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021A -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021A
KR20090025021A KR1020070090042A KR20070090042A KR20090025021A KR 20090025021 A KR20090025021 A KR 20090025021A KR 1020070090042 A KR1020070090042 A KR 1020070090042A KR 20070090042 A KR20070090042 A KR 20070090042A KR 20090025021 A KR20090025021 A KR 2009002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ranch pipe
tube
ma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식 김
Original Assignee
영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식 김 filed Critical 영 식 김
Priority to KR102007009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021A/ko
Publication of KR200900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는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유닛; 상기 메인 관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분기 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클램프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천공 유닛; 및 상기 천공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분기 관이 연결되는 분기 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 면에 열선 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관의 천공 홀 주변을 융착시킨 후에 천공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천공 홀을 통한 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천공 관의 끝단에 절곡 턱과 실링 등의 다단의 가스 누설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가스의 누설을 좀더 완벽하게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이 메인 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칩을 빼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신속한 연결이 가능하다.
메인 관, 분기 관, 클램프, 열선 부, 천공 부재

Description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Apparatus for Connecting Branch Pipe to Main Pipe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스관을 분기함에 있어서, 가스의 누설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메인 관에 분기 관을 연결할 수 있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취사 및 난방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도시가스는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관을 통하여 사용처의 인근까지 이송된 후, 지상으로 연결되는 관로에 의하여 최종 사용처까지 이송된다. 이러한 가스의 이송관로는 사용량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구경의 관을 통하게 된다. 즉, 가스의 사용량에 따라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메인관으로부터 분기하여 각 사용처까지 공급되게 되며, 이러한 분기는 여러 번이 행하여지게 된다.
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관을 성형하기 위한 재질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최근 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관의 사용의 증가는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한 합성수지관의 특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종래 가스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메인 관으로부터 분기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여러 형태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열융착을 하는 방식에 의하여 연결을 하였으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연결과정에서 가스가 누설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 관의 천공 홀 주변을 융착시킨 후에 천공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천공 홀을 통한 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관의 천공 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이 메인 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 유닛을 이용하여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메인 관에 손쉽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는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유닛; 상기 메인 관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분기 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클램프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천공 유닛; 및 상기 천공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분기 관이 연결되는 분기 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 면에 열선 부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일부분에 밀착되는 패드 부;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나머지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부에 연결되는 체결 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부의 일측 단은 볼트에 의해 상기 패드 부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 부의 타측 단은 원터치 돌기에 의해 상기 패드 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의 타측 단에는 상기 원터치 돌기가 가이드 되는 안내면과 삽입되는 걸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 유닛은 내주 면에 나사 부가 형성되는 천공용 관; 상기 천공용 관을 따라 나선운동하면서 상기 메인 관에 천공 홀을 형성하는 천공 부재; 및 상기 천공용 관의 끝단을 밀봉하는 밀봉 캡을 포함한다.
상기 천공용 관과 상기 밀봉 캡의 사이에 실링(seal ring)이 구비되고, 상기 천공용 관의 끝단에 절곡 턱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 턱에는 또 다른 실링(seal ring)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 부재는 일측 외주 면에 나사 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hip)을 상기 몸체 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단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 절삭 팁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 절삭 팁은 그 기단이 상대적으로 높고 종단이 낮게 점차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 절삭 팁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을 상기 몸체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경사 절삭 팁의 기단의 측면에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절삭 팁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절삭 팁의 내주 면에는 이단의 절삭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 부재의 끝단 면에는 상기 천공 부재의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 삽입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방법은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클램프 유닛을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클램프 유닛에 구비된 열선 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메인 관에 형성된 천공 홀 주변을 융착하는 제2단계; 천공 유닛의 천공 부재를 회전 이송시켜 상기 메인 관에 천공 홀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천공 부재를 반송시켜, 상기 천공 홀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과 분기 관 연결부에 결합 된 분기 관을 연통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클램프 유닛의 패드 부를 상기 메인 관의 외주면 일 측면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체결 부의 원터치 돌기를 상기 클램프 유닛의 걸림 홀에 삽입하여, 상기 메인 관에 상기 클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천공 부재의 경사 절삭 팁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과, 상기 경사 절삭 팁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의해서, 상기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시 발생하는 칩을 상기 천공 부재의 몸체 안으로 안내한다.
상기 경사 절삭 팁의 내주 면에 형성된 이단의 절삭 면에 의해서, 상기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시 발생하는 상기 메인 관의 원형 천공부분을 상기 천공 부재의 몸체 안으로 압입한다.
상기 천공 부재를 회전 이송 및 반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천공 부재의 공구 삽입 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천공 부재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관의 천공 홀 주변을 융착시킨 후에 천공 작업을 진행하고, 천공 관의 끝단에 절곡 턱과 실링 등을 구비함으로써 가스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이 메인 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칩을 빼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며, 메인 관의 천공 홀 형성 후에도 천공 부재를 천공 관 밖으로 빼내지 않아도 되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유닛을 이용하여 작업 조건에 따라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메인 관에 손쉽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천공 홀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천공 부재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100)는 메인 관(10)의 외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유닛(110); 상기 메인 관(10)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분기 관(20)과 연통되도록 상기 클램프 유닛(1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천공 유닛(120); 및 상기 천공 유닛(1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분기 관(20)이 연결(결합)되는 분기 관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유닛(110)은 연결장치(100)를 상기 메인 관(10)의 외주 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관(10)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클램프 유닛(110)은 상기 메인 관(10)의 외주 면 일부분에 밀착되는 패드 부(111)와, 상기 메인 관(10)의 외주 면 나머지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부(111)에 연결되는 체결 부(1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체결 부(115)의 일측 단은 볼트(B)에 의해서 상기 패드 부(111)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 부(115)의 타측 단은 원터치 돌기(115a)에 의해서 상기 패드 부(111)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상기 체결 부(115)의 타측 단 에는 상기 원터치 돌기(115a)가 삽입되는 걸림 홀(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공 유닛(1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 홀(11) 주변으로, 상기 메인 관(10)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 유닛(110)의 내주면, 좀더 정확하게는 패드 부(111)의 내주 면에 열선 부(111b)가 구비된다.
상기 열선 부(111b)는 패드 부(111)의 내주 면에 다수의 열선 코일이 내장된 것으로, 패드 부의 제조시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선 부(111b)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열선 부(111b) 주위가 융착되면서 상기 메인 관(10)과 융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패드 부(111)는 상기 메인 관(10)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 유닛(120)은 상기 메인 관(10)의 소정부위에 천공 홀(1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천공된 천공 홀(11)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10)과 분기 관 연결부(130)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공 유닛(120)은 내주 면에 나사 부(121a)가 형성되는 천공용 관(121); 상기 천공용 관(121)을 따라 나선운동하면서 상기 메인 관(10)에 천공 홀(11)을 형성하는 천공 부재(125); 및 상기 천공용 관(121)의 끝단을 밀봉하는 밀봉 캡(127)을 포함한다.
상기 천공용 관(121)은 천공 홀(11)과 연통되는 곳으로, 내주 면에 나사 부(121a)가 형성된 천공 부재(12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천공 부재(125)가 상기 천공용 관(121)의 내부에서 나선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천공 부재(125)의 외주 면에도 나사 부(125a)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천공 홀(11)을 통해 유출되는 가스(혹은 유체)가 상기 천공용 관(121)의 끝단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천공용 관(121)과 상기 밀봉 캡(127)의 사이에는 실링(1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천공용 관(121)의 끝단에는 절곡 턱(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 턱(123)에 또 다른 실링(122)이 설치됨으로써, 다단으로 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천공 부재(125)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천공 부재(125)는 일측 외주 면에 나사 부(125a)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125b); 및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hip)(C1)을 상기 몸체(125b) 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125b)의 타측 단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 절삭 팁(125c)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은 그 기단이 상대적으로 높고 종단이 낮게 점차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의 기단이 종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이유는 천공 홀(11)을 좀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은 상기 몸체(125b)의 외주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이 상기 몸체(125b)의 외주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시 발생하는 원형의 천공 부분(칩)(C2)이 천공 부재(125)의 안쪽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1)을 상기 몸체(125b)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의 기단의 측면에는 가이드 경사면(125d)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절삭 팁(125c) 사이에는 가이드 홈(125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125d)은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의 기단의 측면에 상기 몸체(125b)의 안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125e)은 상기 몸체(125b)의 내측 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1)이 모두 상기 몸체(125b) 안으로 유도되고 모인다.
그리고, 상기 경사 절삭 팁(125c)의 내주 면에는 이단의 절삭 면(125f)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단의 절삭 면(125f)에 의해서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의 천공 부분(C2)이 몸체(125b) 안쪽으로 압입될 경우, 천공 작업 완료 후에도 압입된 상기 원형의 천공 부분(chip)(C2)에 의해서, 상기 메인 관(10)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1)이 모두 상기 몸체(125b)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관(10)의 내부, 천공 관(121)의 내부 및 분기 관 연결부(130)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천공 부재(125)의 끝단 면에는 상기 천공 부재(125)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각 혹은 다각형의 공구 삽입용 홈(125g)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연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연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단계(S 10)에서는, 지중에 매설된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클램프 유닛을 부착 고정한다. 즉, 상기 클램프 유닛의 패드 부를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일측에 밀착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의 체결 부를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타측에 밀착한 상태에서, 원터치 돌기를 걸림 홀에 끼워서,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클램프 유닛을 부착 고정한다. 여기서, 클램프 유닛은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전체를 상기 메인 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 다음, 제2단계(S 20)에서는, 상기 클램프 유닛에 구비된 열선 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메인 관에 형성된 천공 홀 주변을 융착한다. 이러한 융착 공정을 실행하여 다음 단계인 천공 공정에서 천공 홀을 통해서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 다음, 제3단계(S 30)에서는, 천공 유닛의 천공 부재를 회전 이송시켜 상기 메인 관에 천공 홀을 형성한다. 즉, 천공 부재의 몸체 끝단 면에 형성된 공구 삽입 홈에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몸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천공 관의 내주 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몸체가 회전되고 이때, 경사 절삭 팁이 메인 관의 소정부위에 천공 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경사면은 상기 경사 절삭 팁의 기단의 측면에 상기 몸체의 안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몸체의 내측 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이 모두 상기 몸체 안으로 유도되고 모인다.
또, 상기 경사 절삭 팁의 내측 면에 이단의 절삭 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원형의 천공 부분(칩)이 몸체 안쪽으로 압입됨으로써, 천공 작업 완료 후에도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이 모두 상기 몸체 안에 남아 있게 되어, 상기 메인 관의 내부, 천공 관의 내부 및 분기 관 연결부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제4단계(S 40)에서는, 메인 관의 소정위치에 천공 홀을 형성한 이후에는 천공 부재의 몸체 끝단 면에 형성된 공구 삽입 홈에 공구를 다시 삽입하고, 상기 천공 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천공 부재를 반송시켜, 상기 천공 홀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과 분기 관 연결부에 결합 된 분기 관을 연통시킨다.
여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이 모두 상기 몸체 안으로 유도되고,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원형의 천공 부분(ㅊ2)이 몸체 안쪽으로 압입됨으로써, 천공 작업 완료 후에도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1)이 모두 상기 몸체 안에 남아 있게 되어, 상기 메인 관의 내부, 천공 관의 내부 및 분기 관 연결부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천공 홀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천공 부재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연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 메인 관
11: 천공 홀
20: 분기 관
100: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10: 클램프 유닛
111: 패드 부
111a: 걸림 홀
111b: 열선 부
115: 체결 부
115a: 원터치 돌기
120: 천공 유닛
121: 천공용 관
121a: 나사 부
122: 실링
123: 절곡 턱
124: 실링
125: 천공 부재
125a: 나사 부
125b: 몸체
125c: 경사 절삭 팁
125d: 가이드 경사면
125e: 가이드 홈
125f: 이단의 절삭 면
125g: 공구 삽입용 홈
127: 밀봉 캡
130: 분기 관 연결부
C1: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
C2: 원형의 천공 부분(칩)

Claims (15)

  1.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유닛; 상기 메인 관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분기 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클램프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천공 유닛; 및 상기 천공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분기 관이 연결되는 분기 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과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 유닛의 내주 면에 열선 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일부분에 밀착되는 패드 부;
    상기 메인 관의 외주 면 나머지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 부에 연결되는 체결 부를 포함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의 일측 단은 볼트에 의해 상기 패드 부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 부의 타측 단은 원터치 돌기에 의해 상기 패드 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의 타측 단에는 상기 원터치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유닛은 내주 면에 나사 부가 형성되는 천공용 관;
    상기 천공용 관을 따라 나선운동하면서 상기 메인 관에 천공 홀을 형성하는 천공 부재; 및
    상기 천공용 관의 끝단을 밀봉하는 밀봉 캡을 포함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관과 상기 밀봉 캡의 사이에 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용 관의 끝단에 절곡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턱에는 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는 일측 외주 면에 나사 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chip)을 상기 몸체 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 단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 절삭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절삭 팁은 그 기단이 상대적으로 높고 종단이 낮게 점차 경사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절삭 팁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의 천공시 발생하는 칩을 상기 몸체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경사 절삭 팁의 기단의 측면에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절삭 팁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절삭 팁의 내주 면에는 이단의 절삭 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의 끝단 면에는 상기 천공 부재의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 삽입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15. 메인 관의 외주 면에 클램프 유닛을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클램프 유닛에 구비된 열선 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메인 관에 형성된 천공 홀 주변을 융착하는 제2단계;
    천공 유닛의 천공 부재를 회전 이송시켜 상기 메인 관에 천공 홀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천공 부재를 반송시켜, 상기 천공 홀을 통해서 상기 메인 관과 분기 관 연결부에 결합된 분기 관을 연통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방법.
KR1020070090042A 2007-09-05 2007-09-05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90025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42A KR20090025021A (ko) 2007-09-05 2007-09-05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42A KR20090025021A (ko) 2007-09-05 2007-09-05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21A true KR20090025021A (ko) 2009-03-10

Family

ID=4069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042A KR20090025021A (ko) 2007-09-05 2007-09-05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0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64B1 (ko) * 2011-03-16 2013-11-05 (주)창원기술개발 새들분수전 및 새들분수전의 시공방법
KR101616399B1 (ko) * 2014-10-28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음극방식용 애노드 설치장치
KR102229571B1 (ko) * 2020-09-03 2021-03-18 (주) 폴리텍 분기 이음관
GB2603890A (en) * 2020-12-22 2022-08-24 Dudley Thomas Ltd Cut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64B1 (ko) * 2011-03-16 2013-11-05 (주)창원기술개발 새들분수전 및 새들분수전의 시공방법
KR101616399B1 (ko) * 2014-10-28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음극방식용 애노드 설치장치
KR102229571B1 (ko) * 2020-09-03 2021-03-18 (주) 폴리텍 분기 이음관
GB2603890A (en) * 2020-12-22 2022-08-24 Dudley Thomas Ltd Cu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874B2 (en) Tube coupling
US4730636A (en) Valve and tapping tee apparatus and method
US4809735A (en) Valve and tapping tee apparatus and method
KR20090025021A (ko) 메인 관과 분기 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10632518B2 (en) Pipe end forming methods and pipe clamp
AU780812B2 (en) Improved welding socket
JP7489170B2 (ja) センサコネクタ付きスリーブ及び導管にセンサ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US20010039970A1 (en) Junction device for hoses
CN108825910B (zh) 毛细管分水接头
CN217463672U (zh) 鞍式直接接头和鞍式直接的管组件
EP2533925B1 (en) Cutter assembly
CN205743782U (zh) 管件快速插接连接头
CN112460355A (zh) 软管的快接装置及快接方法
CN212656781U (zh) 一种油田管道非开挖修复螺纹软管接头
JP3814105B2 (ja) サービスチー継手用の穿孔工具
KR200242716Y1 (ko) 관수용호스콘넥터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CN216741355U (zh) 一种耐高温高压定向井探管
KR101015786B1 (ko) 융착식 연결부재
CN107166133A (zh) 修复管路用钳压式直接管件
US6892753B2 (en) Structure for converting a mechanical joint to a fusion joint
KR200156383Y1 (ko) 오폐수 수거용 합성수지관의 분기장치
KR200292833Y1 (ko) 관체의 연결관 연결용 커플러
US10323783B2 (en) Fusion tee outlet abandonment device
KR20090128170A (ko) 천공블럭, 그 천공블럭을 구비하는 가스관 분기장치 및이를 이용한 가스관의 분기, 교체 및 철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