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834A -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834A
KR20090029834A KR1020097002826A KR20097002826A KR20090029834A KR 20090029834 A KR20090029834 A KR 20090029834A KR 1020097002826 A KR1020097002826 A KR 1020097002826A KR 20097002826 A KR20097002826 A KR 20097002826A KR 20090029834 A KR20090029834 A KR 2009002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ircuit
wireless identification
signal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오 우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9700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834A/ko
Publication of KR2009002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 안테나(105)를 통해서 수신한 반사 전자파를, 복잡한 회로에 의하지 않고, 용량(107, 110)과 다이오드(108, 109)에 의해 처리한다. 용량(107, 110)과 다이오드(108, 109)의 조합에 의해 반사 전자파의 전압을 적분한다. 반사 전자파는,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신호 "0"과 신호 "1"에 의해 전압이 서로 다르다. 그 결과, 수신 신호선(113)에 출력되는 적분값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에서, 신호 "0"과 신호 "1"을 식별할 수 있다. 적분을 이용하기 때문에, 미약한 신호이어도 식별 가능하다.
무선 인식 IC 태그, 용량, 다이오드, 적분값, 반사 전자파

Description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READER FOR WIRELESS IDENTIFICATION IC TAG, AND WIRELESS IDENTIFICATION IC TAG SYSTEM}
본 발명은 무선에 의해 인식을 행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경제적인 회로를 형성하는 기술 분야에 속한다.
무선 인식 IC 태그는, 판독성, 시큐러티성, 소형화 등에 의해 종래의 바코드보다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무선 인식 IC 태그는 경제성의 향상에 의해, 널리 보급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에도 무선 인식 IC 태그의 판독기가 탑재됨으로써, 어디에서도 간편하게 무선 인식 IC 태그를 판독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를 경제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간편한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1892호)에서는,백 스캐터 방식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통신에서, 반사 변조 신호를 지연 소자에 의해, 무선 인식 IC 태그 및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제어를 간편하게 행하고자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0-49654호)에서는,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간격에서, 리더로부터의 안테나 출력 전력을 2배의 강도차에 의해 2종류의 안테나 출력 전력을 설정함으로써 무선 인식 IC 태그와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제어를 간편하게 행하고자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189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965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를 휴대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 간편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UHF대나 2.45㎓대는 무선 인식 IC 태그에서, 통신 거리 확대에 유효한 주파수이다. 그러나,13.56㎒대나 125㎑대와 비교하여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수신 회로가 복잡하였다. 그 때문에, 회로를 간결화하는 것이 곤란하여, 회로 규모나 소비 전력이 커서, 휴대 단말기에 넣기 위해서는 곤란하였다. 간결한 회로이면 원 칩의 집적 회로화하는 경우에도 유리하지만, 종래의 문헌에는 이와 같은 효율화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반사 전자파를 복잡한 회로에 의하지 않고, 용량과 다이오드에 의해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용량과 다이오드의 조합에 의해, 반사 전자파의 전압을 적분한다. 반사 전자파는,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신호 "0"과 신호 "1"에 의해 전압이 서로 다르 다. 그 결과, 적분값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에서, 신호 "0"과 신호 "1"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분 회로에 의해 반사 전자파를 식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를 작은 회로 규모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적분을 이용하기 때문에, 미약한 신호에서도 식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소자수가 적어 경제성이 우수한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파형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전제로서 검토한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실시예 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그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무선 인식 IC 태그와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위치짓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은, 송수신 회로(602), 안테나(105) 및 제어 회로(제1 회로)(601)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와,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안테나(605)를 포함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제어 회로(601)는,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을 행할 때에는, 우선,제어 회로(601)로부터 제어 신호(112)가 송수신 회로(602)에 보내진다. 그 제어 신호(112)를 받아서, 송수신 회로(602)에 접속한 안테나(105)로부터, 송신 전자파(603)가 송신된다.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에는 무선 인식 IC 태그 안테나(605)가 탑재되어 있으며, 송신 전자파(603)의 에너지와 신호를 수취한다. 이 에너지는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 내에 있는 정류 회로에 의해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의 내부 전압이 상승하여 동작 가능 상태로 된다. 또한,송신 전자파(603)로부터의 변조 신호에 의해,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이 동작하여, 내부의 메모리 회로가 동작한다. 메모리의 정보는 1비 트씩 반사 전자파(604)에 의해 안테나(105)에 송신된다. 수신한 신호는 송수신 회로(602)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 신호선(113)에 의해, 제어 회로(601)에 보내진다. 이 수신 신호는 제어 회로(601) 내에서 처리되고, 네트워크 또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기 등과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용 소프트웨어에 수수되어 유효하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주파 발생기(101)는 NOR 회로(102)에 접속되어 있다. 이 NOR 회로에는 제어 신호선(112)도 접속되어 있다. NOR 회로(102)로부터의 출력은 송신선(103)으로서, 서큘레이터(104)에 입력된다. 서큘레이터(104)에는 안테나(105)가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105)로부터의 반사파 수신 신호는 수신선(106)에 출력된다.
수신선(106)의 수신 신호는 제1 용량(107)에 입력된다. 이 제1 용량(107)은 수신 신호의 진폭 전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제1 용량(107)의 출력은 제1 다이오드(108)와 제2 다이오드(109)에 입력된다. 이 제1 다이오드(108)는 수신 신호의 최하위의 레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2 다이오드(109)는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2 다이오드(109)의 출력은 제2 용량(110)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용량(110)은 제2 다이오드(109)로부터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2 용량의 에너지를 타이밍 좋게 방전하는 기능은 스위치로 되는 M0S 트랜지스터(111)에 의해 실현된다. M0S 트랜지스터(111)는 제어 신호선(112)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용량(110)의 출력은 수신 신호선(113)으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는 1계통으로 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 와 같은 제1 검파 회로나 제2 검파 회로라고 하는 2계통의 회로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도 7에 주파수에서 검파를 행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도시한다. 고주파 발생기(101)는 NOR 회로(102)에 접속되어 있다. 이 NOR 회로에는 제어 신호선(112)도 접속되어 있다. NOR 회로(102)로부터의 출력은 송신선(103)으로서, 서큘레이터(104)에 입력된다. 서큘레이터(104)는 안테나(105)가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105)로부터의 반사파 수신 신호는 수신선(106)에 출력된다. 수신선(106)과 송신선(103)의 고주파 신호는 각각, 제1의 2분배기(701)와 제2의 2분배기(702)에 의해 2개의 신호로 분배된다. 제1의 2분배기(701)의 2개의 출력 신호 중 1개는 90도 위상 시프트 회로(709)에 의해 위상 시프트된다. 제1 검파 회로(703)는 제1의 2분배기(701)와 제2의 2분배기(702)에 의해 2개의 신호로 분배된 1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검파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믹서 회로 등이 사용된다. 이 신호의 출력은 제1 증폭 회로(704)에 의해 증폭되고 또한 밴드패스 필터 등을 이용한 제1 데이터 재생 회로(705)에 의해 재생되어 OR 회로(710)에 입력된다.
제2 검파 회로(706)는 제1의 2분배기(701)와 제2의 2분배기(702)에 의해 2개의 신호로 분배된 1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를 검파한다. 제1 검파 회로(703)와 서로 다른 것은 90도 위상 시프트 회로(709)에 의해 위상 시프트된 신호가 들어가는 것이다. 이 회로에는 구체적으로는 고속 믹서 회로 등이 사용된다. 이 신호의 출력은 제2 증폭 회로(707)에 의해 증폭되고 또한 밴드패스 필터 등을 이용한 제2 데이터 재생 회로(708)에 의해 재생되고 OR 회로(710)에 입력된다. OR 회로(710)의 출력은 수신 신호선(113)에 신호 출력된다. 이와 같이, 송신 신호의 고주파수, 예를 들면 UHF대의 950㎒나, 2.45㎓대 등의 주파수에서 검파하고 있기 때문에,무선 인식 IC 태그와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통신 거리에 의해 수신파의 위상 변동이 발생하고, 그것을 보상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증대하고 있었다. 도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수신 회로를 간결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형 A는 도 1의 제어 신호선(112)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B는 도 1의 송신선(103)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C는 도 1의 수신선(106)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D는 도 1의 수신 신호선(113)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신호 A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1)의 신호가 NOR 회로(102)에 의해 제어되어 신호 B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동시에 신호 A에 의해, MOS 트랜지스터(111)가 온된 후에 오프되고, 제2 용량(110)의 전하가 방전된다.
신호 C는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신호로서, 신호 진폭이 큰 것과 작은 것으로 분리된다. 신호 진폭이 큰 것은 논리 "1"을 나타내고, 작은 것은 논리 "0"을 나타내고 있다. 신호 D는 신호 C를 적분한 값이 출력된 것이다. 이것은 제1 용량(107)과 제1 다이오드(108)에 의해 축적된 전하를 제2 다이오드(109)에 의해 정류하고, 제2 용량(110)에 전하를 축적해 감으로써 적분해 간다. 도 2에 도시한 전압 V1에 이르는 시간을, 제어 회로(601)에 의해 계측하면, "1"인지 "0"을 판별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1에 이르는 시간을 T1 또는 T2로 하면, T1이 T2보다 작으면 T1의 경우에는 "1"을 나타내고, T2의 경우에는 "0"을 나타내게 된다. T1과 T2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있으면 되므로,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교함으로써, 도 6의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으로부터의 데이터가 "0"인지 "1"인지를 판별하여 도 6의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의 ID 번호를 도 6의 송수신 회로(602) 및 제어 회로(601)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정류 및 적분 회로를 이용하여 검파를 행하면,회로 규모 또는 소비 전력 등의 점에서 경제성이 우수한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을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이들 검파 회로 내에는 액티브한 소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동작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적분을 이용하기 위해서, 미약한 신호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이와 같은 검파 회로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무선 인식 IC 태그 칩(606)의 수신 회로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도 1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도 1의 D의 수신파형의 파고치를 판별의 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파형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파형 A는 도 1의 제어 신호선(112)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B는 도 1의 송신선(103)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C는 도 1의 수신선(106)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D는 도 1의 수신 신호선(113)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신호 A에 의해, 고주파 발생기(101)의 신호가 NOR 회로(102)에 의해 제어되어 신호 A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동시에 신호 A에 의해, MOS 트랜지스터(111)가 온된 후에 오프되고, 제2 용량(110)의 전하가 방전된다. 신호 C는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신호로서, 신호 진폭이 큰 것과 작은 것으로 분리된다. 신호 진폭이 큰 것은 논리 "1"을 나타내고, 작은 것은 논리 "0"을 나타내고 있다. 신호 D는 신호 C를 적분한 값이 출력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D의 샘플 시간을 T3으로 고정하고, 그 시점에서의 전압을 V2 또는 V3으로 하면, V2가 V3보다 크면 V2의 경우에는 "1"을 나타내고, V3의 경우에는 "0"을 나타내게 된다. V2와 V3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있으면 되므로,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개의 전압은, 제어 회로(601) 내의 차동 증폭 회로 등을 이용하여 고정밀도로 비교함으로써, 판독 분해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NOR 회로(102)의 출력은 피드백선(401)에 의해 입력으로 복귀되어 있고, 자기 발진 기능을 갖고 있다. 이 NOR 회로에는 제어 신호선(112)도 접속되어 있다. NOR 회로(102)로부터의 출력은 송신선(103)으로서, 서큘레이터(104)에 입력된다. 서큘레이터(104)는 안테나(105)가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105)로부터의 반사파 수신 신호는 수신선(106)에 출력된다. 수신선(106)의 수신 신호는 제1 용량(107)에 입력된다. 이 제1 용량(107)은 수신 신호의 진폭 전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제1 용량(107)의 출력은 제1 다이오드(108)와 제2 다이오드(109)에 입력된다. 이 제1 다이오드(108)는 수신 신호의 최하위의 레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2 다이오드(109)는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제2 다이오드(109)의 출력은 제2 용량(110)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용량(110)은 제2 다이오드(109)로부터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제2 용량의 에너지를 타이밍 좋게 방전하는 기능은 M0S 트랜지스터(111)에 의해 실현된다.
이 도 4의 회로에서는 특별한 고주파 발진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회로 규모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 신호(112)의 신호는 고주파 발진기의 제어와 MOS 트랜지스터(111)를 통하여, 제2 용량의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을 공통화하고 있어, 회로를 간편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한 파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파형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의 회로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블루투스에 의한 고주파 발생 회로(501)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켜 NOR 회로(102)에 입력하고 있다. 이 NOR 회로에는 제어 신호선(112)도 접속되어 있다. NOR 회로(102)로부터의 출력은 송신선(103)으로서, 서큘레이터(104)에 입력된다. 서큘레이터(104)에는 안테나(105)가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105)로부터의 반사파 수신 신호는 수신선(106)에 출력된다. 수신선(106)의 수신 신호는 제1 용량(107)에 입력된다. 이 제1 용량(107)은 수신 신호의 진폭 전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제1 용량(107)의 출력은 제1 다이오드(108)와 제2 다이오드(109)에 입력된다. 이 제1 다이오드(108)는 수신 신호의 최하위의 레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2 다이오드(109)는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갖는다. 제2 다이오드(109)의 출력은 제2 용량(110)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용량(110)은 제2 다이오드(109)로부터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2 용량의 에너지를 타이밍 좋게 방전하는 기능은 M0S 트랜지스터(111)에 의해 실현된다.
블루투스는 2.45㎓에서 동작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이다. 이 방식은 휴대 단말기에서도 도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 블루투스의 발진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회로를 공통화하는 간편성이 가능하여 유효하다. 파형은 도 2 및 도 3과 동일하다. 또한,블루투스를 이용하여도, 그 밖의 회로 구성은 실시예 1과 다르지 않다. 고주파 발진기는 다양한 회로가 있지만, 블루투스를 이용함으로써, 본래의 블루투스의 기능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라고 하는 소형화가 요구되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기에 유익한 기술이며,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11)

  1.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반사 전자파를 수신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로서,
    상기 반사 전자파를 적분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적분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 전자파의 강도를 판별하는 제1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반사 전자파의 강도를, 전후의 상대적 강도 비교에 의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를 향해서 송신 전자파를 송신할 때의 트리거로 되는 제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회로에서의 적분값은,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리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블루투스 통신을 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하고,상기 블루투스 회로의 발진 기능을 겸용으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를 향해서 송신하는 송신 전자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휴대 전화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6. 송신 전자파를 생성하는 고주파 발생기와,
    상기 고주파 발생기에서 생성된 송신 전자파를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하는 제2 회로와,
    상기 제2 회로에서 출력된 송신 전자파를 무선 인식 IC 태그를 향해서 송신하고,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반사 전자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반사 전자파를 정류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신호의 적분값을 축적하는 컨덴서와,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컨덴서를 방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덴서가 축적된 적분값이 판별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정보가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고주파 발생기의 출력과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는 NOR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기와 상기 제2 회로는, 출력의 귀환 신호와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는 NOR 회로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9. 무선 인식 IC 태그 및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를 포함하고,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가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를 향해서 송신 전자파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로부터의 반사 전자파를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가 수신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상기 반사 전자파를 적분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적분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 전자파의 강도를 판별하는 제1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반사 전자파의 강도를, 전후의 상대적 강도 비교에 의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는, 상기 무선 인식 IC 태그를 향해서 전자파를 송신할 때의 트리거로 되는 제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회로에서의 적분값은,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리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KR1020097002826A 2009-02-11 2006-09-11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KR20090029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2826A KR20090029834A (ko) 2009-02-11 2006-09-11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2826A KR20090029834A (ko) 2009-02-11 2006-09-11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834A true KR20090029834A (ko) 2009-03-23

Family

ID=4069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826A KR20090029834A (ko) 2009-02-11 2006-09-11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8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182A (zh) * 2020-03-20 2021-10-12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电线信息撷取系统及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182A (zh) * 2020-03-20 2021-10-12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电线信息撷取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027B2 (en) Position detecting system, responder and interrogat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detecting method, position detecting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765877B1 (ko) Rfid 태그 장치, rfid 리더/라이터 장치 및 거리측정 시스템
US7994923B2 (en) Non-contact electronic device
KR10146982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디바이스들의 출현 감지
US6942158B2 (en) Memory tag and a reader
US7926727B2 (en) RFID tags, RFID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anti-theft and data transmission purposes
JP4382063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受信電圧制御方法
JP3531477B2 (ja) 非接触カードの通信方法及び該通信に用いる集積回路
CA2754098C (en) Detection of a contactless data storage device
JP2006295287A (ja) キャリアセンス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rfid用送受信装置
JP3968948B2 (ja) 電磁トランスポンダからの距離の検出
US20090267745A1 (en) Reader for wireless identification ic tag and wireless identification ic tag system
EP3573247B1 (en) Card read respons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ignal transceiving device
CN101159024A (zh) 半导体集成电路装置以及接收装置
KR20090029834A (ko) 무선 인식 ic 태그용 리더 및 무선 인식 ic 태그 시스템
KR100807109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리더 및 그 제어 방법
JP513898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100796011B1 (ko) Rf 신호와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rf 리더기 및 그 방법
US7760073B2 (en) RFID tag modification for full depth backscatter modulation
FI116650B (fi) Menetelmä etätunnistimen suorituskyvyn parantamiseksi
KR100701124B1 (ko)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전파 식별 장치 및 시스템
KR100867755B1 (ko) 무선주파수인식 리더
KR20240068154A (ko) 스탠바이 모드에서 rf 능동 장치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f 리더기
ZA200104797B (en) Device for demodulating an amplitude-modulated signal.
GB2288952A (en) High frequency RF identificaton system using low frequency RF/ID c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