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327A -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327A
KR20090024327A KR1020070089261A KR20070089261A KR20090024327A KR 20090024327 A KR20090024327 A KR 20090024327A KR 1020070089261 A KR1020070089261 A KR 1020070089261A KR 20070089261 A KR20070089261 A KR 20070089261A KR 20090024327 A KR20090024327 A KR 2009002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arch signal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8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4327A/ko
Publication of KR2009002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형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개시된다. 분실된 단말기 회수 방법은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분실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분실된 단말기가 위치를 알 수 있어 사용자가 분실한 단말기를 보다 수월하게 회수 할 수 있다.
핸드폰, 휴대폰, 분실, 회수, 문자메시지, SMS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of lost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및 분실된 휴대형 단말기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미리 지정된 다른 단말기로 분실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형 단말기는 그 종류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휴대형 단말기가 소형화 되면 휴대형 단말기의 부피가 작아져 사용자가 휴대하는 데에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그만큼 분실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휴대형 단말기의 분실은 특정한 장소에 휴대용 단말기를 놓아둔 상태로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와, 주머니에 넣어둔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 본인도 모르게 주머니에서 빠져 버리는 경우가 흔하다.
종래에는 분실한 휴대형 단말기를 찾기 위해서 사용자가 스스로 이동 경로를 되짚어 보면서 어느 장소에서 분실되었는지 고민해야 하고, 휴대형 단말기를 분실한 장소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게 되어 분실된 휴대형 단말기의 회수율이 30%도 못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전에 비해 휴대형 단말기의 가격이 많이 낮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DMB를 시청이 가능한 단말기나 3G 단말기의 경우에는 최근에도 매우 고가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당한 경제적 손해를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휴대형 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에 미리 지정된 다른 휴대형 단말기로 분실 휴대형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보다 수월하게 분실된 휴대형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분실된 단말기 를 회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색 신호는 상기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전용 근거리 통신(DSRC) 및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text)로 변환하여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미지(image)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검색 신호 수신부;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검색 신호 수신부는 상기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근거리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검색 신호 수신부는 상기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전용 근거리 통신(DSRC) 및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출력하는 분실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GPS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 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text)로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미지(image)로 변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검색 대상 단말기의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분실한 단말기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분실한 장소를 인지하는 경우 단말기 분실 당시의 상황 및 경로를 사용자 스스로 체크할 수 있어 추후에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단말기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검색 신호 수신부(110), 판단부(120), 위치 정보 산출부(130), 메시지 생성부(140), 메시지 전송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판단부(120)는 수신 강도 측정부(123) 및 분실여부 판단부(125)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판단부(120)가 제어부(160)와 독립된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판단부(120)는 제어부(160)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로부터 다른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메시지를 송신할 다른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단말기 회수 방법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검색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검색 신호를 분실 단말기(100)에서 수신하고,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분실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분실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검색 신호 수신부(11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지한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가 생성하고 송신하는 단말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부(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검색 신호는 단말기가 분실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로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에서 생성되고, 검색 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신호이다.
또한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는 검색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장치로서, 단말기와 고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의 종료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전용 근거리 통신(DSRC)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쌍방향으로 실시간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표준 상 보통 10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지그비는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쌍방향으로 무선 통신을 하는 점에서는 불루투스와 유사하나, 블루투스보다 저전력, 저가격의 특성을 지닌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써, 최대 50m의 범위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전용 근거리 통신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및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으로써,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 할 필요 없이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간에 전용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방법이다. 저주파 시스템(30KHz ~ 500KHz)을 이용하면 1.8m 이하의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으며, 고주파 시스템(850MHz ~ 950MHz) 을 이용하면 27m 정도의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통신이 가 능하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장치 간에 통신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게 되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검색 신호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소지한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 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와 단말기(100)는 멀리 떨어진 것임을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간주된다.
판단부(120)는 검색 신호 수신부(110)에서 검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단부(120)는 수신 강도 측정부(123) 및 분실여부 판단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강도 측정부(123)는 제어부(160)로부터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검색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검색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검색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주기는 디폴트(default)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신 강도 측정부(123)에서 측정한 검색 신호의 강도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분실여부 판단부(125)로 출력한다.
분실여부 판단부(125)는 수신 강도 측정부(123)에서 측정한 검색 신호의 강도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와 검색 신호 수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에서 생성된 검색 신호를 검색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할 수 없게 되므로 분실여부 판단부(125)는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분실여부 판단부(125)에서 검색 신호의 강도를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값과 비교하여 검색 신호의 강도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단말기(100)가 분실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반면에 검색 신호의 강도가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단말기가 분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폴트로 지정된 값이 30dB인 경우를 가정하면 수신 강도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검색 신호의 강도가 30dB이상인 경우에는 분실여부 판단부(125)는 단말기(100)가 분실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검색 신호의 강도가 30dB미만인 경우에는 단말기(100)가 분실되었음을 나타내는 판단 결과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것이다.
위치 정보 산출부(130)는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이 가능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GPS 방식과 셀(Cell)방식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GPS 방식은 GPS장치를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포함한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측량법을 통한 위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GPS 방식을 이용 하여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 산출부(130)는 GPS장치일 수 있다. GPS장치에서 수신된 위성 신호 중 GPS 신호를 추출하여 주소(address) 형태 또는 이미지 형태로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셀 방식은 GPS 장치가 없는 단말기에서도 무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단말기(100)가 위치한 곳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 ID)와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셀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CDMA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가 idle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과 RF를 주고 받아 기지국 ID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WCDMA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LAU(Location area update) 또는 RAU(Routing area update)와 현재 PSC number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도, 무선 랜 접속 위치 감지 방식, DMB 방송 수신 위치 감지 방식, 왕복지연시간(RTT : Round Trip Time)을 이용하는 방식 및 A-GPS 방식 등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분실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 및 위치 정보 산출 방법은 무관하고, 단말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정확한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정보)까지 포함할 필요는 없다.
위치 정보 산출부(130)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분실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단말기의 분실 알림 및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위치 정보 산출부(130)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메시지 전송부(150)에 전달한다.
메시지 생성부(140)에서 메시지를 텍스트(text) 또는 이미지(image)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는데 위치 정보 산출부(130)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주소와 같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경우라면 텍스트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3차원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 경우라면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문메시지는 비교적 짧은 문장(80byte이내)을 텍스트 형태로 표현한 메시지이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텍스트, 정지영상, 음악, 음성, 동영상 및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식을 갖춘 비교적 큰 용량의 메시지를 뜻한다.
메시지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메시지의 예시는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메시지 전송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시지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단말기(100)가 분실된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 연인 및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람들의 단말기 번호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가 분실된 경우 메시지 전송부(150)는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 번호를 독출한 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검색 신호 수신부(110), 판단부(120), 위치 정보 산출부(130), 메시지 생성부(140), 메시지 전송부(150)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분실 여부의 판단 결과를 입력 받기 위해 판단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판단부(120)로부터 단말기가 분실되었다는 판단 결과를 입력 받은 경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도록 위치 정보 산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120)에서 수행되는 단말기의 분실 여부의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는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단말기가 분실되었다는 판단 결과를 입력 받은 경우 메시지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에는 위치 정보 산출부(130)에서 수신된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시지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 전송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의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기가 분실되었다는 판단 결과를 입력 받은 경우 다른 단말기의 정보를 독출하여 메시지 전송부(150)로 제공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와 단말기 사이에 검색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신호를 송수신 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는 단말기가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할 수 있다.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는 단말기(100)와 검색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다만,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단말기(100)와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이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는 목걸이, 팔찌 및 손목시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지갑에 들어갈 수 있는 카드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와 단말기(100)의 검색 신호의 송수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지그비, 전용 근거리 통신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가 전송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 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0)가 분실된 경우,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300)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의 정보를 단말기(100)에 미리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단말기라 함은 분실된 단말기(100)와는 구별되는 단말기로서,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와 친분이 두터운 가족, 연인 및 친구 등의 단말기의 정보를 미리 지정해 놓아야 사용자 본인의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보다 쉽게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라면 사용자 본인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분실된 경우, 단말기(100)는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분실된 경우,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화면(300)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1번지'에 위치한 XX빌딩에 XXX님의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습니다'라는 내용의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메시지의 내용, 메시지 표시 방법 및 메시지의 구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분실된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과정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10에서 단말기(100)는 검색 신호 송신장치(200)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 S420으로 진행하여 검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30에서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가 분실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단말기(100) 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고, 검색 신호의 수신 강도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에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430의 판단 결과, 단말기(100)가 분실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410로 되돌아간다. 즉, 단말기(100)의 분실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단계 S430의 판단 결과, 단말기(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440으로 진행하여 분실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현재 위치 정보의 산출은 위치 정보 산출부(130)에 의해 이루어 질 것이고,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의 형식은 다양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440에서 분실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S450로 진행한다. 메시지의 생성은 메시지 생성부(140)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의 형태(예를 들면 주소)로 가공한 경우에는 텍스트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현재 위치 정보를 이미지의 형태(예를 들어 지도)로 가공한 경우에는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450에서 메시지를 생성한 경우 단계 S460로 진행한다. 단계 S460은 메시지 전송부(150)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며,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단말기(100)를 분실한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다 쉽게 알 수 있어 회수하는데 편리하며, 단말기를 분실한 상황을 되돌아보아 추후에 유사한 상황이 되었을 경우 단말기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도록 하게 되어 단말기의 분실을 방지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신호를 송수신 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가 전송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5)

  1.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신호는 상기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전용 근거리 통신(DSRC) 및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포함된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text)로 변환하여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미지(image)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8.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검색 신호 수신부;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신호 수신부는 상기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근거리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신호 수신부는 상기 검색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전용 근거리 통신(DSRC) 및 지그비(Zigbee)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출력하는 분실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GPS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텍스트(text)로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미지(image)로 변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분실된 단말기를 회수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검색 대상 단말기의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KR1020070089261A 2007-09-04 2007-09-04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KR2009002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61A KR20090024327A (ko) 2007-09-04 2007-09-04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61A KR20090024327A (ko) 2007-09-04 2007-09-04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27A true KR20090024327A (ko) 2009-03-09

Family

ID=4069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61A KR20090024327A (ko) 2007-09-04 2007-09-04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4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99B1 (ko) * 2009-05-06 2011-09-3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136248B2 (en) 2014-12-17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99B1 (ko) * 2009-05-06 2011-09-3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136248B2 (en) 2014-12-17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US10362438B2 (en) 2014-12-17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9458B (zh) 可穿戴设备远程跟踪方法、移动终端和云端服务器
KR101373007B1 (ko)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090002657A (ko) 개체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US8775075B2 (en)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10175374A (ja) 測位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513126B2 (en) Auxiliary guiding device and system for the blind
CN101123747A (zh) 通过手机短信交换位置信息的方法及其手机
CN103974190A (zh) 通过移动设备传输文件的方法及移动设备
KR20090024327A (ko) 휴대용 단말기 및 분실된 단말기의 회수 방법
CN112163061A (zh) 用户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11035438A (ja) センサ機能を有する無線端末機器、該端末機器の省電力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19296A (ko) 휴대폰 분실 방지 시스템
US96127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pecific data between a network interface communication standard and an incompatible radio broadcasting communication standard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8036795B (zh) 路径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06308493A (ja) 携帯端末装置、応答通信装置並びに被探索対象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35304B (zh) 控制移动终端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4079855B (zh) 一种低功耗定位方法及相关装置
JP200830667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近距離内通信相手探索方法
CN113965880A (zh) 一种无线耳机查找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167755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2698311A (zh) 测距方法、装置、系统、智能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42067A (zh) 一种移动设备的立体定位方法及移动设备
KR101809665B1 (ko)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
WO2016084827A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