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661A -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661A
KR20090025661A KR1020070090671A KR20070090671A KR20090025661A KR 20090025661 A KR20090025661 A KR 20090025661A KR 1020070090671 A KR1020070090671 A KR 1020070090671A KR 20070090671 A KR20070090671 A KR 20070090671A KR 20090025661 A KR20090025661 A KR 20090025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ot
support
sound
panel
interlay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182B1 (ko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섭 filed Critical 유인섭
Priority to KR102007009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1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에 관한 것으로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상부로부터 발생된 중량음이 다단에 거쳐 전달되도록 하면서 다른 매질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음 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차단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은 패널본체에 상하 관통된 실린더가 다수 구비되어 승하강 되는 지지발이 끼워진 층간소음방지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은 상하 분할되어 두 개의 몸체로 분리되고, 두 개의 몸체 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는 그 둘레에 실린더 하단이 안착 되는 받침턱을 형성하되 받침턱의 상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다단의 완충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충격음 발생시 다단으로 이루어진 완충돌기에 의해 단계적으로 충격음이 소멸되며 이와 동시에 양 몸체 간에 구비된 완충부재에서 충격음을 흡수함으로써 중량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90671
소음방지, 패널, 지지발, 완충, 흡음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Sound absorption panel}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상부로부터 발생된 중량음이 다단에 거쳐 전달되도록 하면서 다른 매질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음 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차단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은 층간 소음으로 인해 거주자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고 더 나아가 이웃 간의 분쟁이 발생하는 등 그에 따른 층간 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기준을 정해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고시 및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경량충격음은 가볍고 딱딱한 소리로 식탁을 끌거나 마늘 찧는 소리,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 등이 해당되고, 중량충격음은 무겁고 부드러운 소리로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소리 등이 이에 해당된다.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중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중량충격음으로써 소음의 발생시 잔향이 남아 사람으로 하여금 심한 불쾌감을 갖게 하며, 심하면 정신적 고통을 일으키고 있다. 또, 실제 층간소음재를 개발하면서 대부분의 경량음은 대부분이 차단되지만 중량음은 쉽게 차단되지 않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경량음과 중량음을 차단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을 개발하여 2006년 제29571호로 실용신안등록출원하였고, 상기 층간소음방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발이 2007년 제4044호로 실용신안등록출원되었다.
상기 층간소음방지패널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벌집형 흡음공간(11)을 형성하고 상부에 난방용 배관이 구성된 패널본체(10)와; 상기 벌집형 흡음공간(11)에 충진되는 흡음재(12)와; 상기 벌집형 흡음공간(11)의 하부를 차단하는 차음벽(13)과; 상기 차음벽(13) 하부에 형성된 돌기(13')에 의해 공간을 이루면서 차음 및 복사열을 차단하는 은박(S)이 접착된 투명재질의 반사판(14)과; 그 하부에 겹을 이루면서 접촉면부에 요홈부(15')가 형성된 방음 및 단열기능의 차음단열재층(15)과; 슬래브 바닥 상면에 부착되는 은박이 부착된 발포수지(16)와; 상기 벽면 마감을 이루면서 벽면의 대면부에 공간을 띄우기 위한 돌기(17')를 형성하여 벽면으로의 진동 및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측벽방음마감판(17)과; 상기 패널본체(10)를 지지하는 고무재질의 지지발(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발(20)의 구조는 패널본체(10)에 상하 관통된 다수의 실린더(20)가 구비되고 실린더(20)의 하단에는 지지발(3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지지발(30)의 둘레에는 걸림턱(21)이 수용되는 일정간격의 홈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발(30)은 홈부(31)의 이격 거리 내에서 승하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20)의 상부에는 지지발(30)을 강제 하 강시키는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설치시 건물의 슬라브 바닥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발이 슬라브 바닥에 접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층간소음방지패널의 구조에 의해 상부에서 경량음 및 중량음이 발생되면 경량음은 층간소음방지패널이 흡수하고, 중량음은 지지발에서 흡수하여 소멸시킴으로써 방음 및 방진효과가 향상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층간소음방지패널은 경량음의 경우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층간소음방지패널의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1등급의 효율을 보이고 있으나 중량음의 경우 2등급에 머물러 흡음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다수의 지지발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은 우수하나 완충기능의 부족함이 차단효과가 미비해지 이유임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지발의 재질을 연질로 형성하면 완충효과가 좋아져 경량음을 차단할 수 있지만, 완충 되는 높이 차에 의해 상하 진동 폭이 심하게 발생되어 실제 건물에 시공시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상부에 타설된 몰탈층이 균열이 발생되고 또 내구성이 떨어져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지지발의 물성변화에 의해 완충기능이 저하되어 층간소음방지기능이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결코 지지발의 재질을 연질로 구성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상부로부터 발생된 중량음이 다단에 거쳐 전달되도록 하면서 다른 매질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음 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차단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은,
패널본체에 상하 관통된 실린더가 다수 구비되어 승하강 되는 지지발이 끼워 진 층간소음방지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은 상하 분할되어 두 개의 몸체로 분리되고, 두 개의 몸체 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는 그 둘레에 실린더 하단이 안착 되는 받침턱을 형성하되 받침턱의 상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다단의 완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다수의 돌출된 돌부로 이루어지면서 양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양 몸체보다 연질의 충격흡수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압축스프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 홈 및 결합 홈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몸체는 서로 다른 경도 값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은 충격음 발생시 다단으로 이루어진 완충돌기에 의해 단계적으로 충격음이 소멸되며 이와 동시에 양 몸체 간에 구비된 완충부재에서 충격음을 흡수함으로써 중량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30)은 패널본체(10)의 실런더(20)에 삽입되어 실린더(20) 하단으로 일부 돌출됨으로써 패널본체(10)를 비롯하여 패널본체(10)의 상하부로 부착된 각종 흡음재(12) 및 차음재(15)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발(30)은 상하 분할되어 두 개의 몸체인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로 각각 분리되고, 두 개의 몸체(30a)(30b) 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30b)는 그 둘레에 실린더(20) 하단이 안착 되는 받침턱(32)이 형성된다. 받침턱(32)은 확장된 지름을 갖음으로써 받침턱(32)으로부터 그 하부가 노출된다. 이러한 받침턱(32)의 상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33)가 돌출 형성되는데, 완충돌기(33)는 다단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쉽게 이해되도록 이단으로 도시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완충돌기(33)는 한단 올라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완충돌기는 안정된 형상인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발(30)의 구조에 의해 상부로부터 중량의 충격음이 발생되어 실린더(20)가 하강하면 지지발(30)의 완충돌기(33)가 수축되는데, 일단 제일 상단에 위치된 완충돌기(33)가 수축되면서 충격음의 일부를 흡수하고 더 큰 힘이 전달될 경우 그 하부에 위치된 완충돌기(33)가 수축되어 나머지 충격음을 흡수하게 된다. 대부분의 충격음은 제일 상부에 위치된 완충돌기(33)에 의해 충분히 소거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 간에 구비된 완충부재는 다수의 돌출된 돌부(41)로 이루어진 것으로 몸체와 같이 탄성복귀력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되며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안정적인 형상인 반구형의 돌부로 도시했다. 이러한 다수의 돌부(41)는 상부몸체(30a) 또는 하부몸체(30b) 중 어느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발(30)의 상부에 타설되는 몰탈(M)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이 이 완충부재인 돌부(41)에 의해 흡음 되어 소멸된다. 즉, 이 완충부재는 상기 다단의 완충돌기(33)와 같이 수축되며 흡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 돌기(34) 및 결합 돌기(34)가 끼워지는 결합 홈(35)이 각각 형성되는데,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 몸체(30a)(30b)가 결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공시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30b)의 상부 외주면에는 확장된 지름을 갖는 걸림턱(36)이 형성되고, 실린더(20)의 하부 내주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이탈 방지턱(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하부몸체(30b)가 실린더(2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면 걸림턱(36) 외주면이 일부 수축되며 삽입이 이루어지고, 삽입이 완료되면 수축된 부위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하부몸체(30b) 하강시 걸림턱(36)이 실린더(20)의 이탈 방지턱(20')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함으로써 하부몸체(30b)가 실린더(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는 다른 경도 값을 갖게 되는데, 상부몸체(30a)가 하부몸체(30b)보다 작은 경도 값을 갖게 됨으로써 전달되는 충격음이 효과적으로 소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상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경량음의 경우 층간소음방지패널의 흡음재(12) 및 차음재(15)에 의해 대부분 소멸된다. 중량음의 경우 패널본체(10)에 전달되어 실린더(20)를 통해 완충돌기(33)에 전달된다. 이때 완충돌기(33) 중 제일 상부에 위치된 완충돌기(33)에 1차적으로 힘이 전달되는데 다수의 완충돌기(33)에 의해 그 힘이 분산되며 도 2e의 (가)와 같이 완충돌기(33)가 수축됨과 동시에 그 힘을 흡수하여 소멸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지지발(30)의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 간에 구비된 완충부재에도 그 힘이 동시에 전달되는데,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부(41)로 이루어진 반원형의 완충부재를 통해 힘이 분산되며 돌부(41)가 수축됨과 동시에 그 힘을 흡수하여 소멸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충격음은 완충돌기(33) 및 완충부재에 의해 소멸 되지만 아주 큰 힘이 전달될 경우 도 2e의 (나)와 같이 그 하단의 완충돌기(33)가 수축되면서 나머지 충격음을 흡음하여 전부 소멸시키게 된다. 즉, 중량음이 발생될 경우 완충돌기(33) 및 완충부재에서 동시에 흡음하게 되고 더 큰 힘은 다단의 완충돌기(33)에 전달됨으로써 차단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30)은 충격음이 다른 매질을 통해 전달될 경우 일부 소멸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가 양 몸체(30a)(30b)보다 연질의 충격흡수판(4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충격흡수판(42)은 경도 값에 따라 소정의 두께로 결정되며 중앙에 수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결합 돌기(34)에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 간에 전면 밀착된다.
이와 같은 층간소음방지패널에 충격음이 전달되면 상부몸체(30a)를 통해 그 충격음이 충격흡수판(42)으로 전달되는데, 충격흡수판(42)이 연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축되면서 충격음이 일부 소멸되어 하부몸체(30b)로 전달된다. 이때, 충격흡수판(42)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지름이 확장되어 실린더 내벽으로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됨에 따라 여기서도 충격음이 일부 소진된다. 물론 이와 동시에 하부몸체(30b)에 형성된 다단의 완충돌기(33)에 의해서도 충격음이 소진됨으로써 차음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 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은 완충부재가 압축스프링(43)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압축 스프링(43)은 신장 폭이 크지 않도록 주의하여 그 두께와 감기는 횟수가 결정된다.
또한,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압축스프링(43)의 위치를 잡아주는 지지단(44)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양 지지단(44)은 압축스프링(43)의 내경에 해단되는 지름을 갖으며 충격음이 발생되면 상부몸체(30a) 하강시 양 지지단(44)이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43)에 의해 일차적으로 충격음이 소진되고 양 지지단(44)에 의해 이차적으로 충격음이 소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도 압축스프링(43) 압축시 동시에 하부몸체(30b)에 형성된 다단의 완충돌기(33)에 의해서도 충격음이 소진됨으로써 차음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 및 지지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본체 11 - 흡음공간
12 - 흡음재 14 - 반사판
15 - 차음단열재층 20 - 실린더
30 - 지지발 32 - 받침턱
33 - 완충돌기 34 - 결합 돌기
35 - 결합 홈 41 - 돌부
42 - 충격흡수판 43 - 압축스프링
44 - 지지단

Claims (6)

  1. 패널본체(10)에 상하 관통된 실린더(20)가 다수 구비되어 승하강 되는 지지발(30)이 끼워진 층간소음방지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30)은 상하 분할되어 상부몸체(30a)와 하부몸체(30b)로 분리되고, 양 몸체(30a)(30b) 간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30b)는 그 둘레에 실린더(20) 하단이 안착 되는 받침턱(32)을 형성하되 받침턱(32)의 상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다단의 완충돌기(33)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다수의 돌출된 돌부(41)로 이루어지면서 양 몸체(30a)(30b) 중 어느 하나의 몸체(30a)(30b)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양 몸체(30a)(30b)보다 연질의 충격흡수판(4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압축스프링(43)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몸체(30a)(30b)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 홈(35) 및 결합 홈(35)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34)가 구비되어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6.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몸체(30a)(30b)는 서로 다른 경도 값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KR1020070090671A 2007-09-06 2007-09-06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KR10088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71A KR100888182B1 (ko) 2007-09-06 2007-09-06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71A KR100888182B1 (ko) 2007-09-06 2007-09-06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661A true KR20090025661A (ko) 2009-03-11
KR100888182B1 KR100888182B1 (ko) 2009-03-12

Family

ID=4069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71A KR100888182B1 (ko) 2007-09-06 2007-09-06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1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21B1 (ko) * 2010-03-24 2010-09-13 김효겸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WO2011118952A3 (ko) * 2010-03-24 2012-01-26 Kim Hyo Kyeom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KR101147974B1 (ko) * 2011-06-15 2012-05-24 손홍창 바닥 충격 완충장치
KR101381867B1 (ko) * 2013-12-06 2014-04-04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및 균열 방지를 위한 바닥 시공방법
KR101527209B1 (ko) * 2015-02-26 2015-06-10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20160067818A (ko) 2016-05-25 2016-06-14 최종민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20210100288A (ko) * 2020-02-06 2021-08-17 한국고무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구조 시공방법
KR20230161660A (ko) * 2022-05-19 2023-11-28 한국고무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용 건식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88B1 (ko) * 2015-03-19 2016-10-28 유인섭 층간 차음 바닥패널
KR102199725B1 (ko) * 2020-05-29 2021-01-07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방음 내장재
KR102473334B1 (ko) 2021-08-23 2022-12-05 한국고무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용 완충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756A (ko) * 2004-09-23 2006-03-28 박정권 지지패널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체 시공방법
KR20080001139U (ko) * 2006-11-14 2008-05-19 주식회사 파나텍 층간 소음방지용 판넬
KR100772572B1 (ko) 2007-01-14 2007-11-02 유인섭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KR100803349B1 (ko) 2007-06-29 2008-02-14 (주)유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진 방음 패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21B1 (ko) * 2010-03-24 2010-09-13 김효겸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WO2011118952A3 (ko) * 2010-03-24 2012-01-26 Kim Hyo Kyeom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US20130008741A1 (en) * 2010-03-24 2013-01-10 Hyo Kyeom Kim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US8622169B2 (en) * 2010-03-24 2014-01-07 Hyo Kyeom Kim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1147974B1 (ko) * 2011-06-15 2012-05-24 손홍창 바닥 충격 완충장치
KR101381867B1 (ko) * 2013-12-06 2014-04-04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및 균열 방지를 위한 바닥 시공방법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101527209B1 (ko) * 2015-02-26 2015-06-10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20160067818A (ko) 2016-05-25 2016-06-14 최종민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KR20210100288A (ko) * 2020-02-06 2021-08-17 한국고무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구조 시공방법
KR20230161660A (ko) * 2022-05-19 2023-11-28 한국고무 주식회사 층간소음방지용 건식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182B1 (ko)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82B1 (ko) 층간소음방지패널용 지지발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102370085B1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재
KR101589525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KR1015489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200440975Y1 (ko)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
KR20044840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지지발
KR20190076174A (ko)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10135655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장치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200423530Y1 (ko) 충격 흡수용 방진고무를 이용한 마루구조
KR100894597B1 (ko) 층간소음방지용 스티로폼 판넬 및 그 차음 및 흡음구조
JPH03197758A (ja) 二重床防音方法
KR100615352B1 (ko) 건축물 바닥 방진 방음 단열의 기능을 갖는 판넬부재의시공방법
KR20040667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080335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패널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101902211B1 (ko) 개량형 층간소음방진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KR200468160Y1 (ko) 에스에프 기능성 마루틀
KR101055360B1 (ko)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2194835B1 (ko)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101575573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0506698B1 (ko)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층간 소음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