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51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517A
KR20090029517A KR1020070094832A KR20070094832A KR20090029517A KR 20090029517 A KR20090029517 A KR 20090029517A KR 1020070094832 A KR1020070094832 A KR 1020070094832A KR 20070094832 A KR20070094832 A KR 20070094832A KR 20090029517 A KR20090029517 A KR 2009002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ow path
outer case
rib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742B1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내부에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외장케이스 상에 리브나 유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외장케이스에 형성되는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바, 상기 회로기판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세탁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장케이스에 리브나 유로가 포함되어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 등에 의하여 내부에 수분이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유입되는 세탁수나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형성된 수분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이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회로조립체의 외장케이스에 리브나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는 수분이 상기 회로조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외장케이스 및,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으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외장케이스 및,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에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로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는 리브나 유로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기의 회로기판을 방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외장케이스(18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터브(미도시)를 지지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드럼(122)과, 상기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케이스(110)내에 배치되는 회로조립체(18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스 커버(112)와, 상기 케이스 커버(112) 상면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115)과, 상기 컨트롤패널(115)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112)는, 포가 출입하는 포 출입홀(114)과, 상기 케이스 커버(112)에 배치되며 상기 포 출입홀(114)을 개폐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조립체(180)는, 상기 세탁기(100)의 운전상태를 결정하는 회로기판(187)과, 상기 회로기판(187)을 보호하는 외장케이스(181)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케이스(181)는, 상기 외장케이스(181) 상에 배치되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브(185)와, 상기 외장케이스(181)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돌기들(188)이 결합하는 결합홈들(183)과, 상기 외장케이스(181)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187)을 고정하는 체결돌기들(184)과, 상기 외장케이스(181)의 바디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187)은, 상기 회로기판(187)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181)와 체결되는 결합돌기들(188)과, 상기 회로기판(187)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181)를 고정하는 체결돌기들(18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들(188)은 상기 결합홈들(183)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돌기들(184)은 상기 외장케이스(181)의 체결돌기들(184)과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케이스(181)와 상기 회로기판(187)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브(185)는 상기 외장케이스(18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85)는 상기 외장케이스 바디부(182)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185)는 상기 외장케이스(1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장케이스(181)의 상면 및 양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장케이스 바디부(182)에 상기 수분이 형성되면 상기 리브(185)에 의하여 상기 수분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187)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케이스(28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286)는 상기 외장케이스 바디부(282)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유로(286)는 상기 외장케이스(28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286)는 상기 외장케이스(2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장케이스(281)의 상면 및 양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 장케이스(281)의 바디부(282)에 상기 수분이 형성되면 상기 바디부(28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유로(286)에서 규합되고 상기 회로기판(287)의 하단으로 수분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유로(286)는 상기 외장케이스(2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장케이스(281)의 상면 및 양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286)가 수분을 배출하므로 상기 외장케이스(281)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케이스(38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외장케이스(381)는 수분을 배출하는 유로(386)와 상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리브(3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385)는 상기 유로(386)의 일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브(385)는 상기 외장케이스 바디부(382)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386)는 상기 리브(285)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385)에 의해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상기 리브(385)에 의하여 방지되지 않은 수분은 상기 유로(386)에 의하여 제거된다. 또한, 상기 리브(385) 상에 응축된 수분의 경우 상기 유로(386)를 통하여 배출된다. 유로(386)나 상기 리브(385)가 각각 형성된 경우보다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브(385) 및 유로(386)의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386´)는 상기 리브(385´)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386´)는 상기 리브(385´)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브(386´)는 상기 유로(386´)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100)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외장케이스 (381´)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리브(385´)의 일측이 수분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통과된 수분은 상기 리브(385´) 상에 응축되며 상기 유로(386´)를 통하여 상기 리브(385´)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리브(385´)가 상기 유로(386´)의 양쪽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분이 상기 외장케이스 본체(382´)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분이 회로기판(387)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세탁기(100)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리브(385) 및 유로(386)의 다른 변경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386˝)는 외부케이스(381˝)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유로(386˝)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385˝)가 형성된다. 세탁기(100) 내부의 세탁수 등 수분이 상기 리브(385˝)에 의해 응결되면 상기 유로(381˝)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된다.
도 11은 도 5의 ⅩⅠ-Ⅹ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286)는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상기 유로(286)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는 중앙부분이 높고 양측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는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286)에 형성된 수분이 경사를 따라 고점에서 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이 상기 유로(286)를 통하여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므로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브(186,386,386´,386˝)나 상기 유로(286,386,386´,386˝)를 상기 외장케이스(181,281,381,381´,381˝) 상에 배치하면 상기 외장케이스(181,281,381,381´,381˝) 외부에 형성되는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분의 침투로 상기 회로기판(187,287,387)이 누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로조립체(180,280,380,380´,380 ˝)가 상기 케이스(110)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110)의 다른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브 및 유로의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리브 및 유로의 다른 변경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ⅩⅠ-ⅩⅠ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세탁기 181,281,381,381´,381 ˝: 외장케이스
110 : 케이스 182,282,382 : 외장케이스 바디부
111 : 케이스 본체 183 : 결합홈
112 : 케이스 커버 184 : 체결돌기
113 : 도어 185,385,385´,385 ˝: 리브
114 : 포 출입홀 187 : 회로기판
122 : 드럼 188 : 결합돌기
116 : 탑 플레이트 286,386,386´,386 ˝: 유로
180,280,380,380´,380 ˝: 회로조립체

Claims (10)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외장케이스,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으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세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리브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 및 양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세탁기.
  4.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외장케이스,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세탁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로는 상기 외장케이스의 상면 및 양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세탁기.
  7.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외장케이스,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며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와, 상기 외장케이스 상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으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리브를 구비하는 회로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로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세탁기.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세탁기.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세탁기.
KR1020070094832A 2007-09-18 2007-09-18 세탁기 KR10097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832A KR100973742B1 (ko) 2007-09-18 2007-09-1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832A KR100973742B1 (ko) 2007-09-18 2007-09-18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517A true KR20090029517A (ko) 2009-03-23
KR100973742B1 KR100973742B1 (ko) 2010-08-04

Family

ID=4069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832A KR100973742B1 (ko) 2007-09-18 2007-09-1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50A1 (en) * 2019-05-24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56B1 (ko) 2011-03-15 2018-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195Y2 (ko) * 1986-03-31 1991-05-21
KR200170551Y1 (ko) 1997-10-31 2000-02-01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용 회로기판 케이스의 방열구조
JP3820711B2 (ja) * 1997-11-14 2006-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20010070551A (ko) * 2001-05-23 2001-07-27 이병국 공기 탱크를 갖춘 터보 압축기의 동압 공기 베어링
JP4624212B2 (ja) 2005-08-24 2011-02-0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50A1 (en) * 2019-05-24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533804B2 (en) 2019-05-24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742B1 (ko)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27457A (ja) 電気接続箱の止水構造
KR100973742B1 (ko) 세탁기
CN106382779A (zh) 显示控制装置和冰箱
KR20190125647A (ko) 물 침투 방지 케이싱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JP5001094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水抜き構造
KR101234033B1 (ko) 드럼세탁기의 인슐레이터
KR20060004825A (ko) 건조기의 도어 스위치 어셈블리
US7265309B2 (en) Button assembly of control panel assembly
KR100825955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KR100638945B1 (ko) 의류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부 화재 방지 구조
TW202125185A (zh) 防水觸控面板裝置
JP2007048034A (ja) 自動販売機の雨水浸入防止構造
KR102204611B1 (ko)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JP6072651B2 (ja) 開口部装置
KR200200263Y1 (ko) 세탁기의 버튼
KR200228749Y1 (ko) 건물 외벽의 통풍 및 배수구
KR20080051646A (ko) 드럼 세탁기
JP2007076521A (ja) 電気接続箱の位置決め構造
KR101049121B1 (ko) 드럼세탁기용 컨트롤 패널의 엘이디 서포터 구조
KR200485914Y1 (ko) 슬라이딩 창호용 관통홀 마감커버
KR101263316B1 (ko) 세탁기의 배수 구조
KR101192338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KR20050047771A (ko) 세탁기
KR200151223Y1 (ko) 세탁기 조작부의 불빛 퍼짐 방지구조
KR20070066602A (ko) 세탁물 처리 기기의 컨트롤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