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832A -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 Google Patents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832A
KR20090021832A KR1020070086680A KR20070086680A KR20090021832A KR 20090021832 A KR20090021832 A KR 20090021832A KR 1020070086680 A KR1020070086680 A KR 1020070086680A KR 20070086680 A KR20070086680 A KR 20070086680A KR 20090021832 A KR20090021832 A KR 2009002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unit
power supply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086B1 (ko
Inventor
김은기
송준희
Original Assignee
김은기
송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기, 송준희 filed Critical 김은기
Priority to KR102007008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0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용 탐조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고,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기 때문에 저가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전원공급부, 발광부재, 조절부

Description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FUNCTIONALLY PORTABLE SEARCHLIGHT}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용 탐조등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고,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기 때문에 저가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휴대용 탐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탐조등은 조사용(照射用) 및 원거리 발광 신호용으로 쓰는 전등으로써, 야간 방송촬영용, 공연용, 훈련용, 비상용, 화재진압용, 구급활동용, 재난 재해용, 군사용, 선박용, 항공용 등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 한 크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 탐조등은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구조가 복잡함과 동시에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입하여 사용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탐조등은 대개 그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관계로 사용자가 상기 탐조등을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하기가 여의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상기 탐조등이 빛을 발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탐조등이 조사하는 빛의 조사거리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상기 탐조등이 빛을 멀리 또는 가깝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할 수 있고,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기 때문에 저가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휴대용 탐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재로 과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운동할 시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면사이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반사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조절부의 회전부는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와; 상기 동작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전후이동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빛을 조사하는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렌즈부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절부를 사용하여 발광부재를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즉, 상기 발광부재의 빛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조사될 수 있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몸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상기 발광부재가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현저하게 절감되기 때문에 저가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안정기가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로 과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과전원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가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시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가 구비된 전후이동부가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재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갓 또한 그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보다 효율 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부의 회전부가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전후이동부를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후이동부를 보다 편리하고 수월하게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전후이동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빛을 근거리 조사할 시 상기 몸체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오목렌즈부가 근거리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의 근거리 조사로 비춰지는 영역이 보다 더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70)에 의해 발광부재(50)의 조사거리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전원공급부(30), 발광부재(50) 및 조절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상기 전원공급부(30), 상기 발광부재(50) 및 상기 조절부(70)가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과 내부 후방에는 각각 상기 발광부재(50)와 상기 전원공급부(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7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50)를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에 대한 사항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주름부(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손잡이부(13)가 구비된다.
단, 도 1에서는 상기 손잡이부(13)가 "┏"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손잡이부(13)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에는 상기 손잡이부(13) 또는 상기 몸체(10) 자체가 파지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의 손에 상기 몸체(10) 자체가 파지된 경우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주름부(11)로 인해 사용자의 손과 상기 몸체(10)의 마찰력이 극대화 되어 사용자의 손에서 상기 몸체(10)가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상기 전원공급부(30), 상기 발광부재(50) 및 상기 조절부(7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는 형 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상기 발광부재(50)가 빛을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후방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30)로는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발광부재(5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3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10)상에 구비되는 별도의 스위치 등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50)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를 ON상태로 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상기 발광부재(5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와 달리 상기 스위치를 OFF상태로 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30)는 상기 발광부재(5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재(50)로 과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15)(ballast stabilizer)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안정기(15)는 상기 발광부재(50)와 상기 전원공급부(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50)로 과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발광부재(50)가 과전원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상기 몸체(10)의 내부 후방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재(50)는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50)로는 LED(luminescent diode) 또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효율과 수명이 우수한 고기능의 HI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광부재(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부(70)는 상기 발광부재(50)를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되, 그 형상 및 구조는 도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70)는 크게, 회전부(73), 전후이동부(75), 가이드봉(77) 및 반사갓(7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조절부(70)가 반드시 상기 회전부(73), 상기 전후이동부(75), 상기 가이드봉(77) 및 상기 반사갓(79)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발광부재(50)를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먼저, 상기 회전부(73)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부(73)는 상기 손잡이부(13)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축(73a)과, 상기 회전축(73a)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3) 상측에 구비되는 회전판(73b)과, 상기 회전축(73a)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피니언(7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75)는 상기 회전부(73)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73)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시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부(75)로 래크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래크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피니언(73c)의 톱날이 맞물림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73)와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기판(75a)에 상기 발광부재(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50)가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77)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면 사이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77)이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이동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77)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전후이동부(75)의 상기 기판(75a)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면상에 축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77)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면상에 단부가 축결합되는 제 1가이드봉(77a)과, 상기 제 1가이드봉(77a)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는 제 2가이드봉(77b)과, 상기 제 2가이드봉(77b)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는 제 3가이드봉(77c)과, 상기 제 3가이드봉(77c)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고, 단부가 상기 전후이동부(75)의 기판(75a)상에 축결합되는 제 4가이드봉(77d)으로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다.
단, 상기 가이드봉(77)이 반드시 4개의 가이드봉(77a, 77b, 77c, 77d)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4개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반사갓(79)은 상기 가이드봉(77)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50)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봉(77)을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갓(79)은 상기 가이드봉(77)처럼 제 1반사갓(79a), 상기 제 1반사갓(79a)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는 제 2반사갓(79b), 상기 제 2반사갓(79b)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는 제 3반사갓(79c), 상기 제 3반사갓(79c)의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는 제 4반사갓(79d)으로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도 3 참조.)
물론, 상기 반사갓(79) 또는 반드시 4개의 반사갓(79a, 79b, 79c, 79d)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4개이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조절부(70)로 인해 상기 발광부재(50)가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사항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73)의 회전판(73b)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축(73a) 및 상기 피니언(73c) 또한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73c)과 맞물림결합되어 있는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피니언(73c)이 상기 회전부(7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가이드봉(77)과 상기 반사갓(79)의 길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77)과 상기 발광부재(50) 사이의 각(도 2의 α)이 점차 커지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반사갓(79)이 반사시키는 상기 발광부재(50)의 빛이 보다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발광부재(50)가 발광하는 빛이 근거리 조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73)의 회전판(73b)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축(73a) 및 상기 피니언(73c) 또한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73c)이 상기 회전부(7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후방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후방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가이드봉(77)과 상기 반사갓(79)의 길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77)과 상기 발광부재(50) 사이의 각(도 3의 β)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즉, 상기 발광부재(50)가 발광하는 빛이 원거리 조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가 사용자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50)가 구비된 상기 전후이동부(75)가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50)가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재(50)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갓(79) 또한 그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50)의 조사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95)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가 사용자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가 상기 몸체(10)상에 구비되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9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가 상기 구동부재(9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상기 전후이동부(75)를 보다 편리하고 수월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와 상기 구동부재(90)의 연결관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재(90)로 반드시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를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구동부재(90)를 사용하여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를 좌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구동부재(90)의 회전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스위치부(91)와; 상기 스위치부(91)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93)와; 상기 동작감지센서부(9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9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95);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91)를 ON상태로 할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부(93)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5)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5)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부(9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90)를 제어하되, 상기 회전부(73)와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재(90)의 축이 우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전후이동부(75)를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위치부(91)를 OFF상태로 할 경우 상기 동작감지센서부(93)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5)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95)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부(9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9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부(73)와 연결되는 상기 구동부재(90)의 축이 좌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전후이동부(75)를 상기 몸체(10)의 후방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70)의 회전부(73)가 상기 제어부(95)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재(9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전후이동부(75)를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후이동부(75)를 보다 편리하고 수월하게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목렌즈부(100)가 몸체(10)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단에는 상기 전후이동부(75)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상기 발광부재(50)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렌즈부(100)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오목렌즈부(10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상기 오목렌즈부(100)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재(50)가 상기 전후이동부(75)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빛을 근거리 조사할 경우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오목렌즈부(100)가 근거리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재(50)의 근거리 조사로 비춰지는 영역이 보다 더 확대될 수 있는 이점 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70)를 사용하여 상기 발광부재(50)를 상기 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발광부재(50)의 조사거리 즉, 상기 발광부재(50)의 빛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조사될 수 있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 또는 보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부재(50)가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상기 발광부재(50)가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현저하게 절감되기 때문에 저가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에 의해 발광부재의 조사거리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목렌즈부가 몸체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주름부,
13; 손잡이부, 15; 안정기,
30; 전원공급부, 50; 발광부재,
70; 조절부, 73; 회전부,
73a; 회전축, 73b; 회전판,
73c; 피니언, 75; 전후이동부,
75a; 기판, 77; 가이드봉,
77a; 제 1가이드봉, 77b; 제 2가이드봉,
77c; 제 3가이드봉, 77d; 제 4가이드봉,
79; 반사갓, 79a; 제 1반사갓,
79b; 제 2반사갓, 79c; 제 3반사갓,
79d; 제 4반사갓, 90; 구동부재,
91; 스위치부, 93; 동작감지센서부,
95; 제어부, 100; 오목렌즈부.

Claims (5)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재로 과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정기는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회 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운동할 시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 전방면사이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상기 전후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가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반사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회전부는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부와;
    상기 동작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전후이동부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빛을 조사하는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오목렌즈부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KR1020070086680A 2007-08-28 2007-08-28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KR10090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80A KR100908086B1 (ko) 2007-08-28 2007-08-28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80A KR100908086B1 (ko) 2007-08-28 2007-08-28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32A true KR20090021832A (ko) 2009-03-04
KR100908086B1 KR100908086B1 (ko) 2009-07-20

Family

ID=4069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680A KR100908086B1 (ko) 2007-08-28 2007-08-28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4617S1 (en) * 2022-01-08 2022-09-20 Shenzhen Umart technology Co., Ltd. Flashlight
USD973933S1 (en) * 2022-01-05 2022-12-27 Qingyun Wu Flashl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254B1 (ko) * 2018-01-18 2019-11-13 (주)우신에이펙 배광제어가 가능한 led 탐조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3933S1 (en) * 2022-01-05 2022-12-27 Qingyun Wu Flashlight
USD964617S1 (en) * 2022-01-08 2022-09-20 Shenzhen Umart technology Co., Ltd. Flash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086B1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838B2 (ja) 手術用照明ランプ
CN101749549B (zh) 灯头罩可伸缩的照明灯
EP2192344A3 (en) Vehicular lamp with light source units
EP1357333A3 (en) Light source unit for vehicular lamp
KR100908086B1 (ko) 기능성 휴대형 탐조등
JP2011204497A (ja) Led照明装置
CN102767794A (zh) 灯具自动调焦结构及应用其的手电筒
US8810433B1 (en)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CN201636559U (zh) 灯头罩可伸缩的照明灯
EP1650588A3 (en) A light emitting source and a light emitting source array
CN208504049U (zh) 一种矿用隔爆型探照灯
US20220388141A1 (en) Power tool
CN109058939A (zh) 一种灯光控制系统及方法
CN101832474B (zh) 聚泛光便携式灯具
CN211952637U (zh) 一种led近远光车灯调光机构及一种led近远光车灯
KR101102887B1 (ko) 반사갓 가변형 도로용 조명기구
CN101660666B (zh) 便携灯具
JP2000319833A (ja) 工事灯
JP2008184845A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車止め支柱
CN217612112U (zh) 一种紫外线灭菌灯
US11859810B2 (en) Lighting fixture with illumination adjusting function, illumination adjusting assembly and illumination arrangement
KR200495576Y1 (ko) 시선유도봉용 발광장치 및 이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선유도봉 장치
CN101660667B (zh) 一种聚泛光便携式灯具
CN113669690B (zh) 一种汽车用灯光调节装置
CN210291511U (zh) 一种照明用探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