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973A -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973A
KR20090023973A KR1020070089133A KR20070089133A KR20090023973A KR 20090023973 A KR20090023973 A KR 20090023973A KR 1020070089133 A KR1020070089133 A KR 1020070089133A KR 20070089133 A KR20070089133 A KR 20070089133A KR 20090023973 A KR20090023973 A KR 2009002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layer
exterior material
building
building exterior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성
Original Assignee
한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성 filed Critical 한태성
Priority to KR102007008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3973A/ko
Publication of KR2009002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의 제1콘크리트층;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메쉬; 상기 와이어메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 상기 제2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재; 및 상기 제1보강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통하여 콘크리트층 내부에 와이어메쉬,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를 삽입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상승시켜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단일 외장재 무게를 경량화시켜서 저가의 가격인 외장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건축물 벽면에 시공할 때 신속·편리하게 시공을 할 수 있다.
외장재, 건축물, 유리섬유망, 메탈라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Exterior panel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층 내부에 와이어메쉬,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를 삽입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상승시켜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단일 외장재 무게를 경량화시켜서 저가의 가격인 외장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건축물 벽면에 시공할 때 신속·편리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벽체를 보호하는 기능의 외장재가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금속계와 비금속계로 구별되며, 이중 금속계 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또는 아연강판 등이 사용되고, 비금속계 외장재로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와 유기질, 시멘트 재질, 세라믹을 이용한 타일의 복합판넬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석재는 외관은 미려하나 고가이고, 중량이 무거워 시공에 어려움이 따라고, 표면에 공해물질이 쉽게 부착되어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타일 법랑재질 등은 청소는 용이하나 타일이 부분적으로 떨어지며, 법랑은 평활도가 우수하고 잘 깨지지 않으나,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층 내부에 와이어메쉬,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를 삽입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상승시켜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외장재 무게를 경량화시켜서 저가의 가격인 외장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건축물 벽면에 시공할 때 신속·편리하게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에 의하면, 일정 두께의 제1콘크리트층;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메쉬; 상기 와이어메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 상기 제2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재; 및 상기 제1보강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재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하면과 상기 제3콘크리트층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3콘크리트층의 상면에는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을 통해 장식홈 형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장식홈에는 외관 향상을 위한 장식재를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 일단부가 상기 제1콘크리트층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3콘크리트층의 상부에는 제2보강재가 더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제4콘크리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보강재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a)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상측으로 개방된 거푸집에 일정두께의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와이어메쉬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와이어메쉬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제1보강재를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제1보강재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f)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 일단부를 상기 제1콘크리트층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시키는 단계; (g)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로 상기 제3콘크 리트층의 상부를 압착하여 제3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장식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h) 상기 거푸집 내부의 상기 제1콘크리트층, 제2콘크리트층 및 제3콘크리트층에 열풍을 가해 양생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거푸집 및 상기 상틀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재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3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제2보강재가 배치되는 단계 및 그 상부에 제4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보강재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a)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한 다른 접촉면이 개방된 거푸집을 내부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기 접촉면이 건축물의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수용공간내에 와이어메쉬, 제1보강재, 제2보강재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수용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내부의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거푸집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층 내부에 와이어메쉬,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를 삽입하여 구조 적인 강도를 상승시켜 시공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외장재 무게를 경량화시켜서 저가의 가격인 외장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건축물 벽면에 시공할 때 신속·편리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서 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나타낸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는 크게 콘크리트층, 보강재, 와이어메쉬(15) 및 앵글(1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콘크리트층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콘크리트식의 외장재이다.
상기 콘크리트층은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시멘트를 13 ~ 16%, 잔골재를 42 ~ 45%, 굵은 골재를 42 ~ 45%의 비율로 조합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는 제1콘크리트층(11), 와이어메쉬(15), 제2콘크리트층(12), 제1보강재(16) 및 제3콘크리트층(13)이 순차적으로 상향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재(16)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는 상기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같은 얇은 보강재를 삽입하여 강도를 상승시키면서도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하면과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50mm이하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리섬유망은 내화재 또는 흡음재 용도로 사용되며, 제조할 때는 유리를 아주 얇은 섬유화하여 일종의 솜처럼 만들고, 유리섬유의 보호를 위해서 플라스틱 필름이 감싸고 있다.
상기 메탈라스는 얇은 철판에 미세한 노치들을 낸 후, 기계로 철판을 인장시켜 구멍을 생성시킨 철판을 의미하며, 균열방지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강도는 상기 와이어메쉬(15)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상기 유리섬유망 및 메탈라스는 상기 와이어메쉬(15)의 보강재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면에는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20)을 통해 장식홈(19) 형상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식홈(19)에는 외관 향상을 위한 장식재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식홈(19) 형상은 상기 상틀(20)의 요철형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장식홈(19) 형상에는 나무장식재 또는 금속장식재 등을 접착하여 외관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에 따르면,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제2보강재(17)를 더 배치하고, 그 상부에 제4콘크리트층(14)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재(17)는 상기 제1보강재(16)와 중복되지 않도록,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로 적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보강재(17) 및 제4콘크리트층(14)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4콘크리트층(14)의 상면에는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20)을 통해 장식홈(19)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홈(19)에도 나무장식재 또는 금속장식재 등을 접착하여 외관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에 따르면,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18) 일단부가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는 (a)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상측으로 개방된 거푸집(30)에 일정두께의 제1콘크리트층(11)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와이어메쉬(15)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와이어메쉬(15)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12)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콘크리트층(12)의 상부에 제1보강재(16)를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제1보강재(16)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13)을 형성시키는 단계; (f)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18) 일단부를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시키는 단계; (g)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20)로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를 압착하여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장식홈(19)을 형성시키는 단계; (h) 상기 거푸집(30) 내부의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제2콘크리트층(12) 및 제3콘크리트층(13)에 열풍을 가해 양생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거푸집(30) 및 상기 상틀(20)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시예는 건축물 외장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시키는 건식 접착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푸집(30)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외형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거푸집(3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거푸집(30)의 내부 하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높이의 제1콘크리트층(11)을 형성시키고(S10), 그 상부에도 순차적으로 와이어메쉬(15), 제2콘크리층(12), 제1보강재(16), 제3콘크리트층(13)을 형성시킨다(S11,S12,S13,S14).
상기 제1보강재(16)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이다.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18) 일단부를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시킨 다(S15).
상기 거푸집(30)의 개방된 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를 압착시키는 상틀(20)은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를 향하는 면에 요철형상이 구비되어 있다(S16).
상기 요철형상은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30) 내부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열풍을 가해 양생을 시킨다(S17).
상기 양생방법은 증기를 약 4시간 정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찌는 방식을 택한다. 그 후, 상기 거푸집(30) 및 상기 상틀(20)을 탈형시키면(S18),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하측으로는 앵글(18)이 돌출되고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면에는 장식홈(19) 형상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가 완성된다.
상기 장식홈(19)에 나무장식재 또는 금속장식재 등을 접착하여 외관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건축물 벽면에 기고정되어 있는 앵글의 일단과 상기 앵글(18)을 결합하여 상기 건축물 외장재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글을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 너트 등 일반적인 결합수단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제2보강재(17)를 더 배치하고, 그 상부에 제4콘크리트 층(14)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보강재(17)는 상기 제1보강재(16)와 중복되지 않도록,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는 (a)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한 다른 접촉면이 개방된 거푸집을 내부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기 접촉면이 건축물의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수용공간내에 와이어메쉬(15), 제1보강재, 제2보강재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수용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30) 내부의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거푸집(30)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실시예는 건축물 외장재를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건축물 벽면에 직접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푸집(30)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외형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한 다른 접촉면이 개방된 거푸집은 내부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기 접촉면이 건축물의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S20), 상기 수용공간내에 와이어메쉬(15), 제1보강재 및 제2보강재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시킨다(S21).
상기 수용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22), 적절한 시간동안 양생을 시킨다(S23). 상기 양생은 자연적으로 건조되도록 하는 방법을 택한다. 그 후, 상기 거푸집(30)을 탈형시키면(S24) 건축물 벽면에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건축물 외장재가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서 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나타낸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건축물외장재 11: 제1콘크리트층
12: 제2콘크리트층 13: 제3콘크리트층
14: 제4콘크리트층 15: 와이어메쉬
16: 제1보강재 17: 제2보강재
18: 앵글 19: 장식홈
20: 상틀 30: 거푸집

Claims (13)

  1. 일정 두께의 제1콘크리트층(11);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메쉬(15);
    상기 와이어메쉬(15)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12);
    상기 제2콘크리트층(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재(16); 및
    상기 제1보강재(16)의 상부에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1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16)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하면과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5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면에는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20)을 통해 장식홈(19) 형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홈(19)에는 외관 향상을 위한 장식재를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18) 일단부가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는 제2보강재(17)가 더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제4콘크리트층(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물 외장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재(17)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9. (a)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상측으로 개방된 거푸집(30)에 일정두께의 제1콘크리트층(11)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와이어메쉬(15)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와이어메쉬(15)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2콘크리트층(12)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콘크리트층(12)의 상부에 제1보강재(16)를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제1보강재(16)의 상부에 일정 두께의 제3콘크리트층(13)을 형성시키는 단계;
    (f)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그 선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속 절곡되는 다수의 앵글(18) 일단부를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또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11)을 관통하여 상기 제3콘크리트층(13) 이하의 소정의 높이까지 매설시키는 단계;
    (g) 요철형상이 구비된 상틀(20)로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를 압착하여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장식홈(19)을 형성시키는 단계;
    (h) 상기 거푸집(30) 내부의 상기 제1콘크리트층(11), 제2콘크리트층(12) 및 제3콘크리트층(13)에 열풍을 가해 양생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거푸집(30) 및 상기 상틀(20)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16)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크리트층(13)의 상부에 제2보강재(17)가 배치되는 단계 및 그 상부에 제4콘크리트층(14)이 형성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재(17)는 유리섬유망 또는 메탈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
  13. (a)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한 다른 접촉면이 개방된 거푸집을 내부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기 접촉면이 건축물의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수용공간내에 와이어메쉬(15), 제1보강재, 제2보강재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수용공간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30) 내부의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거푸집(30)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제조방법.
KR1020070089133A 2007-09-03 2007-09-03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3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33A KR20090023973A (ko) 2007-09-03 2007-09-03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33A KR20090023973A (ko) 2007-09-03 2007-09-03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73A true KR20090023973A (ko) 2009-03-06

Family

ID=406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33A KR20090023973A (ko) 2007-09-03 2007-09-03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39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048A (zh) * 2018-08-22 2018-12-11 宜昌靓颐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健康环保墙衣
KR20200041211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백성 건축용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048A (zh) * 2018-08-22 2018-12-11 宜昌靓颐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健康环保墙衣
KR20200041211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백성 건축용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5502B (zh) 一种预制轻质楼盖板及工业化建筑房屋楼层板结构
NO325695B1 (no) Veggkonstruksjon, fremgangsmate for a fremstille en veggkonstruksjon og en formmontasje.
CN104695662B (zh) 石材饰面预制外墙板及其生产方法及外墙体系
US20110023383A1 (en) Prefabricated concrete building modul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957494B1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RU73889U1 (ru) Стена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US8028481B2 (en) Caisson ceiling system
CN102787690A (zh) 内部具有轻质填充物或空孔的隔墙板及方法
CA255594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KR20090023973A (ko)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103427A (zh) 一种预制装配式混凝土外墙挂板及其装饰层混打方法
KR20130027857A (ko) 건물외장용 콘크리트 패널
KR100619093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RU79120U1 (ru) Перекрытие (варианты)
RU92051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теплый камень"
JP4624320B2 (ja) 土間コンクリート構造
CN206346390U (zh) 一种轻质陶玻夹芯板
JP2005023777A (ja) 強化化粧パネル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RU2357053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KR100945266B1 (ko)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
RU69539U1 (ru) Легк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203123B1 (ko)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06

Effective date: 201008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05

Effective date: 201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