 위상배열 안테나가 클 경우 원역장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거리가 수십 미터 이상이 될 수도 있어 네트워크 분석기를 활용하기가 곤란하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대한 문헌으로, 'Y. Kuwahara'이 발표한 'Phased Array Antenna with Temperature Compensating Capability(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sed Array Systems and Technology, pp. 21-26, October 1996)'를 보면 배열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따른 위상변화를 보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H. M. Aumann' 등이 발표한 'Phased Array Antenna Calibration and Pattern Prediction Using Mutual Coupling Measurement(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37, no. 7, pp. 844-850, July 1999)'을 살펴보면 각 배열 소자 간의 상호결합 관계로 위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역시 모두 시간적인 측면에서 소모적이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으로 다수의 방사소자를 가지는 위상배열 안테나에 대해서는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수의 방사소자를 가지는 위상배열 안테나에 적용 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를 통해 기준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의 총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안테나를 통해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신호의 총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하여 보정하기 위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결합된 전파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수단; 상기 전력 분배수단을 통해 분배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전파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송신한 전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준 안테나; 상기 기준 안테나에서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되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각 개체의 위상정보에 따라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위상오차 보정 단계; 상기 보정된 위상배열 안테나를 통과한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수렴조건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수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위상오차 보정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신신호의 총 전력 세기(전압)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한 전력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배열 안테나에 존재하는 각 채널의 전기적 길이 차이 및 배열 소자의 위치 오차에 의한 물리적 길이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오차를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수신하는 수신신호 전력세기 관측만으로 자동적이고 빠르며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뿐만 아니라,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 존재하는 위상오차를 동일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열 소자가 수백 개 이상을 가지는 대형 위상배열 안테나에서도 뛰어난 보정결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배열 안테나에 존재하는 오차보정이 가능함으로써, 안테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배열 안테나 제작 시 고정밀도를 요하지 않으므로 배열 안테나 제작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방향에서 도래하는 전파방향으로 자동으로 지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전파도래 방향을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는, 다수의 방사소자를 통해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에서 결합된 전파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기(12), 상기 전력 분배기(12)를 통해 분배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기(13), 및 상기 전압 검출기(13)에서 검출한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즉,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기(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는,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방사소자(111), 상기 다수의 방사소자(111)를 통하여 수신된 전파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 제어기(14)의 제어에 따라 각각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위상 변위기(112), 및 상기 다수의 위상 변위기(112)에서 위상이 변화된 각 전파신호의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기(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상 제어기(14)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랜덤하게 생성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의 위상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에서 수신한 신호들의 총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예 : 3개)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위상 제어기(14)는,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안테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특정 방사소자(예 : 1번 방사소자 또는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방사소자)를 기준 안테나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는, 다수의 방사소자를 통해 전파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준 안테나(22), 상기 기준 안테나(22)에서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기(23), 및 상기 전압 검출기(23)에서 검출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즉,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기(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는, 송신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전력으로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기(211), 상기 전력 분배기(211)에서 분배된 각 송신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 제어기(24)의 제어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위상 변위기(212), 및 상기 다수의 위상 변위기(212)에서 위상이 변화된 송신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다수의 방사소자(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상 제어기(24)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랜덤하게 생성하여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의 위상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에서 송신한 신호를 기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예 : 3개)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위상 제어기(24)는,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안테나(22)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되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생성한다(301). 이때, 각 개체들은 무작위로 생성되며, 그 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11)의 방사소자의 수와 동일하다.
이후, 상기 생성한 각 개체의 위상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한다(302).
이후, 상기 보정된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들의 총 전압 값을 검출한다(303).
이후, 상기 검출한 총 전압 값이 수렴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304).
상기 확인 결과(304), 수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한다(305).
상기 확인 결과(304),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다(306).
이후, 상기 "302"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수렴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이를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이를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수렴되는 점을 예측하기 힘든 경우에 효율적으로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다.
만일, 수렴되는 점을 쉽게 예측 가능한 경우에는 수렴 점을 중심으로 오차범위를 선정하여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되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생성한다(401). 이때, 각 개체들은 무작위로 생성되며, 그 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21)의 방사소자의 수와 동일하다.
이후, 상기 생성한 각 개체의 위상정보에 따라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한다(402).
이후, 상기 보정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송신한 신호를 기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전압 값을 검출한다(403).
이후, 상기 검출한 전압 값이 수렴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404).
상기 확인 결과(404), 수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한다(405).
상기 확인 결과(404),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다(406).
이후, 상기 "402" 과정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수렴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이를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이를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수렴되는 점을 예측하기 힘든 경우에 효율적으로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다.
만일, 수렴되는 점을 쉽게 예측 가능한 경우에는 수렴 점을 중심으로 오차범위를 선정하여 수렴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로서, 이때 200(10x20)개의 방사소자가 반파장 간격으로 배열된 평판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200개의 채널에 존재하는 임의의 위상 분포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보정 장치(일예로, 아날로그 위상 변위기)를 이용하여 최종 결정된 위상보정 값을 나타내며, (c)는 각 채널에 존재하는 임의의 각 위상 값과 본 발명에 따라 최종 결정된 위상 보정값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보정 전 위상오차가 ±100도 범위에서 보정 후 ±15도 범위 내로 보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6a는 위상오차가 존재할 경우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위상 변위기로 보정한 후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나타내며, 도 6c는 5비트 디지털 위상 변위기로 보정한 후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시도로서, 도 6b의 안테나 방사 패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후 안테나 이득이 상승하고 평균 부엽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 보정 및 전파도래 방향탐지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서의 위상 보정 결과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12 : 전력 분배기
13 : 전압 검출기 14 : 위상 제어기
111 : 방사소자 112 : 위상 변이기
113 : 전력 결합기

Claims (13)

  1.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결합된 전파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수단;
    상기 전력 분배수단을 통해 분배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랜덤하게 생성하여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들의 총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기 위상 정보를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 후에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는,
    상기 기준 안테나로부터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방사소자;
    상기 다수의 방사소자를 통하여 수신된 전파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각각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위상 변위수단; 및
    상기 다수의 위상 변위수단에서 위상이 변화된 각 전파신호의 전력을 결합하기 위한 전력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6.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전파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송신한 전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준 안테나;
    상기 기준 안테나에서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전파신호의 전압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위상오차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위상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랜덤하게 생성하여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에서 송신한 신호를 상기 기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하여 상기 위상오차 보정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수단은,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는,
    송신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전력으로 분배하기 위한 전력 분배수단;
    상기 전력 분배수단에서 분배된 각 송신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위상 변위수단; 및
    상기 다수의 위상 변위수단에서 위상이 변화된 송신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다수의 방사소자
    를 포함하는 송신용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11.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되는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각 개체의 위상정보에 따라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위상오차 보정 단계;
    상기 보정된 위상배열 안테나를 통과한 신호의 전압 값을 검출한 후 수렴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수렴조건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수렴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위상정보를 상기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종 위상 보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위상오차 보정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행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수렴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전에 검출한 전압 값들 중에서 큰 전압 값 순으로 소정 개수를 선택하여 서로 교배시켜 새로운 위상정보를 가지는 개체를 생성한 후 상기 위상오차 보정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조건 확인 단계는,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의 전압 값과 이전의 전압 값의 차가 오차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수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방법.
KR1020070095747A 2007-09-20 2007-09-20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47A KR100948257B1 (ko) 2007-09-20 2007-09-20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US12/136,678 US7994980B2 (en) 2007-09-20 2008-06-10 Apparatus for correcting phase of phased array antenna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47A KR100948257B1 (ko) 2007-09-20 2007-09-20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36A true KR20090030436A (ko) 2009-03-25
KR100948257B1 KR100948257B1 (ko) 2010-03-18

Family

ID=4069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47A KR100948257B1 (ko) 2007-09-20 2007-09-20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94980B2 (ko)
KR (1) KR1009482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20B1 (ko) * 2010-09-09 2011-0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배열 안테나용 신호 보정 장치
KR101144012B1 (ko) * 2010-04-23 2012-05-09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방향으로 널을 형성하는 위상배열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86238B1 (ko) * 2010-07-22 2014-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도래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rf 수신단 및 도래각 측정 방법
KR20140115253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102151073B1 (ko) * 2019-12-10 2020-09-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보정방법, 위상 보정장치, 및 완전디지털 레이더
CN112072305A (zh) * 2020-08-28 2020-12-11 上海航天测控通信研究所 一种平面阵阵列天线馈线相位补偿方法及系统
KR102465365B1 (ko) * 2021-10-26 2022-11-09 국방과학연구소 보조 채널 없이 부엽 차단 기능을 갖는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9271B2 (ja) * 2010-09-3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機
US9425505B2 (en) 2010-11-18 2016-08-23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phase-shifting-and-combining circuitry to support multiple antennas
CN102480330B (zh) * 2010-11-25 2014-05-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站智能天线广播赋形的测试方法及设备
US9214726B2 (en) 2013-01-21 2015-1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frequency phase shifter array testing
US9490548B2 (en) * 2013-02-26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evice with antenna array and separate antenna
CN104347955B (zh) * 2014-09-30 2017-04-26 北京邮电大学 一种有源天线垂直小区分裂的天线方向图优化方法
CN104330777B (zh) * 2014-11-25 2017-01-11 成都金本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相控阵雷达的收发通道自校准方法
EP3251218B1 (en) 2015-01-29 2018-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crowave radio transmitter for compensation of phase noise and related method
US10720702B2 (en) * 2016-01-08 2020-07-21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antenna phase
DE102016200559A1 (de) * 2016-01-18 2017-07-20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librierungsverfahren bzw. Kalibrierungssystem für Antennenphasen
DE102016212136A1 (de) * 2016-07-04 2018-01-04 Laird Bochu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Distanz sowie Fahrzeug
KR102360496B1 (ko) * 2017-06-07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위상을 보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7074184B2 (ja) * 2018-03-29 2022-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システム、アンテナ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102518403B1 (ko) * 2018-07-09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301500B (zh) * 2018-09-25 2020-09-22 苏州大学 切比雪夫微带阵列天线的设计方法
US11038601B2 (en) 2019-04-18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alog phased antenna array
CN112018494B (zh) * 2019-05-31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及移动终端
KR102452048B1 (ko) 2019-09-10 202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위상 보정을 위한 교정 방법 및 장치
KR102146051B1 (ko) * 2020-03-31 2020-08-19 국방과학연구소 광위상배열 기반의 ladar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391200A (zh) * 2020-07-31 2022-04-22 深圳市速腾聚创科技有限公司 相控阵的相位校准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CN112467385B (zh) * 2020-10-27 2023-11-07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一种基站天线共口面rev幅相校正方法
CN117805739B (zh) * 2024-02-27 2024-05-07 成都凌亚科技有限公司 一种波控信号处理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829A (en) * 1980-03-24 1981-05-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teerable null antenna processor with gain control
GB2110893B (en) * 1981-12-04 1985-10-1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Controlled-phase system
US5027127A (en) * 1985-10-10 1991-06-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hase alignment of electronically scanned antenna arrays
US5712642A (en) * 1994-09-27 1998-01-27 Hughes Missile Systems Company Spatial power combiner using subharmonic beam position control
KR100713164B1 (ko) * 1999-01-30 2007-05-02 주식회사 세스텍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망을 위한적응배열안테나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3444270B2 (ja) * 2000-05-23 2003-09-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の校正システム
KR100519885B1 (ko) * 2002-08-17 2005-10-1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버서타일 안테나 시스템
KR100928848B1 (ko) 2003-02-26 2009-11-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 단말기용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0540575B1 (ko) 2003-06-26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608553B1 (ko) * 2003-12-27 2006-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오차 보정 기능을 가진 적응 배열 안테나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12B1 (ko) * 2010-04-23 2012-05-09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방향으로 널을 형성하는 위상배열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86238B1 (ko) * 2010-07-22 2014-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도래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rf 수신단 및 도래각 측정 방법
KR101007220B1 (ko) * 2010-09-09 2011-0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배열 안테나용 신호 보정 장치
KR20140115253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102151073B1 (ko) * 2019-12-10 2020-09-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보정방법, 위상 보정장치, 및 완전디지털 레이더
CN112072305A (zh) * 2020-08-28 2020-12-11 上海航天测控通信研究所 一种平面阵阵列天线馈线相位补偿方法及系统
KR102465365B1 (ko) * 2021-10-26 2022-11-09 국방과학연구소 보조 채널 없이 부엽 차단 기능을 갖는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5774A1 (en) 2009-12-24
US7994980B2 (en) 2011-08-09
KR100948257B1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257B1 (ko) 위상배열 안테나의 위상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Hashemi et al. Efficient beam alignment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ing contextual bandits
CN109379752B (zh) Massive MIMO的优化方法、装置、设备及介质
Mahanti et al. Synthesis of thinned linear antenna arrays with fixed sidelobe level using real-coded genetic algorithm
US7362266B2 (en) Mutual coupling method for calibrating a phased array
Mahanti et al. Phase-only and amplitude-phase only synthesis of dual-beam pattern linear antenna arrays using floating-point genetic algorithms
CN112367103B (zh) 一种可扩展稀疏阵列天线布局的获取方法
CN113176540B (zh) 合成稀疏阵列mimo雷达联合波束方向图的方法及系统
CN105760632B (zh) 一种基于贝塞尔函数的稀布同心圆环阵的设计方法
He et al. Matrix-based interval arithmetic for linear array tolerance analysis with excitation amplitude errors
Qin et al. Accelerated coverage optimization with particle swarm in the quotient space characterizing antenna azimuths of cellular networks
Chen et al. Hybrid-surrogate-model-base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high-dimensional antenna design
Buonanno et al. Unequally‐excited linear totally random antenna arrays for multi‐beam patterns
CN110069896B (zh) 基于稀疏2d线性阵列的涡旋电磁波产生与优化方法
Jiang et al. Irregular modular subarrayed phased array tiling by algorithm x an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Pradhan et al. Chebyshev-based array for beam steering and null positioning using modified ant lion optimization
Koziel et al. Rapid design of microstrip antenna arrays by means of surrogate‐based optimisation
KR102241805B1 (ko) 능동 위상배열 안테나의 자동 보정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자동 보정 장치
Goswami et al. Introducing deeper nulls and reduction of side lobe levels in a symmetric linear antenna array using genetic algorithm
Shen et al. An efficient codebook based radio parameter optimization method for mobile networks
KR101400460B1 (ko) 다중 빔 안테나를 위한 급전 소자의 개수 결정 방법 및 장치
Das et al. Optimization of antenna arrays for SLL reduction towards Pareto objectivity using GA variants
Peng et al. An Efficient Optimization Method for Antenna Arrays Using a Small Population Diploid Genetic Algorithm Based on Local RBF Networks
Ansell et al.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to optimise the subarray partitions of conformal array antennas
TWI388851B (zh) 模擬量測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