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066A -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066A
KR20090027066A KR1020070092249A KR20070092249A KR20090027066A KR 20090027066 A KR20090027066 A KR 20090027066A KR 1020070092249 A KR1020070092249 A KR 1020070092249A KR 20070092249 A KR20070092249 A KR 20070092249A KR 20090027066 A KR20090027066 A KR 2009002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touch pad
area
cour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욱
Original Assignee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009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066A/ko
Priority to US12/141,646 priority patent/US20090066665A1/en
Publication of KR200900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드의 채널을 교번하여 스캐닝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패드 구동회로를 갖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 및 터치 패드 구동 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 구동 장치는,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 CDC 부; CDC부에서 판정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메모리부; 메모리부의 데이터가 터치 패드 구동 칩과 연결된 다른 소자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입력부, CDC부, 메모리부, 및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터치 패드에서의 스캐닝 속도를 개선하여 터치 여부를 입력으로 하여 동작하는 다른 소자들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로우/하이(low/high), 래치, 커패시턴스 보상, 터치 패드

Description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A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touchpad}
본 발명은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채널을 n 번째 스캐닝할 때 모든 채널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n-1 번째 스캐닝에서 터치된 영역과 그 주변 영역만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그 외의 영역은 복수개의 채널 중 한 개의 채널만 선택하여 스캐닝함으로써, 스캐닝 속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이 터치 패드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LED, 액츄에이터(actuator), 오디오 등의 소자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터치 패드 구동용 집적 회로의 구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터치 패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 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Device;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패널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컴퓨터 주변 장치이다.
각종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리모콘이나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표시장치의 표시 면에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전자 수첩, LCD, PDP, 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 등과 같은 화상 표시장치의 표시 면에 터치 패드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드는 사용자가 화상 표시장치의 화면상에서 펜 또는 손가락으로 표면을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터치 패드는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형(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형(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 패드 중 정전 용량형 터치 패드의 기본 구조는 투명 전극이 형성된 필름을 액정 패널 상에 설치하고 상기 투명 전극에 균일한 전기장이 생성되도록 상기 필름의 각 모서리 또는 코너에 전압을 인가하여 손가락 또는 도전성 펜(conductive stylus)이 접촉되면 전압 강하가 발생하도록 하여 위치 좌표를 찾게 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드 구동용 반도체 칩(터치 패드 구동칩)은 터치 패드의 터치 여부에 따라 전달되는 전하의 양을 판독하여 터치 패드의 특정 단자가 터치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각 영역마다 채널이 존재하고 이 채널을 스캐닝하면서 각 채널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각 위치별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데, 이 스캐닝 동작은 각 채널을 모두 스캐닝해야 하므로 시간이 소모되는 과정이고 이 시간 소모는 이 터치 여부에 따라 진행되어야 하는바 각 기기의 응답 속도의 저하를 가 져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드에서의 스캐닝 속도를 개선하여 터치 여부를 입력으로 하여 동작하는 다른 소자들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터치 패드의 채널을 스캐닝할 경우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 중의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스캐닝하여 터치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다음 채널의 스캐닝에서는 1차 스캐닝에서 파악된 위치 부분만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그 외의 부분은 1차 스캐닝한 것과 유사하게 여러 개의 채널 중 한 개만 선택하여 스캐닝함으로써, 모든 채널을 스캐닝할 때보다 스캐닝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과 터치 패드의 입력에 대응하여 응답하는 기타 소자의 대응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드의 채널을 교번하여 스캐닝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패드 구동회로를 갖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동 장치는,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 CDC 부; 상기 CDC부에서 판정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 부의 데이터가 터치 패드 구동 칩과 연결된 다른 소자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CDC부, 메모리부, 및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CDC부에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CDC부에서 판정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부의 데이터가 터치 패드 구동 칩과 연결된 다른 소자로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 CDC부, 메모리부, 및 출력부의 동작이 제어로직부에 의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의 채널을 스캐닝할 때 이전 스캐닝에서의 위치에 따른 터치 여부 데이터를 판독하여 터치 부분은 세밀하게 스캐닝하고 터치되지 않은 영역은 그보다 덜 세밀하게 스캐닝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스캐닝하여 스캐닝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이 터치 신호를 입력받아서 대응하는 다른 소자의 응답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터치 패드 및 터치 패드 구동칩의 기본 동작 원리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와 터치 패드의 구동 장치의 연결 관계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즉, 도 1은 터치 패드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과 함께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 패드(101)는 가로축 세로축에 각각 복수개의 채널이 존재하고 먼저 가로축 Xi가 선택되면 Y0부터 Yn까지 각 채널이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면서 터치 패드 구동 장치(100)의 CDC(102) 회로에서 터치 여부가 판독된다. 그리고 가로축 Xi+1이 선택되면 Y0부터 Yn까지 채널이 스캐닝되면서 터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Xi과 Yi의 교점에서의 터치 여부는 그 교점에 존재하는 커패시턴스의 전하량 변화를 유발하고 이 전하량의 변화는 해당 채널이 터치 패드 구동 장치(100)에 의해 스캐닝되면서 구동 회로의 CDC(102) 부분에서 감지되어 터치 여부가 판단되고 이 터치 여부는 위치 정보와 함께 SRAM(104)에 저장되었다가 터치 입 력을 필요로 하는 오디오, 햅틱, 광원 (107)등으로 전달되어 이들이 동작하게 된다. 또한, MPU(105)가 터치 패드 구동 장치(100)과 기타 소자를 제어한다.
제어로직부(103)에서는 위와 같이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정하고 이러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이를 연결되는 다른 소자로 출력시키는 전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로직부(103)는 터치 패드의 채널을 가로 또는 세로로 스캐닝하는 동작에서 터치 패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서 스캐닝 시 선택되는 채널을 결정하여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개수의 채널이 선택 스캐닝 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채널 선택부(10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채널에 연결된 임의의 터치 패드의 한 포인트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에서 어떻게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지 설명하고 있으며, 이 그림과 함께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 구동 회로는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커패시터(202) 및 제2 커패시터(204), 이 커패시터들(202, 204)에 각각 연결되어 각 커패시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201) 및 제2 스위치(203)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커패시터(204)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는 방전 회로(205), 상기 제2 캐패시터(204)에 연결되는 비교기(206), 상기 비교기(206)와 연결되는 래치부(207), 상기 래치부(207)와 연결되는 카운팅부(208)의 구성도 아울러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로축과 세로축의 채널이 교차하는 점의 터치 단자가 터치되면 전압원(200)에 의해 제1 스위치(201)를 통해서 제1 커패시터(202)에 충전된다. 그 후, 등 간격으로 오픈/단락을 반복하는 제2 스위치(203)를 통해서 제2 커패시터(204)에 충전을 하게 된다.
제2 스위치(203)의 단락 후, 비교기(207)는 제2 커패시터(204)와 비교기(206) 사이의 센싱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 터치 상태이면 하이(high) 값을 출력한다.
비교기(206)의 센싱이 끝난 후에는 제2 커패시터(204)의 전하가 방전 회로(205)를 통해서 방전되게 되고, 다시 제2 스위치(203)가 단락 상태가 되면 제2 커패시터(204)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치(203)의 오픈/단락의 반복 과정과 동기시 되면서 제2 커패시터(204)의 충전/방전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제1 커패시터(202)의 전하가 모두 제2 커패시터(204)로 충전되어 방전될 때까지 비교기(206)의 출력은 하이 값들을 출력한다.
기준 전하를 제1 커패시터(202)에 충전시키는 기준 전하 충전부가 있어서 구동장치 동작의 초기에 기준 전하 충전부는 제1 커패시터(202)에 전하를 충전시킨다. 이후 제2 스위치(203)의 오픈/단락을 반복하면서 비교기(206)는 제2 커패시 터(204)와 비교기(206) 사이의 센싱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면서 하이/로우의 출력 값을 반복해서 출력한다.
카운팅부(209)는 이 때 출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로/하이의 개수에 따라서 터치 여부를 판독한다. 이와 같이 판독된 터치 여부는 위치 정보와 함께 SRAM에 저장되었다가 출력되면서 다른 소자가 동작하는데 사용된다.
도 3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제1 캐패시터와 제2 캐패시터의 동작 구간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반복과정에서 제1 캐패시터와 제2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두 곡선 중 아래 부분(b)이 제 1 커패시터의 전하량 변화를 나타내며, 위 부분(a)이 제 2 커패시터의 전하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의 (b)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캐패시터는 제2 스위치의 단락/오픈의 반복에 따라 전하를 제2 캐패시터에 공급하게 되어 그 전하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캐패시터는 제2 스위치가 단락된 동안에 제1 캐패시터로부터 전하가 공급되어 충전되고, 비교기에 의한 센싱노드의 전압을 센싱한 후 방전회로에 의해 방전되면서 충전/방전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와의 연결관계 및 동작 방법을 바탕으로 해서 본 발명의 주요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패드 채널의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4a에 나타나 있고, 터치 대기모드에서는 채널 n개 마다 한 개의 채널을 선택하여 스캐닝하면서 각 위치의 터치 정보를 SRAM에 저장한다. 제어로직부는 SRAM에 저장된 터치 위치에 따른 터치 정보를 분석하여 p 번째 스캔에서는 어떤 위치가 터치 되었는지를 판별하고 p+1번째 스캐닝시에는 p번째 터치된 위치 좌표 (X6, Y6)와 인근 영역(파인 영역, X5~X6, Y6~Y7)의 채널은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그 외 영역(코스 영역, X0~X4, X7~X14, Y0~Y5, Y8~Y11)의 채널은 n개(도4a에서는 n=2) 마다 한 채널씩 건너뛰어서 채널을 스캐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에 비해 스캐닝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터치 위치가 좌표 (Xi+1, Yi+1)로 변경된 것이 p+1번째 스캐닝에서 감지되면 p+2번째 스캐닝에서는 좌표 (Xi+1, Yi+1) 부분의 채널 및 그 부분의 영역은 파인 영역으로 지정되어 자세하게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고 그 외의 영역(코스 영역)의 채널은 역시 n개 마다 한 개의 채널이 선택되어 스캐닝되는 것이다.
이 때 터치 위치 (Xi, Yi)로부터 주변의 어느 영역까지 (Xi, Yi) 와 동일한 빈도수로 채널을 스캐닝할지, 즉 파인 영역으로 설정할지는 제어로직의 채널 선택부가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4b에 나타나 있듯이 (X6, Y6)를 포함한 주변 영역, 즉 파인 영역(X4~X8, Y4~Y8) 스캐닝시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이 아니라 n개(n=2) 의 채널 중 m 개(m=1) 의 채널을 선택하여 스캐닝하고, 코스 스캔 영 역(X0~X3, X9~14, Y0~Y3, Y9~Y11) 스캔은 j개(j=3) 의 채널 중 k개(k=1) 의 채널을 선택하여 스캐닝하는 것으로 변형된 형태이다. 여기서 n>m, j>k, m/n > k/j 의 특징을 갖는다. 즉 파인 영역에서조차 모든 채널을 선택하지 않고 일부 채널을 선택하는 데 다만 코스 영역보다는 세밀하게 채널을 스캐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4c에 나타나 있듯이 파인 스캔 영역 이외의 코스 스캔 영역의 스캐닝시 복수개의 스캐닝 빈도수로 스캐닝을 하는 경우이다. 즉, 코스 영역의 일부(X0~X4,Y0~Y4, Y8~Y11)는 j개(j=2) 의 채널 중에 k개(k=1) 를 스캐닝하고, 또 다른 코스 영역(X8~X14,Y0~Y4, Y8~Y11)은 h개(h=3)의 채널 중에 i개(i=1)의 채널을 선택하여 스캐닝하는 것이다. 여기서 j>k, h>i, k/j > i/h 의 특징을 갖는다. 즉 코스 영역에서도 스캐닝되는 채널의 빈도수를 다양화하여 스캔 속도를 더욱 개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4d에 나타나 있듯이 심지어는 복수로 분할된 코스 영역 중 일부 영역 (X11~X14,Y0~Y4, Y8~Y11)은 아예 선택되는 채널이 없어 스캐닝을 행하지 않게끔 한다 (i=0 인 경우).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소개된 터치 패드의 일부 영역을 특정 스캐닝에서 아예 스캐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터치 패드 구동 방법은 특정 영역의 터치 패드 일부 채널을 아예 스캐닝하지 않는 방식으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드 채널의 수가 변경되더라도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변경 없이 터치 패드를 동작시킬 수 있어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역시 제어로직의 채널 선택부가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파인 영역과 코스 영역은 이전 스캐닝에서 터치 여부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지만 사용자가 지금까지의 영역별 터치 빈도수를 바탕으로 하여 채널 선택부를 제어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터치 패드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제1 캐패시터와 제2 캐패시터의 동작 구간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드 채널의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 채널의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드 채널의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패드 채널의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터치패드 구동 장치
101: 터치패드
102: CDC
103: 제어로직부
104: SRAM
105: MPU
107: 광원
200: 전압원
201: 제1 스위치
202: 제1 커패시터
203: 제2 스위치
204: 제2 커패시터
205: 방전 회로
206: 비교기
207: 래치
208: 카운팅부
209: 로우/하이(low/high) 개수 비교기

Claims (10)

  1.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 CDC 부;
    CDC부에서 판정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메모리부;
    메모리 부의 데이터가 터치 패드 구동 칩과 연결된 다른 소자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CDC부, 메모리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로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로직부는 터치 패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채널 당 선택되어 스캐닝 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코스 영역에서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는 모두 자연수이고, n≥m, j>k, m/n > k/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코스 영역을 다시 복수 개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복수의 코스 영역 중 일부의 코스 영역은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다른 코스 영역은 h개의 채널 중 i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h,i는 모두 자연수이고, n≥m, j> k, h>i, m/n > k/j > i/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코스 영역을 다시 복수 개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복수의 코스 영역 중 일부의 코스 영역은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다른 코스 영역은 h개의 채널 중 i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h는 모두 자연수이고, i는 0 이며, n≥m, j>k, m/n > k/j인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터치 패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이전 스캐닝에서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파인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코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6. 터치 패드를 구동하는 터치 패드 구동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드의 채널로부터 터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전기전 신호를 CDC부에서 처리하여 터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CDC부에서 판정한 데이터가 해당 터치 패드의 위치 정보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터치 패드 구동 칩과 연결된 다른 소자로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들은 제어하는 제어로직부의 채널 선택부에서 터치 패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채널 당 선택되어 스캐닝 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코스 영역에서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는 모두 자연수이고, n≥m, j>k, m/n > k/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 기 코스 영역을 다시 복수 개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복수의 코스 영역 중 일부의 코스 영역은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다른 코스 영역은 h개의 채널 중 i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h,i는 모두 자연수이고, n≥m, j> k, h>i, m/n > k/j > i/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코스 영역을 다시 복수 개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에서 n개의 채널당 m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복수의 코스 영역 중 일부의 코스 영역은 j개의 영역당 k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다른 코스 영역은 h개의 채널 중 i개의 채널을 선택하는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n,m,j,k,h는 모두 자연수이고, i는 0 이며, n≥m, j>k, m/n > k/j인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되는 채널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널 선택부는 상기 터치 패드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때, 이전 스캐닝에서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파인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파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코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70092249A 2007-09-11 2007-09-11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90027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49A KR20090027066A (ko) 2007-09-11 2007-09-11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12/141,646 US20090066665A1 (en) 2007-09-11 2008-06-18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Touch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49A KR20090027066A (ko) 2007-09-11 2007-09-11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66A true KR20090027066A (ko) 2009-03-16

Family

ID=4043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49A KR20090027066A (ko) 2007-09-11 2007-09-11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6665A1 (ko)
KR (1) KR200900270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78B1 (ko) * 2009-12-04 2012-01-18 위순임 분할 스캔 구역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분할 스캔 방법
KR20130094495A (ko) * 2012-02-16 2013-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04195B1 (ko) * 2011-06-24 2013-09-05 주식회사 하이딥 향상된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갖는 정전 용량 센서, 정전 용량 센서의 노이즈 필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47542B1 (ko) * 2013-01-11 2014-10-0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500B2 (en) * 2007-10-26 2011-08-23 Apple Inc. Switched capacitor projection scan multi-touch sensor array
TW201044234A (en) * 2009-06-08 2010-12-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Method of scanning touch panel
EP2333642A1 (en) * 2009-09-27 2011-06-15 Inferpoint Systems Limited Touch control screen
US8866791B2 (en) * 2010-01-06 2014-10-2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ode dependent user input controls
CN101840294B (zh) * 2010-01-21 2012-01-1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投射电容式触控面板的扫描方法
TWI420359B (zh) * 2010-01-27 2013-12-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裝置及其觸控面板的驅動方法
JP5667824B2 (ja) 2010-09-24 2015-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US20120127120A1 (en) * 2010-11-22 2012-05-24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device and touch position locating method thereof
JP2012113485A (ja) * 2010-11-24 2012-06-14 Sony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検出方法
US9310923B2 (en) 2010-12-03 2016-04-12 Apple Inc. Input device for touch sensitive devices
US9329703B2 (en) 2011-06-22 2016-05-03 Apple Inc. Intelligent stylus
US8928635B2 (en) 2011-06-22 2015-01-06 Apple Inc. Active stylus
TWI442280B (zh) * 2011-07-29 2014-06-21 Acer Inc 省電方法及觸控顯示裝置
KR101895883B1 (ko) * 2011-11-09 2018-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의 터치 감도 개선 방법 및 장치
TW201322066A (zh) * 2011-11-17 2013-06-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控制觸控面板的方法
CN103176638A (zh) * 2011-12-23 2013-06-26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式面板装置与其扫描方法
US20130265243A1 (en) * 2012-04-10 2013-10-10 Motorola Mobility, Inc. Adaptive power adjustment for a touchscreen
CN103513800A (zh) * 2012-06-18 2014-01-15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触控板与触控显示装置
CN103677375A (zh) * 2012-09-24 2014-03-26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控操作检测方法及电子设备
US9772703B2 (en) 2012-07-10 2017-09-26 Lenovo (Beijing) Co., Ltd.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9557845B2 (en) 2012-07-27 2017-01-31 Apple Inc. Input device f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apacitive devices through frequency variation
US9652090B2 (en) 2012-07-27 2017-05-16 Apple Inc.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capacitive coupling
CN103853398A (zh) * 2012-12-06 2014-06-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控屏输入信息检测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87695A (ko) * 2012-12-31 2014-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27861B1 (ko) * 2013-03-05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터치 센싱 정확도를 가지는 캐패시티브 터치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좌표 추출 방법
US10048775B2 (en) 2013-03-14 2018-08-14 Apple Inc. Stylus detection and demodulation
US20140375594A1 (en) * 2013-06-24 2014-12-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ouch screen system and method
US10845901B2 (en) 2013-07-31 2020-11-24 Apple Inc. Touch controller architecture
CN103970337B (zh) * 2013-10-21 2017-07-25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触摸屏的触摸扫描方法及其触摸扫描控制电路、显示装置
CN103927042B (zh) * 2013-10-31 2017-02-0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定位触摸点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446055B2 (ja) 2014-02-18 2018-12-26 ケンブリッジ タッチ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imited 力タッチを用いるタッチスクリーンのためのパワーモードの動的切り替え
JP2015170139A (ja) * 2014-03-07 2015-09-28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合同会社 半導体装置
KR102365159B1 (ko) * 2014-07-1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브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61449B2 (en) 2014-12-04 2018-08-28 Apple Inc. Coarse scan and targeted active mode scan for touch and stylus
AU2015101688B4 (en) * 2014-12-04 2016-02-11 Apple Inc. Coarse scan and targeted active mode scan for touch
KR20160092130A (ko) * 2015-01-26 2016-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단말기 및 그 터치 제어 방법
KR102358042B1 (ko) 2015-07-20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
GB2547031B (en) * 2016-02-05 2019-09-25 Cambridge Touch Tech Ltd Touchscreen panel signal processing
US10474277B2 (en) 2016-05-31 2019-11-12 Apple Inc. Position-based stylus communication
CN106055156A (zh) * 2016-06-01 2016-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928881B2 (en) 2016-09-23 2021-02-23 Apple Inc. Low power touch sensing during a sleep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US10175838B2 (en) 2017-01-10 2019-01-0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touch sensor
US10817111B1 (en) 2019-04-10 2020-10-2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pacitive touch sensor
CN111666004B (zh) * 2020-05-29 2021-08-24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互容式电容屏的扫描控制方法及装置、互容式电容屏
CN111796724A (zh) * 2020-08-17 2020-10-20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电容触控模组及其控制方法以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131B2 (ja) * 1990-10-26 2001-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3015276B2 (ja) * 1995-04-11 2000-03-06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のセンサコイル走査方法
US6246394B1 (en) * 1998-06-04 2001-06-12 Burr-Brown Corporation Touch screen measurement circuit and method
US6459424B1 (en) * 1999-08-10 2002-10-01 Hewlett-Packard Company Touch-sensitive input screen having regional sensitivity and resolution properties
US20020060668A1 (en) * 2000-11-22 2002-05-23 Mcdermid William Jame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ariable resolution touch pad
US8067948B2 (en) * 2006-03-27 2011-11-2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put/output multiplexer bus
CN101150309B (zh) * 2007-10-31 2010-12-08 启攀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自适应电容触摸传感控制电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78B1 (ko) * 2009-12-04 2012-01-18 위순임 분할 스캔 구역을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분할 스캔 방법
KR101304195B1 (ko) * 2011-06-24 2013-09-05 주식회사 하이딥 향상된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갖는 정전 용량 센서, 정전 용량 센서의 노이즈 필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535530B2 (en) 2011-06-24 2017-01-03 Hideep Inc. Capacitance sensor with improved noise filtering characteristics, method for noise filtering of capacitance senso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30094495A (ko) * 2012-02-16 2013-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563294B2 (en) 2012-02-16 2017-02-07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touch pane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447542B1 (ko) * 2013-01-11 2014-10-0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6665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066A (ko)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N111610881B (zh) 驱动方法、触摸感测电路、显示面板和触摸显示装置
US9250740B2 (en) Capacitive touch panel device with differing drive pulse widths
CN103049125B (zh) 电子装置以及驱动电子装置的触摸传感器的方法
EP3232303A1 (en)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circuit, and touch display device
US9170679B2 (en) Capacitanc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ouch screen apparatus
KR20090000532A (ko) 터치 패드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250901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1639750A (zh) 触摸板及其操作方法和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30142598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339156B (zh) 驱动方法、驱动装置及触控显示装置
WO2008002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 sensing function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9910543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signal-to-noise performance of projected capacitance touch screens and panels
US11159150B2 (en) Waveform generation circuit for finely tunable sensing frequency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US8692797B2 (en) Tou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in capacitive touch screen
KR20210081584A (ko) 노이즈를 회피하는 터치센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00142520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panel
CN111126356A (zh) 具有指纹感测功能的电子装置
CN109669585B (zh) 可确定导电类型的电容式触摸感测
CN114138134B (zh) 触摸显示装置及其触摸驱动方法
US20120056842A1 (en) Sensing Apparatus for Touch Panel and Sensing Method Thereof
KR102644721B1 (ko) 터치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구동 회로
KR2016004407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제어장치
US10642398B2 (en) Driv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