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277A -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277A
KR20090029277A KR1020097001377A KR20097001377A KR20090029277A KR 20090029277 A KR20090029277 A KR 20090029277A KR 1020097001377 A KR1020097001377 A KR 1020097001377A KR 20097001377 A KR20097001377 A KR 20097001377A KR 20090029277 A KR20090029277 A KR 20090029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data
signal
priority
electronic de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투오모 사리키비
카리 카르카이넨
폴 히긴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9700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277A/ko
Publication of KR2009002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priority data)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칩셋{RESOURCE-LIMIT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EANS FOR PRIORITIZING SER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들은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휴대형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최근에, 휴대형 전자 장치, 특히 모바일 무선 전화기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및 서비스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왔다. 이들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형 전자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의 양과 처리 능력이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어떠한 전자 장치에서도, 기능들을 수행하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메모리 자원과 처리량은 제한되어 있다.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휴대형 전자 장치로 가져오기 위한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이다. DVB-H는 텔레비전 채널과 같은 휴대형 전자 장치에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 텔레비전 채널과 같은 DVB-H 서비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약적이다.
현재, 휴대형 전자 장치가 보다 많은 기능들을 수행하고자 하거나 또는 휴대형 전자 장치가 처리할 자원을 갖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면, 휴대형 전자 장치의 운영체제는 갑자기 동작이 멈추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로 요청된 모든 기능/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고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priority data)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칩셋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레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사용을 제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레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레벨과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사용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측면에 따르면,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레벨과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사용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하는 칩셋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 1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서 그것이 제 1 신호를 사용할 지 또는 제 2 신호를 사용할 지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가 가장 중요한 신호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결국 전자 장치의 제한된 처리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휴대형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복수의 휴대형 장치에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휴대형 전자 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면들은, 제 1 신호(140)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와 제 2 신호(130)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한 저장 장치(16)와,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와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를 비교하여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가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면 제 1 신호(140)의 사용을 중지하고 제 2 신호(130)를 사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1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개략도이다. 휴대형 전자 장치(10)는 프로세서(11), 사용자 입력 장치(12), 사용자 출력 장치(13), 트랜시버(15) 및 저장 장치(1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는 사용자 입력 장치(12) 및 트랜시버(15)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출력 장치(13) 및 트랜시버(15)에 출력을 제공하도록 접속된다. 프로세서(11)는 또한 저장 장치(16)에 대해 기록 및 판독하도록 접속된다.
프로세서(11)는,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을 해석하고 데 이터를 처리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배선형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2) 및 사용자 출력 장치(13)는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형성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12)는 예를 들어 키패드, 오디오 입력 또는 기타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출력 장치(13)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또는 기타 사용자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2) 및 사용자 출력 장치(13)는 예를 들어 처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저장 장치(16)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 제 1 컨텐츠 데이터(8) 및 제 2 컨텐츠 데이터(7)를 포함한다. 이들 항목들은 저장 장치(16)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는 단일 메모리 유닛 또는 복수의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저장 장치(16)가 복수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면,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 제 1 컨텐츠 데이터(8) 및 제 2 컨텐츠 데이터(7)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 또는 상이한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 장치(10)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은, 프로세서(11)에 로딩될 때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 션(17)은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로직 및 루틴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은 제 1 신호(140)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와 제 2 신호(130)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를 비교하는 수단과,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가 제 1 우선순위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나면 제 1 신호(140)의 사용을 중지하고 제 2 신호(130)를 사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17)은 전자기 반송 신호를 통해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도달할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CD-ROM 또는 DVD와 같은 기록매체와 같은 물리적 요소(9)로부터 복사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9)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제 1 및 제 2 무선 주파수 신호(140, 130)를 통해 제 1 및 제 2 컨텐츠/서비스를 복수의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로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70)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신호(140, 130)는 제 1 및 제 2 미디어 스트림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미디어 스트림은 제 1 및 제 2 컨텐츠/서비스 데이터(8,7)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70)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자(60)에 접속된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자(60)는 DVB-H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VB-H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으로 알려져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여러 서비스들이 단일 물리적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서비스에 대한 기간을 주기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동작한다. 예를 들면,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제 1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 데이터를 물리적 채널 상에서 제 1 기간에 전송하고, 그 다음에 제 2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 데이터를 동일 물리적 채널 상에서 제 2 기간 동안에 전송한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단일 물리적 채널 상에서 8 개의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데이터 버스트"에서 8 개의 서비스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가 부가적인 물리적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제 1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신호(140) 및 제 2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2 신호(130)를 전송하는 DVB-H 서비스 제공자(60)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신호(140) 및 제 2 신호(13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리적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여러 유형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에게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텔레비전 채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텔레비전 채널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주기적으로 휴대형 전자 장 치(10, 20, 30, 40)로 전송된다.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는 DVB-H 서비스 제공자(60)로부터 버스트 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 장치(16) 내의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의 프로세서(11)는 버퍼 os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인터럽트되지 않은 텔레비전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출력 장치(13)에 연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한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또한 텔레비전 채널 서비스 외의 다른 서비스를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VB-H 서비스 제공자(60)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 또는 뉴스 또는 기상 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매 시간, 매일, 매주와 같이 주기적으로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들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신된다 하더라도,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기예보 정보는 사용자의 장치(10, 20, 30, 40)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코어 네트워크(70)는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의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70)에 의해 요구될 때 이들 서비스에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70)는, 특히 중요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이용가능할 때,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의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는 또한 모바일 무선 전화기와 같이 동작 하게 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전자 장치(10, 20, 30, 40)는 GSM, GPRS 또는 UMTS를 이용하여 또는 예를 들면, 기타 모바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접속된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와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70)로부터 제 1 DVB-H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휴대형 전자 장치(100 상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한다. ESG는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저장되며,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ESG는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제공되는 텔레비전 채널의 상세를 제공할 수 있다. ESG는 사용자에게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이들 텔레비전 채널에 제공되고 이들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ESG는 또한 전술한 뉴스, 기상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와 같은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ESG를 통해 제 1 서비스를 수신할 것을 선택한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이동 전화기 회로를 제어하여 제 1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도록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에 요청 신호/메시지(110)를 전송한다. 요청 메시지(110)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는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응답 신호/메시지(120)를 휴대형 전자 장 치(10)에게 전송한다.
이와 달리, 장치(10)는 요청 메시지(110)를 셀룰러 네트워크(50)로 보내지 않고, 장치(10)에게 제 1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판단이 네트워크(7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50)는 제 1 서비스를 장치(10)로 푸시할 수 있도록 메시지(120)를 장치(10)로 전송한다.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제 1 서비스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제 1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수락할 수도 있고 수락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일실시예에서는, 장치(10)가 장치(10)가 제 1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셀룰러 네트워크(5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이 실시예에서는, 장치(10)가 제 1 서비스(10)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가 저장 장치(16)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ESG를 통해 제 1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선택할 때, 프로세서(11)는 이 데이터를 검색하고 장치(10)가 제 1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사용자가 제 1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는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서비스에 액세스하고자 할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70)는 사용자가 제 1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에게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휴대형 전자 장치(10)는 하나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 전자 장치(10)는 저장 장치(16)에 사용자에게 동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처리 자원 또는 충분한 양의 이용 가능한 메모리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DVB-H 서비스 제공자(6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저장 장치(16)에 저장되어 있는 우선순위 데이터와 관련된다.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 받았거나 또는 네트워크(70)에 의해 장치(10)로 푸시된 모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 데이터는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어느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데이터는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수치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숫자 5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를 나타내고, 숫자 1은 서비스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서비스와 관련된 우선순위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어 입력될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우선순위는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 데이터가 네트워크(70)에 의해 결정되면, DVB-H 서비스 제공자(60) 또는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는 사용자에 의한 요구시에 또는 주기적으로 우선순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도록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순위 데이터는 네트워크(70)에 의해 업데이터와 함께 ESG에 보내질 수 있다.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은 서비스의 유형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면, 텔레비전 채널 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운영체제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받을 수도 있다. 보다 큰 지연을 감당할 수 있는 서비스들은 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우선순위 레벨은 서비스의 최대 허용 지연 또는 서비스에 할당된 QOS(quality-of-service) 레벨과 직접 관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네트워크(70)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레벨을 그 위에 기록함으로써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네트워크(7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레벨을 그 위에 기록함으로써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70)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서비스에 할당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네트워크(70)가 어느 서비스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받는지를 판정하도록 할 수 없다.
우선순위 레벨은 동적이며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처음에 비교적 낮은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다. 만약 휴대형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지 않으면, 우선순위 레벨은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사용자가 소정 기간동안 그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의 특정 부분(예를 들면, 운영체제)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받을 수도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제 1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 및 제 2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를 저장한다.
단계 320에서, 사용자가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ESG에 액세스하고, DVB-H 서비스 제공자(60)로부터 제 2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선택한다. 단계 330에서, 휴 대형 전자 장치(10)의 프로세서(11)가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이용 가능한 처리 자원 및 메모리 자원이 충분한 지의 여부를 평가하여 제 2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 2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자원 데이터는 저장 장치(16)에 저장될 수 있다. 자원 데이터는 단순히 제 2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예를 들면, 텔레비전 채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는 제 2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휴대형 전자 장치(10)에서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자원 데이터는 네트워크(70)에 의해 휴대형 전자 장치(10)로 전송되었을 수도 있고, 제 2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얼마나 많은 처리 자원 또는 메모리 공간이 요구되는 지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제 2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다고 프로세서(11)가 판정하면, 단계 340에서 프로세스(11)는 제 2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 330에서,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현재 제 2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지 않다고 프로세서(11)가 판정하면, 단계 350에서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현재 다른 DVB-H 서비스(6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다른 DVB-H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장치(10)의 프로세서(11)가 판정하는 경우에, 이 방법은 단계 360으로 진행한다. 단계 360에서, 휴대형 전자 장치(10)의 프로세서(11)가 충분한 자원이 제 2 DVB-H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휴대형 전자 장치(10)는 이미 제 1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단계 350에서 프로세서(11)는 휴대형 전자 장치(10)가 현재 다른 DVB-H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이 방법은 단계 370으로 진행한다.
단계 370에서, 프로세서(11)는 저장 장치(16)로부터 제 1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 및 제 2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판독하고, 제 1 우선순위 데이터(18)를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9)와 비교한다.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8, 19)를 비교하는 중에, 프로세서(11)는 제 2 서비스가 제 1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비교 결과 제 1 서비스가 제 2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면, 이 방법은 단계 380 및 그 다음 단계 420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11)는 장치(10)가 제 1 및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지 않고, 제 2 서비스가 제 1 서비스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따라서 제 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것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제어한다.
제 2 서비스는 "취소 상태(cancelled state)" 또는 "대기 상태(queued state)"에 위치한다. 제 2 서비스가 취소 상태에 있으면, 장치(10)는 제 2 서비스 와 관련된 제 2 컨텐츠 데이터(7)를 포함하는 제 2 신호(130)를 수신하지 않는다.
제 2 서비스가 대기 상태에 있으면, 장치(10)는 장치(10)의 충분한 자원이 이용 가능한 나중 시점에 제 2 서비스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서, 충분한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 프로세서(11)는 요청 신호/메시지(150)를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에 보내 제 2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하도록 트랜시버(15)를 제어한다. 요청 메시지(150)를 수신하면, 고정된 셀룰러 네트워크(50)는 응답 신호/메시지(160)를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보내어 전자 장치(10)가 제 2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 장치(10)는 제 2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 2 신호(130)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10)가 제 2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는 저장 장치(16)에 저장된다. 일단 충분한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 프로세서(11)는 이 데이터를 검색하여 장치(10)가 제 2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제 2 서비스가 대기 상태에 있고 단계 330에서 장치(10)가 제 1 및 제 2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7,8)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메모리를 가졌지만 제 1 및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처리 자원은 갖지 않았다고 프로세서(11)가 판정한 경우, 프로세서(11)는 트랜시버(15)를 제어하여 요청 메시지(150)를 보내어 제 2 신호(130)를 수신한다. 응답 신호/메시지(160)가 셀룰러 네트워크(50)로부터 수신되면, 장치(10)는 제 2 신호(130)를 수신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장치(10)는 프로세서(11)가 제 2 컨텐츠 데이터(7)를 처리하거나 디코딩해서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지 않고 제 2 컨텐츠 데이터(7)가 저장 장치(16)에 저장되도록 제 2 신호(130)의 사용을 제한한다.
충분한 처리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예를 들어, 프로세서(11)가 제 1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컨텐츠 데이터(8)의 처리를 완료하면), 프로세서(11)는 제 2 컨텐츠 데이터(7)의 처리를 시작하여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 2 서비스를 출력한다.
단계 370에서 비교 결과, 제 2 서비스가 제 1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면, 이 방법은 단계 390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프로세서(11)는 제 1 신호(140)의 사용을 중지한다. 제 1 서비스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취소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된다.
제 1 서비스가 취소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되면, 제 1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계산 자원이 프로세서(11)에 의해 제 2 서비스에 재할당되고, 장치(10)는 제 1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중지한다.
프로세서(11)는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장치(10)가 두 서비스 모두를 제공할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과 제 2 서비스가 제 1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제 1 서비스보다는 제 2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라는 것을 통보한다.
제 1 서비스가 취소 상태에 있으면, 프로세서(11)는 트랜시버(15)가 제 1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신호(140)를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1)는 저장 장치(16)에 저장되는 제 1 컨텐츠 데이터(8)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도 있고 삭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비스가 텔레비전 채널이면, 프로세서(11)는 아직 프로세서(11)에 의해 처리/디코딩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출력되지 않은 저장 장치(16)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컨텐츠 데이터(8)를 삭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 1 서비스가 기상 업데이트 서비스이고 제 1 컨텐츠 데이터(8)가 기상 정보와 관련되면, 제 1 컨텐츠 데이터(8)는 삭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장치(10)의 디스플레이는 저장된 기상 정보를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이 정보가 오래되었거나 업데이트를 필요로 하는 것임을 통보할 수도 있다.
제 1 서비스가 대기 상태에 있으면, 일단 충분한 계산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 프로세서(11)는 트랜시버(15)가 제 1 서비스를 다시 수신하기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서비스가 대기 상태에 있고 단계 330에서 장치(10)가 제 1 및 제 2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7,8)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메모리 자원을 가졌지만 제 1 및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처리 자원을 갖지 않았다고 프로세서(11)가 판정하는 경우에, 프로세서(11)는 트랜시버(15)가 계속해서 제 1 신호(140)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에, 장치(10)는 프로세서(11)가 제 1 컨텐츠 데이터(8)를 처리 또는 디코딩하여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지 않고 제 1 컨텐츠 데이터(8)가 저장 장치(16)에 저장되도록 제 1 신호(140)의 사용을 제한한다.
충분한 처리 자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예를 들어, 프로세서(11)가 제 2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컨텐츠 데이터(7)를 처리 완료했을 때), 프로세서(11)는 사용 자 출력 장치(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 2 서비스를 출력하도록 제 1 컨텐츠 데이터(8)를 처리하기 시작한다.
비교 결과, 제 1 서비스 및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면, 이 방법은 단계 370으로부터 단계 380으로, 그 다음에 단계 400으로 진행한다. 단계 400에서, 프로세서(11)는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장치(10)가 두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기에 충분한 계산 자원을 갖고 있지 않음을 통보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 입력 장치(12)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명령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1)는 어느 서비스가 선택되는 지에 따라, 단계 390 및 42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한다.
이와 달리, 비교 결과, 제 1 서비스 및 제 2 서비스가 동일한 우선순위 레벨을 갖고 있다면, 장치(10)는 계속해서 제 1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 2 서비스를 취소 상태 또는 대기 상태가 되게 한다. 프로세서(11)는 제 1 및 제 2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데 충분한 계산 자원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출력 장치(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들과 관련된 우선순위 레벨은 동적이며 시간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서비스가 대기되면, 프로세서(11)는 제 1 또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8, 19)가 변하거나 제 1 또는 제 2 우선순위 레벨이 변할 때마다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11)는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18, 19)를 주기적으로 비교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제 2 서비스가 장치(10)에 의해 제공되고, 제 1 서비스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제 1 또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변하고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 간의 비교가 제 1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이제 제 2 서비스보다 더 높다고 나타내면, 프로세서(11)는 제 1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2 서비스를 대기 상태로 둠으로써 장치(10)의 계산 자원을 재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또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중 하나의 우선순위 레벨이 변했으며 그 결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변했음을 통보하도록 사용자 출력 장치(13)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가 사용하는 신호와 관련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전자 장치(10)가 그 신호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장치(10)는 신호의 중요도에 따라 자동으로(즉, 사용자의 개입 없이) 계산 자원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들 예에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형 전자 장치(10)에 의해 동시에 처리되는 두 서비스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장치가 둘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둘보다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 및 대기 상태에 있는 서비스를 포 함하는 리스트가 프로세서(11)에 의해 저장 장치(16)에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는 그들의 우선순위 레벨에 따라서 순서화될 수 있다.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이 리스트는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가 감당할 수 있는 지연이 감소하므로, 그 우선순위 레벨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서비스는 시간에 따라 리스트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들에 주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인은 특히 강조하였든지 간에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또는 도면에 도시된 임의의 특허가능한 특징들 또는 이들의 조합의 보호를 요구한다는 점에 유의하라.

Claims (27)

  1.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priority data)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면,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상기 제 1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컨텐츠와 관련되며 제 1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컨텐츠와 관련되며 제 2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의 비교 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 1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전에 상기 제 2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 2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시작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는 상기 제 1 컨텐츠에 의존하고,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는 상기 제 2 컨텐츠에 의존하는
    전자 장치.
  6. 제 4 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의존하고,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는 상기 제 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의존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는 상기 제 1 신호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때에 의존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이 중지되는 동안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가 변경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가 변경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면 상기 제 2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도록 변경되었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상기 사용자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 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소스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소스로부터의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전자 장치 외부의 소스로부터의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자 장치.
  15.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무선 주파수 신호이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3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수신하지 않게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 15 항 또는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제 1 컨텐츠와 관련되고 제 1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제 2 컨 텐츠와 관련되고 제 2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19. 제 16 항 또는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컨텐츠를 요구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컨텐츠의 수신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 2 컨텐츠를 수신할 것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컨텐 츠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계산 자원을 갖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계산 자원을 갖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이용가능한 계산 자원에 기초하는
    전자 장치.
  22. 제 19 항 또는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계산 자원을 갖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적어도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저장 장치 내의 이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에 기초하는
    전자 장치.
  23. 제 1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형이며, 상기 전자 장치가 모바일 무선 전화기로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6.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칩셋으로서,
    제 1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1 우선순위 데이터와 제 2 신호와 관련된 저장된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데이터가 상기 제 1 우선순위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낼 때, 상기 제 1 신호의 사용을 중지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칩셋.
  27. 제 1 신호와 관련된 제 1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우선순위 데이터 및 제 2 신호와 관련된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제 2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제 1 우선순위 레벨과 상기 제 2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사용을 제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97001377A 2009-01-22 2006-06-23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KR20090029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1377A KR20090029277A (ko) 2009-01-22 2006-06-23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1377A KR20090029277A (ko) 2009-01-22 2006-06-23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277A true KR20090029277A (ko) 2009-03-20

Family

ID=4069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377A KR20090029277A (ko) 2009-01-22 2006-06-23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337B2 (en) User interface method, system, and device in multitasking environment
US7418704B2 (en) Program execution apparatus
US8132175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capable of implementing multitasking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task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US20080113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ntents
US2016017393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edia casting management among multiple media casting devices supporting different media casting protocols
US912236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EP1579324B1 (en) Sharing a radio frequency interface resource
US8135745B2 (en) Storage management
US20100191886A1 (en) Resource-limit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eans for prioritizing services
US2008008653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962666B2 (en) Transfer apparatus, transfer system, program, and transfer method
EP281947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unsolicited location-based download
KR20090029277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칩셋
KR101879439B1 (ko) 적응적 비트레이트 영상 서비스 방법
KR101246724B1 (ko) 데이터 방송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버, 및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기억 매체
US11366872B1 (en) Digital navigation menus with dynamic content placement
JP4697143B2 (ja) ベアラ選択方法および装置
JPWO2011064925A1 (ja) コンテンツ出力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制御方法
KR20060094252A (ko) 대기모드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8345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편집 방법
KR2006008551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JP2008065710A (ja) 情報処理装置
JP2004334779A (ja) 電子装置
US20060098615A1 (en) Controlling a use of automated content
JP2011259187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