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480A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480A
KR20090028480A KR1020080090516A KR20080090516A KR20090028480A KR 20090028480 A KR20090028480 A KR 20090028480A KR 1020080090516 A KR1020080090516 A KR 1020080090516A KR 20080090516 A KR20080090516 A KR 20080090516A KR 20090028480 A KR20090028480 A KR 2009002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requency characteristic
remote terminal
xds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오까도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04M3/30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 H04M3/304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using modulation techniques for copper pairs and using xDSL mod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34Testing for cross-ta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장치(401)와 제2 통신 장치(202)가 통신 라인(500)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며, 제1 통신 장치(401)는, 국사(center office)(100)와 가입자 집(200)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4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401)는,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국사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서 사용되는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Figure P1020080090516
국사, 가입자 집, 통신 장치, 주파수 특성, 라인, 원격 단말, 제어 프로그램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출원은 2007년 9월 14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7-24001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metallic cable)에서 수 M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x는, A, H, S, V 등의 총칭)에 적용되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고속의 디지털 통신 시스템으로서, xDSL이 보급되고 있다. xDSL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을 사용하여 수 M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xDSL로서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SDSL(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이 있고, 전송 속도, 속도의 대칭/비대칭 등의 차이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이들을 총칭하 여 xDSL이라고 칭한다.
또한, xDSL은, 베스트 에포트형 서비스(a best effort type service)라고 불리며, 그 전송 속도는,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나 잡음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가 짧고 잡음도 적은 환경 조건에서는, 전송 속도가 빠르게 된다.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가 길고 잡음이 큰 환경 조건에서는, 전송 속도가 작아진다.
또한, xDSL은, 변조 방식으로서 DMT(Discrete Multi Tone)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DMT 방식에서는, 모뎀이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초기화 트레이닝을 행하여,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나 각 캐리어의 SNR(Signal to Noise Ratio)값을 측정한다. 그런 다음, 각 캐리어의 측정된 SNR값에 기초하여, 각 캐리어에 배치되는 비트 레이트를 계산하고, 전술된 계산된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 넘버 i(i는, 임의의 정수)의 SNR값을 SNRi로 하고, 캐리어 넘버 i가 m번째 ∼ n번째 각 캐리어에 배치되는 비트 레이트의 총합 Totalrate를,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한다. 그런 다음, 계산된 비트 레이트의 총합(Totalrate)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Figure 112008064952671-PAT00001
단, S는, 심볼 레이트를 나타내고, G.992.1과 호환되는 ADSL의 경우에는 S= 4kHz로 된다. 또한, Γ은, 실효 SNR 갭이며, 에러 레이트가 10-7인 경우에는, Γ=9.75dB로 된다.
또한, xDSL에서의 가장 지배적인 잡음은 다른 라인으로부터의 누화이다. 누화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근단 누화『NEXT』(누화원과 피누화원이 역방향)와, 원단 누화『FEXT』(누화원과 피누화원이 동일 방향)가 있다. 일반적으로 원단 누화『FEXT』가 근단 누화『NEXT』보다도 누화의 영향이 작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근단 누화『NEXT』와, 원단 누화『FEXT』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라인(1)을 측정 대상으로 가정한 경우, 측정 대상으로 주목하는 통신 라인(1)과 동일 방향으로 신호가 흐르는 통신 라인(2)을 『누화원』으로 하는 것이 원단 누화 『FEXT』이다. 원래 전송할 신호는,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를 따라 감쇠하므로,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에 따라서 이 원단 누화 『FEXT』의 누화량도 상대적으로 감쇠하게 된다.
또한, 측정 대상으로서 주목하는 통신 라인(1)과 역방향으로 신호가 흐르는 통신 라인(3)을 『누화원』으로 하는 것이 근단 누화 『NEXT』로 된다. 본래 전송할 신호는, 통신 라인의 전송 거리를 따라 감쇠하는 반면, 근단 누화 『NEXT』의 누화량은, 원래 전송할 신호의 전송처에서 많아진다. 결과적으로, 근단 누화 『NEXT』가 원단 누화 『FEXT』보다도 누화의 영향이 현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xDSL의 시스템 구성에서는, 국에 설치된 xDSL의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0, 11)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이 도입되고 있으며,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xDSL Termination Unit-ONU)(40)는 가입자 집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xDSL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의 시스템 구성을, 도 3에 도시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시스템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국사로부터 가입자 집까지 접속하고 있는 통신 라인(31)을 도중에 절단하고, 절단 개소(disconnected section)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를 설치하는 방법이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국사로부터 원격 단말까지의 통신 라인(31')은, 계속해서 아날로그 전화용 라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를 새롭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정보 통신 기술 위원회(TTC)의 스펙트럼 관리 표준(JJ-100.01)의 규정에 따라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누화의 영향이,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10, 20)에 미치지 않도록,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송신 PSD(Power Spectrum Density)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시스템 구성의 경우에는, 국에 설치된 xDSL의 xTU-C(10)와,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설치 위치가 서로 다르다. 결과적으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원단 누화 『FEXT』는,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의 xTU-C(10)의 통신 라인(30)의 도중으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로부터 발생하는 원단 누화 『FEXT』가,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40, 21)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10, 20)의 xTU-R(xDSL Termination Unit-Remote side)(20)에 대하여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원단 누화 『FEXT』를 경감하고, 그 원단 누화 『FEXT』의 영향이,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의 xTU-R(20)에 미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원단 누화 『FEXT』를 경감하는 방법은,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의 송신 출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르 포함한다.
예를 들면, VDSL에 대한 권고인 ITU-T 권고 G.993.1에는, 국에 설치된 ADSL의 신호 대역인 1.1MHz 이하의 송신 출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기능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다.
또한, ITU-T 권고 G.993.2에는, 국에 설치된 ADSL로부터의 누화의 영향과 동등하게 되도록, 원격 단말에 설치된 VDSL의 송신 출력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에 설치된 ADSL의 송신 출력 레벨이 통신 라인에 의해 감쇠 되는 레벨과 동일한 레벨로 되도록 원격 단말에 설치된 VDSL의 송신 출력 레벨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국에 설치된 ADSL의 송신 출력 레벨이 알려지고, 국에 설치된 ADSL로부터 원격 단말에 설치된 VDSL의 원단 누화 『FEXT』가 혼입하는 지점까지의 통신 라인의 감쇠량의 정보를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보다 먼저 출원된 기술 문헌으로서, DSLAM 장치를, 전화국 외에, 또한, 가입자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하는 점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18319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국사 외에 DSLAM을 설치한 경우에, ISDN과 xDSL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5-184389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송신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를 조정하고, 서로 다른 시스템의 PSD간의 중복을 감소시키고, 누화를 경감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표 2000-500948호 공보(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가입자측 장치의 상향 송신 전력을 자동적으로 최적의 레벨로 조정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문헌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33379호 공보(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 2에는, 국사 외에 DSLAM을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는, 송신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를 조정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4에는,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을 이용하여 라인 길이를 계산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4에는,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그 필요성에 대해서도 시사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특허 문헌 1∼4는,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의 누화의 영향이,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에 미치지 않도록, 원격 단말에 설치된 통신 장치의 송신 출력을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요약>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술한 과제인,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 장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이며, 상 기 통신 장치는, 국사와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된다.
<통신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장치와, 제1 통신 장치에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국사와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라인에서 사용하는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통신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이며,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는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국사와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된다.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는,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이며, 상기 통신 장치는, 국사와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의 누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요>
우선,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장치(401:DSLAM에 상당)와, 제2 통신 장치(202:xTU-R에 상당)가 통신 라인(500)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다.
제1 통신 장치(401)는, 국사(100)와 가입자 집(200)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400)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장치(401)는,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국사 라인(600:통신 라인에 상당)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원격 단말(400)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401)의 누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격 단 말(400)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401)의 누화의 영향이,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우선,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국사 측에 있는 장치인 xTU-C(XDSL Termination Unit-Center side)(101)와, 가입자 집 측에 있는 장치인 xTU-R(XDSL Termination Unit-Remote side)(201)이 통신 라인(300)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국에 설치된 xDSL을 구성한다. 또한, xTU-C(101)는, 국사(100)에 설치되고, xTU-R(201)은, 가입자 집(200)에 설치된다.
또한, 원격 단말 측에 있는 장치인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401)과, 가입자 집 측에 있는 장치인 xTU-R(202)이 통신 라인(5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을 구성한다. DSLAM(401)은, 원격 단말(400)에 설치되고, xTU-R(202)은, 가입자 집(200)에 설치된다. 또한, 원격 단말(40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국사(100)와, 가입자 집(200) 사이에 존재한다. 또한, 원격 단말(400)과, 국사(100)는 통신 라인(6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DSLAM(401)의 내부 구성>
하기에, DSLAM(40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DSLAM(401)은, 원격 단말 측에 있는 장치인 xTU-O(xDSL Termination Unit-0NU)(402)와, 라인 해석부(403)와, 메모리(404)를 포함한다. 또한, 라인 해석부(403)는, 원격 단말(400)과 국사(1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을 해석하고,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한다.
<처리 동작>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된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우선, 라인 해석부(403)는,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을 이용하여, 펄스 신호를 통신 라인(600)에 송신한다(단계 S1). 또한, 원격 단말(400)로부터 송신된 펄스 신호는, 국사(100)로부터 반사되고, 반사된 펄스 신호가 원격 단말(400)에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라인 해석부(403)는, 국사(100)로부터 반사된 펄스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2).
그런 다음, 라인 해석부(403)는, 단계 S2에서 수신된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하고, 계산된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메모리(404)에 기록한다(단계 S3).
또한, 단계 S2에서 수신된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단계 S3에서 계산된 주파수 특성은, 통신 라인(600)의 왕복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라인 해석부(403)는, 상기 계산한 주파수 특성의 절반의 값을, 메모리(404)에 기록한다.
그런 다음, xTU-O(402)는, 메모리(404)를 참조함으로써,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xDSL의 하향 송신 PSD를 계산한다(단계 S4).
예를 들면, 소정의 송신 출력값이 PSD(f)이고,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이 |H(f)|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 xTU-O(402)로부터 통신 라인(500)에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값 PSD는,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08064952671-PAT00002
그런 다음, xTU-O(402)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된 하향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작용 및 효과>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400)에 설치된 DSLAM(401)은, 우선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DSLAM(401)은, 상기 계산된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xDSL의 하향 송신 PSD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하향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DSLAM(401)은,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400)과 가입자 집(200) 사 이의 통신 라인(500)에서 사용하기 위해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원격 단말에 설치된 DSLAM(401)의 송신 출력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단말(400)에 설치되는 DSLAM(401)의 누화의 영향이, 국에 설치된 기존의 xDSL에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DSLAM(401)은, TDR 측정용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함으로써,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DSLAM(401)은, 자동적으로 식별된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SLAM(401)은, TDR 측정용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함으로써,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실제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DSLAM(401)은, 실제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통신 라인(500)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원격 단말에 설치된 DSLAM(401)의 송신 출력을 정밀하게 규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DSLAM(401)이, TDR 측정용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DSLAM(401)이, TDR 측정용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DSLAM(401)이 자동적으로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되며,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처리 동작>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된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우선, 라인 해석부(403)는,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을 이용하여, 펄스 신호를 통신 라인(600)에 송신하고, 송신 시각을 기록한다(단계 A1). 또한, 원격 단말(400)로부터 송신된 펄스 신호는, 국사(100)로부터 반사되고, 반사된 펄스 신호가 원격 단말(400)에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라인 해석부(403)는, 국사(100)로부터 반사된 펄스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라인 해석부(403)는, 펄스 신호를 수신한 수신 시각을 기록한다(단계 A2).
그런 다음, 라인 해석부(403)는, 송신 시각과,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통신 라인(600)에 송신하는 시각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하는 시각까지의 시간 T(T=수신 시각-송신 시각)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시간 T와, 펄스 신호의 송신 속도 V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을 계산한다(단계 A3).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은, 예를 들면, r=V×T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계산 방법은 일례이며, 펄스 신호를 통신 라인(600)에 송신하는 시각부터 국사(100)로부터 반사된 펄스 신호를 수신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면, 모든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계산식에서, 펄스 신호의 전송 지연 등을 고려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라인 해석부(403)는,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메모리(404)에 기록한다(단계 A4).
예를 들면, 통신 라인(600)의 km당의 감쇠량이 |H1(f)|이고,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가 r인 경우를 가정하면,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는, 이하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64952671-PAT00003
그런 다음, xTU-O(402)는, 메모리(404)를 참조함으로써,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xDSL의 하향 송신 PSD를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한다(단계 A5).
그리고, xTU-O(402)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된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A6).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작용 및 효과>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단말(400)에 설치된 DSLAM(401)은, 우선 펄스 신호를 송신하는 시각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시각까지의 시간 T(T=수신 시각-송신 시각)에 기초하여, 국사(100)와 원격 단말(400) 사이의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을 식별한다. 그리고, DSLAM(401)은, 상기 식별된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DSLAM(401)이 자동적으로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식별하는 방법은,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을 계산할 수 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라인 해석부(403)가 미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따른 주파수 특성의 계산식을 유지한다.
그리고, 라인 해석부(403)는,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대응하는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계산한다.
또한, 라인 해석부(403)는, 라인 종류에 따른 주파수 특성의 계산식을 복수 유지하고, 그 복수의 계산식 중에서 1개의 계산식을 특정(specify)하고, 특정된 계산식 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대응하는 주파수 특성 H(f, r)을 계산한다.
이 경우, 라인 해석부(403)는, 통신 라인(600)의 라인 종류(예를 들면, 0.4mm 직경의 PE 케이블)를 미리 식별하고, 라인 종류(0.4mm 직경의 PE 케이블)에 따른 계산식을 이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대응하는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계산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n은 임의의 정수)과,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n)을 관계지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라인 해석부(403)는,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에 관계지어진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n)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과, 통신 라인(600)의 라인 종류 zn과,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zn(f, rn)을 관계지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라인 해석부(403)는, 통신 라인(600)의 라인 종류 zn을 식별하고,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과, 통신 라 인(600)의 라인 종류 zn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n과, 통신 라인(600)의 라인 종류 zn에 관계지어진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zn(f, rn)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다.
이런 방식으로, 라인 해석부(403)는,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식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의 DSLAM(401)은,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 라인(300)의 사용 대역을 추정하고,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대역을 추정한다. 그리고,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대역의 범위 내에서는, DSLAM(401)이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계산된 하향 송신 PSD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출력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 외에서는, DSLAM(401)이 소정의 송신 PSD(예를 들면, 최대 송신 PSD)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출력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DSLAM(401)이 통신 라인(500)의 송신 PSD를 소정의 송신 PSD(예를 들면, 최대 송신 PSD)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로써 DSLAM(401)이 통신 라인(500)의 xDSL의 전송 속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누화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되며,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가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는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처리 동작>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도 4에 도시된 DSLAM(401)에서 수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우선, xTU-O(402)는,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는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을, 스펙트럼 애널라이저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단계 B1). 또한,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측정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방법이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모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xTU-O(402)는, 상기 단계 B1에서 측정된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에 기초하여,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을 추정한다(단계 B2)
예를 들면,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의 측정 결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 결과가 얻어졌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xTU-O(402)는, 국에 설치된 xDSL로부터의 『누화 잡음』과 『배경 잡음』의 『경계점』에서의 주파수 대역을 식별함으로써,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잡음』은, DSL-AM(401) 자신이 발생하는 화이트 노이즈 등을 포함하는 잡음이며, 통상 상태에서 통신 라인(300)에 발생하는 기본적인 잡음이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국에 설치된 xDSL로부터의 『누화 잡음』이 발생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다.
그런 다음,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서는, xTU-O(402)가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계산된 하향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 외에서는, xTU-O(402)가 소정의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B3).
소정의 송신 PSD로서는, ITU-T 권고 G.993.2, 또는 ITU-T 권고 G.993.3에 개시되어 있는 최대 송신 PSD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1에,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와, 소정의 송신 PSD 간의 관계예를 나타낸다. 소정의 송신 PSD는, 도 11에 도시된 "A"에 대응하고,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는, 도 11에 도시된 "B"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이 13MHz 미만의 범위인 경우에는, xTU-O(402)가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을 『13MHz』라고 추정하게 된다. 따라서, xTU-O(402)는, 도 12에 도시된 실선으로 나타낸 값을 채용하고, 『13MHz』까지의 범위에서는, xTU-O(402)가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 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 "도 11에 도시된 B"를 채용하고, 채용된 하향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13MHz』이상의 범위에서는, xTU-O(402)가 소정의 송신 PSD "도 11에 도시된 A"를 채용하고, 채용된 소정의 송신 PS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한다.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의 xTU-O(402)는, 우선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을 추정한다. 그리고,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 내에서는, xTU-O(402)가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출력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국에 설치된 xDSL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 외에서는, xTU-O(402)가 소정의 송신 PSD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출력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xTU-O(402)가 통신 라인(500)의 송신 PSD로서 소정의 송신 PSD(예를 들면, 최대 송신 PSD)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xTU-O(402)가 통신 라인(500)의 xDSL의 전송 속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누화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국에 설치된 VDSL의 통신 라인(300)의 라인 길이가 긴 경우에는, 고주파 대역이 사용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주파 대역에 대하여, 송신 출력값의 감쇠를 행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전술한 본 실시 형태는, 국에 설치된 xDSL과,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쌍방이 VDSL인의 경우의 누화 잡음을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방법으로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TU-O(402)가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는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 『FEX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전술한 판단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xTU-O(402)가 도 9에 도시된 단계 B1에서 측정된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의 잡음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의 잡음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xTU-O(402)가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의 잡음이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xTU-O(402)가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즉,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인 경우에는,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의 잡음이 많이 발생하므로, xTU-O(402)는,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의 잡음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국에 설치된 xDSL이 VDSL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xTU-O(402)가, VDSL이 사용하고 있는 고주파 대역에 대하여, 송신 출력값의 감쇠 제어를 행하지 않고, 소정의 송신 PSD(예를 들면, 최대 송신 PSD)를 이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출력되는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실시 형태로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한 형태에서의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화선 등의 메탈릭 케이블에서 수 M비트/초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x는, A, H, S, V 등의 총칭)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근단 누화 『NEXT』와 원단 누화 『FEX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국에 설치된 xDSL의 xTU-C(10, 11)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국에 설치된 xDSL의 xTU-C(10)와,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4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련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련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
도 8은 통신 라인(600)의 라인 길이 r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600)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 H(f, r)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련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는 통신 라인(300)의 누화 잡음의 측정 결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xTU-O(402)가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채용하는 송 신 PSD의 값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정의 송신 PSD "A"와,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 "B"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xTU-O(402)가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채용하는 송신 출력 값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3MHz까지의 범위에서는, 누화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계산된 하향 송신 PSD "도 11에 도시된 B"를 채용하고, 13MHz 이상의 범위에서는, 소정의 송신 PSD "도 11에 도시된 A"를 채용하여, 통신 라인(5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원격 단말(400)과 인접하는 국에 설치된 xDSL이 사용하는 통신 라인(300)의 상향의 원단 누화 『FEX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xTU-O(402)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통신 라인
10, 11: 국에 설치된 xDSL의 xTU-C
40: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O
20: 국에 설치된 xDSL의 xTU-R
21: 국에 설치된 xDSL 또는 원격 단말에 설치된 xDSL의 xTU-R
30, 31, 31': 통신 라인
100: 국사
101: xTU-C
200: 가입자 집
201, 202: xTU-R
300: 통신 라인
400: 원격 단말
401: DSLAM
402: xTU-O
403: 라인 해석부
500: 통신 라인
600: 통신 라인

Claims (16)

  1. 통신 장치로서,
    국사(center office)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특정(specify)된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xDSL의 하향 송신 출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송신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라인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과 인접하는 인접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 대역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 대역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계산된 송신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라인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 대역의 범위 외에서는, 소정의 송신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라인에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용의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국사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는 통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라인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는 통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와,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서로 관계지어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라인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식별하는 통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와,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종류와,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서로 관계지어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와,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라인 길이와, 라인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식별하는 통신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국사 라인에 신호를 송신하는 시각부터 상기 국사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시각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국사 라인의 라인 길이를 식별하는 통신 장치.
  11.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국사와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국사와 상기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13. 통신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 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15.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어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제어 처리는, 국사와 원격 단말 사이의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원격 단말과 가입자 집 사이의 가입자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집 사이에 존재하는 원격 단말에 설치되는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을 식별하는 식별 처리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식별 처리에 의해 식별된 상기 국사 라인의 감쇠량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xDSL의 송신 출력을 제어하는 저장 매체.
KR1020080090516A 2007-09-14 2008-09-12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090028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0019 2007-09-14
JP2007240019A JP2009071719A (ja) 2007-09-14 2007-09-14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80A true KR20090028480A (ko) 2009-03-18

Family

ID=4020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16A KR20090028480A (ko) 2007-09-14 2008-09-12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74011A1 (ko)
EP (1) EP2037665A3 (ko)
JP (1) JP2009071719A (ko)
KR (1) KR20090028480A (ko)
AU (1) AU20082120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9532A1 (en) * 2011-03-28 2012-10-04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846A (ja) * 1993-09-01 1995-03-17 Fujitsu Ltd 非対称ディジタル加入者線制御方式
US6055297A (en) * 1996-08-02 2000-04-25 Northern Telecom Limited Reducing crosstalk between communications systems
US6282189B1 (en) * 1997-04-14 2001-08-28 Next Level Communications, L.L.P. Unified access platform for simultaneously delivering voice and cell-based services
JP3737666B2 (ja) * 2000-03-17 2006-01-18 富士通株式会社 加入者系伝送装置
US20020064221A1 (en) * 2000-11-30 2002-05-30 Yeap Tet Hin Apparatus for connecting digital subscriber lines to central office equipment
WO2002045383A2 (en) * 2000-11-30 2002-06-06 Esion Networks Inc. Apparatus for connecting digital subscriber lines to central office equipment
US7116760B2 (en) * 2000-12-04 2006-10-03 Acterna, L.L.C. System and method for single-ended line analysis for qualification and mapping
JP2003018319A (ja) 2001-07-05 2003-01-17 Hitachi Ltd 音声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4040569A (ja) * 2002-07-04 2004-0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クロック位相供給方法及びシステム
US7072449B2 (en) * 2002-12-13 2006-07-04 Alcatel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ower level for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in a conductor
JP4299655B2 (ja) 2003-12-18 2009-07-22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加入者電話システム
JP2006033379A (ja) 2004-07-15 2006-02-02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局側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060062288A1 (en) * 2004-09-21 2006-03-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ort loop ADSL power spectral density management
CN100426807C (zh) * 2005-09-30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降低串扰的方法及装置
FR2892262B1 (fr) * 2005-10-18 2008-10-10 Acterna Ipms Soc Par Actions S Procede de repartition de ressources materielles et logicielles de controle des liaisons haut debit
JP2007240019A (ja) 2006-03-06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US7839919B2 (en) * 2007-02-13 2010-11-23 Infineon Technologies Ag Adjusting transmit power spectra of transceiver devi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9532A1 (en) * 2011-03-28 2012-10-04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71719A (ja) 2009-04-02
US20090074011A1 (en) 2009-03-19
AU2008212028A1 (en) 2009-04-02
EP2037665A2 (en) 2009-03-18
EP2037665A3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053B2 (en) Training optimization of multiple lines in a vectored system using a prepared-to-join group
US7551544B2 (en) Power control of digital subscriber line
US20110206101A1 (en) Technique for noise mitigation in xdsl lines
JP4835293B2 (ja)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20120020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ubscriber loop crosstalk cancellation
EP24398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far end crosstalk channel
US10700739B2 (en) Crosstalk mitigation
KR20090028480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7480367B2 (en) Fault characterization us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echo
EP216993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100940383B1 (ko)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송신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2007329849A (ja)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EP20487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CN1996773A (zh) 避免数字用户线近端假激活的方法、装置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