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29A -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29A
KR20090026829A KR1020070091848A KR20070091848A KR20090026829A KR 20090026829 A KR20090026829 A KR 20090026829A KR 1020070091848 A KR1020070091848 A KR 1020070091848A KR 20070091848 A KR20070091848 A KR 20070091848A KR 20090026829 A KR20090026829 A KR 20090026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ise data
data
sound press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386B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07009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 및 소음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소음, 소음 모니터링, 소음 데이터, 음압 레벨, 인터넷망

Description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NOISE MONITORING SYSTEM, NOISE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 READBLE MEDIUM ON WHICH NOISE MONITORING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은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부작용으로 여러 가지 환경 공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소음 공해는 청각이라는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는 공해로서, 소음 공해에 의한 인체의 직접적인 피해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그 간접적인 피해는 상당하다. 때문에, 최근 들어 소음 공해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한 예로 환경 관련 민원 중에서 소음 민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005년 소음 민원이 28,940건(전체 환경 관련 민원 중 19.2%)으로, 2000년 소음 민원 2,480건과 비교하여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소음 민원 중에서도 생활 소음(공사장, 사업장, 확성기, 이동 소음 등) 민원이 전체 소음 민원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활 소음 민원 중에서도 공사장 소음 민 원이 6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006년 6월 환경부 보도자료 참조).
따라서, 소음 공해를 저감하고,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나 지방 단체에서는 소음 공해와 관련된 법률이나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지방 단체에서는, 재개발 사업 및 재건축 사업 공사장에 대하여는, 상시 소음 측정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소음을 상시 측정하게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소음 저감 등 사전 예방 및 행정 지도를 위하여 공사장 부지 경계선 또는 피해가 예상되는 지점에서 수시로 소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이처럼, 공사장, 사업장 등에서의 소음 측정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측정되는 소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소음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게 발생하는 개소(個所)나 시간에는 소음이 발생되는 기기 등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금지하여 소음 공해를 저감하고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사장, 사업장 등에서는, 소음 측정 장치(도 1 참조, 도 1은 종래의 소음 모니터링을 위한 소음 측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를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하고, 소음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을 측정자가 체크하는 방법에 의해서 소음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소음 측정 장치는, 단순히, 측정 개소에서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을 갖는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 생성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소음 측정 장치는 단순히 소음계로서만 기능하기 때문에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뿐이다. 따라서, 소음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즉, 소음의 음압 레벨이 얼마나 높은 지, 음압 레벨의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자가 직접 소음 측정 장치에 표시되는 음압 레벨을 체크하고 기록해야 하므로, 측정자의 수고와 시간이 드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소음 측정 장치가 하나가 아니고 복수개인 경우 즉, 공사장 부지 경계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설치되거나 또는 피해가 예상되는 둘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 측정자가 직접 소음 측정 장치가 설치된 각각의 측정 개소로 이동하고, 소음 측정 장치에 표시되는 음압 레벨을 체크하고 기록해야 하므로, 측정자의 수고와 시간은 한층 더 증가한다.
또한, 측정된 소음의 표시 이외의 모든 것이 측정자라는 인력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므로, 소음을 모니터링하는 데에 있어서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측정자는 하루 종일, 나아가, 일주일, 한달을 연속하여 소음의 음압 레벨을 체크하고 기록할 수 없다. 또한, 측정자는 측정된 소음의 음압 레벨을 잘못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사장이나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도록 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공사장이나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정보를 상시 공개할 수 있도록 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 및 소음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음 데 이터를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가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 소음을 감지한다. 소음 감지부는 상기 공간에서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되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가 복수인 경우, 소음 감지부도 각 개소마다 설치된다.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예컨대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로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소음 데이터 전송부는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로서 소음 데이터의 저장, 삭제, 수정, 가공, 분석 등을 행한다.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는, 종래와 같이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 정보만을 갖는 데이터에서 나아가, 소음 데이터 관리부에서 관리된 즉, 수정, 가공, 분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이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관리부가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부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측정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 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부가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시스템이 각 구성부에 의하여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소음 감지부와 다른 장소에 위치해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에서 계산된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계산한다. 여기서, Pr 값의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P측정 값과, 거리 r이 이용된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거리 r만큼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와 함께,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표시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간이 주거 환경에 소음 공해를 유발하는 공사장인 경우,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를 민원인이 거주하는 곳으로 할 수 있고, 이 거주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생성부가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음압 분석은 등가 소음도(Leq, equivalent noise level) 분석에 의해, 주파수 분석은 1/3옥타브 밴드 주파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소음 데이터를 원격에서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는 원격 컴퓨터부이며,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인터넷망에 연결되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소음 데이터를 원격 컴퓨터부로 전송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원격 컴퓨터부이다. 원격 컴퓨터부는 일종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로서 소음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제공 받아, 이를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터부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소음 데이터를 제공받으므로, 소음 데이터 관리부와의 물리적인 거리에 제한 받지 않아 원격에서도 소음 데이터를 가공/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또한, 보다 다양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음 데이터를 재차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각도로 소음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전광판이며,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음 데이터를 표시 전광판으로 전송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표시 전광판이다.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음 데이터를 표시 전광판으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전광판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사람 들의 많이 다니는 거리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표시 전광판에 표시되는 소음 데이터는 사람들의 시각에 잘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또한, 보다 다양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감지부는 방풍 처리, 방수 처리 또는 방청 처리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가 방풍 처리, 방수 처리 또는 방청 처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음 감지부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 비, 햇볕 등에 의한 감지부의 손상 및 감지의 방해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을 잘 감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 데이터 재생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음 데이터뿐만 아니라, 감지한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 예를 들어, MP3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표시되는 소음 데 이터를 통하여 시각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재생되는 음향 데이터를 통하여 청각적인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도 가능하므로, 시각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되어, 소음을 보다 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관리부와 소음 데이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지 않고, 바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을 감지하는 위치에서도 소음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단계,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각각의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 소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 및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를 포함한 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감지 단계에서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의 소음을 감지한다. 소음 감지부는 상기 공간에서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되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가 복수인 경우, 소음 감지부도 각 개소마다 설치된다.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소음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예컨대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로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음 데이터의 저장, 삭제, 수정, 가공, 분석 등을 행한다.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는, 종래와 같이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 정보만을 갖는 데이터에서 나아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관리된 즉, 수정, 가공, 분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이다.
따라서,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측정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단계가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소음 감지부와 다른 장소에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는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계산된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계산한다. 여기서, Pr 값의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P측정 값과, 거리 r이 이용된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거리 r만큼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와 함께,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표시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간이 공사장인 경우는,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 즉, 민원인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소음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음압 분석은 등가 소음도 분석에 의해, 주파수 분석은 1/3옥타브 밴드 주파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단계,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각각의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 소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 및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 감지 단계,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 및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소음 감지 단계에서는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의 소음을 감지한다. 소음 감지부는 상기 공간에서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되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가 복수인 경우, 소음 감지부도 각 개소마다 설치된다.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소음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예컨대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로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음 데이터의 저장, 삭제, 수정, 가공, 분석 등을 행한다.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는, 종래와 같이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 정보만을 갖는 데이터에서 나아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관리된 즉, 수정, 가공, 분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이다.
따라서,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측정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단계가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소음 감지부와 다른 장소에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는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계산된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계산한다. 여기서, Pr 값의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P측정 값과, 거리 r이 이용된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에서는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거리 r만큼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와 함께,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표시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간이 공사장인 경우는,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 즉, 민원인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소음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음압 분석은 등가 소음도 분석에 의해, 주파수 분석은 1/3옥타브 밴드 주파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 데이터 관리부가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부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측정 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 데이터 관리부가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시스템이 각 구성부에 의하여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가 소음 감지부와 다른 장소에 위치해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사장에 적용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각 구성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110),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 소음 데이터 전송부(130),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 및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소음 감지부(110)는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 소음을 감지한다. 소음 감지부(110)는 상기 공간에서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되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가 복수인 경우, 소음 감지부도 각 개소마다 설치된다. 예를 들어,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이 공사장인 경우(도 3 참조), 공사장에서는 그 부지 공간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하나의 소음 감지부(110)로는 공사장 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모니터링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공사장에서는 소음 감지부(110)가 부지 경계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지부(110)는 소음 공해가 많이 발생하는 공사장, 사업장 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바람, 비, 햇볕 등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고, 소음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상기 요소들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음 감지부(110)는 방풍 처리, 방수 처리 또는 방청 처리된 실외용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도록 한다(도 4의 소음 감지부(110)).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소음 감지부(110)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로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이때,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압 분석은 등가 소음도(Leq) 분석 등에 의해, 주파수 분석은 1/3옥타브 밴드 주파수 분석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를 더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음 데이터뿐만 아니라, 감지한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 예를 들어, MP3 포맷의 데이터나 WMA 포맷의 데이터 등을 생성한다.
또한,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21,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는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후술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130)와,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와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를 통하여 표시하지 않고, 바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장의 경우, 현장 감독관이나 기술자들은 그 현장(소음 감지 위치)에서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소음 데이터를 체크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소음 데이터 전송부(130)는 소음 감지부(110)와 함께 설치되고,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 도 4에는 유/무선 겸용인 소음 데이터 전송부가 도시되어 있다.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130)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로서 소음 데이터의 저장, 삭제, 수정, 가공, 분석 등을 행한다. 예컨대,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음 기준치를 미리 설정해두고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즉, 소음도가 이 기준치를 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는 기준치 초과에 대한 알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공사장에서는 소음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게 발생하는 개소나 시간에는 소음이 발생되는 기기 등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금지하여 소음 공해를 저감하고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음 감지부(110)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을 이용하여 다른 위치에서의 음압 레벨도 계산한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가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는, 종래와 같이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 정보만을 갖는 데이터에서 나아가, 소음 데이터 관리(140)부에서 관리된 즉, 수정, 가공, 분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는 소음 데이터를 원격에서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는 원격 컴퓨터부(151, 도 3 참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가 일종의 서브 컴퓨터라면, 원격 컴퓨터부(151)는 일종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로서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로부터 소음 데이터를 제공 받아, 이를 재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다각도에서 소음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터부(151)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소음 데이터를 제공받으므로,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와의 물리적인 거리에 제한 받지 않아 원격에서도 소음 데이터 를 가공/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는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전광판(152, 도 3 참조)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음 데이터를 표시 전광판(152)으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전광판(152)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사람들의 많이 다니는 거리 등에 설치된다. 즉, 표시 전광판(152)에 표시되는 소음 데이터는 사람들의 시각에 잘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또한, 보다 다양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 데이터 재생부(160,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가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를 통하여 시각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음향 데이터 재생부(160)가 재생하는 음향 데이터를 통하여 청각적인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되어, 소음을 보다 잘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를 원격 컴퓨터부(151)로 할 경우, 음향 데이터 재생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컴퓨터부(151)의 스피커가 된다. 다른 예로,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를 표시 전광판(152)으로 할 경우, 음향 데이터 재생부(도시하지 않음)는 표시 전광판(152)에 설치된 스피커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가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부(130)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 이터 표시부(150)가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종래의 측정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가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시스템이 각 구성부에 의하여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가 소음 감지부(110)와 다른 장소에 위치해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데이터 관리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도면 부호 및 파라미터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A는 소음 감지부(110)가 설치된 위치이다.
- B는 소음 감지부(110)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이다.
- r은 위치 A와 위치 B 사이의 거리이다.
- P측정은 위치 A에서 소음 감지부(110)가 감지한 소음을 소음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신호 처리하여 생성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이다.
- Pr 은 위치 A에서 감지된 소음과 동일한 소음을 위치 B에서 감지할 경우, 그 소음의 음압 레벨이다.
소음 데이터 관리부(140)는 소음 감지부(110)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 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 B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한다.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여기서, Pr 값의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감지부(110)의 위치 A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P측정 값과, 거리 r이 이용된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부(150)는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소음 감지부(110)의 위치 A에서의 음압 레벨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거리 r만큼 떨어진 다른 위치 B에서의 음압 레벨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 공사장의 경우를 적용하면, 위치 A는 공사장 부지 경계선 등에 설치되는 소음 감지부의 위치이고, 위치 A에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 B는 민원인이 거주하는 위치가 된다. 이때, 민원인의 경우는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 공사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듣고, 소음 공해가 심하다고 느끼고 있으므로, 위치 B에서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가 소음을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 더욱 중요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 감지부(110)의 위치 A에서의 음압 레벨와 함께, 다른 위치 B에서의 음압 레벨을 표시하므로, 상기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먼저,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서의 소음을 감지한다(S610). 소음 감지부는 상기 공간에서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에 설치되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소가 복수인 경우, 소음 감지부도 각 개소마다 설치된다. 이때, 소음 감지부는 방풍 처리, 방수 처리 또는 방청 처리된 실외용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소음 감지 단계(S610)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한다(S620). 여기서, 소음 데이터는 소음도를 측정하기 위한, 예컨대 소음을 데시벨(dB) 단위의 음압 레벨로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이때, 신호 처리는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S620)에서는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를 더 생성한다. 또한,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S620)는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S620)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S630).
다음으로,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S630)에 의해 전송된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S640). 즉,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음 데이터의 저장, 삭제, 수정, 가공, 분석 등을 행한다. 또한,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소음 감지부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계산한다. 여기서, Pr 값의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감지부 위치에서 측정된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 P측정 값과, 거리 r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소음 데이터를 표시한다(S650). 여기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에서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는, 종래와 같이 측정되는 소음의 음압 레벨 정보만을 갖는 데이터에서 나아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 관리된 즉, 수정, 가공, 분석 등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이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S620)에서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 데이터 재생 단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 계산된 Pr 값의 범위를 표시한다.
이때,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에서는 원격 컴퓨터 또는 표시 전광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소음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은,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S640)에서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S620)에서 생성된 소음 데이터를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S630)를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에서 관리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측정자의 수고가 줄어들며,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 터 관리 단계(S640)에서 소음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며, 소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므로,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터 표시까지의 전체 단계가 상시 이루어지고,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S650)에서는 소음 감지부와 다른 장소에서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므로,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공사장에 적용한 경우, 그 기대 효과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공사장에 적용하면,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공사장에 소음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사장의 소음 공해를 저감할 수 있어,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음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므로, 소음 민원 발생시 분쟁 대비 데이터로서 확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공사장에 적용한 경우, 공사장 환경 분쟁 관련 업무를 저감할 수 있고,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음을 모니터링하는 공간으로서 공사장을 예를 들었지만, 공사장뿐만 아니라, 소음 모니터링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병원, 교육 시설, 공장 등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을 하는 인자로서 소음을 예를 들었지만, 소음뿐만 아니라, 다른 인자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공사장에서는 진동 모니터링, 분진 모니터링, 기상 조건 모니터링, 공사 차량 통행량 모니터링 등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소음을 쉽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측정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소음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상시 가능하다. 따라서, 소음 공해가 심한 공사장,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도 1은 종래의 소음 모니터링을 위한 소음 측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사장에 적용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각 구성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데이터 관리부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소음 모니터링 방법을 공사장에 적용한 경우, 그 기대 효과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소음 감지부
120 : 소음 데이터 생성부
121 : 표시부
130 : 소음 데이터 전송부
140 : 소음 데이터 관리부
150 : 소음 데이터 표시부
151 : 원격 컴퓨터부
152 : 표시 전광판
160 : 음향 데이터 재생부

Claims (14)

  1.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상기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부;
    상기 소음 감지부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부;
    상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부
    를 포함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상기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부에서 계산된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상기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소음 데이터를 원격에서 가공하고, 표시할 수 있는 원격 컴퓨터부이며,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인터넷망에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소음 데이터를 상기 원격 컴퓨터부로 전송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전광판이며,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기 소음 데이터를 상기 표시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감지부는 방풍 처리, 방수 처리 또는 방청 처리되어 있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소음을 재생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부는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 데이터 재생부를 포함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부는 생성된 상기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9.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단계;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각각의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 및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상기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소음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상기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는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는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하는 소음 모니터링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상기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모니터링 방법.
  12. 소음이 발생하는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 단계;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각각의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음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 및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저장되고 관리되는 상기 소음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소음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P측정이라 하고, 상기 소음 감지부로부터 소음이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상기 소음의 음압 레벨을 Pr이라 할 때,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는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고,
    <수학식 1> P측정-10log(r2) < Pr < P측정-10log(r)
    상기 소음 데이터 표시 단계는 상기 소음 데이터 관리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음압 레벨 Pr 값의 범위를 표시하는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4.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소음 신호를 음압 분석 또는 주파수 분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석을 행하여 상기 소음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70091848A 2007-09-11 2007-09-11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090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48A KR100902386B1 (ko) 2007-09-11 2007-09-11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48A KR100902386B1 (ko) 2007-09-11 2007-09-11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29A true KR20090026829A (ko) 2009-03-16
KR100902386B1 KR100902386B1 (ko) 2009-06-11

Family

ID=4069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48A KR100902386B1 (ko) 2007-09-11 2007-09-11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43A (ko) 2014-10-22 2016-05-02 (주)대우건설 건설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 소음 관리 방법
CN109238449A (zh) * 2018-09-28 2019-01-18 北京交通大学 一种多通道噪声远程无线监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981B1 (ko) * 2015-05-08 2015-09-15 한국디지탈콘트롤 주식회사 고유 차단 주파수 기반의 항공기 소음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55A (ja) 1996-07-03 1998-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振動騒音測定システムおよび振動騒音測定装置
KR20000028003A (ko) * 1998-10-30 2000-05-15 전주범 지하철 환경소음 측정장치
KR20000036962A (ko) * 2000-04-03 2000-07-05 김민호 통신망을 이용한 설비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그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143A (ko) 2014-10-22 2016-05-02 (주)대우건설 건설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 소음 관리 방법
CN109238449A (zh) * 2018-09-28 2019-01-18 北京交通大学 一种多通道噪声远程无线监测装置
CN109238449B (zh) * 2018-09-28 2021-02-09 北京交通大学 一种多通道噪声远程无线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386B1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098B2 (en) Non-contacting monitor for bridges and civil structures
US78527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facility-based displays in support of repairing outside network facilities
US20200320650A1 (en) Multi-utility integrity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CN105227939A (zh) 车载信息系统测试台架和测试方法
Leao et al. 2Loud?: Community mapping of exposure to traffic noise with mobile phones
US10386261B2 (en) High repetition rate thermometry system and method
JP7315014B2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方法、及び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装置
JP4829440B2 (ja) 騒音・振動の監視低減方法
KR100902386B1 (ko)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11157855A (zh) 一种判断输电线路故障的方法及服务器
CN105527645A (zh) 一种电力电缆防破坏定位方法及装置
Khan et al. Acoustic characterization of pvc sewer pipes for crack detection using frequency domain analysis
US20120197612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noise
WO2021010251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機器、及び異常判断方法
US10215736B2 (en) Acoustic monitor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KR101074341B1 (ko)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소음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16246442A (zh) 一种人防警报智能化运维管理方法及系统
Zimmerman et al. Monitoring residential noise for prospective home owners and renters
Hong et al.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nstruction machinery noises based on perceptual attributes and psychoacoustic parameters
US11576188B2 (en) External interference radar
Rochat et al. Validation of FHWA's traffic noise model (TNM): phase 1
CN114499709A (zh) 天线收音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882598A1 (en) Leak detection
Bellucci et al. LIFE DYNAMAP: Making dynamic noise maps a reality
Bellucci et al. LIFE DYNAMAP: accuracy, reli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dynamic noise m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