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579A -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579A
KR20090021579A KR1020070086205A KR20070086205A KR20090021579A KR 20090021579 A KR20090021579 A KR 20090021579A KR 1020070086205 A KR1020070086205 A KR 1020070086205A KR 20070086205 A KR20070086205 A KR 20070086205A KR 20090021579 A KR20090021579 A KR 2009002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washing
temperature
drum
intelli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795B1 (ko
Inventor
이진식
이진홍
Original Assignee
이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식 filed Critical 이진식
Priority to KR102007008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7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8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the sequence of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07Dry clea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2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6Target humidity for the drying process, e.g. very-dry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용제통부와; 상기 용제통부로부터 유류, 세제, 물을 공급받아 세탁물에 대해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드럼을 구비한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와 연결된 송풍기를 구비한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와 연결되어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또는 퍼크로) 등의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유기용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을 자동으로 방지하며,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합 용제, 지능형 세탁, 드럼, 건조, 회수, 측정

Description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washing machine for use of complex solven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또는 퍼크로) 등의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유기용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을 자동으로 방지하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의류의 세탁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에 묻어 있는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과 헹굼, 탈수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구성요소로는 동력장치인 전동기와 빨래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부, 세탁과정을 조정하는 제어부, 그리고 물을 넣고 빼는 급수장치와 배수장치들로 이루 어져 있다.
현재 세계에서 사용되는 세탁기는 유럽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드럼식(cylinder type)과 북미 지역의 교반식(攪拌式, agitator type), 그리고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와권식(渦捲式, pulsator type)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드럼식은 여러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드럼의 안쪽에 물과 세제와 빨래를 넣고 수평축으로 저속 회전시켜 빨래가 돌출부에 의해 올려졌다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세탁을 하게 된다. 이 방식은 빨래의 손상이 거의 없고, 물을 적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세척력이 약하여 전기 히터를 사용, 물을 데워줘야 하므로 전기소모가 많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소음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치솟는 날개 모양의 교반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방식이다. 세척력은 우수하나 세탁기의 소음과 진동이 크고 빨래의 손상이 있으며, 대형 세탁기에 적합한 방식이다.
한국에서 많이 쓰이는 와권식은 1960년 일본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생긴 물살로 세탁을 하는 방식이다. 초기의 제품은 펄세이터의 직경이 작고 고속회전을 함으로써 옷의 꼬임과 손상이 심한 단점이 있었으나, 펄세이터가 대형화하고 좌우 반전시간이 줄어든 80년대 이후 제품은 이러한 단점이 보완되었으며 세척력도 우수하다. 특히, 좌우 반전시간이 짧은 대형 펄세이터 제품들은 특성상 교반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 와권식 세탁기는 세탁조와 탈수조가 분리된 2조식과, 같은 곳에서 세탁/ 헹굼/탈수가 진행되는 1조식으로 나누어진다. 2조식 세탁기 중에는 세탁과 헹굼이 자동으로 연결 진행되는 자동세탁기(반자동이라고도 함)와 물받기와 세탁/헹굼 등을 수작업으로 선택하여야 하는 수동세탁기로 나누어진다. 1조식 세탁기는 세탁/헹굼/탈수의 전 과정이 자동으로 연결 진행되는데, 자동세탁기와 구분되어 전자동세탁기라고도 한다.
이 밖에도 기계적 충격으로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식 세탁기, 전기적으로 진동자를 발진시키는 초음파세탁기, 고압펌프를 이용한 수압식 세탁기 등이 있으며, 세탁소에서 사용되는 드라이클리닝용 세탁기가 있다. 드라이클리닝용 세탁기는 보통의 세탁기가 물을 사용하는 습식세탁인 데 반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고 드라이클리닝용으로 개발된 석유계 용제나 퍼크로 에틸렌 등의 유기용제(有機溶劑)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므로 건식세탁기로 구분된다. 그 구조는 드럼식 세탁기 형태에 용제의 정제장치 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물 세탁시 손상되기 쉬운 섬유나 물에 대한 견뢰성(堅牢性)이 적은 염색물들을 세탁하는 데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세탁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의 타임 오버(Time Over)가 될 때까지 급유, 세탁을 수행하는 단계(ST1, ST2)와; 급유, 세탁 후 타이머의 타임 오버가 될 때까지 탈유, 급유, 헹굼을 수행하는 단계(ST3, ST4)와; 탈유, 급유, 헹굼 후 탈유를 수행하는 단계(ST5);로 구성된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세탁 장치는 타이머와 인버터를 이용하여 순차적(시간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건조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 송풍을 하는 단계(ST11)와; 열기 송풍 도중 타이머의 타임 오버가 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T12)와; 타임 오버가 되지 않았으면 다시 열기 송풍을 수행하고, 타임 오버가 되었으면 건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T13)와; 건조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 열기 송풍을 수행하고, 건조상태가 확인되었으면 끝내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건조 장치 또한 타이머와 인버터를 이용하여 순차적(시간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회수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를 하는 단계(ST21)와; 회수 도중 타이머의 타임 오버가 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T22)와; 타임 오버가 되지 않았으면 다시 회수를 수행하고, 타임 오버가 되었으면 건조장치를 가동시킬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ST23)와; 건조장치를 가동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별되면 다시 회수를 수행하고, 건조장치를 가동시킬 것으로 판별되면 끝내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회수 장치 또한 타이머와 인버터를 이용하여 순차적(시간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종래기술은 세탁 장치, 건조 장치, 회수 장치가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세탁용제로서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드라이클리닝 전용장치)와 유기 용제(퍼크로 드라이클리닝 전용장치)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세탁 장치는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또는 퍼크로) 등의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유기용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을 자동으로 방지하며,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할 수 있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자동 방폭부와 그 주변블록의 상세블록도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11),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12),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3)를 구비한 용제통부(10)와; 용제통부(10)로부터 유류, 세제, 물을 공급받아 세탁물에 대해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드럼(21)을 구 비한 드럼부(20)와; 드럼부(20)에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31), 건조기(31)와 연결된 송풍기(32)를 구비한 건조부(30); 및 건조부(30)와 연결되어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제통부의 유류탱크(11)는,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용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수부(40)는, 건조부(30)와 연결되어 세탁에 사용된 용제를 회수하는 건조회수탱크(41)와; 건조회수탱크(41)에서 회수된 용제를 증류시키는 증류장치(42)와; 증류장치(42)에서 증류된 용제 중 폐유 또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유/폐수탱크(43)와; 증류장치(42)에서 증류된 용제를 냉각시키는 냉각기(44)와; 냉각기(44)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유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유류회수탱크(45); 및 냉각기(44)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물회수탱크(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는, 세탁드럼(21)의 용제를 성분분석센서(52)로 전달하는 회전펌프(51), 회전펌프(51)에 의해 공급된 용제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분석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세탁드럼(21)에 공급되는 용제의 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부(5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부(50)는, 세탁드럼(21)에 공급되는 용제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수준(예를 들면, 55%T) 이하의 투과도로 측정되면 자동 또는 수동의 정제부(도면상에 미도시)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는, 온도압력센서(61)를 이용하여 드럼부(20)의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는 자동 방폭부(6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방폭부(60)는, 드럼부(20)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는 온도압력센서(61)와; 드럼부(20)와 건조부(30) 내의 송풍기(32) 사이에 연결되어 드럼부(20)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압력조절밸브(62)와; 온도압력센서(61)에서 감지된 드럼부(20)의 온도와 압력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드럼부(20)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넘으면 압력조절밸브(62)를 개방시키고, 건조부(30) 내의 송풍기(32)를 동작시켜 드럼부(20)가 방폭되도록 제어하는 방폭 제어부(63); 및 방폭 제어부(63)에서 방폭 제어를 수행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매(물),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1 단계(ST31)와; 제 1 단계 후 세탁재질(섬유의 조성)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2 단계(ST32)와; 제 2 단계 후 건조기(31)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3 단계(ST33); 및 제 3 단계 후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44)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4 단계(ST34);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단계에서 유기용제는,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7에서 수용매,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는,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끓는점/초유점(Boiling Point / Initial Point), 종유점, 증기압, 압력, 온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도 7에서 세탁 재질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계는, 실크(블라우스), 면/셔츠, 혼방, 울 100%, 겨울 점퍼류, 모피류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세탁 재질을 구분하고, 각각의 세탁 재질에 대해 회전속도와 세탁시간을 설정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도 7에서 건조기의 온도 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계는, 열기 송풍을 수행하는 제 11 단계(ST41)와; 제 11 단계에서의 열기 송풍이 프로그래밍된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판별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제 11 단계로 리턴하고, 도달되었으면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확인하는 제 12 단계(ST42); 및 제 12 단계 후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세탁물이 건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 11 단계로 리턴하고, 세탁물이 건조되었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제 13 단계(ST4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7에서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의 온도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단계는, 유증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21 단계(ST51)와; 제 21 단계 후 회수부(40)에서 냉각기(44)를 가동시켜 진공 온도 보정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는지 판별하는 제 22 단계(ST52 ~ ST54)와; 제 22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으면 유증기 유입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 23 단계(ST55); 및 제 23 단계에서 유증기 유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 22 단계로 리턴하고, 유증기 유입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냉각기(44)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제 24 단계(ST56);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혼합 용매를 위한 선택적인 냉각기 제어 예를 보인 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단계는,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각각 유매회수 조건으로 압력과 온도를 설정하고, 냉각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단계 후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제 5 단계(ST35);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도 7에서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 측정 제어의 상세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투과도 측정 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단계는, 사용한 세탁용매의 성분을 감지하는 제 31 단계(ST61)와; 제 31 단계 후 연속흐름 시료주입 방법으로 분광기 셀에 자동 주입하여 세탁용매의 투과도(%T)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예를 들면, 55%T) 이하의 투과도인지 판별하는 제 32 단계(ST62, ST63); 및 제 32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가 아니면 제 31 단계로 리턴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이면 자동 또는 수동의 정제부(도면상에 미도시)를 가동시킨 다음 제 31 단계로 리턴하는 제 33 단계(ST64);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2 단계는, 550nm에서 세탁용매의 투과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선택, 용제 선택을 수행하게 하는 제 41 단계(ST71)와; 제 41 단계 후 급유, 세탁을 수행하게 하는 제 42 단계(ST72, ST73)와; 제 42 단계 후 급유, 탈유, 헹굼을 수행하게 하는 제 43 단계(ST74, ST75); 및 제 43 단계 후 탈유, 건조, 회수를 수행하게 하는 제 44 단계(ST76, ST7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2 단계, 제 43 단계, 또는 제 44 단계는, 각각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44 단계 후 용제를 재사용하고자 하면 용제를 저장하도록 하는 제 45 단계(ST78, ST79);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것으로 자동 방폭부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부(20) 내의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의 한계치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51 단계(ST81)와; 제 51 단계 후 세탁을 진행하는 제 52 단계(ST82, ST83)와; 제 52 단계 수행 중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했는지 판별하는 제 53 단계(ST84); 및 제 53 단계에서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제 52 단계로 리턴하고,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했으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압력조절밸브(62)를 개방시키며 송풍기(32)를 동작시킨 다음 제 52 단계로 리턴하는 제 54 단계(ST85, ST86);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또는 퍼크로) 등의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유기용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을 자동으로 방지하며,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방식의 전자동 또는 선택입력 가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용매(물, 유기 용매 - 석유류, 유기 용매 - 퍼크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체 건조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휘발성 성분용매를 재 회수하여 뛰어난 경제성과 법적 규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분광센스를 이용한 사용용매의 오염도 측정이 가능하고, 오염된 용제 사용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 건조 및 회수 일체형으로 각각의 시스템을 도입할 때의 높은 경제성을 갖출 수 있으며, 세탁 용매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또는 퍼크로) 등의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유기용제 사용 시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을 자동으로 방지하며,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하고자 한 것이다.
지금까지 세탁용제로서 수용매(물) 또는 유기용제(석유류 드라이클리닝 전용 장치)와 유기 용제(퍼크로 드라이클리닝 전용장치)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세탁 장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 장치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며, 별도 장치로 운영되고 세탁물의 변형방지를 위하여 세탁물 저온 건조기능과 그리고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 세탁 용제의 선별 회수 기능을 첨가하여 용매 재사용 장치가 포함된 복합형 장비를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세탁용매의 세탁, 건조, 회수의 복합 장치를 개발하고, 부가된 기능으로서 저온 건조 기능, 휘발용매의 회수 기능, 혼합용매의 선택적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에 운영되고 있는 순차적(시간적) 제어방식의 세탁 장치를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전자동과 각 기능 별 프로그램 제어방식의 디지털 운영방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여기서 순차적 제어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한 이유는 수용매(물), 유기용제(석유류, 퍼크로 등)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이 다르므로 이들의 물리적 특성 값을 이용한 반복된 실험 결과를 프로그래밍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8의 표에서와 같은 입력 자료를 프로그래밍 하여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인식과 식별을 위해 세탁물 회전 수 및 속도 제어, 건조기의 온도 제어, 용매회수를 위한 냉각 온도 제어,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 측정 제어 등을 수행한다.
그래서 세탁물 회전 수 및 속도 제어는 도 9의 표에서와 같이 세탁 재질(섬유의 조성)에 따라 입력 자료를 프로그래밍 한다.
그리고 건조기의 온도 제어는 세탁물의 안정화를 위하여 저온 송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래서 도 10에서와 같이 강제 순환식으로 구성하여, 45 ~ 65℃의 저온으로 건조온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용매회수를 위한 냉각 온도 제어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혼합용매를 위한 선택적 냉각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 측정 제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먼저 사용한 세탁용매는 오염된 기름성분, 미세 오염입자, 세탁물에서 용출된 색소가 존재한다. 이는 용매의 투과도의 차이로 정량적으로 확인가능하다. 그래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연속흐름 시료주입 방법으로 분광기 셀에 자동 주입하여 550nm에서 투과도(%T)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일정수준 이하(예, 55%)의 투과도를 나타 낼 경우 자동(수동) 정제 장치를 가동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용제를 저장하는 용제통부(10), 세탁물을 넣어 세탁 하는 드럼부(20),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30),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부(40), 현재 사용 중인 용제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부(50), 세탁드럼(21)의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는 자동 방폭부(60)가 있다.
또한 측정부(10)는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11),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12),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3)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류탱크(11)는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 등의 용제를 저장한다.
또한 드럼부(20)에서 세탁드럼(21)은 용제통부(10)로부터 유류, 세제, 물을 공급받아 세탁물에 대해 세탁을 수행한다.
또한 건조부(30)는 건조기(31)와 송풍기(32)로 구성할 수 있는데, 건조기(31)는 드럼부(20)에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송풍기(32)는 건조기(31)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회수부(40)는 건조부(30)와 연결되어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용제를 회수하는 것으로, 건조회수탱크(41), 증류장치(42). 폐유/폐수탱크(43), 냉각기(44), 유류회수탱크(45), 물회수탱크(46)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회수부(40)의 건조회수탱크(41)는 건조부(30)와 연결되어 세탁에 사용된 용제를 회수하고, 증류장치(42)는 건조회수탱크(41)에서 회수된 용제를 증류시키며, 폐유/폐수탱크(43)는 증류장치(42)에서 증류된 용제 중 폐유 또는 폐수를 저장한다. 또한 냉각기(44)는 증류장치(42)에서 증류된 용제를 냉각시키고, 유류회수탱크(45)는 냉각기(44)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유류를 회수하여 저장하고 용제통부(10)의 유류탱크(11)로 회수하여 저장한 유류를 공급하며, 물회수탱크(46)는 냉각기(44)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고 용제통부(10)의 물탱크(13)로 회수하여 저장한 물을 공급한다.
또한 측정부(50)는 회전펌프(51), 성분분석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회전펌프(51)는 세탁드럼(21)의 용제를 성분분석센서(52)로 전달하고, 성분분석센서(52)는 회전펌프(51)에 의해 공급된 용제의 성분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자동 방폭부(60)는 온도압력센서(61)를 이용하여 드럼부(20)의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게 되는데, 온도압력센서(61), 압력조절밸브(62), 방폭 제어부(63), 알람부(64)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온도압력센서(61)는 드럼부(20)의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여 방폭 제어부(63)로 감지된 값을 전달한다.
그리고 압력조절밸브(62)는 드럼부(20)와 건조부(30) 내의 송풍기(32) 사이에 연결되고, 방폭 제어부(63)의 제어를 받아 드럼부(20)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방폭 제어부(63)는 온도압력센서(61)에서 감지된 드럼부(20)의 온도와 압력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드럼부(20)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넘으면 압력조절밸브(62)를 개방시키고, 건조부(30) 내의 송풍기(32)를 동작시켜 드럼부(20)가 방폭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알람부(64)는 방폭 제어부(63)에서 방폭 제어를 수행하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의 알람은 문자표시, 소리발생 등이 모두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제 1 단계에서는 수용매(물),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의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한다(ST31).
그리고 제 2 단계에서는 세탁재질(섬유의 조성)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한다(ST32).
또한 제 3 단계에서는 건조기(31)의 온도를 제어한다(ST33).
또한 제 4 단계에서는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44)의 온도를 제어한 다(ST34).
도 8은 도 7에서 수용매,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끓는점/초유점, 종유점, 증기압, 압력, 온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한다.
도 9는 도 7에서 세탁 재질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실크(블라우스), 면/셔츠, 혼방, 울 100%, 겨울 점퍼류, 모피류를 각각 약, 중양, 중1, 중2, 강1, 강2 등과 같이 설정하여 구분하고, 각각의 세탁 재질에 대해 회전속도와 세탁시간을 설정하여 프로그래밍 한다.
도 10은 도 7에서 건조기의 온도 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그래서 먼저 송풍기(32)를 이용하여 열기 송풍을 수행한다(ST41).
그리고 송풍기(32)에 의한 열기 송풍이 프로그래밍된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판별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다시 열기 송풍이 수행되도록 하고, 도달되었으면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확인하게 된다(ST42).
그래서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세탁물이 건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시 열기 송풍이 수행되도록 하고, 세탁물이 건조되었다고 판단되면 종료하게 된다(ST43).
도 11은 도 7에서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의 온도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그래서 먼저 유증기가 유입되도록 한다(ST51).
그런 다음 회수부(40)에서 냉각기(44)를 가동시켜 진공 온도 보정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는지 판별한다(ST52 ~ 54).
그래서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으면 유증기 유입이 있는지 확인한다(ST55).
만약 유증기 유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진공 온도 보정을 수행하고, 유증기 유입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냉각기(44)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ST56).
도 12는 도 11에서 혼합 용매를 위한 선택적인 냉각기 제어 예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각각 유매회수 조건으로 압력과 온도를 설정하고, 냉각기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한다.
도 13은 도 7에서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 측정 제어의 상세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투과도 측정 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그래서 사용한 세탁용매의 성분을 감지한다(ST61).
그리고 연속흐름 시료주입 방법으로 분광기 셀에 자동 주입하여 500nm에서 세탁용매의 투과도(%T)를 측정하여(ST63)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예를 들면, 55%T) 이하의 투과도인지 판별한다(ST63).
그래서 성분감지된 세탁용매의 투과도가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가 아니면 다시 성분 감지를 수행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이면 자동 또는 수동의 정제부를 가동시킨 다음 다시 성분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ST64).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먼저 세탁물 선택, 용제 선택을 수행하게 한다(ST71).
그리고 급유, 세탁을 수행하게 한다(ST72).
이때 반복 세탁을 선택하면 다시 급유, 세탁을 수행하게 하고, 반복 세탁을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ST73).
그리고 급유, 탈유, 헹굼을 수행하게 한다(ST74).
이때 반복 헹굼을 선택하면 다시 급유, 탈유, 헹굼을 수행하게 하고, 반복 헹굼을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ST75).
그리고 탈유, 건조, 회수를 수행하게 한다(ST76).
이때 반복 건조 및 회수를 선택하면 다시 탈유, 건조, 회수를 수행하게 하고, 반본 건조 및 회수를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ST77).
또한 용제를 재사용하고자 하는지 판별한다(ST78).
그래서 용제를 재사용하고자 하면 용제를 저장하도록 한다(ST79).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것으로 자동 방폭부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6에서와 같은 방폭 기능은 종래의 세탁장치의 순차적인 제어 방식에서는 도입이 불가능하여 적용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다.
이를 위해 먼저 드럼부(20) 내의 세탁드럼(21)의 온도와 압력의 한계치를 프로그래밍 한다(ST81).
그리고 세탁을 진행하는 동안(ST83, ST83) 프로그래밍한 일정 온도인 한계치 이상으로 세탁드럼(2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압력조절밸브(62)가 작동하여 외부의 찬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를 위해 송풍기(32)가 동작하도록 방폭 제어부(63)는 제어한다. 또한 일정 이상의 고압력(예를 들면, 100mbar)이 형성될 경우에도 압력조절밸브(62)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세탁드럼(21) 내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ST85, ST86), 작업자의 안정성이 항상적으로 보장되도록 하였다.
도 17은 종래 장치와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장치에 비해, 장치 형태, 운영 방식, 자가 운전, 세탁 기능, 건조 기능, 회수 기능, 용매 오염도, 정제 기능, 용제 구분, 선택 운전, 방폭 기능 등에서 큰 기능 개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여러 용제를 하나의 세탁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저온 건조기능을 추가하여 세탁물을 안정화시키며, 저진공을 이용하여 세탁 용제를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조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 회수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자동 방폭부와 그 주변블록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일 구성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수용매,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도 9는 도 7에서 세탁 재질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예를 보인 표이다.
도 10은 도 7에서 건조기의 온도 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7에서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의 온도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혼합 용매를 위한 선택적인 냉각기 제어 예를 보인 표이다.
도 13은 도 7에서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 측정 제어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투과도 측정 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인 것으로 자동 방폭부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7은 종래 장치와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을 비교한 비교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제통부 11 : 유류탱크
12 : 세제통 13 : 물탱크
20 : 드럼부 21 : 세탁드럼
30 : 건조부 31 : 건조기
32 : 송풍기 40 : 회수부
41 : 건조회수탱크 42 : 증류장치
43 : 폐유/폐수탱크 44 : 냉각기
45 : 유류회수탱크 46 : 물회수탱크
50 : 측정부 51 : 회전펌프
52 : 성분분석센서 60 : 자동 방폭부
61 : 온도압력센서 62 : 압력조절밸브
63 : 방폭 제어부 64 : 알람부

Claims (21)

  1.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탱크,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용제통부와;
    상기 용제통부로부터 유류, 세제, 물을 공급받아 세탁물에 대해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드럼을 구비한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에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와 연결된 송풍기를 구비한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와 연결되어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용제를 회수하는 회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제통부의 상기 유류탱크는,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용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건조부와 연결되어 세탁에 사용된 용제를 회수하는 건조회수탱크와;
    상기 건조회수탱크에서 회수된 용제를 증류시키는 증류장치와;
    상기 증류장치에서 증류된 용제 중 폐유 또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유/폐수탱크와;
    상기 증류장치에서 증류된 용제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유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유류회수탱크;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용제에서 물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물회수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는,
    상기 세탁드럼의 용제를 성분분석센서로 전달하는 회전펌프, 상기 회전펌프에 의해 공급된 용제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분석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드럼에 공급되는 용제의 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세탁드럼에 공급되는 용제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로 측정되면 자동 또는 수동의 정제부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는,
    온도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부의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는 자동 방폭부;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방폭부는,
    상기 드럼부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는 온도압력센서와;
    상기 드럼부와 상기 건조부 내의 송풍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부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온도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드럼부의 온도와 압력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드럼부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넘으면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건조부 내의 상기 송풍기를 동작시켜 상기 드럼부가 방폭되도록 제어하는 방폭 제어부; 및
    상기 방폭 제어부에서 방폭 제어를 수행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8. 수용매(물), 유기용제의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세탁재질(섬유의 조성)에 따라 입력자료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건조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 후 용매 회수를 위한 냉각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유기용제는,
    석유류 용제 또는 퍼크로 에틸렌 용제 중에서 하나 이상의 용제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끓는점/초유점, 종유점, 증기압, 압력, 온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실크(블라우스), 면/셔츠, 혼방, 울 100%, 겨울 점퍼류, 모피류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세탁 재질을 구분하고, 각각의 세탁 재질에 대해 회전속도와 세탁시간을 설정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열기 송풍을 수행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1 단계에서의 열기 송풍이 프로그래밍된 목표치에 도달했는지 판별하여, 도달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1 단계로 리턴하고, 도달되었으면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확인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 후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세탁물이 건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1 단계로 리턴하고, 세탁물이 건조되었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유증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1 단계 후 회수부에서 냉각기를 가동시켜 진공 온도 보정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는지 판별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2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진공온도 설정치에 이르렀으면 유증기 유입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제 23 단계에서 유증기 유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2 단계로 리턴하고, 유증기 유입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냉각기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제 2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물의 수용매, 석유류의 유기용매, 퍼크로의 유기용매에 대해 각각 유매회수 조건으로 압력과 온도를 설정하고, 냉각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청구항 8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 후 사용 중 용매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사용한 세탁용매의 성분을 감지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 후 연속흐름 시료주입 방법으로 분광기 셀에 자동 주입하여 세탁용매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인지 판별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제 32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가 아니면 상기 제 31 단계로 리턴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수준 이하의 투과도이면 자동 또는 수동의 정제부를 가동시킨 다음 상기 제 31 단계로 리턴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는,
    550nm에서 세탁용매의 투과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세탁물 선택, 용제 선택을 수행하게 하는 제 41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 후 급유, 세탁을 수행하게 하는 제 42 단계와;
    상기 제 42 단계 후 급유, 탈유, 헹굼을 수행하게 하는 제 43 단계; 및
    상기 제 43 단계 후 탈유, 건조, 회수를 수행하게 하는 제 4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42 단계, 상기 제 43 단계, 또는 상기 제 44 단계는,
    각각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44 단계 후 용제를 재사용하고자 하면 용제를 저장하도록 하는 제 45 단계;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21. 드럼부 내의 세탁드럼의 온도와 압력의 한계치를 프로그래밍 하는 제 51 단계와;
    상기 제 51 단계 후 세탁을 진행하는 제 52 단계와;
    상기 제 52 단계 수행 중 상기 세탁드럼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했는지 판별하는 제 53 단계; 및
    상기 제 53 단계에서 상기 세탁드럼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 52 단계로 리턴하고, 상기 세탁드럼의 온도와 압력이 미리 설정된 한계치에 도달했으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압력조절밸브를 개방시키며 송풍기를 동작시킨 다음 상기 제 52 단계로 리턴하는 제 5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086205A 2007-08-27 2007-08-27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0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05A KR100903795B1 (ko) 2007-08-27 2007-08-27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05A KR100903795B1 (ko) 2007-08-27 2007-08-27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79A true KR20090021579A (ko) 2009-03-04
KR100903795B1 KR100903795B1 (ko) 2009-06-18

Family

ID=4069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05A KR100903795B1 (ko) 2007-08-27 2007-08-27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95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KR20210003520A (ko) * 2019-07-02 2021-01-12 김상일 증류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형 세탁장치 및 그 관리서버
KR102511893B1 (ko) * 2022-04-21 2023-03-21 신태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세탁소용 회수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50323A1 (it) * 2005-05-06 2006-11-07 I L S A Spa Macchina per il lavaggio a secco dei tessuti tramite sistema di nebulizzazione del solvente
US7681419B2 (en) * 2005-10-31 2010-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Dry cleaning solvent filter
KR101147822B1 (ko) * 2005-12-06 2012-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화재방지 제어방법
KR100668015B1 (ko) * 2006-07-27 2007-01-11 (주) 트러스트앤리치 유증기 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95A2 (ko) * 2011-09-02 2013-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WO2013032295A3 (ko) * 2011-09-02 2013-04-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제, 용제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세탁 장치
KR20210003520A (ko) * 2019-07-02 2021-01-12 김상일 증류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형 세탁장치 및 그 관리서버
KR102511893B1 (ko) * 2022-04-21 2023-03-21 신태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세탁소용 회수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795B1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1676B (zh) 洗涤装置的控制方法
NO330363B1 (no) Fremgangsmate til kjemisk rensing av artikler i et rensefluid omfattende en syklisk siloksanblanding
CN104652084A (zh) 家用干洗机及其控制方法
TWI448601B (zh) Drum washing machine
US2990706A (en)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KR100903795B1 (ko) 복합 용제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세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85357A (ja) 洗濯乾燥機
JPH11114278A (ja) ランドリー機器
CN105074076B (zh) 洗衣机
US20040231371A1 (en) Method for providing non-aqueous laundering capability
US20040255394A1 (en) Spin cycle methodology and article drying apparatus
US4765159A (en) Controller for a dry cleaning apparatus
KR100839047B1 (ko) 멀티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0117886B (zh) 衣物处理装置
KR100245429B1 (ko) 세탁기의 세탁 자동제어 방법
KR101567245B1 (ko) 드라이클리닝 및 물세탁 겸용 세탁기계
JP2012070956A (ja) 衣類乾燥機
EP2716809B1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and drying linen
CN111607936B (zh) 一种衣物除皱方法及系统、存储介质、洗衣机
JP2592555B2 (ja) 洗濯機
CN113201900B (zh) 全自动干湿两用一体机
JP2005027689A (ja) 洗濯乾燥機
JPH0246872Y2 (ko)
JP3091621B2 (ja) 石油系ドライクリーナ
KR100977568B1 (ko) 세탁기의 간이 건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