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458A -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458A
KR20090024458A KR1020070089495A KR20070089495A KR20090024458A KR 20090024458 A KR20090024458 A KR 20090024458A KR 1020070089495 A KR1020070089495 A KR 1020070089495A KR 20070089495 A KR20070089495 A KR 20070089495A KR 20090024458 A KR20090024458 A KR 2009002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word
point
played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229B1 (ko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2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을 손쉽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영상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로 진입하여 검색어가 입력되는 과정과, 각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각 문자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상기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 장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문자데이터, 재생지점의 정보

Description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을 손쉽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여 이동중에 통신 기능 또는 기타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은 보편화되어,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구현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있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한다. 특히, 근래의 휴대단말기는 초고속이동통신(HSDPA) 서비스와 같은 고속의 유무선 통신 환경을 통해 다양한 동영상을 손쉽게 다운로드하고,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UCC(User Created Content) 동영상을 촬영한다. 휴대단말기에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예를 들어, T-Flash, Memory Stick 및 Compat Flash등)가 고용량화되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더욱 일반화되면, 휴대단말기에 저장되는 동영상의 개수는 늘어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에 저장되는 동영상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사용자는 특정 동영상을 검색하여 재생하는데 여러 가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더욱이 휴대성이라는 특성상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다수의 동영상 중 특정 동영상을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을 손쉽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로 진입하여 검색어가 입력되는 과정과, 각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각 문자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상기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과 상기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각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문자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상기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 장면을 신 속하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부(2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코덱 플레이어(예를 들어, 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Mp3 Player)일 경우에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같은 무선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특정 재 생구간을 검색하도록 하는 검색어를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받는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이 때, 키입력부(27)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키입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키입력을 통해 동영상의 특정 재생구간을 검색하도록 하는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동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각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각 음성데이터가 문자데이터로 각각 변환되면, 문자데이터를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게 저장한다. 이 때, 문자데이터는 동영상에서 해당 문자들이 출력되는 재생지점의 시간 정보를 대응되게 저장한다. 예를 들어, 문자데이터는 영화 자막의 캡션(Caption)파일과 같이, 소정의 자막내용(즉, 본 발명에서 문자데이터에 저장된 문자 또는 문자열)과 자막내용이 출력될 때 해당 영화에서의 시간 정보를 대응되게 저장한다.
표시부(50)는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제공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소정의 동영상으로부터 음성데이터만을 추출하고, STT(Speech-To-Text) 프로세스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즉, 음성이 문자로 변환된 데이터)로 변환(또는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이 각 동영상으로부터 음성데이터(또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데이터)만을 따로 추출하며, 추출된 음성데이터로부터 문자데이터생성하고, 생성된 각 문자데이터를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문자데이터를 확인하고,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즉, 문자열로써 Text)가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문자데이터에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있으면, 제어부(10)는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하기의 도2 및 도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검색모드로 진입되어(S201), 검색어가 입력되면(S202), 제어부(10)는 동영상 별로 문자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S203).
사용자는 동영상의 검색 또는 동영상의 특정 재생구간을 검색하기 위해 검색모드로의 진입을 요청하고, 검색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입력창(51)에 “스승”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각 동영상에 문자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는 STT(Speech-To-Text)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동영상에서 음성데이터(또는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문자 또는 문자들의 집합(즉, 문자열로써 텍스트)을 의미한다. 이 때, 검색어는 키입력부(27)를 통해 입력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STT프로세스에 의해 검색어(즉, 문자로써 단어 또는 단어열)로 변환된 것일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문자데이터가 없는 동영상의 존재를 확인하고(S204), 문자데이터가 없는 동영상의 경우 STT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205).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업체(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동영상을 새로 다운받거나, 카메라(미도시)의 동영상 촬영을 통해 동영상을 새롭게 생성하거나, 소정의 동영상(예를 들어, 영화 클립)을 휴대단말기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예를 들어, mpeg4)으로 컨버팅하여 휴대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된 동영상은 영상(또는 자막과 함께)만이 제공되므로, 휴대단말기에 저장되는 동영상의 숫자가 늘어나게되면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검색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 문자데이터가 없는 동영상이 존재하면, 해당 동영상으로부터 음성데이터(또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데이터를 통해 문자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문자데이터는 음성데이터로부터 변환된 단어들(즉, 문자들)과 해당 동영상 내에서 각 단어가 출력되는 재생지점의 시간 정보를 대응되게 저장한다. 동영상(즉, 동영상의 음성데이터)으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러한 과정은 장치 내(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에 동영상이 생성되면(예를 들어, 저장되거나 복사되거나, 새롭게 촬영되어 생성되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0)는 장치(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내의 소정의 동영상이 삭제되면, 삭제된 동영상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동영상별로 문자데이터가 모두 있을 경우에 S203 내지 S205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각 동영상의 문자데이터에서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있는지 검색하여(S206), 각 동영상의 문자데이터 내에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207), 동영상에서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08).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데이터는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음성들로부터 변환된 문자(또는 문자열)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문자데이터내의 문자열을 확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는 문자가 문자데이터 내에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일치하는 문자가 해당 동영상에서 출력될 때의 시각을 문자데이터에서 확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검색창(51)에 입력된 '스승'이라는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메모리(30)에 저장된 문자데이터들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단어가 해당 동영상에서 출력될 때의 시간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0)는 일치하는 단어가 대응되는 재생지점의 정보(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를 저장하고있는 문자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 내에서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재생지점의 정보는 영상이미지(52 및 56), 파일명(53 및 57), 재생지점의 시각(54 또는 58) 및 소정시간동안의 단어열(55 및 59)로 구성된다. 검색어는 단순한 단어 또는 단어열에 불과하다. 따라서, 검색어에 대응되는 단어만을 통해 동영상을 검색하게 되면, 검색되는 동영상의 숫자도 증가하게 되어 재생하고자 하는 이외의 동영상들도 검색될 여지가 있다. 또한, 검색어에 대응되는 단어만으로 동영상을 검색하는 것은 하나의 동영상에서(즉, 동영상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에서) 다수 개의 단어가 검색어가 검색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영상이미지(52 및 56)를 제공하여, 문자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에서 검색어(예를 들어, 스승)가 출력될 때(즉, 영상이미지와 함께 스승이라는 소리가 출렬될 때)의 화면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재생지점의 시각(54 또는 58)을 제공하여, 문자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에서 검색어가 출력될 때의 시각을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문자데이터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에서 검색어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재생되는(정방향 또는 역방향) 단어열(55 및 59)을 제공함으로써, 검색어로부터 시작하는(또는 포함하는) 문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재생지점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동영상의 재생구간 중에 서 검색어가 등장하는(검색어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될 때의) 영상의 이미지를 확인하며, 검색어에 대응되는 음성이 재생될 때의 영상 내의 시각을 확인하며, 일정 시간동안의 문자열(예를 들어, 영화에서 자막의 일정 부분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동영상 또는 동영상 내의 재생지점을 검색할 수 있다.
표시된 재생지점의 정보가 선택되면(S209), 제어부(10)는 선택된 재생지점의 정보에 따라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S210).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지점의 정보는 영상이미지(52 및 56), 파일명(53 및 57), 재생지점의 시각(54 또는 58) 및 소정시간동안의 단어열(55 및 59)등의 여러 가지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재생지점의 정보중에서 선택되는 종류에 따라 제어부(10)는 동영상의 재생 방법을 달리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표시된 재생지점의 정보 중에서 파일명(53 및 57)이 선택되면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재생하여,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처음 재생구간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0)는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시각(54 및 58) 또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영상이미지(52 및 56)가 선택되면,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문자데이터의 단어열(55 및 59)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어열의 재생구간동안만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어열(55)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스승님, 저것은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겁니까, 바람이 움직이는 겁니까?”의 단어열이 해당 동영상(달콤한 인생)내에서 (음성으로) 출력되는 소정의 재생구간동안만 해당 동영상(달콤한 인생)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

Claims (12)

  1. 동영상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로 진입하여 검색어가 입력되는 과정과,
    각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각 문자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상기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점의 정보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의 파일명,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시각,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영상이미지 또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시간동안의 동영상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단어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재생지점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재생지 점의 정보에 따라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과정은,
    상기 파일명이 선택되면,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시각 또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영상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부터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데이터의 단어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열의 재생구간동안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이 있으면,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는,
    키입력에 의한 문자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 문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방법.
  7. 동영상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과 상기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각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동영상의 재생구간 검색 모드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문자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단어가 상기 문자데이터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일치하는 단어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해당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영상의 재생지점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점의 정보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의 파일명,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 생되는 지점의 시각,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영상이미지 또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시간동안의 동영상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문자데이터의 단어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재생지점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된 재생지점의 정보에 따라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명이 선택되면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시각 또는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의 영상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동영상을 상기 일치하는 단어가 재생되는 지점부터 재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자데이터의 단어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열의 재생구간동안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이 있으면 상기 문자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동영상의 음성데이터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는,
    키입력에 의한 문자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 문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처리 장치.
KR1020070089495A 2007-09-04 2007-09-04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5A KR101412229B1 (ko) 2007-09-04 2007-09-04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5A KR101412229B1 (ko) 2007-09-04 2007-09-04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458A true KR20090024458A (ko) 2009-03-09
KR101412229B1 KR101412229B1 (ko) 2014-06-25

Family

ID=4069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495A KR101412229B1 (ko) 2007-09-04 2007-09-04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73B1 (ko) * 2010-04-07 2011-01-21 김덕훈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장치
KR101028839B1 (ko) * 2009-05-07 2011-04-12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KR20220138145A (ko) * 2021-04-05 2022-10-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검토 시스템,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822A (ja) 1999-08-20 2001-02-27 Fukushima Printing Co Ltd テキスト検索可能なデジタルコンテンツ製作方法
US7143353B2 (en) * 2001-03-30 2006-11-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reaming video bookmarks
KR20060100646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영상물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영상 검색 시스템
KR20070042000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림의 챕터 별 제목 설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839B1 (ko) * 2009-05-07 2011-04-12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KR101009973B1 (ko) * 2010-04-07 2011-01-21 김덕훈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장치
WO2011084039A2 (ko) * 2010-04-07 2011-07-14 Kim Doek Hoon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장치
WO2011084039A3 (ko) * 2010-04-07 2012-01-19 Kim Doek Hoon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장치
KR20220138145A (ko) * 2021-04-05 2022-10-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검토 시스템,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229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617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513847B1 (ko) 화상들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820678B (zh) 音频信息识别方法及装置
CN106911967B (zh) 直播回放方法及装置
CN107155138A (zh) 视频播放跳转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686246B (zh) 传输流视频选时播放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09614470B (zh) 回答信息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20060080796A (ko)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12229B1 (ko) 동영상의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06112429A1 (ja) 録画装置
KR20160011532A (ko) 동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2988956A (zh) 自动生成对话的方法及装置、信息推荐效果检测方法及装置
US20230067387A1 (en) Method for music generatio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101336256B1 (ko) 음성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KR101422283B1 (ko) 자막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JP2005204338A (ja) 携帯電話や携行端末における静止画漫画の再生方法
JP4744373B2 (ja) 携帯情報端末
KR100879684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외국어 학습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KR100926420B1 (ko) 스트리밍 파일의 재생 위치 인덱싱 방법 및 스트리밍파일의 재생 위치 인덱싱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80111282A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7744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테마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113393A (ko) 특수문자와 예약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6139710A (ja) 携帯電話や携行端末における静止画漫画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