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590A - 골프 장갑 - Google Patents

골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590A
KR20090028590A KR1020090007446A KR20090007446A KR20090028590A KR 20090028590 A KR20090028590 A KR 20090028590A KR 1020090007446 A KR1020090007446 A KR 1020090007446A KR 20090007446 A KR20090007446 A KR 20090007446A KR 20090028590 A KR20090028590 A KR 2009002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glove
golf
finger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석
Original Assignee
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석 filed Critical 박길석
Priority to KR102009000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590A/ko
Publication of KR2009002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3Baseball or hockey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클럽의 그립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골퍼가 클럽의 그립을 손으로 잡을 때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잡지 않거나 가볍게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스윙이 가능해지도록 한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들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일체화된 구조의 골프 장갑에 있어서, 착용상태에서 사용자가 클럽의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을 이 손가락들 외에 잡지 않거나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왼손 장갑과 오른손 장갑의 전체 손가락 부분 중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선택된 손가락 부분들만을, 나머지 다른 손가락 부분과 색깔을 달리하여 색깔로써 구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장갑, 그립, 신축성 소재, 손목받침부

Description

골프 장갑{Golf Glove}
본 발명은 골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럽의 그립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골퍼가 클럽의 그립을 손으로 잡을 때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잡지 않거나 가볍게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스윙이 가능해지도록 한 기능성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골프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최근 국내에서도 골프에 대한 관심과 골프인구의 수가 크게 급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한국 프로골퍼들이 외국의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낸 것에 기인하지만, 많은 수의 골프장이 건설되어 일반 대중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주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골프가 축구, 농구, 배구 및 기타 운동과는 달리 신체적인 조건의 제약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 특히 각자 단독 책임하에 행해지는 운동이므로 더욱 흥미 를 느끼게 하는 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사교적인 운동이라는 점도 이유가 될 수 있다.
알려진 바대로 골프는 스윙(Swing)에 의하여 볼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보내는 운동이다. 스윙이란 볼을 치기 위해 클럽을 휘두르는 동작이며, 이때 클럽과 몸을 이어 주는 것은 양손이다. 따라서, 클럽을 휘두른다는 것은 팔을 휘두르는 것과 같다.
골프는 민첩한 운동신경을 요구하는 다른 운동과는 달리 목표지점을 머릿속에 상상하고 정지해 있는 볼을 주시한다는 점에서 높은 정신력과 집중력, 그리고 조건반사신경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골퍼들 사이에 이해되는 바에 따르면, 몸의 움직임과 클럽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잘 조합될 때 정확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골퍼의 그립이 부적절하면 골퍼는 백스윙 탑에 도달해서 클럽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결국 목표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없게 된다.
그립동작과 스윙동작을 좀더 용이하게 하게 위해서는 골프 장갑을 낀 상태로 한 손으로는 클럽의 그립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먼저 잡은 손의 손가락 부분을 감싸주어야 한다.
그리고, 골프 스윙 중 가장 중요한 점은 클럽의 그립을 잡을 때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가볍게 얹거나 잡지 말아야 할 손가락들을 구분하여 그립을 잡아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손이 스윙의 전 구간에서 앞뒤로 구부러지지 않고 자세를 유지해야만 골프 스윙의 정확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골프인구의 급증 추세에 맞추어 골프용품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으며, 각 업체에서 다양한 신제품들을 속속 출시하고 있는 바, 이는 골프 장갑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스윙 정확도 향상, 미끄럼 방지 등의 각종 기능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신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골퍼가 스윙동작시에 골프 장갑을 착용한 뒤 클럽의 그립을 잡게 되는데, 골프 장갑은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용 섬유제품을 재질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골프 장갑의 대부분이 미끄럼을 방지하거나 그립에 걸어줄 수 있는 밴드 등을 구비하여 그립의 파지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장갑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골프 장갑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그립을 잡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거나, 그립의 파지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것들이며, 정확한 그립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기능성이 부여된 골프 장갑들은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잡지 말아야 하거나 가볍게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을 구분해야 함에도, 대부분의 골퍼가 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그립을 잡는 것이 현실이다.
강하게 잡아야 할 손가락들을 구분하지 못하여 힘을 주지 않은 상태로 그립을 파지하게 되면 정확한 스윙동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골프 장갑에 그립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골프를 가르치는 프로들은 대부분 체형과 골격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그립 잡는 방법 중에 1가지를 선택하여 가르친다.
즉, 왼손 그립의 종류로서 도 9의 3가지 방법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클럽의 그립을 잡도록 하고 있는데, 동양인과 같이 체격과 골격이 작은 사람인 경우에는 엄지를 짧게 하여 잡는 숏섬을, 서양인과 같이 체격과 골격이 큰 사람인 경우에는 엄지를 길게 하여 잡는 롱섬을 잡도록 하고 있으며, 숏섬과 롱섬의 중간 길이로 잡는 미들섬을 잡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장갑은 단순히 손의 전체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구분할 뿐, 왼손 장갑의 엄지 부분이 그립 방식에 따라 구분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숏섬 그립 방식을 취할 경우에 장갑의 엄지 부분에서는 사용자의 엄지가 다 들어가지 못하고 끝 부분이 비어 있게 되고, 롱섬 그립 방식을 취할 경우에는 장갑의 엄지 부분이 사용자의 엄지보다 짧기 때문에 사용자 엄지의 손톱 끝 부분이 장갑의 엄지 부분에서 꽉 조여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숏섬이나 롱섬 그립 방식에서 사용자의 엄지에 골프 장갑의 엄지 부분이 정확히 착용되지 못하고 일부가 남거나 모자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바, 이는 손가락에 불편함을 주는 것은 물론 정확한 파지 자세를 불가능하게 하여, 스윙동작에 많은 지장을 주고, 정확한 스윙동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특히, 롱섬을 잡는 골퍼에게는 엄지 끝의 손톱이 압력받기도 하고 손가락 근 육을 긴장시켜 올바르게 그립을 잡을 수 없게 한다.
그리고, 스윙동작시에 스윙의 전 구간에서 손목이 앞뒤로 구부러지지 않고 자세를 유지해야만 골프 스윙의 정확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초보 골퍼나 중급 골퍼의 스윙 중에 문제가 되는 것은 스윙 동안 왼손 손목이 쉽게 꺾인다는 점이다.
따라서, 왼손 손목의 꺾임을 방지하고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장갑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엄지 부분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숏섬이나 롱섬의 자세에서 모두 착용감이 좋고 정확한 그립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윙동작시에 왼손 손목의 꺾임을 방지하고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들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일체화된 구조의 골프 장갑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장갑의 엄지 부분에 신축성 소재가 적용되어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엄지 부분의 중간부가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손등면 및 손바닥면으로부터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손등면 및 손바닥면에 연결된 엄지 부분의 기저부가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끼워지 는 손가락 부분들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일체화된 구조의 골프 장갑에 있어서, 스윙 중에 왼손 손목 꺾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왼손 장갑의 손목 부분이 사용자 손목을 감쌀 수 있게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 손목 위쪽을 덮는 부분에 손목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목받침부가 장갑의 손목 부분 윗면을 덮는 조임 덮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골프 장갑에 의하면, 엄지 부분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숏섬이나 롱섬의 자세에서 모두 착용감이 좋고 정확한 그립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 장갑에서는 사용자 손목의 위쪽을 덮는 부분에 손목받침부를 형성하여 스윙동작시에 왼손 손목의 꺾임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골프 장갑은 통상의 장갑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다섯 손가락이 각각 끼워지는 부분, 즉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부분, 그리고 손등면과 손바닥면이 모두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골프 장갑은 통상의 골프 장갑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형상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은 스윙동작시에 클럽의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잡지 않거나 가볍게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을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실시예는 클럽의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그렇지 않은 손가락들을 색깔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클럽의 그립을 잡을 때 왼손의 중지, 약지 및 소지, 그리고 오른손의 중지 및 약지가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이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그립을 잡지않거나 반대되는 손 위에 가볍게 얹기만 하는 손가락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 장갑에서는 왼손 장갑(10)에서도 사용자의 중지, 약지 및 소지가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윗면과 바닥면 모두 포함)(12,13,14)과, 오른손 장갑(20)에서 사용자의 중지 및 약지가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윗면과 바닥면 모두 포함)(21,22)에 대해서는 장갑의 나머지 부분과 쉽게 구분되도록 색깔을 달리하여 제작된다.
즉, 왼손 장갑(10)의 중지, 약지 및 소지 부분(12,13,14)과 오른손 장갑(20)의 중지 및 약지 부분(21,22)의 색깔을 장갑 나머지 부분과 색깔과 쉽게 구분되도록 차이가 나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왼손 장갑(10)의 중지, 약지 및 소지 부분(12,13,14), 오른손 장갑(20)의 중지 및 약지 부분(21,22)만을 적색이나 청색, 검정으로 색을 입히거나 그 색의 소재를 사용하여 장갑의 다른 손가락 부분과 구분되게 하고, 이때 장갑의 나머지 손가락 부분(손등면, 손바닥면 등도 포함 가능)을 백색이나 황색 등의 쉽게 구분 가능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골프 장갑에서 클럽의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 부분만을 구별이 되도록 색깔을 구분해놓게 되면, 골퍼가 장갑 착용 후 클럽의 그립을 잡고 어드레스 하는 상태에서 자율신경의 눈을 통해 무의식 중에서도 색깔로 구분해놓은 손가락만을 강하게 잡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퍼가 무의식 중에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왼손 장갑(10)의 중지, 약지 및 소지 부분(12,13,14), 그리고 오른손 장갑(20)의 중지 및 약지 부분(21,22)을 색깔을 달리하여 구분해놓음으로써, 골퍼가 그립을 잡을 때 항상 올바르게 그립을 잡는 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한편,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골프 장갑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가락들을 색깔로써 구분되게 하는 것이 아닌 소재 자체로써 구분되게 하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특히, 스윙동작 중에 클럽의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과, 잡지 않거나 가볍게 얹기만 해야 하는 손가락들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장갑에서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 부분들을 두께가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구분되게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을 강하게 잡아야 하는 손가락들은 왼손의 중지, 약지 및 소지, 그리고 오른손의 중지 및 약지이므로, 그립을 잡았을 때 이들 손가락들만이 느낌으로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무의식 중에 힘을 주어 잡을 수 있도록, 골프 장갑의 해당 손가락 부분을 두께가 두꺼운 소재로 제작한다.
이때, 도 2에서 해칭된 부분, 즉 왼손 장갑(10)의 중지, 약지 및 소지 부분(12,13,14)의 바닥면과, 오른손 장갑(20)의 중지 및 약지 부분(21,22)의 바닥면에만 두께가 두꺼운 소재를 재봉하여 적용한다.
이와 같이 특정 손가락 부분의 바닥면을 두꺼운 소재로 만들 경우, 골퍼가 장갑을 끼고 그립을 잡았을 때, 두꺼운 소재로 된 손가락 부분이 그립에 먼저 닿기도 하면서 압력이 그립에 더 강하게 전달되고, 또한 골퍼가 느낌상으로 힘을 주어야 할 손가락들을 더욱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바, 소재 두께로 구분해놓은 손가락만을 강하게 잡도록 쉽게 유도가 가능해진다.
한편,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를 쉽게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클럽의 그립을 잡을 때 왼손의 엄지를 취하는 자세에 따라 숏섬, 미들섬, 롱섬의 형태로 그립을 잡게 되는데, 각 그립 방식에 따라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 장갑에는 엄지 부분(11)의 중간부(11a)에 신축성을 가진 소재를 적용하며, 이때 신축성 소재가 엄지 부분(11)의 끝단부와, 손등면(15) 및 바닥면(25)에 연결된 기저부(11b) 사이를 연결하도록 재봉된다.
이때, 신축성을 가진 소재는 디자인을 고려한 다양한 색깔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엄지 부분(11)의 중간부(11a)에 신축성 소재를 재봉하여 연결하는 경우,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될 수 있게 되어, 골프에서 중요한 왼손 그립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 상의 불편함 없이 정확하게 취할 수 있다.
특히,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 가능하므로, 숏섬에서 장갑의 엄지 부분 끝의 공간이 빈공간으로 남거나, 롱섬에서 사용자의 엄지가 압력을 받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왼손 엄지의 위치를 숏섬, 미들섬, 롱섬 위치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고(도 4 참조), 다양한 위치에서 왼손 엄지의 역할을 느끼면서 연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자신만의 정확하고 흔들리지 않는 스윙 아크를 만들어줄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는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를 쉽게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며, 도 3과 비교할 때 신축성 소재가 적용되는 부위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갑의 엄지 부분(11)과 손등면(15) 및 손바닥면(16) 사이의 엄지 부분 기저부(11b)에 신축성 소재가 적용되고 있으며, 엄지 부분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기저부의 신축성 소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재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갑의 엄지 부분(11) 전체가 손등면(15) 및 손바닥면(16)으로부터 신축성 있게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볼 때 손등면 및 손바닥면으로부터의 엄지 부분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는 장갑의 엄지 부분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 경우 역시 도 6에 나타낸 바대로 어떠한 불편함 없이 숏섬, 미들섬, 롱섬의 그립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그립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초보 골퍼나 중급 골퍼들의 스윙 중에 문제가 되는 왼손 손목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장갑으로,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장갑(10)의 손목 부분을 사용자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한 뒤 사용자 손목 위쪽을 덮는 부분에 손목받침부(17a)를 형성하여 제작된 것이다.
여기서, 손목받침부(17a)는 장갑의 손목 부분의 윗면을 덮는 조임 덮개(17) 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손목을 받쳐줄 수 있는 손목받침부(17a)를 형성하여, 스윙동작시에 손목받침부에 의해 손목 관절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손목의 꺾임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갑의 손목 부분의 조임 덮개(17)를 제작할 때, 어느 정도의 표면탄성 및 유연성은 있으면서도 장갑의 다른 부분의 소재에 비해 딱딱한 원단이나 소재를 조임 덮개 부분에 삽입 또는 재봉하여 부착함으로써, 손목받침부(17a)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덮개(17)가 장갑(10)의 손목 부분의 윗면 및 손등면(15)쪽에 위치하므로, 손목받침부(17a)는 기본적으로 손목이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스윙 도중 손목 관절 전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스윙 전 구간에서 손목이 앞뒤로 구부러지지 않고 정확한 손목 자세가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바, 스윙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왼손 장갑 11 : 엄지 부분
11a : 중간부 11b : 기저부
12 : 중지 부분 13 : 약지 부분
14 : 소지 부분 17 : 조임 덮개
17a : 손목받침부 20 : 오른손 장갑
21 : 중지 부분 22 : 약지 부분

Claims (5)

  1.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들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일체화된 구조의 골프 장갑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장갑의 엄지 부분에 신축성 소재가 적용되어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엄지 부분의 중간부가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엄지 부분의 길이가 손등면 및 손바닥면으로부터 신축성 있게 조절되도록 손등면 및 손바닥면에 연결된 엄지 부분의 기저부가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4.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 부분들과 손등면 및 손바닥면이 일체화된 구조의 골프 장갑에 있어서,
    스윙 중에 왼손 손목 꺾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왼손 장갑의 손목 부분이 사용자 손목을 감쌀 수 있게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 손목 위쪽을 덮는 부분에 손목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목받침부가 장갑의 손목 부분 윗면을 덮는 조임 덮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KR1020090007446A 2009-01-30 2009-01-30 골프 장갑 KR20090028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446A KR20090028590A (ko) 2009-01-30 2009-01-30 골프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446A KR20090028590A (ko) 2009-01-30 2009-01-30 골프 장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19A Division KR20090027820A (ko) 2007-09-13 2007-09-13 골프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590A true KR20090028590A (ko) 2009-03-18

Family

ID=4069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446A KR20090028590A (ko) 2009-01-30 2009-01-30 골프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5092881A1 (ja) * 2013-12-18 2017-03-16 株式会社シマノ グロー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5092881A1 (ja) * 2013-12-18 2017-03-16 株式会社シマノ グロー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625A (en) Golfer&#39;s glove
US8146173B2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6272686B1 (en) Golf glove
US8205269B2 (en) Golf glove
US7207894B2 (en) Golf club gripping ai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221253B2 (en) Golf grip training glove
US10828553B2 (en)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US6725465B2 (en) Interlocking grip glove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KR20090028590A (ko) 골프 장갑
KR20090027820A (ko) 골프 장갑
KR100965695B1 (ko) 골프장갑
KR20040011582A (ko) 그립의 고정력과 밀착성을 높인 골프장갑
KR101830578B1 (ko) 손가락절곡유지수단과 이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JP3116418U (ja) スポーツ用手袋
KR200230129Y1 (ko) 그립 결착밴드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US9089762B1 (en) Golf glove
KR200215471Y1 (ko) 골프장갑
JP6812528B1 (ja) 運動用具
JP32234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US20230134158A1 (en) Golf glove
KR101120299B1 (ko) 골프용 장갑
JP3127829U (ja) ゴルフ用指サック
KR200352259Y1 (ko) 그립의 고정력과 밀착성을 높인 골프장갑
WO2007059550A1 (en) Glove/ball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