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146A -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146A
KR20090022146A KR1020070087247A KR20070087247A KR20090022146A KR 20090022146 A KR20090022146 A KR 20090022146A KR 1020070087247 A KR1020070087247 A KR 1020070087247A KR 20070087247 A KR20070087247 A KR 20070087247A KR 20090022146 A KR20090022146 A KR 20090022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field
classification
cost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정
이동춘
박범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07008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146A/ko
Publication of KR2009002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철도건설사업의 특성을 체계적인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의 기본 단위를 수행항목(WP)으로 정함으로서 하나의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프로젝트를 일괄된 기준에 따라 종합, 분석할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수행항목(WP)를 중심으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축척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사업정보를 효과적으로 요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대규모 자금조달에 중요한 요소인 조달시기 및 조달규모의 예측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일괄되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업정보의 표준화에도 이점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업의 정보를 축적하게 되면 신규사업에 대해서도 사업유형별/분야별 공정진도계획, 사업비조달계획, 사업기간 산정 등에 손쉽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업관리, 수행항목, 사업비코드, 공정코드.

Description

철도사업관리 시스템{Railroad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철도건설사업의 특성을 체계적인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의 기본 단위를 수행항목(WP)으로 정함으로서 하나의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프로젝트를 일괄된 기준에 따라 종합, 분석할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사업을 관리하는 발주자를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의 발주자는 하나의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프로젝트를 일괄된 기준에 따라 종합하고 분석하여 이를 발주자의 전략목표를 위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사업들에 일괄된 관리기준의 적용되어야 하며, 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기준을 제시하고 일괄된 관리기준을 가진 시스템이 없거나, 일부 제한적으로 사용한 정도였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2003 - 89685호에는 철도건설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각 공정들에 대하여 공정진척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공정데이터베이스와, 검색요청 및 검색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공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공정진척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모듈등으로 구성하여 각 공정별 세부공정에 대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다수의 분류필드를 이용하여 각 공정별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용됨으로써 서로 독립된 다양한 분야의 공정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철도건설공사의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2002 - 41390호에는 건설사업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건설사업관리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각 식별정보별로 접근 가능한 정보 및 상기 정보에 대한 조회, 입력, 수정 또는 삭제를 할 수 있는 사용권한을 저장하고 있는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접근권한이 주어진 작업을 허용하는 정보관리자서버 등으로 구성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2002 - 66719호에는 개별업체별로 제작된 카탈로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생성 또는 부여하여 업체별, 업종별 분류 체계에 따라 카탈로그 리스트를 서버에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코드가 가지고 있는 정보로 내부 카탈로그 리스트의 검색 및 상세 검색을 통해 해당되는 상세 카탈로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전자 카탈로그 식별 및 공유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사업비와 공정을 연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지만 그 투입된 노력에 비하여 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특히 발주자의 경우는 공정진행에 비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비집행(기성지급 간격이 넓음)과 공정관리대상과 사업비집행대상의 연계, 관리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많은 효과를 보지 못했다.
또한,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부분적으로 변경사항을 적용시켜 입력자 오류(human error)로 인해 일부 누락부분이 발생하여 통합 사업관리에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업관리의 기본단위인 수행항목(WP)을 중심으로 사업비와 공정을 분류하고, 사업비와 공정을 수행항목(WP) 수준으로 롤업(roll-up)할 경우 사업비와 공정을 직접 비교ㆍ분석할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종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통합변경관리' 모듈을 통해 변경사항의 발생부터 등록, 승인, 통합변경관리까지 시스템적으로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하여 변경영향을 일시에 반영시키도록 함으로서 입력자오류(Human error)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사업 전분야에 대하여 일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업무를 중심으로 기수행한 업무를 일괄적으로 정리, 분석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업무를 예측할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다수의 사업에 있어서 사업별 자료를 분리저장하여 접근하려는 사업의 고유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에 연결시킴으로서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이 가능하게 함으로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은 수행항목(WP)를 중심으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축척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사업정보를 효과적으로 요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대규모 자금조달에 중요한 요소인 조달시기 및 조달규모의 예측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일괄되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업정보의 표준화에도 이점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업의 정보를 축적하게 되면 신규사업에 대해서도 사업유형별/분야별 공정진도계획, 사업비조달계획, 사업기간 산정 등에 손쉽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업에 있어서 사업별 자료를 분리 저장하여 접근하려는 사업의 고유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에 연결되어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며,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 명을 생성하여 일괄적으로 사업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시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으로 생성된 사업식별코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며, 업무분류필드값을 검색키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계획,공정, 사업비,설계의 사업항목들을 조회하고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새로운 업무를 생성할 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은,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며, 수행항목필드값을 검색키로 하여 공정분류항목 필드값 및 사업비관리항목필드값을 조회하고 각종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계획, 공정, 사업비, 진척사항, 설계, 변경의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의 사업관리방법은,
상기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사업을 사업부문별, 업무분류별, 사업비 및 공정분류에 따라 사업번호체계를 정하고, 정해진 사업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각 사업을 담당하는 사업자들이 상기 할당받은 사업번호를 이용하여 철도사업관리시스템에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철도사업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업자들이 담당하고 있는 사업의 진행여부를 확인(출력, 조회)하고, 새로운 진행사항을 입력(수정)하는 단계;
상기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은 각 사업자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통합관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철도사업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업번호체계 (PNS : Project Numbering System)는 업무분류체계, 사업비분류번호체계, 공정분류번호체계, 도면 및 자료분류번호체계, 물품분류번호체계, 조직분류체계 등 체계적으로 사업관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번호체계를 말한다.
사업식별번호 (PIN : Project Identification Number)는 시행중인 사업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업별로 부여한 고유한 식별번호를 말한다.
업무분류체계 (WBS : Work Breakdown Structure)는 사업목적 달성을 위해 수행되어야 할 모든 업무(설비구분포함)을 분야, 특성 및 공정 등에 따라 관리 가능한 요소별로 정의한 구조적 체계(Logical Structure)를 말하며 계층별로 코드를 부여하여 업무분류체계를 만든다.
업무분류기준서 (WBS Dictionary)는 업무분류체계 작성을 위한 기준서를 말하며, 수행항목(WP)에 대한 적용범위와 대상 등을 정의한다.
수행항목 (WP : Work Package)은 업무분류체계(WBS)의 최하위단위이며, 사업항목별로 범위ㆍ사업비ㆍ공정을 가진다. 사업항목은 공단의 사업관리의 기본단위로서 사업관리활동을 통합하는 기준이다.
조직분류체계 (OBS :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는 사업에 참여하는 공단의 모든 부서(참여자)의 역할분담과 권한위임(Responsibility & Authority)을 위해 정의한 구조적 체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1-234-5-6>라는 조직분류번호가 존재할 때 1은 전체, 234는 하부조직 Ⅰ, 하부조직 Ⅱ , 하부조직 Ⅲ을 나타낸다. 1은 공통적으로 3을 부여하여 전체를 통합한다.
2,3,4는 임원, 본부단위를 분류하여 코드부여한다. 1NN은 직속부서, 3NN은 본사본부, 5NN은 지역본부, 7NN은 기타소속, 5는 처, 단 소속단위,6은 부소속단위을 나타낸다.
공정분류번호체계 (ANS : Activity Numbering System)는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로 코드화한 것을 말하며, Activity는 공정관리(Schedule Control)에서 최하위의 기본단위이다.
사업비분류번호체계는 사업비집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구성한 번호체계로, WP를 확장하여 연도 및 본ㆍ이월예산을 구분하여 코드화한 것을 말하며, 이 코드를 사업비관리코드(CA Code : Cost Account Code)라 한다.
대구간코드 (Segment Code)는 각 사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업별로 구성한다. 해당사업의 전분야에 공통 적용하여 데이터 집계 등에 활용한다. 3자리로 각 자리는 대,중,소 분류로 구분된다.
조직분류체계 (OBS :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는 공단의 조직ㆍ정원에 관하여 규정한 직제규정에 따라 전체조직에 각각의 분류코드를 부여한것으로 6자리로 구성된다. 조직 변경시마다 수정 보완한다.
주관사업관리부서는 해당사업의 사업시행계획의 확정 등 사업관리업무를 주관하는 각 본부(실)이다. 주관사업관리부서코드는 해당부서의 조직분류체계코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시설본부는 330400, 일반철도건설본부는 330500, 고속철도건설본부는 330600, 시스템사업본부는 330700, 품질안전실은 330900이 부여된다.
부문사업관리부서는 해당사업의 사업시행계획에 따라, 소관분야의 사업관리업무를 담당하는 각 본부(실)이다. 부문사업관리부서 코드는 해당부서의 조직분류체계코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사업관리실는 31040, 기획조정실는 330100, 관리본부는 330200, 재무본부는 330300, 시설본부는 330400, 일반철도건설본부는 330500, 고속철도건설본부는 330600, 시스템사업본부는 330700, 기술실은 330800, 품질안전실은 330900이 부여된다.
분야분류코드는 시행중인 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업무분류체계(WBS) level Ⅱ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다음과 같이 코드를 부여하여 운영한다.
작업구분코드는 단위작업(Activity)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행위별로 구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번호체계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사업번호는 사업식별번호(100')와 업무분류번호(200')와 사업비분류번호(400')와 공정분류번호(500')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식별번호(100')는 사업부문(1)과 사업별구분(2,3)으로 이루어진다.
사업부문(1)은 1자리로 고속철도는 1, 기간철도는 2, 광역철도은 3, 수탁사업은 4, 일반철도시설개량은 5, 시설유지보수는 6 , 미확정은 T로 나타낸다. 사업별구분(2,3)은 2자리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업무분류번호(200')는 6자리로서 업무분류체계에 따라 5 단계의 레벨로 나누어진다. 업무분류에 따라 레벨Ⅰ(4), 레벨Ⅱ(5), 레벨Ⅲ(6), 레벨Ⅳ(7)는 숫자 '1 에서 '9'까지 알파벳 'A'에서 'Z' 까지 한자리씩 할당되며, 레벨Ⅴ(8,9)는 숫자'01'에서 '99'까지 할당된다. 레벨Ⅰ(4)은 분야별분류로 , 레벨Ⅱ(5)는 분야의 세부 분류, 레벨Ⅲ(6)는 특성별 분류, 레벨Ⅳ(7)는 공정활동별 분류, 레벨 Ⅴ는 공구별 분류이다. 세부사업은 레벨Ⅱ(5)까지 분류된 수준의 사업단위로 설계, 감리, 용지, 노반, 궤도, 건물, 전력, 통신, 신호, 차량, 차량기지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사업식별번호(100')와 업무분류번호(200')를 결합하여 수행항목(WP)(300')을 구성한다. 수행항목(WP)은 사업관리의 기본단위가 된다.
상기 사업비분류번호(400')는 연도구분(ab)과 예산구분(c)로 이루어지며, 연도구분(ab)은 해당연도의 두자리를 숫자로 부여한다.
예를 들면 2004년 : 04, 2005년 : 05, 2006 : 06 ……이다.
예산 구분(c)은 본예산과 이월예산으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예를 들면 예산현액-0, 본예산-1, 이월예산-2 이다.
상기 수행항목(300')과 사업비분류번호(400')를 결합하여 사업비관리코드(CA code: Cost Account Code)를 구성한다.
상기 사업비관리코드는 사업비집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 여한 식별코드로서 연도별 , 본 월, 이월 예산으로 구분되어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공정분류번호(500')는 공정단계구분(d), 일련번호(e,f)로 이루어진다. 공정단계구분은 구분은 ID, 계약 및 착수는 P, 선행공정에서 인수는 Q, 시행은 R , 시험 및 시운전 검사은 S, 후행공정으로 인계는 T로 나타낸다. 작업단계순서 또는 작업발생 순서에 따라 일련번호(e,f)를 부여한다.
상기 수행항목(WP)(300')과 공정분류번호(500')를 결합하여 공정분류코드(Activity )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사업번호가 " 211-111-D10-XXX "라고 하면 '211'은 사업식별번호로서 기간철도사업에서 '수원~천안간 2복선전철'을 나타낸다.
'111-D1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업무분류체계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111-D10'에서 첫번째 '1'(도면상 표기는 1XX)(10)은 업무분류체계의 레벨Ⅰ수준으로 '설계 및 감리' 분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두번째 '1'(도면상 표기는 11X)(20)은 업무분류체계의 레벨Ⅱ 수준으로 '설계'를 나타낸다.
세번째 '1'(도면상 표기는 111)(30)은 '노반'을 나타낸다. 'D'(도면상 DXX)(40)는 공정활동으로 '실시설계'를 나타낸다. 'D10'에서 '10'은 '1공구'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XXX'는 사업비나 공정분류를 나타낸다.
첫번째 'X'가 숫자일 경우에는 사업비코드를 나타내고 알파벳일 때는 공정분류를 나타낸다.
이처럼 사업관리와 관련된 모든 업무는 사업정보의 통합관리 및 전산화를 위해 공통언어로 구성되고, 해당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추가번호를 부여하여 사업번호체계를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사업번호체계를 갖는 철도사업종합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사업종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사업식별필드(110)는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필드값으로 갖는다.
사업식별필드(110)는 상기에서 상술한 사업식별번호와 동일하게 사업부문(1)과 사업별구분(2,3)을 나타내는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는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한다.
상기 업무분류필드(210)는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필드값으로 갖는다.
상기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는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한다.
상기 수행항목필드(310)는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된다.
상기 수행항목관리부(300)는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조회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사업비필드(410)는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분류번호체계 에 따라 부여되는 3자리의 사업비분류번호를 필드값으로 갖는다.
상기 사업비코드관리부(400)는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한다.
상기 공정분류필드(510)는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번호를 필드값으로 갖는다
상기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는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는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는 사업식별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업별 자료를 분리,저장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업식별필드값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즉 데이터베이스 로그인명)을 생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명을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일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혹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접근하는 여러가지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경감하고 최적의 데이터 베이스플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였으며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 등이 에러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는 상기 사업식별번호필드, 업무분류번호필 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코드필드, 공정분류코드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에서 업무분류필드를 검색키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계획, 공정, 사업비, 설계 등의 사업항목들을 조회하고 각종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새로운 업무를 생성할 때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수행항목필드값을 검색키로 하여 공정분류필드값 및 사업비필드값을 조회하고 각종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계획, 공정, 사업비, 진척사항, 설계, 변경 등의 검토가 가능하다. 다음에 상술할 실시예를 참고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사업의 계획, 예산 수립 등에 있어서 각 사업을 나타내는 세부항목(각 필드)만으로도 전체 사업 관리가 용이하고 유사한 사업이 발생하였을 때 사업계획을 세우기 쉽고 사업비 추정이 용이하다.
상기 통합변경관리부(8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의 변경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권한 있는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변경내용을 등록하게 하고 변경사항을 승인한다. 새로운 버전의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서 통합변경이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통합변경관리부의 처리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변경사항이 발생하게 되면, 변경영향을 파악하게 되며, 변경사항을 등록하게 된다. 등록된 변경사항이 승인되게 되면 통합변경사항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 기술보다 효율적인 관리 및 신속한 처리를 위하여 각 필드들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코드를 통해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코드마다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 해당 카테고리에 접근하기 위하여 반드시 코드값을 입력해야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한편, 배경기술로 언급한 종래의 공개특허기술들은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및 삭제, 조회, 수정시 사용자에게 승인절차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요청되어지는 조건은 일반적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기위해 데이터베이스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을 사업식별필드값으로 생성하여 로그인시 사업식별코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하는 로그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700)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관리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는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게 되는데 사업식별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업별 자료를 분리,저장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업식별필드값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즉, 데이터베이스 로그인명)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인터페이스부에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명을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일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혹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접근하는 여러가지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경감하고 최적의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 등이 에러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로그인을 일반적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억세스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어 이로 인해 일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혹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접근하는 여러가지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여야 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야기시키고 최적의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업식별필드값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즉, 데이터베이스 로그인명)을 생성하는 구성 수단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로서 배경기술로 언급한 종래의 공개특허기술들보다 진보적인 방식으로 상기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필드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 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관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의 변경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권한 있는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변경내용을 등록하게 하고 변경사항을 승인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버전의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서 통합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변경사항이 발생하게 되면, 변경영향을 파악하게 되며, 변경사항을 등록하게 되며, 등록된 변경사항이 승인되게 되면 통합변경사항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의 변경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한 후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통합관리부를 통해 변경사항의 발생부터 등록, 승인, 통합변경관리까지 모든 사항에 대하여 변경영향을 일시에 반영시키도록 함으로써 입력자오류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사업 전분야에 대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결국,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새로운 버전의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서 통합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변경영향을 일시에 반영하는 구성 수단을 가지게 되어 통합 변경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수행항목(WP)을 중심으로 사업비와 공정을 분류하고, 사업비와 공정을 수행항목(WP) 수준으로 롤업(roll-up)할 경우 사업비와 공정을 직접 비교ㆍ분석할 수 있으며,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통합변경관리' 모듈을 통해 변경사항의 발생부터 등록, 승인, 통합변경관리까지 시스템적으로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하여 변경영향을 일시에 반영시키도록 함으로서 입력자오류(Human error)의 발생을 근원 적으로 차단하여 사업 전분야에 대하여 일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업무를 중심으로 기수행한 업무를 일괄적으로 정리, 분석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업무를 예측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업에 있어서 사업별 자료를 분리저장하여 접근하려는 사업의 고유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에 연결시킴으로서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이 가능하게 함으로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행항목(WP)를 중심으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축척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사업정보를 효과적으로 요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대규모 자금조달에 중요한 요소인 조달시기 및 조달규모의 예측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일괄되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업정보의 표준화에도 이점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업의 정보를 축적하게 되면 신규사업에 대해서도 사업유형별/분야별 공정진도계획, 사업비조달계획, 사업기간 산정 등에 손쉽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업에 있어서 사업별 자료를 분리 저장하여 접근하려는 사업의 고유번호에 따라 사업별 테이블에 연결되어 자료의 생성/변경/통제/통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스템의 성능과 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철도사업종합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사업종합관리의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철도사업종합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사업을 사업부문별 , 업무분류별, 사업비 및 공정분류에 따라 사업번호를 정하여 할당하는 단계이다.(S100)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업식별번호(PIN)과 업무분류체계(WBS)에 따른 업무분류코드를 결합하여 수행항목(WP)를 생성한다. 수행항목에 공정분류번호를 추가하여 공정분류코드를 생성하고, 수행항목에 사업비분류번호를 추가하여 사업비관리 코드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할당된 사업번호를 이용하여 철도사업종합관리시스템에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이다.(S2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는 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가 달라진다.
도 6은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화면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6a에서 보이듯이, 사업관리시스템은 크게 종합시스템, 사업별시스템과 그래픽보고서, 시스템 관리자 메뉴로 나뉜다.
종합시스템 메뉴를 선택하면 각각의 종합보고서로 연결됨을 볼 수 있다. 각 보고서는 도 6b에서 볼 수 있다.
도 6a에서 사업별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면 도 6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고속철도사업, 기간철도사업, 기간철도사업의 각 사업이 사업식별번호(PIN)에 의해 세부항목으로 분류된 것을 볼 수 있다.
세부항목을 선택했을 때 각각의 사업별 시스템으로 연결됨을 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간철도사업 중 한 항목인 사업식별번호 ‘211’인 ‘수원~천안2복선전철’을 선택하면 도 6d에서 보이는 것 같이 ‘수원~천안2복선전철(211)’사업관리시스템의 세부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보고서 메뉴는 보고서를 그래픽양식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시스템 관리자 메뉴는 사용자관리, 공동코드관리, 보고서 자료 생성을 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절차를 살펴볼 수 있다.
도 7의 기본창은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 6d(사업별관리시스템의 기본창)와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한다.
도 6d에서 보이듯이, 선택된 사업부문인 "수원~천안 2복선전철 사업관리시스템”에서 ‘관리자전용’ 메뉴에 들어가면 사용자관리, 분류코드관리, 작업일설정, 보고서 자료생성, 신규버전생성, 자료일괄입력 등등 운영사항에 대한 메뉴가 존재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 관리' 메뉴를 통해 접속 권한 있는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철도사업종합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담당하고 있는 사업의 진행여부를 확인(출력, 조회)하고, 새로운 진행 사항을 입력,수정하는 단계이다.(S3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는 사업계획, 공정 및 사업비에 관한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회한 사업 항목에 진행사항 등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8은 "수원~천안 2복선전철 사업관리시스템”에서 변경추세를 등록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보이는 절차를 단순화한 흐름도이다.
도 8의 기본창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6d(사업별관리시스템의 기본창)과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기본창에서‘통합변경관리’의 하위메뉴로 ‘변경추세등록/승인’메뉴를 선택했을 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종류(변경사항을 등록할지 승인할지)를 선택한다.(S310) ‘변경추세등록’이 선택되었을 때는 도8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변경추세 등록’창이 디스플레이 된다.(S320) 다음으로 '변경추세 등록대장'의 한 항목을 선택하면 도 8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변경추세 관리대장'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변경내용을 직접 입력한다.(S330)
다음으로 변경된 내용에 대한 변경사항에 대한 승인을 받는다. 변경추세 승인을 선택하면(S340), 8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변경추세 승인 검토할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변경추세등록’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변경추세승인 대상을 선택하면, 도 8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변경추세승인검토’창이 디스플레이되며(S350)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변경된 내용은 수시수정(통합변경)(상위분류 모듈)에서 변경한다. 이것은 다음 단계인 통합관리단계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철도사업종합관리 시스템은 각 사업자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통합관리단계이다.(S400)
상기에서 상술한 "수원~천안 2복선전철 사업관리시스템”에서 변경사항을 등록하고 승인하는 과정에 이어서 승인된 변경사항을 전체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과정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수시수정)통합변경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수시수정)통합변경 절차를 나타낸 도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보이는 통합변경 절차를 단순화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기본창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 6d(사업별관리시스템의 기본창)과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한다. 통합변경관리메뉴에서 '(수시수정)통합변경'메뉴를 선택한다.
도 10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작업종류선택’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변경할 사항이 있는 작업항목을 선택한다.(S410)
도 10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총사업비 수시수정, 공정표일정 , 사업비월별배분계획, 사업비 월별 집행실적, 공정월별 배분계획, 공정월별실적, 변경사항관리대장 등의 하위 메뉴를 갖는 ‘통합변경관리’창이 나타난다.(S420)
사용자는 각각의 항목을 입력/검토한다.(S430)
각각의 항목에 대한 입력/검토가 완료되면 각 항목 옆의 체크박스에 체크표가 생성, 모든 항목에 체크표가 생성되면 시스템에 반영된다.(S440)
이런 절차를 통해 종합사업관리시스템에서 변경사항을 통합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상기의 철도사업종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진행되고 있는 사업을 조회하거나 이미 완료된 사업의 보고서를 확인함으로서 앞으로 진행될 새로운 사업의 진행계획이나 사업비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시행계획관리보고서를 선택했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세부항목을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12에서 보이듯이 시행계획관리의 보고서 항목의 하위메뉴는 연차별사업비현황, 연차별공정율현황, 연간사업시행계획, 사업비/공정 비교, 월간상세추진현황, 부진공정검색, 진도분석그래프 등이 있다. 연차별사업비현황은 도12a, 연차별공정율현황은 도 12b, 연간사업시행계획은 도 12c, 사업비/공정비교는 도 12d, 월간상세추진현황은 도 12e,부진공정검색은 도 12f를 참조하면 보다 분명히 알수 있다.
각 보고서 항목은 구간별, 분야별, 시행소속별, 부문소속별로 검색이 가능하다.
부진공정검색은 수행항목(WP)뿐만 아니라 공정분류코드, 사업비관리코드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도 12d에서 볼 수 있듯이 수행항목을 검색대상으로 하여 사업비와 공정을 한꺼번에 비교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수행항목이나 사업비관리코드, 공정코드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각 사업을 한꺼번에 살펴볼 수 있고, 이를 이용함으로서 새로운 사 업의 예측 또한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은 수행항목(WP)를 중심으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축척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사업정보를 효과적으로 요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대규모 자금조달에 중요한 요소인 조달시기 및 조달규모의 예측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일괄되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 사업정보의 표준화에도 이점이 있어 향후 다양한 사업의 정보를 축적하게 되면 신규사업에 대해서도 사업유형별/분야별 공정진도계획, 사업비조달계획, 사업기간 산정 등에 손쉽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철도관리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번호체계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분류체계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사업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은 통합변경관리부의 처리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사업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업관리시스템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수원~천안2복선전철’의 사업별 사업관리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전용 관리절차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경추세 등록/승인 절차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사항 등록/승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수시수정)통합변경 처리절차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11은 발명에 따른 (수시수정)통합변경 처리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관리 보고서의 일예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업식별코드관리부
200 : 업무분류코드관리부
300 : 수행항목관리부
400 : 사업비코드관리부
500 : 공정분류코드관리부
600 : 데이터베이스관리자
70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800 : 통합관리부

Claims (4)

  1.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
  2.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며,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으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 명을 생성하여 일괄적으로 사업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시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으로 생성된 사업식별코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
  3.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 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며, 업무분류필드값을 검색키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계획,공정, 사업비,설계의 사업항목들을 조회하고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새로운 업무를 생성할 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
  4. 철도사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철도 사업을 다수의 사업 분야로 분류한 뒤 각 사업별로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식별번호를 갖는 사업식별필드(11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식별코드관리부(100)와;
    각 사업의 세부단위로 업무분류체계를 나눈 뒤 업무분류체계별로 할당되는 6자리의 업무분류번호를 갖는 업무분류필드(210)와;
    상기 업무분류필드값을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업무분류코드관리부(2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와 상기 업무분류필드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수행항목필드(310)와;
    상기 수행항목필드값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수행항목관리부(300)와;
    사업비 집행관리에 용이하도록 사업비 내역에 따라 할당되는 3자리의 사업비관리번호를 갖는 사업비필드(410)와;
    상기 사업비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사업비코드관리부(400)와;
    노반, 건축, 전기 등 사업분야와 설계, 시공, 구매, 시험 등 생애주기를 조합하여 단위작업(activity)으로 세분화하여 계층구조에 코드화한 3자리의 공정분류 번호를 갖는 공정분류필드(510)와;
    상기 공정분류필드를 생성,삭제, 조회, 수정하는 공정분류코드관리부(500) 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를 생성, 삭제, 조회,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600)와;
    상기 사업식별필드, 업무분류필드, 수행항목필드, 사업비필드, 공정분류필드 중 어느 하나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정보의 조회, 수정, 입력, 출력을 수행하며, 수행항목필드값을 검색키로 하여 공정분류항목 필드값 및 사업비관리항목필드값을 조회하고 각종 정보값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계획, 공정, 사업비, 진척사항, 설계, 변경의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감시하고 일괄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값에 변경 내용을 적용시키며, 생성되는 데이터필드값의 버젼을 관리하는 통합변경관리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사업관리시스템.
KR1020070087247A 2007-08-29 2007-08-29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KR20090022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47A KR20090022146A (ko) 2007-08-29 2007-08-29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247A KR20090022146A (ko) 2007-08-29 2007-08-29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146A true KR20090022146A (ko) 2009-03-04

Family

ID=4069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247A KR20090022146A (ko) 2007-08-29 2007-08-29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1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03B1 (ko) * 2012-06-04 2014-08-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사업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20160011733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지란지교에스앤씨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27128A (zh) * 2020-05-07 2021-11-09 上海同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隐患排查检查项编码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03B1 (ko) * 2012-06-04 2014-08-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사업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20160011733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지란지교에스앤씨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27128A (zh) * 2020-05-07 2021-11-09 上海同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隐患排查检查项编码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50164B (zh) 基于标准化规则的信息系统工程监理工时记录信息系统
CN111815168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质量管理系统
CN111815424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成本核算管理系统
US7168045B2 (en) Modeling business objects
US200801405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US2013008581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Supply Chai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Zorrilla et al. A reference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data governance systems for industry 4.0
Hikmawati et al. Improving Data Quality and Data Governance Using Master Data Management: A Review
Taghipour A review of the sustainability indicators’ application in vehicle routing problem
KR20090022146A (ko) 철도사업관리 시스템
US20170330152A1 (en) Heterogeneous Data Management Methodology and System
Tytenko et al. Software and information support for business analysis in enterprise management
US20140249892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management
JPH11161709A (ja) 製品の環境負荷管理システム
Su [Retracted] Define Electronic Enterprise Financial Management Information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IoT and the ERP Model
Ma et al. Enterprise Data at Huawei
May et al. BIM in FM Applications
Gerig Standardization and Automation as the Basis for Digitalization in Controlling at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Chekulina et al. Implementing the System for Submitting and Implementing Improvement Proposals as a Lean Production Tool
Ojha et al. Master Data for Asset Management
Hussei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 Warehouse Solution at Kumpulan Wang Persaraan (KWAP)
Kuleswararajan et al. Web based staff management system–development for the establishment branch of university
Sundjaja Investment Cost Model in Business Process Intelligence in Banking And Electricity Company
Schach et 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for Corporate Real Estate Management
Triratchatapong Asset control system for IT service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