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647A -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647A
KR20090021647A KR1020070086304A KR20070086304A KR20090021647A KR 20090021647 A KR20090021647 A KR 20090021647A KR 1020070086304 A KR1020070086304 A KR 1020070086304A KR 20070086304 A KR20070086304 A KR 20070086304A KR 20090021647 A KR20090021647 A KR 2009002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ule
contactless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472B1 (ko
Inventor
폴 졸리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0695 priority patent/WO2009017292A1/en
Publication of KR2009002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urther communication means being a galvanic interface, e.g. hybrid or mixed smart cards having a contact and a non-contact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안점은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비접촉 모듈(혹은 UICC)에 저장하는데 있다. 즉,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비접촉 모듈에 저장함으로써, 비접촉 거래가 시작되었을 때 서비스 제공자 (또는 재판매업자(reseller))가 상기 비접촉 서비스의 종료 시까지 거래가 실행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실거래를 시작할 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모듈과 그 수행은 비접촉 서비스의 보안성과 성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켰다.
비접촉 서비스

Description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CONTACTLESS MODULE}
본 발명은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촉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능뿐 아니라, 게임 기능, 방송 수신 기능, 그리고 비접촉 지불 서비스(ContactLess Payment Service)와 같은 금융결제 기능도 제공한다.
상기 비접촉식 지불 서비스에는 교통 패스 서비스들(Transportation pass services), 뱅킹 서비스들(Banking services), 전자지갑(epurse), 지불 또는 조건적 접속 서비스(Payment or conditional access service) 등이 있으며, 휴대단말은 이 같은 비접촉 지불 서비스를 수행하는 비접촉 모듈(ContactLess Module)을 포함 한다.
휴대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비접촉 거래는 단말기의 상태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접촉 거래는 심지어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또는 밧데리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그 에너지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다)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의 비접촉 지불 서비스들은 휴대단말기가 활성화된 상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통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할 때) 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들은 단말기가 완전한 거래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어떤 거래도 시작되지 않기를 바란다.
본 발명은, 단말의 상태정보를 알고 있는 비접촉 모듈을 이용하여 비접속 거래를 수행하는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상태정보를 알고 있는 비접촉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모듈과 그 수행은 다음과 같이, 비접촉 서비스의 보안성과 성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켰다.
상기 비접촉 모듈이 옳바르게 수행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될 때, 즉, 단말은 꺼져 있고, 상기 비접촉 거래가 단말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일 때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서비스는 거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정보교환을 최소한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불가능한 요청들을 대폭 감소시켜 정보교환을 필요한 만큼으로 축소시킴으로서, 상기 단말기 불필요한 동작들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그로 인해 전력과 자원들을 절약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유효하게 수행될 수 없는 비접촉 거래에 대해서는 사용자(혹은 시스템 제공자)에게 서비스의 시작단계에서 이를 분명하게 밝힘으로써, 성공할 수 없는 소모적인 시도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은 비접촉 모듈에 자신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와, 상기 비접촉 모듈에 접속하여 소정의 비접촉 거래를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단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와, 소정의 거래가 개시되면 상기 상태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비접촉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비접촉 모듈(혹은 UICC)에 저장하는데 있다. 즉,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비접촉 모듈에 저장함으로써, 비접촉 거래가 시작되었을 때 서비스 제공자 (또는 재판매업자(reseller))가 상기 비접촉 서비스의 종료 시까지 거래가 실행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실거래를 시작할 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비접촉 모듈에 저장되는 단말의 상태정보는 현재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인지, 단말이 작동 중이거나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말의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아래 두 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첫째, 응답없는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둘째, 단말의 전원이 켜져 있을 때 상기 비접촉 모듈에 단말을 등록해 두고, 전원이 꺼져 있을 때는 단말의 등록을 취소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1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 (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휴대단말에서 실제로 구현될 때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로 합쳐지거나, 하나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그리고 GPS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 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여러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한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 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비접촉 모듈,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Universal IC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 마이크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출력 모듈(153)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을 이루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 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단말의 프로필(혹은 상태정보) 또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 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기능적 관점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간명한 설명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00A)의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제1음향 출력모듈(152-1), 제1카메라 모듈(121-1) 또는 제1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 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음향출력 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 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30-1)는 비접촉 서비스(혹은 거래)를 위한 사용자의 각종 명령(상호작용(interaction))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30-3), 마이크 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3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30-3)는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각종 사운드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이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 (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 이상의 자세한 인터페이스부(170)의 설명은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2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2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 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 모듈(121-2)은 제1카메라 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 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 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카메라 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카메라 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카메라 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음향출력 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음향출력 모듈(152-2)는 제1음향출력 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 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1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 (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00B)의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 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카메라 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카메라 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카메라 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도1의 인터페이스부(17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비접촉 모듈/UICC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5는 UICC의 전원을 비접촉 모듈과 연결한 블록도이다.
비접촉의 원리는 휴대단말에 비접촉 모듈 (비접촉 기능을 위한 aka ContactLess Function)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상기 비접촉 모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IC카드(UICC, Universal IC Card) 및 단말기 기저대역(Terminal Baseband)과 선택적(optionally)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UICC와 연결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부 보안 부재들(Secure Elements)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 모듈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밧데리 또는 전자기장으로부터 전원을 얻을 수 있다. 단말기 밧데리가 너무 부족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때에 전자기장을 이용한다. 상기 비접촉 모듈 내에서 전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상기 UICC(또는 SD 카드와 같은 보안 부재)를 턴온(turn-on)시킨다. 따라서, 밧데리 오프 모드의 경우에, 상기 비접촉 서비스는 단말기와 관련(사용자와의 상호작용)되지 않는 한 실행될 수 있다. 도6은 단말의 밧데리에 의해 UICC의 전원을 관리하는 UICC전원관리 블록도이고, 도7은 비접촉 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UICC전원관리 블록도이다.
비접촉 서비스들 중, 교통패스(transportation passes), 신분증, 보안 부재(Secure Element) 내에 태그 및 정보 저장 등과 같은 일부 비접촉 서비스들은 사용자와의 어떤 상호작용(user interaction)도 요구하지 않으므로, 밧데리 오프(off)모드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반면, 다음의 비접촉 서비스들은 사용자와의 의무적인 상호작용을 요구한다.
- 금융 거래 (은행 이체, 기타)
- 신용 카드
- 전자지갑 (실행에 의존) 등
사용자와의 의무적인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상기 비접촉 서비스들의 경우, 보안상의 이유로, 상기 거래를 시작할 수 없게 하는 부가 값이 있다. 전화기를 통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끝날 때까지 즉, 상기 부가 값이 유효해 질 때까지 상기 비접촉 서비스들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 같은 비접촉 서비스에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상기 비접촉 모듈과 IC카드(UICC)가 (비접촉 모듈에 의해 전원이 들어올 때) 단말의 상태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모듈과 IC카드(UICC)는 단말기의 상태정보 즉, 단말이 작동 중이거나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 혹은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를 얻는 두 가지 방법으로서 첫째, 응답이 없는 통신(이하, 허위 통신( fake communication )이라 한다)을 시도하는 방법이 있다.
도8은 응답이 없는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접촉 모듈은 규칙적 시간간격(주기적 으로)을 두고, 단말기와 상기 허위 통신을 수행한다. (유휴 모드에서 매 30초마다 STATUS를 누름으로써 단말이 UICC를 검출(detect)할 수 있도록, 비교 가능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만일 타임아웃 이전에 어떠한 응답도 주어지지 않으면, 상기 단말이 고장(out of order)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메커니즘의 사전행위 (proactivity)는 정보 폴링(타이머 값)의 관리에 기초한다.
이를 더 발전시키면, 단말의 상태(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프로필)를 단말 기의 전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9는 단말의 프로필을 단말기의 전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을 시도하는 대신에, 정해진 타임슬롯 마다 상기 전용 메모리부 내의 단말기 상태정보를 체크하는 것이 더 간편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전행위 (proactivity)는 상기 정보 폴링 (타이머 값)의 관리에 기초한다.
반영구적이고 접속 가능한 정보저장은 비접촉 인터페이스에 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위 첫 번째 방법의 다른 대안은 비접촉 거래가 시도될 때만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주기적 반복이 아니라 한 번만 정보를 점검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정보요청 시, 정보를 얻기 위한 약간의 시간지연(delay)이 존재한다.
상기 단말의 상태정보를 얻는 두 번째 방법으로서, 단말의 전원이 켜져 있을 때 상기 비접촉 모듈에 단말을 등록하고, 전원이 꺼져 있을 때 단말의 등록을 취소하는 방법이 있다. 위 두번째 방법은 단말의 밧데리 전원이 충분하거나, 단말에 전원공급이 원활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말의 활성상태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디스플레이가 오프(off)상태인 유휴 모드 (휴면 모드)
2. 디스플레이가 온(on)상태인 활성 모드
3. 통신 모드(화상 또는 음성통신)
4. 뮤직 플레이/방송수신 모드
5. 웹 브라우징 동작 모드(예: 인터넷 접속 등)
본 발명의 상태정보는 UICC에서 단말기 프로필을 관리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ETSI TS 102 2223, &5참조). 상기 정보는 수많은 서비스 지원에 관한 태그들을 포함하는 바이트들의 집합이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새로운 상태 (새로운 통신 등)에서 상기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을 디자인해야 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은, UICC뿐만 아니라 다른 모듈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단말기 프로필 툴킷 명령(Toolkit Command)을 확장하고 표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정보를 얻고자 하는 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비접촉 모듈 관련 명령(comamnd)을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그 이유가 무엇이든 (밧데리 방전에 의한 것이든 또는 사용자의 전원 오프에 의한 것이든)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접촉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말의 비활성상태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 (배터리의 잔량은 충분)
2. 배터리 방전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
상기 1과2의 전원 오프(off)상태들 간에 차이를 유발시키는 기본적인 방법은 상기 비접촉 모듈의 전원관리 시스템 및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제안으로부터의 정보를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밧데리 전력이 남아 있고 상기 단말기 활성화가 감지될 수 없는 경우는 상기 1의 전원 오프(off)상태에 해당된다. 그리고 단순히, 전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2의 전원 오프(off)상태에 해당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가지 상황을 기술한 것이다.
Case 1: Mr. X는 해외에서 그의 단말기로 은행카드 결제를 원하지만 그의 단말기는 밧데리가 방전된 상태이다. 어떠한 방법으로도 비접촉 거래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거래는 단말의 센시티브(sensitive) 정보가 서버측(예: Bank Y)으로 전송되기 전에 실패하게 될 것이다.
Case 2: Bank Y는 상기 비접촉 서비스가 옳바르게 수행될 수 없을 경우 정보교환이 최소한으로만 이루어지기를 원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Bank Y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비접촉 거래를 수행하게 된다. 비접촉 거래가 시도될 때, 상기 단말기 상태는 단말을 구매한 시점의 상태로 되돌려지고, 상기 거래를 계속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방침이 정의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모듈과 그 수행은 다음과 같이, 비접촉 서비스의 보안성과 성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켰다.
상기 비접촉 모듈이 옳바르게 수행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될 때, 즉, 단말은 꺼져 있고, 상기 비접촉 거래가 단말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일 때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서비스는 거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정보교환을 최소한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불가능한 요청들을 대폭 감소시켜 정보교환을 필요한 만큼으로 축소시킴으로서, 상기 단말기 불필요한 동작들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그로 인해 전력과 자원들을 절약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유효하게 수행될 수 없는 비접촉 거래에 대해서는 사용자(혹은 시스템 제공자)에게 서비스의 시작단계에서 이를 분명하게 밝힘으로써, 성공할 수 없는 소모적인 시도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4는 비접촉 모듈/UICC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5는 UICC의 전원을 비접촉 모듈과 연결한 블록도.
도6은 단말의 밧데리에 의해 관리되는 UICC전원관리 블록도.
도7은 비접촉 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UICC전원관리 블록도.
도8은 응답이 없는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9는 단말의 프로필을 단말기의 전용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05 : 전원관리 모듈 110 : 제어부(혹은 프로세스 유닛)
115 : 디스플레이부 120 : RF모듈
130 : 스토리지 유닛 135 : 심카드(SIM Card)
140 : 안테나 145 : 스피커
150 : 마이크 155 : 배터리
160 : 키입력부

Claims (9)

  1. 비접촉 모듈에 자신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와;
    상기 비접촉 모듈에 접속하여 소정의 비접촉 거래를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속 모듈은
    단말이 작동 중이거나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 혹은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비접촉 모듈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활성 상태인지 비활성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비접촉 거래는
    단말의 상태정보를 필요로 하는 비접촉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서비스 시스템.
  5. 단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와;
    소정의 거래가 개시되면, 상기 상태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비접촉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모듈은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모듈은
    상기 소정 거래가 시도될 때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단말이 작동 중이거나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지, 혹은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래는
    단말의 상태정보를 필요로 하는 비접촉 거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70086304A 2007-07-31 2007-08-27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KR10138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04A KR101386472B1 (ko) 2007-08-27 2007-08-27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PCT/KR2008/000695 WO2009017292A1 (en) 2007-07-31 2008-02-04 Mobile status detection contactles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04A KR101386472B1 (ko) 2007-08-27 2007-08-27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47A true KR20090021647A (ko) 2009-03-04
KR101386472B1 KR101386472B1 (ko) 2014-04-18

Family

ID=4030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304A KR101386472B1 (ko) 2007-07-31 2007-08-27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6472B1 (ko)
WO (1) WO200901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9696B (zh) * 2009-02-27 2013-06-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下载的系统和方法
CA2881429C (en) 2012-02-29 2017-05-02 Mobeewave, Inc. Method, device and secure element for conducting a secured financial transaction on a device
JP5888049B2 (ja) * 2012-03-27 2016-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236405B1 (en) * 2016-04-21 2022-11-02 IDEMIA France Selecting an application on a card
US10412682B2 (en) * 2017-08-30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update/download profile using low power or no pow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424A (ja) * 2001-02-19 2002-08-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付き携帯可能電子媒体
JPWO2003023622A1 (ja) 2001-09-07 200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デバイス
KR20030083865A (ko) * 2002-04-22 2003-11-01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콤비형 스마트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오프라인 전자결제시스템
JP3987417B2 (ja) 2002-11-14 2007-10-10 東洋ガラス株式会社 ガラスびん
KR100725449B1 (ko) * 2005-07-20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JP2007124345A (ja) * 2005-10-28 2007-05-17 Nec Corp 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非接触icチップリーダ、サーバ、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7292A1 (en) 2009-02-05
KR101386472B1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4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4046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195273B2 (en) Detachable dual mobile terminal
KR20140043688A (ko) 모바일 기기의 스크린 명도제어
KR20090019141A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1919617B1 (ko) 어포던스와 인터랙션이 강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300285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6472B1 (ko) 비접촉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시스템
KR2009002164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원격 구동 방법
KR200900376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4494A (ko) 이동 단말기
KR20110127413A (ko) 휴대용 단말기
KR10201854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15288B1 (ko)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18833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20174A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472590B1 (ko) 통합 심 카드 및 통합 심 카드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99733B1 (ko)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KR1020186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66266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20100036881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25638A (ko) 슬라이드 오픈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