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907A -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 Google Patents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907A
KR20090027907A KR1020070093090A KR20070093090A KR20090027907A KR 20090027907 A KR20090027907 A KR 20090027907A KR 1020070093090 A KR1020070093090 A KR 1020070093090A KR 20070093090 A KR20070093090 A KR 20070093090A KR 20090027907 A KR20090027907 A KR 2009002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eroxide
indoor
water
ozone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382B1 (ko
Inventor
윤제용
정우동
문성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9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6Peroxide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저항성이 높은 병원성 미생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가 개시된다. 실내 소독 방법에서는,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에 과산화수소를 제공하여 미생물을 전처리한 다음, 실내 공간에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제공하여 미생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유해 물질의 발생 없이 향상된 소독력으로 실내 공간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Method of Sterilizing a Room and Room Steriliz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성이 큰 병원성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의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오존을 이용한 미생물 소독공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음용수와 관련된 정수 처리 공정에서의 병원성 미생물 제어에 국한되어 왔다. 또한, 식품 저장소에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농도의 오존을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미생물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생물테러 대상 미생물인 탄저균(Anthrax)과 같이 화학적 및 물리적 저항성이 매우 크고, 치사율이 매우 높은 고병원성 미생물을 공기 혹은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실내공기 청정용 오존 발생기는 저농도의 건조한 오존가스를 장시간 발생시켜 실내의 미생물을 제어하는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장균(E.coli), 곰팡이, 악취, 휘발성 유기물, 포름알데히드 등 비교적 낮은 농도의 오존에도 쉽게 반응하는 미생물 혹은 유기물의 제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생물적 테러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오염된 지역을 소독하기 위한 군사적인 제독 방법으로, 잔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STB 제독제와 같이 고농도의 염소계열 제독제를 물과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스상의 멸균법인 포르말린 증기법(foraldehyde fumigation)의 경우 인체 유해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므로 민간 시설에서 발생된 생물테러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농도의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생물테러에 오염된 빌딩내부의 시설을 제독하는 기술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결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성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의 소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성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의 소독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에서는,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에 과산화수소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전처리한 다음, 상기 실내 공간에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는 과산화수소수를 에어로졸의 형태로 분무하여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는 물에 침지된 분산기에 오존 가스를 통과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소독 설비는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공급부, 및 상기 실내 공간에 연결되고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산화수소 공급부는 과산화수소수 제 공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수 제공부와 상기 실내 공간 사이에 개재하는 에어로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존 공급부는 오존 가스 생성부, 및 상기 오존 가스 생성부와 상기 실내 공간 사이에 개재하고 물에 침지된 분산기를 구비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에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저항성이 높은 병원성 미생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와 오존이 미생물과 접촉하여 발생된 수산화라디칼과 오존 자체의 산화력 등으로 인해 현저히 향상된 소독력으로 실내 공간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와 오존은 공기 중에서 인체에 무해한 산소 및 물로 분해되므로 소독과정에서 유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소독 후에도 별도의 중화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에 과산화수소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전처리한다(S100). 소독의 대상이 되는 실내 공간은 일반적인 미생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있는 실내를 비롯하여, 생물 테러에 의한 오염 시설이나 고병원성 미생물 또는 살균제에 강한 저항성을 지닌 미생물로 오염된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저균(Bacillus anthracis, Anthrax)과 같은 생물 테러에 이용 되는 미생물이나, 병원균으로 알려진 메티실린 내성 황생 포도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저항성이 크고 포자(spore)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글로비기(Bacillus globigi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계열의 미생물들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포어를 형성하는 미생물들은 주변 환경이 생육이 부적합할 때 자체 보호를 위해 두터운 보호막을 생성하여 일반적인 소독제 또는 멸균 방법이나 열 또는 태양광에 의해 사멸하지 않는 특성을 보인다.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제공되는 과산화수소는 그 공급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공기 및 내벽의 미생물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수를 에어로졸의 형태로 분무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5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과산화수소수에 대하여 에어로졸 생성기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한 다음, 이를 오염된 실내 공간에 분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과산화수소수 에어로졸은 초음파 처리기(sonicator)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수 에어로졸은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여 생성됨으로써,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다. 특히, 과산화수소수를 증발시켜 제조되는 기화 상태의 과산화수소와 비교하여 상기 과산화수소수 에어로졸은 수분의 함량이 훨씬 높은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상기 과산화수소수 에어로졸로 미생물을 전처리한 다음, 후속 공정에서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제공할 경우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하여 수산화라디칼의 생성이 보다 활발해질 수 있다.
이어서, 과산화수소로 처리된 미생물에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제거한다(S200). 상기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는 오존 가스 생성기에서 발생된 오존 가스를 물에 침지된 분산기(diffuser)로 통과시켜 오존 가스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에서, 오존의 농도는 미생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저항성이 낮은 일반적인 미생물의 경우 저농도의 오존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나, 저항성이 큰 미생물의 경우 약 500ppm 이상의 고농도의 오존을 사용해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성이 큰 미생물로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포어(Bacillus subtilis spore)의 경우 약 800ppm 이상의 오존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과산화수소로 처리된 미생물에 수분이 함유된 오존 가스를 접촉시키는 방법은 과산화수소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건조 오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산화력 및 살균력이 향상되어 미생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상태에서 과산화수소와 오존이 미생물과 접촉하여 발생된 수산화라디칼과 오존 자체의 산화력 등이 함께 작용하는 고도 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통해 현저히 향상된 소독력으로 실내 공간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 소독 설비는 실내 공간(5)의 상부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공급부(10), 실내 공간(5)과 과산화수소 공급부(10) 사이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분배부(40), 실내 공간에 연결되어 있는 오존 공급부(20) 및 오존 정화부(30), 및 송풍부(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과산화수소 공급부(10)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실내 공간(5)으로 제공하는 부재로서, 실내 공간(5)의 상부에 위치한다. 과산화수소 공급부(10)에서 제공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은 과산화수소 분배부(40)를 통하여 실내 공간(5)으로 유입된다.
도 3은 도 2의 과산화수소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과산화수소 공급부(10)는 물 제공부(11), 과산화수소 제공부(12), 교반기(14), 에어로졸 생성기(15), 송풍기(16) 및 배출구(17)를 구비한다. 과산화수소 제공부(12)에서 공급되는 과산화수소는 유출구(13)를 통하여 교반기(14)로 제공되고, 물 제공부(11)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교반기(14)에 의해 혼합된다. 혼합된 과산화수소수는 에어로졸 생성기(15)에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로 전환된 다음, 송풍기(16)의 도움을 받아 배출구(17)를 통해 도 2의 과산화수소 분배부(40)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기(15)로는 가습기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처리기(sonicator)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경우, 과산화수소와 다량의 수분이 함께 실내 공간(5)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기(15)에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의 농도 및 생성 속도를 조절 하는 장치가 부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과산화수소 공급부(10)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은 과산화수소 분배부(40)를 통해 실내 공간(5)으로 유입된다. 과산화수소 분배부(40)는 실내 공간(5)의 상부에 위치하며 과산화수소 공급부(10)의 배출구(17)에 연결된다. 또한, 과산화수소 분배부(40)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이 실내 공간(5)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실내 공간(5)에 분산되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과 접촉하여 미생물을 전처리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오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존 공급부(20)는 산소 공급부(21), 오존 가스 생성부(22), 물에 침지된 분산기를 구비하는 수분 공급부(23) 및 오존 배출구(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산소 공급부(21)로부터 제공되는 산소 가스는 오존 가스 생성부(22)에서 오존 가스로 전환된다. 생성된 오존 가스는 수분 공급부(23)를 거치면서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가 되어 실내 공간(5)에 연결되어 있는 오존 배출구(24)를 통해 실내 공간(5)으로 유입된다. 수분 공급부(23)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분산기가 물에 침지되어 있어, 수분 공급부(23)로 유입된 오존 가스는 버블링되어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또한, 수분 공급부(23)로 계속적으로 오존 가스가 공급되면, 오존 배출구(24)의 수분 함유 오존 가스의 증기압이 증가하여 실내 공간(5)으로 확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과산화수소로 전처리된 미생물이 있는 실내 공간(5) 에 오존 공급부(20)로부터 수분 함유 오존 가스가 제공되면, 상기 미생물과 오존 가스가 접촉하여 상기 미생물을 제거하게 된다. 소정의 시간 동안 과산화수소로 전처리된 미생물과 수분 함유 오존 가스가 접촉함으로써 미생물이 사멸하게 되고 실내 공간(5)은 빠르게 소독될 수 있다. 실내 공간(5)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부(50)는 실내 공간(5)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미생물,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및 수분 함유 오존 가스의 접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소독 설비는 실내 공간(5)에 연결되어 있는 오존 정화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존 정화부(30)에서는 미생물의 제거 후에 잔류하는 오존 가스를 제거하여 실내 공간(5)의 정화를 보다 신속히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제거력 평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생물의 제거력 평가
미생물의 제거력 평가는 저항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포어(Bacillus subtilis spore)를 건조 오존 가스 또는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처리하거나, 물 또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로 전처리한 미생물을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처리하여 미생물의 개체수 변화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 오존 가스를 이용한 소독 방법에서는 1,500ppm의 고농도 오존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포어에 주입하여 약 2시간 동안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분 함유 오존 가스를 이용한 소독에서는 오존의 농도 를 500ppm, 1,000ppm, 1,500ppm 및 5,000ppm으로 조절하여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평가하였다.
도 5는 건조 오존 가스와 미생물의 접촉 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의 건조 오존 가스로 처리한 경우에는 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주입하여도 미생물이 사멸되지 않아 개체수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포어와 같이 저항성이 큰 미생물은 건조 오존 가스로 처리하면 고농도의 오존을 사용하더라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수분 함유 오존 가스의 농도 및 미생물과의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000ppm의 오존 농도를 가지는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미생물을 처리한 경우, 약 25분 이내에 개체 수가 초기값에 비해 1/102의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500ppm의 농도를 가지는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미생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약 30분 이내에 개체 수가 초기값에 비해 1/106의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보다 빠르게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분 함유 오존 가스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경우,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오존의 농도에 차이가 있겠으나, 저항성이 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포어(Bacillus subtilis spore)의 경우 오존의 농도가 약 800ppm 이상인 것이 미생 물의 제거에 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물 또는 과산화수소 에어로졸로 전처리한 미생물을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처리하는 경우의 미생물의 제거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 또는 과산화수소의 전처리 시간을 1분과 3분으로 조절하였으며, 3%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이를 미생물과 접촉시켰다. 또한, 전처리된 미생물을 약 1,500ppm의 오존 농도를 가지는 수분 함유 오존 가스와 접촉시켰다.
도 7은 물 또는 과산화수소수로 전처리된 미생물에 대한 수분 함유 오존 가스와의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물로 전처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과산화수소 에어로졸로 전처리하는 경우에 미생물의 사멸이 훨씬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과의 접촉 시간은 1분인 경우에 비하여 3분인 경우에 미생물이 훨씬 빠르게 제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 에어로졸로 3분 동안 전처리한 미생물을 1,500ppm의 수분 함유 오존 가스로 처리한 경우, 약 7분 이내에 미생물의 개체 수가 초기값에 비해 1/106의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처리 과정이 없는 경우에 약 30분 이내에 1/106의 수준으로 감소한 것(도 6의 1,500ppm)과 비교하여,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의 전처리로 인하여 미생물의 제거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에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저항성이 높은 병원성 미생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와 오존이 미생물과 접촉하여 발생된 수산화라디칼과 오존 자체의 산화력 등으로 인해 현저히 향상된 소독력으로 실내 공간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와 오존은 공기 중에서 인체에 무해한 산소 및 물로 분해되므로 소독과정에서 유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소독 후에도 별도의 중화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소독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는 도 2의 과산화수소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오존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건조 오존 가스와 미생물의 접촉 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수분 함유 오존 가스의 농도 및 미생물과의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물 또는 과산화수소수로 전처리된 미생물에 대한 수분 함유 오존 가스와의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개체 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실내 공간 10: 과산화수소 공급부
20: 오존 공급부 30: 오존 정화부
40: 과산화수소 분배부 50: 송풍부

Claims (13)

  1.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에 과산화수소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 공간에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소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과산화수소수를 에어로졸의 형태로 분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수 에어로졸은 초음파 처리기(sonicator)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수는 1 내지 5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여분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는 물에 침지된 분산기에 오존 가스를 통과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는 800ppm 이상의 오존 농 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고저항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방법.
  8. 미생물로 오염된 실내 공간;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과산화수소 공급부; 및
    상기 실내 공간에 연결되고 수분을 함유하는 오존 가스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부를 포함하는 실내 소독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공급부는,
    과산화수소수 제공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수 제공부와 상기 실내 공간 사이에 개재하는 에어로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부는 초음파 처리기(sonicato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설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공급부는,
    오존 가스 생성부; 및
    상기 오존 가스 생성부와 상기 실내 공간 사이에 개재하고, 물에 침지된 분산기를 구비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설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소독 설비는,
    상기 실내 공간과 상기 과산화수소 공급부 사이에 개재하는 과산화수소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설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소독 설비는,
    상기 실내 공간에 연결되는 오존 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독 설비.
KR1020070093090A 2007-09-13 2007-09-13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KR10091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090A KR100912382B1 (ko) 2007-09-13 2007-09-13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090A KR100912382B1 (ko) 2007-09-13 2007-09-13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41A Division KR100937313B1 (ko) 2009-04-20 2009-04-20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07A true KR20090027907A (ko) 2009-03-18
KR100912382B1 KR100912382B1 (ko) 2009-08-19

Family

ID=4069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090A KR100912382B1 (ko) 2007-09-13 2007-09-13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23A (ko) * 2014-12-31 2016-07-12 (주)우정비에스씨 건물 내장형 멸균장치
CN111330046A (zh) * 2020-03-01 2020-06-26 杨凤珍 一种用于医疗室自动消毒设备
CN113101793A (zh) * 2021-04-21 2021-07-13 南京禄口禽业发展有限公司 一种尾气处理装置、一种尾气处理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3923B (en) * 1996-01-22 1998-11-01 Duskin Co Ltd Deodorization/odor-removal/disinfection method and deodorization/odor-removal/disinfection apparatus
JP4360049B2 (ja) 2001-06-07 2009-11-11 株式会社Ihi 過酸化水素滅菌装置
KR101174405B1 (ko) * 2004-03-31 2012-08-16 아키라 미즈노 멸균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23A (ko) * 2014-12-31 2016-07-12 (주)우정비에스씨 건물 내장형 멸균장치
CN111330046A (zh) * 2020-03-01 2020-06-26 杨凤珍 一种用于医疗室自动消毒设备
CN113101793A (zh) * 2021-04-21 2021-07-13 南京禄口禽业发展有限公司 一种尾气处理装置、一种尾气处理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382B1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090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JP5143387B2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JP5462025B2 (ja) アイソレータおよび細胞自動培養装置、ならびにアイソレータの滅菌処理方法
EP2127686A2 (en) Area decontamination via low-level concentration of germicidal agent
AU2015253811B2 (en) Process of killing spores using vaporuos peroxide composition
JP2013537433A (ja) プラズマ生成ガス滅菌法
JP2019531105A5 (ko)
WO2001078793A1 (en) Sterilization process for air, liquid and surfaces
KR100912382B1 (ko)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US20240033386A1 (en) A disinfection system, method and chamber thereof
Epelle et al. Ozone decontamination of medical and nonmedical devices: an assessment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CA2776850C (en) A method and system for disinfecting a greenhouse and greenhouse related enclosures
KR100937313B1 (ko) 실내 소독 방법 및 실내 소독 설비
WO2022049984A1 (ja) 殺菌処理方法及び殺菌処理装置
JPH11226579A (ja) 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200373329Y1 (ko)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JPH1080264A (ja) オゾン殺菌方法及びオゾン殺菌装置
JP2008155068A (ja) 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用途
US20220401610A1 (en) Ozone system for the inactivation of bacteria and viruses
US20070110611A1 (en) Method of Disinfecting Items In a Vacuum Using Ozone
WO2023127825A1 (ja) 殺菌方法及び殺菌装置
Fukuzaki Uses of gaseous hypochlorous acid for controlling microorganisms in indoor spaces
KR20090110795A (ko) 저농도 수준의 살균제를 통한 지역 오염 정화
WO2021009726A1 (en) Steriliz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steriliz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CA2663389A1 (en) Area decontamination via low-level concentration of germicidal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