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781A -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781A
KR20090027781A KR1020070092853A KR20070092853A KR20090027781A KR 20090027781 A KR20090027781 A KR 20090027781A KR 1020070092853 A KR1020070092853 A KR 1020070092853A KR 20070092853 A KR20070092853 A KR 20070092853A KR 20090027781 A KR20090027781 A KR 2009002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vex
leg
convex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희
Original Assignee
신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희 filed Critical 신재희
Priority to KR102007009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781A/ko
Publication of KR2009002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해주고, 하반신 관절인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줌으로써 하반신 관절에 무리가 덜 가게 해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로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엉덩이와 가랑이가 얹혀져 받쳐지는 안장; 상기 안장의 앞에서 1/3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고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는 축인 제 1다리지지부; 상기 제 1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의 앞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고관절조절부; 상기 고관절조절부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무릎관절조절부 보다는 위쪽에 위치하는 축인 제 2다리지지부; 상기 제 2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제 2고정부와 제 2동작부의 뒤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무릎관절조절부; 상기 무릎관절조절부 하단에 위치하는 축인 제 3다리지지부; 상기 제 3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이나 신발 밑창 등에 접촉하는 고무재질의 하단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관절, 무릎관절, 그레파이트(graphite), 티타늄(titanium)

Description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Automatic Control Device For Joint Of The Lower Half Of One's Body}
본 발명은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해주고, 하반신 관절인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줌으로써 하반신 관절에 무리가 덜 가게 해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의 하반신 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이나 소화마비 환자, 중풍 환자들은 기립자세로 서 있을 때나 보행시 하반신 관절에 하중이 가해지면 통증을 느끼게 되어 기립자세로 서 있는 것과 보행이 힘들다. 이에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해 주는 관절보조장치들을 착용하게 되지만 종래의 하반신 관절보조장치는 일직선의 다리지지부를 가지고 있어 환자의 체중이 하반신 관절에 몰리게 되어 그대로 환자 자신의 하중을 하반신 관절에 가하게 되어 관절에 무리를 주고 통증을 느끼게 했다. 또한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없을 경우 관절보조장치가 과도하게 꺽이게 되거나 기립자세로 서 있을 때 하중을 참지 못하고 관절 부분이 꺽여 넘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의 하반신 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 들이나 소화마비 환자, 중풍 환자들이 하중에 의해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기립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보행시 관절에 하중이 가해지게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가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해주고, 하반신 관절인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줌으로써 하반신 관절에 무리가 덜 가게 해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이도 기립자세를 유지 할 수 있게 해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반신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엉덩이와 가랑이가 얹혀져 받쳐지는 안장; 상기 안장의 앞에서 1/3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고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는 축인 제 1다리지지부; 상기 제 1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의 앞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고관절조절부; 상기 고관절조절부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무릎관절조절부 보다는 위쪽에 위치하는 축인 제 2다리지지부; 상기 제 2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제 2고정부와 제 2동작부의 뒤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무릎관절조절부; 상기 무릎관절조절부 하단에 위치하는 축인 제 3다리지지부; 상기 제 3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이나 신발 밑창 등에 접촉하는 고무재질의 하단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관절조절부는, 상기 제 1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앞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 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동작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앞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고정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1동작부; 상기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뒤편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용수철; 고관절조절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 각각의 앞쪽으로 제 2용수철의 말단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제 2용수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제 1고정부의 앞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1동작부의 제 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게 제 1동작부는, 상기 제 1동작부의 앞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1고정부의 제 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1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1볼록부; 상기 제 1볼록부를 제외한 제 1결합부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1오목부; 상기 제 1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1결합부가 제 2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1회전결합구; 상기 제 1회 전결합구와 제 2회전결합구에 끼워져 제 2결합부의 제 2볼록부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인 제 1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결합부는, 상기 제 2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2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2볼록부; 상기 제 2볼록부를 제외한 제 2결합부의 내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2오목부; 상기 제 2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1결합부가 제 2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2회전결합구;를 포함한다.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가 동작할 때 제 1고정부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 1동작부만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볼록부 중에서 제 1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과 제 2볼록부 중에서 제 2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2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2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1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굵기와 감는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가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다리지지부, 제 3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 무릎관절조절부는, 상기 제 2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뒤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 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동작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2고정부; 상기 제 2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뒤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고정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2동작부; 상기 제 2고정부와 제 2동작부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정면쪽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제 3용수철;로 구성된다.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제 2고정부의 뒤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2동작부의 제 4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3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동작부는, 상기 제 2동작부의 뒤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2고정부의 제 3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4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결합부는, 상기 제 3결합부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3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3볼록부; 상기 제 3볼록부를 제외한 제 3결합부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3오목부; 상기 제 3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3결합부가 제 4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3회전결합구; 상기 제 3회전결합구와 제 4회전결합구에 끼워져 제 4결합부의 제 4볼록부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인 제 2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4결합부는, 상기 제 4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4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4볼록부; 상기 제 4볼록부를 제외한 제 4결합부의 내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4오목부; 상기 제 4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3결합부가 제 4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4회전결합구;를 포함한다.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가 동작할 때 제 2고정부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 2동작부만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볼록부 중에서 제 3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과 제 4볼록부 중에서 제 4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4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4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3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오목부와 제 4오목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굵기와 감는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진 제 1다리지지부, 제 1고정부, 제 1동작부, 제 2다리지지부, 제 2고정부, 제 2동작부, 제3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안장에 엉덩이와 가랑이 사이를 얹혀 놓고 제 2다리지지부와 제 3다리지지부의 밴드나 고정장치로 다리에 장착한 후 바지 등의 의복 내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는 고관절조절부와 무릎관절조절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도 기립자세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하반신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어 하반신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아주어 사용자의 관절의 고통을 덜어준다. 이에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의 하반신 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이나 소화마비 환자, 중풍 환자들이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보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행시 움직이는 정도를 제 1결합부(320)와 제 2결합부(350), 제 3결합부(520)와 제 4결합부(550)의 결합 시 제 1볼록부(322)와 제 2볼록부(352), 제 3볼록부(522)와 제 4볼록부(552)의 부채꼴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관절의 움직임의 정도를 관절의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여 재활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주재료는 그레파이트(graphite) 또는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져 고강도이고 생체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옷 안에 착용이 가능하여 미관상 좋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고, 도 1c는 고관절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2a는 고관절조절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평면도이고, 도 2d는 도 2b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a는 무릎관절조절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 3결합부와 제 4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평면도이고, 도 3d는 도 3b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안장(10), 제 1다리지지부(20), 고관절조절부(30), 제 2다리지지부(40), 무릎관절조절부(50), 제 3다리지지부(60), 하단접촉부(70)로 구성되며 좌우가 대칭으로 좌우 다리에 장착되어진다.
안장(10)은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엉덩이와 가랑이가 얹혀져 엉덩이와 가랑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안장(10)은 엉덩이와 가랑이가 잘 걸쳐 않을 수 있는 모양을 이루어 의자에 앉는 듯 체중을 받쳐주어 하반신 관절의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기립자세를 유지하기 힘든 환자들이 편하게 몸을 지탱하고 보행할 수 있게 한다.
제 1다리지지부(20)는 안장(10)의 앞에서 1/3 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으로서 기립시 다리를 지탱하며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앞뒤로 움직인다.
고관절조절부(30)는 고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기립시 고관절의 꺽임을 방지하고 고관절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제 1다리지지부(20)의 하단에 위치한다. 고관절조절부(30)는 제 1고정부(32), 제 1동작부(35), 제 1용수철(37), 제 2용수철(39)를 포함한다. 제 1고정부(32)와 제 1동작부(35)의 앞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고관절조절부(30)는 각을 이루고 있어서 고관절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주게 된다. 이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 1고정부(32)는 제 1다리지지부(20)의 하단에 위치하여 앞쪽방향 아래쪽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동작부(35)와 결합하여 고관절조절부(30)의 각을 이룬다. 제 1고정부(32)는 제 1동작부(35)와 결합하여 제 1동작부(35)가 동작을 할 때 제 1고정부(32)는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서 제 1동작부(35)가 동작하는 범위를 제한해준다. 제 1고정부(32)는 제 1결합부(320)을 포함한다.
제 1결합부(320)은 제 1고정부(32)의 앞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제 1동작부(35)의 제 2결합부(350)와 결합한다. 제 1결합부(320)는 제 1볼록부(322), 제 1오목부(325), 제 1회전결합구(327), 제 1회전축(329)를 포함한다.
제 1볼록부(322)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1결합부(3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룬다. 제 1볼록부(322)은 제 1결합부(32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 본 발명의 구성에서의 시계방향은 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 으로 한다.)으로 볼록한 부분을 이룬다. 제 1결합부(32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은 제 2결합부(350)와 결합 시 제 2결합부(350)의 제 2볼록부(352)의 경계와 맞닿는다. 동시에 제 2결합부(350)의 제 2오목부(355)의 일부와 접촉한다. 하중에 의해 제 1다리지지부(20)에 힘이 가해지면 제 1볼록부(322)는 제 1고정부(32)의 제 1결합부(320)에 고정된 볼록한 부분으로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고 제 1동작부(35)의 제 2결합부(350)가 동작을 하게 된다. 제 1결합부(32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에서 시계방향으로 고정된 볼록한 모양을 하고 있어 제 2볼록부(352)가 시계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기립자세 유지시 고관절에 하중을 덜 가게 하면서도 고관절이 꺽이지 않도록 해준다. 이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갖추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기립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행 시 고관절이 움직일 때 고관절의 움직임 각도에 따라 제 1볼록부(322)의 부채꼴 각도를 설정하여 관절의 상태에 따라 각도를 조절한다.
제 1오목부(325)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1결합부(320)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으로 제 1결합부(320)에서 제 1볼록부(322)를 제외한 부분, 즉 제 1볼록부(322)의 볼록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제 1오목부(325)의 일부분은 제 2볼록부(352)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1오목부(325)와 제 2볼록부(352)가 접촉하지 않은 면적만큼 제 2볼록부(352)가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다. 제 1오목부(325)는 제 1결합부(320)과 제 2결합부(350)이 결합하여도 제 2결합부(350)의 제 2오목부(35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 1오목부(325)와 제 2볼록부(352)이 접촉하는 부분과 제 1볼록부(322)와 제 2오목부(355)이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 1오목부(325)와 제 2오목부(355)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빈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공간은 제 2볼록부(352)가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제 1회전결합구(327)는 제 1결합부(3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1결합부(320)가 제 2결합부(350)과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329)이 끼워진다.
제 1회전축(329)는 제 1결합부(320)의 제 1회전결합구(327)과 제 1결합부(350)의 제 2회전결합구(357)에 함께 끼워져 이들을 결합시켜 주고 제 2결합부(350)의 제 2볼록부(352)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을 이룬다.
제 1동작부(35)는 제 1고정부(32)의 하단에 위치하고 앞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고정부(32)와 결합하여 고관절조절부(30)의 각을 이룬다. 제 1동작부(35)는 제 1고정부(32)와 결합하여 동작할 때 제 1고정부(32)는 고정되어 있고 제 1동작부(35)가 동작하여 제 1고정부(32)에 의해 제 1동작부(35)의 동작하는 범위를 원하는만큼 제한시켜 준다. 제 1동작부(35)는 제 2결합부(350)을 포함한다.
제 2결합부(350)은 제 1동작부(35)의 앞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제 1고정부(32)의 제 1결합부(320)와 결합한다. 제 2결합부(350)은 제 2볼록부(352), 제 2오목부(355), 제 2회전결합구(357)를 포함한다.
제 2볼록부(352)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2결합부(350)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룬다. 제 2볼록부(352)는 제2결합부(350) 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을 이룬다. 제 2결합부(35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은 제 1결합부(320)와 결합 시 제 1결합부(320)의 제 1볼록부(322)의 경계와 맞닿는다. 동시에 제 1결합부(320)의 제 1오목부(325)의 일부와 접촉한다. 하중에 의해 제 1다리지지부(20)에 힘이 가해지면 제 1고정부(32)의 제 1볼록부(322)는 고정되어 있고 제 1동작부(35)의 제 2결합부(350)이 동작을 하게 된다. 기립자세 유지시 제 2볼록부(352)는 고정된 제 1볼록부(322)와 맞닿고 있으므로 제 2볼록부(352)는 시계방향 즉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아 기립자세를 유지시켜준다. 이에 별도의 장금장치를 갖추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시 고관절의 움직임 각도에 따라 제 1볼록부(322)와 제 2볼록부(352)의 부채꼴 각도를 설정하여 관절의 상태에 따라 고관절의 움직임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 2오목부(355)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2결합부(350)의 내측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제 2결합부(350)에서 제 2볼록부(352)를 제외한 부분, 즉 제 2볼록부(352)의 볼록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제 2오목부(355)의 일부분은 제 1볼록부(322)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2오목부(355)와 제 1볼록부(322)가 접촉하지 않은 면적만큼 제 2볼록부(352)가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다. 제 2오목부(355)는 제 1결합부(320)과 제 2결합부(350)이 결합하여도 제 1결합부(320)의 제 1오목부(32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 2오목부(355)와 제 1볼록부(322)이 접촉하는 부분과 제 2볼록부(352)와 제 1오목부(325)이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 2오목 부(355)와 제 1오목부(325)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빈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공간은 제 2볼록부(352)가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만약 고관절 움직임의 정도를 조절하고 싶다면 이 공간의 범위를 조절하면 된다. 즉, 제 1볼록부(322)와 제 2볼록부(352)의 부채꼴 각도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제 2회전결합구(357)는 제 2결합부(350)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2결합부(350)가 제 1결합부(320)과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329)이 끼워진다.
제 1용수철(37)은 제 1고정부(32)와 제 1동작부(35)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용수철로서, 고관절조절부(30)의 후편에 위치한다. 제 1용수철(37)은 기립자세 유지 시 고관절이 앞쪽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기립자세나 보행시 하중이 고관절조절부(30)로 가해질 때 충격을 흡수해 주어 고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행시 꺽여진 고관절을 피는 것을 보조해 주는 역할도 한다.
제 2용수철(39)는 고관절조절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 1고정부(32)와 제 1동작부(35) 각각의 앞쪽으로 제 2용수철(39)의 말단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어 하중이 고관절에 가해지는 경우 제 2용수철(39)의 탄성력에 의해 하중을 반중력 방향으로 작용시켜 하중을 줄여준다. 즉, 고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어 고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와 같이, 제 2용수철(39)은 고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어 충격을 완화하여 별다른 노력 없이 자동으로 고관절의 고통을 덜어준다. 제 2용수철(39)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굵기와 감는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한다.
제 2다리지지부(40)는 고관절조절부(30)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무릎관절조절부(50) 보다는 위쪽에 위치하는 축으로서 고관절 아래에서 무릎 위쪽의 다리 부분을 지탱해주는 축이다. 제 2다리지지부(40)의 위쪽 말단에는 제 1동작부(35)와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 말단에는 제 2고정부(52)와 연결되어 있다. 제 2다리지지부(40)에 다리가 고정될 수 있는 밴드나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릎관절조절부(50)는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기립시 무릎관절의 꺽임을 방지하고 무릎관절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제 2다리지지부(40)의 하단에 위치한다. 무릎관절조절부(50)는 제 2고정부(52), 제 2동작부(55), 제 3용수철(57)을 포함한다. 제 2고정부(52)와 제 2동작부(55)의 뒤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무릎관절조절부(50)는 각을 이루고 있어서 무릎관절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줄여주게 된다. 이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 2고정부(52)는 제 2다리지지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뒤쪽방향 아래쪽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동작부(55)와 결합하여 무릎관절조절부(50)의 각을 이룬다. 제 2고정부(52)는 제 2동작부(55)와 결합하여 제 2동작부(55)가 동작을 할 때 제 2고정부(52)는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서 제 2동작부(55)가 동작하는 범위를 제한해준다. 제 2고정부(52)는 제 3결합부(520)을 포함한다.
제 3결합부(520)은 제 2고정부(52)의 뒤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제 2동작부(55)의 제 4결합부(550)와 결합한다. 제 3결합부(520)는 제 3볼록부(522), 제 3오목부(525), 제 3회전결합구(527), 제 2회전축(529)를 포함한다.
제 3볼록부(522)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3결합부(5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룬다. 제 3볼록부(522)은 제 3결합부(52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 본 발명의 구성에서의 반시계방향은 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으로 볼록한 부분을 이룬다. 제 3결합부(52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은 제 4결합부(550)와 결합 시 제 4결합부(550)의 제 4볼록부(552)의 경계와 맞닿는다. 동시에 제 4결합부(550)의 제 4오목부(555)의 일부와 접촉한다. 하중에 의해 제 4다리지지부(50)에 힘이 가해지면 제 3볼록부(522)는 제 2고정부(52)의 제 3결합부(520)에 고정된 볼록한 부분으로 동작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고 제 2동작부(55)의 제 4결합부(550)가 동작을 하게 된다. 제 3결합부(52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된 볼록한 모양을 하고 있어 제 4볼록부(552)가 반시계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기립자세 유지시 무릎관절에 하중을 덜 가게 하면서도 무릎관절이 꺽이지 않도록 해준다. 이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갖추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기립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행 시 무릎관절이 움직일 때 무릎관절의 움직임 각도에 따라 제 3볼록부(522)의 부채꼴 각도를 설정하여 관절의 상태에 따라 각도를 조절한다.
제 3오목부(525)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3결합부(520)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으로 제 3결합부(520)에서 제 3볼록부(522)를 제외한 부분, 즉 제 3볼록 부(522)의 볼록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제 3오목부(525)의 일부분은 제 4볼록부(552)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3오목부(525)와 제 4볼록부(552)가 접촉하지 않은 면적만큼 제 4볼록부(552)가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다. 제 3오목부(525)는 제 3결합부(520)과 제 4결합부(550)이 결합하여도 제 4결합부(550)의 제 4오목부(55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 3오목부(525)와 제 4볼록부(552)이 접촉하는 부분과 제 3볼록부(522)와 제 4오목부(555)이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 3오목부(525)와 제 4오목부(555)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빈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공간은 제 4볼록부(552)가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제 3회전결합구(527)는 제 3결합부(5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3결합부(520)가 제 4결합부(550)과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529)이 끼워진다.
제 2회전축(529)는 제 3결합부(520)의 제 3회전결합구(527)과 제 4결합부(550)의 제 4회전결합구(557)에 함께 끼워져 이들을 결합시켜 주고 제 4결합부(550)의 제 4볼록부(552)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을 이룬다.
제 2동작부(55)는 제 2고정부(52)의 하단에 위치하고 뒤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고정부(52)와 결합하여 무릎관절조절부(30)의 각을 이룬다. 제 2동작부(55)는 제 2고정부(52)와 결합하여 동작할 때 제 2고정부(52)는 고정되어 있고 제 2동작부(55)가 동작하여 제 2고정부(52)에 의해 제 2동작부(55)의 동작하는 범위를 원하는만큼 제한시켜 준다. 제 2동작부(55)는 제 4결합부(550)을 포함한다.
제 4결합부(550)은 제 2동작부(55)의 뒤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 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며, 제 2고정부(52)의 제 3결합부(520)와 결합한다. 제 4결합부(450)은 제 4볼록부(552), 제 4오목부(555), 제 4회전결합구(557)를 포함한다.
제 4볼록부(552)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4결합부(550)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룬다. 제 4볼록부(552)는 제4결합부(55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을 이룬다. 제 4결합부(550)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은 제 3결합부(520)와 결합 시 제 3결합부(520)의 제 3볼록부(522)의 경계와 맞닿는다. 동시에 제 3결합부(520)의 제 3오목부(525)의 일부와 접촉한다. 하중에 의해 제 2다리지지부(40)에 힘이 가해지면 제 2고정부(52)의 제 3볼록부(522)는 고정되어 있고 제 2동작부(55)의 제 4결합부(550)이 동작을 하게 된다. 기립자세 유지시 제 4볼록부(552)는 고정된 제 3볼록부(522)와 맞닿고 있으므로 제 4볼록부(552)는 반시계방향 즉 뒤쪽으로 움직이지 않아 기립자세를 유지시켜준다. 이에 별도의 장금장치를 갖추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시 고관절의 움직임 각도에 따라 제 3볼록부(522)와 제 4볼록부(552)의 부채꼴 각도를 설정하여 관절의 상태에 따라 무릎관절의 움직임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 4오목부(555)는 우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제 4결합부(550)의 내측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제 4결합부(550)에서 제 4볼록부(552)를 제외한 부분, 즉 제 4볼록부(552)의 볼록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제 4오목부(555)의 일부분은 제 3볼 록부(522)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4오목부(555)와 제 3볼록부(522)가 접촉하지 않은 면적만큼 제 4볼록부(552)가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다. 제 4오목부(555)는 제 3결합부(520)과 제 4결합부(550)이 결합하여도 제 3결합부(520)의 제 3오목부(525)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 4오목부(555)와 제 3볼록부(522)이 접촉하는 부분과 제 4볼록부(552)와 제 3오목부(525)이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 4오목부(555)와 제 3오목부(525)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빈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공간은 제 4볼록부(552)가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만약 고관절 움직임의 정도를 조절하고 싶다면 이 공간의 범위를 조절하면 된다. 즉, 제 3볼록부(522)와 제 4볼록부(552)의 부채꼴 각도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제 4회전결합구(557)는 제 4결합부(550)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4결합부(550)가 제 3결합부(520)과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529)이 끼워진다.
제 3용수철(57)은 제 2고정부(52)와 제 2동작부(55)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용수철로서, 무릎관절조절부(50)의 정면쪽에 위치한다. 제 3용수철(57)은 기립자세 시 무릎관절이 꺽이는 것을 방지해주고 구부러진 무릎을 저절로 펴주는데 도움을 준다. 즉 제 3용수철(57)의 탄성력에 의해 구부러진 무릎은 펴지려는 힘을 받게 되어 별도의 힘 없이도 무릎을 펼 수 있게 한다. 이에 계단 등을 오를 때 구부러진 무릎을 펴주는데 힘이 덜 들어 무릎에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무릎에 하중이 덜 가해지므로 무릎의 통증을 줄일 수 있어 걷기가 편하다. 제 3용수철(57)의 굵기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변하게 되며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제 3용수철(57)의 굵기는 굵어진다.
제 3다리지지부(60)은 무릎관절조절부(50)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축으로서 무릎 아래쪽의 다리부분을 지탱해준다. 제 3다리지지부(60)의 위쪽 말단에는 제 2동작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 3다리지지부(60)에 다리가 고정될 수 있는 밴드나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접촉부(70)는 제 3다리지지부(60)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이나 신발안쪽의 밑창 등에 접촉하게 된다. 하단접촉부(70)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하단접촉부(70)가 지면 등에 접촉하여 하중이 가해질 때 충격을 완화시켜 주면서도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지탱해 받쳐준다.
상기의 제 1다리지지부(20), 제 1고정부(32), 제 1동작부(35), 제 2다리지지부(40), 제 2고정부(52), 제 2동작부(55), 제 3다리지지부(60)의 재질은 그레파이트(graphite) 또는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져 고강도이고 생체 친화적이다.
본 발명의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안장에 엉덩이와 가랑이 사이를 얹혀져 의자에 앉은 듯하게 편하게 하고 제 2다리지지부(40)와 제 3다리지지부(60)의 밴드나 고정장치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를 고정한 후 바지등의 옷을 입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는 옷 내에 착용하여 미관상 좋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니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는 당업자 가 공지된 다양한 구성요소들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고관절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a는 고관절조절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 1결합부와 제 2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평면도이다.
도 2d는 도 2b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a는 무릎관절조절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 3결합부와 제 4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도 3b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안장 20: 제 1다리지지부
30: 고관절조절부 32: 제 1고정부
35: 제 1동작부 37: 제 1용수철
39: 제 2용수철 40: 제 2다리지지부
50: 무릎관절조절부 52: 제 2고정부
55: 제 2동작부 57: 제 3용수철
60: 제 3다리지지부 70: 하단접촉부
320: 제 1결합부 322: 제 1볼록부
325: 제 1오목부 327: 제 1회전결합구
329: 제 1회전축 350: 제 2결합부
352: 제 2볼록부 355: 제 2오목부
357: 제 2회전결합구 520:제 3결합부
522: 제 3볼록부 525: 제 3오목부
527: 제 3회전결합구 529: 제 2회전축
550: 제 4결합구 552: 제 4볼록부
555: 제 4오목부 557: 제 3회전결합구

Claims (24)

  1.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엉덩이와 가랑이가 얹혀져 받쳐지는 안장; 상기 안장의 앞에서 1/3지점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고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는 축인 제 1다리지지부; 상기 제 1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의 앞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고관절조절부; 상기 고관절조절부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무릎관절조절부 보다는 위쪽에 위치하는 축인 제 2다리지지부; 상기 제 2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제 2고정부와 제 2동작부의 뒤쪽 방향으로의 결합에 의해 각을 이루고 있는 무릎관절조절부; 상기 무릎관절조절부 하단에 위치하는 축인 제 3다리지지부; 상기 제 3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면이나 신발 밑창 등에 접촉하는 고무재질의 하단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앞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 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동작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앞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앞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1고정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1동작부; 상기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뒤편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용수철; 고관절조절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고정부와 제 1동작부 각각의 앞쪽으로 제 2용수철의 말단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제 2용수철;으로 구성된 고관절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의 앞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1동작부의 제 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동작부의 앞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1고정부의 제 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1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1볼록부; 상기 제 1볼록부를 제외한 제 1결합부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1오목부; 상기 제 1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1결합부가 제 2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1회전결합구; 상기 제 1회전결합구와 제 2회전결합구에 끼워져 제 2결합부의 제 2볼록부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인 제 1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1결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2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2볼록부; 상기 제 2볼록부를 제외한 제 2결합부의 내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2오목부; 상기 제 2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1결합부가 제 2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1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2회전결합구;를 포함하는 제 2결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가 동작할 때 제 1고정부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 1동작부만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볼록부 중에서 제 1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과 제 2볼록부 중에서 제 2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9.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2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2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1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0.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오목부와 제 2오목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1. 제 1항 또느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굵기와 감는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다리가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나 고정장치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다리지지부, 제 3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다리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뒤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 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동작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2고정부; 상기 제 2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뒤쪽방향 위쪽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뒤쪽방향 아래쪽 사선으로 뻗어 있는 제 2고정부와 결합하여 각을 이루는 제 2동작부; 상기 제 2고정부와 제 2동작부의 사선으로 결합되어 벌어진 정면쪽 공간 사이에 연결되는 제 3용수철;로 구성된 무릎관절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의 뒤쪽방향 아래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2동작부의 제 4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3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동작부의 뒤쪽방향 위쪽으로의 사선의 말단에 위치하여 동그란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제 2고정부의 제 3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4결합부를 포함 하는 제 2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13항 또는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결합부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3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3볼록부; 상기 제 3볼록부를 제외한 제 3결합부의 외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3오목부; 상기 제 3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3결합부가 제 4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3회전결합구; 상기 제 3회전결합구와 제 4회전결합구에 끼워져 제 4결합부의 제 4볼록부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인 제 2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3결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13항 또는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결합부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으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제 4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에서 위쪽의 반지름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우측면도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으로 볼록한 제 4볼록부; 상기 제 4볼록부를 제외한 제 4결합부의 내측의 오목한 부분인 제 4오목부; 상기 제 4결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으로 제 3결합부가 제 4결합부와 결합하였을 때 제 2회전축이 끼워지는 제 4회전결합구;를 포함하는 제 4결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가 동작할 때 제 2고정부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 2동작부만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19. 제 16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볼록부 중에서 제 3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과 제 4볼록부 중에서 제 4결합부의 원모양 중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지름상의 위쪽 반지름 부분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0. 제 16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4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고 제 4오목부의 일부분은 제 3볼록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1. 제 16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오목부와 제 4오목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2. 제 1항 또는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굵기와 감는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3.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그래파이트(graphite) 또는 티타늄(titanium)으로 이루어진 제 1다리지지부, 제 1고정부, 제 1동작부, 제 2다리지지부, 제 2고정부, 제 2동작부, 제3다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안장에 엉덩이와 가랑이 사이를 얹혀 놓고 제 2다리지지부와 제 3다리지지부의 밴드나 고정장치로 다리에 장착한 후 바지 등의 의복 내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KR1020070092853A 2007-09-13 2007-09-13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KR20090027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53A KR20090027781A (ko) 2007-09-13 2007-09-13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53A KR20090027781A (ko) 2007-09-13 2007-09-13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781A true KR20090027781A (ko) 2009-03-18

Family

ID=4069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853A KR20090027781A (ko) 2007-09-13 2007-09-13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77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CN107613911B (zh) 身体支承装置
JP2758076B2 (ja) 片足障害者用成形外科器具
JP4067962B2 (ja) 人体補装具
WO2010134937A1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KR102119781B1 (ko) 족하수 보조기
JP6739625B2 (ja) 内外反膝矯正装置
JP2014104185A (ja) 運動補助装置及び運動補助方法
US20190133807A1 (en) Orthosis
WO2005030088A2 (en) Ankle-foot orthosis
KR101694848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102071611B1 (ko) 발목 근력 보조기
WO2024078573A1 (zh) 一种支具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JP6932831B2 (ja) エクソスケルトンサブ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ようなサブアセンブリを含むエクソスケルトン構造体
US6932096B2 (en) Modified crutch with three mode lower leg/foot support
JP6713124B1 (ja) 短下肢装具の後方支柱および短下肢装具
JP2016168437A (ja) 運動補助装置及び運動補助方法
JP2010110365A (ja) 長下肢装具
KR20090027781A (ko) 하반신 관절 자동조절장치
JP2006204485A (ja) 歩行補助機
KR200443470Y1 (ko) 자세교정기
CN209573370U (zh) 一种足内翻矫正鞋
KR102100146B1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