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411A -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411A
KR20090026411A KR1020070091356A KR20070091356A KR20090026411A KR 20090026411 A KR20090026411 A KR 20090026411A KR 1020070091356 A KR1020070091356 A KR 1020070091356A KR 20070091356 A KR20070091356 A KR 20070091356A KR 20090026411 A KR20090026411 A KR 2009002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cursor
changed
edi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일
Original Assignee
구자일
박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일, 박원용 filed Critical 구자일
Priority to KR102007009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6411A/ko
Publication of KR2009002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의 에디터에서 커서의 위치와 관련된 것으로 문자 서비스 등에서 활용되는 에디터에서 아랍어 입력 모드에서의 커서 위치와 영어 입력모드에서의 커서 위치의 차이에 따른 커서 위치 갱신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랍어를 포함한 아랍어와 같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방향의 어순을 가진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커서 위치를 갱신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에디터에 메시지 내용을 입력함에 따라 메모리 버퍼에 내용이 저장되면서 핸드폰의 화면에 사용자의 메시지 내용이 출력이 될 때, 에디터의 아랍어 입력모드나 영어의 입력모드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커서의 위치를 입력모드의 변경에 따라 해당 모드에서 다음 글자의 출력위치를 갱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모드, 커서, 아랍어, 에디터, 메모리 버퍼

Description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The method of renewal position of cursor in Bi-direction editor}
본 발명은 핸드폰에서 문자 서비스와 같이 언어를 쓰기 위해 에디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아랍어나 히브리어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언어 “왼쪽 진행어”를 사용하는 국가와 한글이나 영어와 같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언어 “오른쪽 진행어”와를 함께 메시지를 작성하고 싶을 때, 각각 어순이 다른 언어의 입력모드에 따른 커서의 위치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에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을 할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왼쪽 상단에 커서의 시작 위치가 있고 아랍어와 같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영어로 입력모드가 되어있을 때는 도 1의 왼쪽 그림과 같은 시작 커서를 보여주고 아랍어로 입력모드가 되어 있을 때는 오른쪽과 같은 시작 커서를 보여준다.
도 2 (가), (나)에서는 영어일 때와 아랍어일 때 각각의 문장을 입력 했을 때 커서의 위치를 보여 준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어순을 가진 글자에서는 도 2 ( 가)에서와 같이 문장의 오른쪽 마지막 글자의 오른쪽에 커서를 위치하여 문장의 오른쪽으로 다음 글자가 나타냄을 보여주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어순을 가진 글자에서는 도 2 (나)에서와 같이 문장의 가장 왼쪽의 글자의 왼쪽에 커서가 위치하면서 다음 글자가 왼쪽에 나오게 된다.
도 3 (가)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의 어순을 가진 언어를 입력 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어순을 가지는 언어로 입력모드를 변경하여 입력 하였을 때 문자의 출력 화면과 커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나)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의 어순을 가진 언어를 입력 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언어로 입력모드를 변경하여 입력을 하였을 때 문자의 출력화면과 커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현 상태에서 입력모드를 다시 반대의 어순인 언어로 바꾸었을 때 커서의 위치는 해당 입력모드의 다음 글자의 출력 위치에 위치해야만 한다. 하지만 어떤 글자를 입력하기 전에는 이전 입력모드의 커서 위치에 계속 존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 1] The Unicode Standard 5.0 (www.unicode.org)- chapter 8.2
[문헌 2] Unicode Technical Reports - Unicode Standard Annex (UAX) 9 The Bidirection Algorithm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기 다른 방향의 어순을 가진 문자를 핸드폰의 에디터를 통해 사용함에 있어서 현재 입력모드에 맞는 글자의 출력 위치를 잘 나오는지 확인 할 수 있도록 입력모드가 바뀜에 따라 다음 글자의 출력을 나타내는 커서의 위치를 제대로 나타나게 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입력창인 에디터에서 입력모드 변경 키 (일반적으로 *키나 #키)를 눌렀을 경우 해당 현재 보여주고 있는 글자의 어순과 입력될 글자의 입력모드의 어순에 따라 다음 글자 출력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보여주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순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한 내용의 문장을 에디터를 통해서 작성을 할 때 어순이 바뀐 입력모드로 변경을 하거나 이미 작성된 문장을 수정할 때 다음 입력 글자의 출력 위치를 미리 알 수 있어서 어순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만드는데 효율적으로 작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가)는 핸드폰에서 메시지 입력 에디터의 초기 시작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입력모드에 따라 시작하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입력모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영어와 같은 경우에는 (가)의 왼쪽 그림과 같이 커서가 왼쪽 상단에 위치해 있다. 입력모드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아랍어와 같은 경우에는 (가)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커서가 오른쪽 상단에 위치해 있다. 각 입력 모드에서 해당 언어를 입력을 하여 문장을 완성하면 각각 어순의 방향대로 단어를 출력하게 되며 입력이 완료된 후 커서의 위치는 도 2의 (가), (나)와 같은 출력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도 2의 (가), (나)와 같은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문장을 입력 후 어순이 다른 입력모드로 바꾸어 단어를 입력한 경우이다. 도 3 (가)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의 어순을 가진 영어를 입력 후 오른쪽에서 왼쪽의 어순을 가진 아랍어로 입력모드를 변경하여 한 단어를 입력 후 에디터 창에 출력되는 문장과 그 후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나)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어순을 가진 아랍어를 입력 후 왼쪽에서 오른쪽의 어순을 가진 영어로 입력모드를 변경하여 한 단어를 입력 후 에디터 창에 출력되는 문장과 그 후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핸드폰에서는 어순이 다른 언어로 입력모드 변경에 따른 문제는 도 3의 (가), (나)의 경우에서 다시 어순이 다른 언어로 입력모드를 변경을 하였을 때 해당 입력모드에 대한 커서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 지지 않고 그대로 기존의 위치에 존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음 글자의 출력위치를 잘못 알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4의 (가), (나)는 각각 도 3의 (가), (나)의 상태에서 어순이 다른 입력 모드로 변경을 하였을 경우 바뀐 어순의 입력모드에서 다음 글자의 출력의 위치를 표현하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입력모드를 영어로 하여 What are you doing을 입력 후 아랍어로 모드 변경을 하여 아랍어를 입력하였다. 도 4 (가)에서는 이후 입력모드를 다시 영어로 변경하였을 경우 다음 영어가 출력될 위치에 커서가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나)에서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에디터를 실행 시킨 후 입력 모드를 아랍어로 하여 아랍어를 입력 후 영어로 입력 모드를 변경하여 What are you doing을 입력하였다. 도 4 (나)에서는 이후 입력모드를 다시 아랍어로 변경하였을 경우 출력되는 커서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입력모드를 변경하였을 경우 도 5와 같은 순서도의 단계를 거쳐서 도 3 (가), (나)와 같은 상태에서 모드 변경이 있을시 도 4 (가), (나)와 같이 해당 입력모드에서의 커서의 위치를 제대로 출력해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방향성에 따른 시작 커서 위치의 모습
도 2는 문장을 입력 후 출력되는 문장과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습
도 3은 문장 입력 후 방향성이 다른 문장을 입력 후 커서의 위치의 모습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입력모드를 변경 후 커서의 위치의 모습
도 5는 입력모드를 제대로 출력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

  1. 에디터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방향성이 다른 언어의 입력모드로 변경시 추가 동작에 따른 삽입될 다음 문자의 위치로 커서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KR1020070091356A 2007-09-10 2007-09-10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KR20090026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56A KR20090026411A (ko) 2007-09-10 2007-09-10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56A KR20090026411A (ko) 2007-09-10 2007-09-10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11A true KR20090026411A (ko) 2009-03-13

Family

ID=4069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56A KR20090026411A (ko) 2007-09-10 2007-09-10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64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1573A (zh) * 2016-02-22 2016-06-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1573A (zh) * 2016-02-22 2016-06-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3552B2 (en) Text messaging device
van Esch et al. Writing across the world's languages: Deep internationalization for Gboard, the Google keyboard
KR20090026411A (ko) 양방향 에디터의 커서 위치 갱신에 관한 방법
Katre A Position Paper On-Cross cultural Usability Issues of Bilingual (Hindi & English) Mobile Phones
KR102263980B1 (ko) 한글과 라틴 문자가 조합된 문자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57493A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20070075113A (ko)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초성자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KR102604308B1 (ko)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5373235B (zh) 一种输入变音符号字母的方法
KR20120102379A (ko)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JP2014142762A5 (ko)
US20080005671A1 (en) Lossless Romanizing Schemes for Classic Sinhala and Tamil
KR20100063390A (ko) 터치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202524B1 (ko) 문자입력 방법 및 문자입력 시스템
JP200319600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KR100364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어 입력방법
KR20080077797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550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글자체로 문자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JP2009515272A (ja) 文字入力方法
JP2011209356A (ja) 表示装置及び文字表示方法
KR100876527B1 (ko)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의 한글 삭제 방법
KR20200145185A (ko) 스마트 한글문자 및 그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130037397A (ko) 쿼티 자판을 이용한 한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408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