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305A - 풍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305A
KR20090021305A KR1020097000031A KR20097000031A KR20090021305A KR 20090021305 A KR20090021305 A KR 20090021305A KR 1020097000031 A KR1020097000031 A KR 1020097000031A KR 20097000031 A KR20097000031 A KR 20097000031A KR 20090021305 A KR20090021305 A KR 2009002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unnel
turbine
flow
collect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092B1 (ko
Inventor
시게루 사토
Original Assignee
김전수
시게루 사토
하시모토, 요시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전수, 시게루 사토, 하시모토, 요시마사 filed Critical 김전수
Publication of KR2009002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35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within towers, e.g. using chimney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3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 F05B2240/131Stators to collect or cause flow towards or away from turbines by means of vertical structures, i.e.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40Use of a multiplicity of simila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20Geometry three-dimensional
    • F05B2250/23Geometry three-dimensional prismatic
    • F05B2250/231Geometry three-dimensional prismatic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향에 관계 없이 약한 바람의 에너지도 유효하게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발전을 실시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대형화, 고출력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 풍력 발전 장치는 기초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된 통 모양 부재로 구성되는 풍동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둘레의 벽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출된 복수의 집풍판과, 상기 집풍판 상호간에 설치된 상하 복수의 가이드판과, 상기 집풍판에 의해 집약된 바람을 상기 풍동 내로 안내하는 복수의 바람 도입구와, 통 모양 부재의 외부로부터 통 모양 부재 내부로의 바람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류 방지 수단과, 상기 풍동의 일단부로부터 불어오기 시작하는 바람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갖추고 있다.
풍력 발전 장치, 풍동, 집풍판, 역류 방지 수단, 터빈, 발전기

Description

풍력 발전 장치{WIND POWER APPARATUS}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의 풍력이 가지는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 장치는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 형식의 것들이 제안되고 또한 실시되어 오고 있다. 이것들 중에서, 풍동(風洞)의 측면부에 바람 도입구를 90도 간격으로 4군데 설치하고, 풍동 내로 도입된 바람에 의해 팬을 회전시키는 방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4-19050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팬 회전식 풍력 발전 장치는 풍동 주변의 바람을 풍동 내로 효율적으로 도입하지 못하고, 게다가 풍동 내로 도입된 바람이 풍동 내로부터 바람이 불어가는 쪽(風下側)으로 불어버린다는 문제도 있어, 바람의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로부터 나팔 모양의 개구(開口)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風上側)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바람을 모으는 일도 행해지고 있으나, 대형화는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풍향에 관계없이 약한 바람의 에너지도 유효하게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대형화, 고출력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는 기초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통 모양의 부재(部材)로 구성된 풍동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둘레의 벽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출(延出)한 복수의 집풍판(集風板)과, 상기 집풍판 상호간 및 통 모양 부재의 상단 개구를 막는 천판(天板)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둘레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집풍판에 의해 집약된 바람을 상기 풍동 내로 안내하는 복수의 바람 도입구와, 상기 바람 도입구에 설치되어 통 모양의 부재 외부로부터 통 모양의 부재 내부로 바람의 유통만을 허용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유통을 규제하는 역류 방지 수단과, 인접하는 집풍판 사이에 설치되어 집풍판에 의해 집약된 바람을 아래쪽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판과, 상기 풍동의 일단부(一端部)로부터 불기 시작하는 바람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turbine)과,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는 인접하는 상기 집풍판의 외부측 간에 외부로부터 집풍판 사이로의 바람의 유통만을 허용하고, 집풍판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유통을 제어하는 제2의 역류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면 적합하다. 게다가, 상기 집풍판은 통 모양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6개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적합하다. 상기 풍동에는 상기 풍동 내로 과잉 도입된 바람을 배출하는 잉여풍(剩余風) 배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는 하나의 풍동에 바람의 흐름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터빈의 회전 날개는 풍동 내로 1/2 ~ 1/4을 향하게 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집풍판, 특히 6개의 집풍판과 복수의 가이드판에 의해 바람을 풍동 방향으로 모으므로, 어떤 방향에서 부는 바람이라도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위치시킨 여러 개의 집풍판 및 가이드판의 작용으로 풍동 내로 압축시킨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바람 도입구에는 역류 방지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풍동 내로 도입된 바람이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부는 일이 없다. 특히, 인접하는 집풍판 사이에 제2의 역류 방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집풍판 사이로 도입된 바람을 효율적으로 풍동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풍동 내의 잉여 바람을 잉여풍 배출부로부터 배출함으로써, 강풍시에도 터빈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어진다. 게다가, 하나의 풍동에 바람의 흐름 방향으로 복수의 터빈 및 발전기를 설치하고, 터빈의 회전날개를 풍동 내로 1/2 ~ 1/4을 향하게 함으로써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터빈이나 발전기를 설치한 지상의 기초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통 모양 부재와 복수의 집풍판을 세워서 설치하는 것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의 평균 풍속이나 필요 발전량 등의 조건에 따라 통 모양 부재의 높이, 풍동의 지름, 집풍판의 폭치수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고, 설치 장소의 각종 조건에 적응한 풍력 발전 장치, 풍력 발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의 한 형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같은 횡 단면도이다.
도 3은 장치 중앙부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 단면도이다.
도 5는 장치 중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하나의 풍동에 터빈 및 발전기를 복수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종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터빈 및 발전기의 설치 부분의 횡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의 풍력 발전 장치의 한 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이 풍력 발전 장치(10)는 지하에 발전기실(11)을, 지상에 집풍 수단(1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상기 집풍 수단(12)은 기초(基礎; 13)의 위쪽에 세워서 설치한 통 모양 부재(14)와, 하단이 기초(13)에 고정 설치되고 토대가 통 모양 부재(14)의 둘레의 벽에 고정되어서 상기 둘레의 벽의 벽면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출된 6개의 집풍판(15)과,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상단 개구 및 인접하는 집풍판(15) 사이의 상단 개구를 막는 천판(16)과,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벽면에 설치된 바람 도입구(17)와, 인접하는 집풍판(15) 사이에 설치된 상하 복수의 가이드판(18)을 가지고 있다.
상기 통 모양 부재(14)는 그 내부에 상기 발전기실(11)에 이르는 풍동(19)을 가지고 있다. 이 통 모양 부재(14)는 정6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집풍판(15)의 토대가 고착되어 각 주변에 상기 바람 도입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 모양 부재(14)는 그 높이나 지름에 따라 둘레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복수로 분할 형성되고, 풍력 발전 장치의 설치 장소에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 모양 부재(14)는 높이 방향 전체를 동일한 지름으로 하여도 좋고,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강도나 상기 풍동(19) 내의 압력 상태 등에 따라 아래쪽을 큰 지름으로, 위쪽을 작은 지름으로 한 완만한 원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집풍판(15)은 풍향이 연간 약 일정한 방향이라면 2 ~ 3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바람을 효율적으로 집풍하기 위해서는 6개가 가장 적당하다. 즉, 상기 집풍판(15)을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주위에 같은 간격으로 6개 설치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의 바람이라도 최저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집풍판(15)에 의해 바람을 중심부로 모아서 상기 풍동(19)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풍판(15)을 7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장치 비용이 상승하고 비교적 집풍 효과의 향상은 적어 경제적이지 않다. 이 집풍판(15)도 높이나 폭에 따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복수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8)은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側面視) 집풍판(15)의 선단측(先端側)이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하고, 집풍판(15)의 기부측(基部側)이 연직 방향을 향하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하의 가이드판(18) 사이의 간격은 집풍판(15)의 기부로부터 외단까지의 길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8)을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집풍판(15) 사이를 연결하여 집풍판(15)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집풍판(15) 및 가이드판(18)에 의해 모아진 바람은 최하부가 기초(13), 최상부가 천판(16)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상하의 가이드 판(18)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平面視) 삼각형의 정점을 향하여 수렴하는 상태가 되므로, 압력이 상승한 상태에서 또한 가이드판(18)에 의해 아래로 향하는 흐름이 되어 상기 바람 도입구(17)로부터 상기 풍동(19)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람 도입구(17)는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벽판을 사각형 모양으로 뚫어서 형성된 것이고, 바람 도입구(17)의 외측에 인접하는 집풍판(15)의 기부끼리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통 모양 부재(14)의 내부로 향하는 바람의 유통을 허용하고, 통 모양 부재(14)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유통을 규제하는 제1 역류 방지 수단(20)을 갖춘 벽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역류 방지 수단(20)은 벽판(21)에 설치된 개구(22)의 내측으로 상부에 힌지(hinge; 23)를 가지는 스윙식 플랩(flap; 24)을 설치한 것이다. 이 플랩(24)은 외부로부터 풍압이 작용하면 힌지(23)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가 바람 도입구(17) 측으로 열리고, 외부로부터 통 모양 부재(14)의 내부로 향하는 바람의 유통을 허용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풍압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개구(22)를 닫은 상태가 되어,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유통을 규제한다.
게다가, 인접하는 집풍판(15)의 외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집풍판(15) 사이로의 바람의 유통을 허용하고, 집풍판(15)으로부터 외부로의 유통을 규제하는 제2의 역류 방지 수단(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의 역류 방지 수단(25)은 집풍판(15)의 기부측에 설치된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과 동일하게 집풍판(15)의 외단부 사이를 가리는 벽판(26)에 개구(27)를 설치하고, 이 개구(27)의 내측에 상부에 힌지(28)를 가지는 스윙식 플랩(29)을 설치한 것이다. 이 플랩(29)도 외부로부터 풍압이 작용 하면 힌지(28)를 중심으로 하부가 내측으로 열리고, 외부로부터 집풍판(15) 사이로 향하는 바람의 유통을 허용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풍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개구(27)를 닫은 상태가 되어,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유통을 규제한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위치한 양 역류 방지 수단(20, 25)은 풍압에 따라 플랩(24, 39)이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어, 바람이 불어오는 쪽 이외의 양 역류 방지 수단(20, 25)은 자동적으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22, 27)의 주변과 플랩(24, 29)과의 사이에 고무제 밀봉재(seal)를 마련함으로써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확실한 폐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 25)의 구조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 25)은 개구(22, 27)의 아래쪽을 열리게 함으로써, 개구(27)로부터 집풍판(15) 사이로 유입하는 바람 및 개구(22)로부터 풍동(19) 내로 유입하는 바람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판(18) 및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의 상승 작용에 의해 풍동(19) 내에 아래쪽의 발전기실(11)로 향하는 바람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 25)에 의해 집풍판(15) 사이 및 풍동(19) 내로 도입된 바람이 외부로 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입된 바람을 발전용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바람 도입구(17)나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 25)의 크기(유량)나 설치수는 상기 집풍판(15)에 의해 집풍되는 풍량에 따라 설정되고, 집풍판(15)의 폭치 수가 작으면 설치수를 적게 하고, 또는 작은 바람 도입구(17)로 하여 집풍판(15)의 폭치수가 클 때에는 설치수를 많게 하여 바람 도입구(17)나 역류 방지 수단(20, 25)도 큰 것으로 하면 좋다.
지하에 설치된 상기 발전기실(11)에는 상기 풍동(19)에 연통하는 지하 풍동(30)이 설치되어, 이 지하 풍동(30) 내를 흐르는 바람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31)과, 이 터빈(31)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32)와, 그 외의 송전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터빈(31) 및 발전기(32)에는 풍동(19)으로부터 지하 풍동(30)으로 공급되는 풍압, 풍량에 대응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풍력 발전 장치(10)의 설비 장소에서의 전력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도 좋다. 또한, 터빈(31)을 구동한 바람은 지하 풍동(30)의 말단으로부터 대기로 배기된다.
또한, 상기 풍동(19)의 아래쪽 양단부에 풍동(19)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압력을 넘었을 때에 풍동(19) 내로부터 외부로 압력을 보내기 위한 잉여풍 배출구를 각각 설치해 둠으로써, 강풍시에 풍동(19) 내로 도입된 과잉의 바람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터빈(31)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잉여풍 배출부로는 천판(16)에 통풍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풍공을 개폐하는 플랩 모양의 것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하의 잉여풍 배출부의 작동 압력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풍동(19) 내의 바람의 흐름을 고려하면 아래쪽의 잉여풍 배출부의 작동 압력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여풍 배출부에서 배기 유량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나, 태풍 등의 강풍시를 고려하면 작동 압력을 높게 설정한 위쪽의 잉여풍 배출부의 배기 유량을 크게 설정해 둠으로써, 통상의 풍력의 변동 범위에서는 작동 압력 을 낮게 설정한 아래쪽의 잉여풍 배출부만이 작동하여 풍동(19) 내의 바람의 흐름을 어지럽히지 않고 소량의 잉여풍을 배출하고, 태풍 등의 강풍시에는 작동 압력을 높게 설정한 위쪽의 잉여풍 배출부도 작동하여 대량의 잉여풍을 배출함으로써 터빈(31) 등의 기구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방향을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향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방향으로 향하여 잉여풍 배출부를 설치해 둘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발전기(32)의 발전 상태에 따라 배기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자동 조정식의 잉여풍 배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풍동(19)이나 상기 지하 풍동(30)의 저부에는 풍동(19) 내로 침입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바람 도입구(17)로부터 풍동(19)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람 도입구(17)의 외측이나 상기 역류 방지 수단(20, 25)의 외측에 스크린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통상의 철망 등을 프레임에 의해 유지하고, 이 프레임을 인접하는 집풍판(15)이나 벽판(21, 26)에 고정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풍력 발전 장치(10)에서 집풍 수단(12)으로서 통 모양 부재(14)와 복수, 특히 6개의 집풍판(15)과 복수의 가이드판(18)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바람을 유효하게 포집하여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약풍 상태에서도 충분한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의 조건에 따라 높이와 직경을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전력 공급을 안정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소형의 풍력 발전 장치(10)에서는 기초(13)를 대신하는 저판을 조합하여 집풍 수단(12)을 유닛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복수의 유닛을 겹쳐 쌓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터빈(31) 및 상기 발전기(32)는 하나의 지하 풍동(30)에 바람의 흐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설치하여 풍속에 따라 발전기(32)의 가동수를 증감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하 풍동(30)에 5개의 터빈(31a, 31b, 31c, 31d, 31e)을 설치하여 각 터빈(31a - 31e)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32a, 32b, 32c, 32d, 32e)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지하 풍동(30)에 도입된 바람은 상기 터빈(31a - 31e)을 회전 구동하고, 이 터빈들(31a - 31e)에 의해 각 발전기(32a - 32e)를 구동하여 발전한다. 이 터빈들(31a - 31e)을 회전 구동한 바람은 지하 풍동(30)의 말단으로부터 배기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복수의 터빈(31) 및 발전기(32)를 설치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터빈(31)의 물레바퀴(33)는 지하 풍동(30) 내로 1/2 - 1/4 정도를 향하게 함으로써, 지하 풍동(30) 내의 바람은 풍속이 떨어지지 않은 채로 통과하여 이 복수의 터빈들(31)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통 모양 부재(14), 상기 집풍판(15), 가이드판(18) 등은 풍력 발전 장치 전체의 크기나 예측되는 최대 풍속 등의 조건에 따라 적당한 재료 및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스테인레스 망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내식성이 풍부한 금속 재료가 매우 적절하며, 또한 금속제의 골격에 방식철판이나 FRP 등의 판재를 붙이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집풍판(15)의 폭 치수는 풍력 발전 장치의 설치 장소에서 각종 조건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풍력 발전 장치의 높이와 직경(상기 집풍판(15)의 선단부를 통과하는 원의 직경)의 비율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높이를 100m 또는 200 이상으로 높여서 상기 집풍판(15)을 폭이 좁게 하여도 좋고, 설치 면적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상기 집풍판(15)의 직경을 100m 이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통상은 지표부에 비하여 안정되어 있는 상공의 바람을 효과적으로 집풍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층 빌딩의 옥상 등이라면 높이나 직경이 수 m 내지 10m 정도의 것이어도 충분한 집풍력을 얻을 수 있다.
건축물로서의 풍력 발전 장치(10)의 강도는 상기 통 모양 부재(14)를 중심으로 6방향으로 집풍판(1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통 모양 부재(14)의 높이, 집풍판(15)의 폭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강풍이나 지진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 보강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고, 내진성에 대해서는 적당히 유연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천판(16)의 상부에 전망대(41)를 설치하거나 하부에 홀(42)을 설치할 수 있고, 홀(42)로부터 전망대(41)로 승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통 모양 부재(14)나 집풍판(15)을 따라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풍력 발전 장치(10)의 상부는 전망대(31) 외에 헬리포트, 전파탑, 무선 중단소, 측후소, 천체 관측소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게다가, 통 모양 부재(14)나 집풍판(15)에 사다리(step)를 설치해 둠으로써 역류 방지 수단(20, 25) 등의 보수,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집풍판(15)이나 역류 방지 수단(25)의 외면을 광고 선전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 집 풍판(15)이나 역류 방지 수단(25)에 주변의 경관에 따른 착색이나 모양을 입히거나, 야간에 라이트 업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기초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통 모양 부재로 구성된 풍동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둘레의 벽으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출된 복수의 집풍판과, 상기 집풍판 상호간 및 통 모양 부재의 상단 개구를 막는 천판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둘레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집풍판에 의해 집약된 바람을 상기 풍동 내로 안내하는 바람 도입구와, 상기 바람 도입구에 설치되어 통 모양 부재 외부로부터 통 모양 부재 내부로 바람의 유통만을 허용하고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유통을 규제하는 역류 방지 수단과, 인접하는 집풍판 사이에 설치되어 집풍판에 의해 집약된 바람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판과, 상기 풍동의 일단부로부터 불기 시작하는 바람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집풍판의 외부측 사이에 외부로부터 집풍판 사이로의 바람의 유통만을 허용하고, 집풍판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유통을 규제하는 제2의 역류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풍판은 통 모양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6개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동에 상기 풍동 내로 도입된 과잉의 바람을 배출하는 잉여풍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및 상기 발전기는 하나의 풍동에 바람의 흐름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터빈의 회전 날개는 풍동 내로 1/2 - 1/4을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KR1020097000031A 2006-12-20 2007-12-18 풍력 발전 장치 KR100929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5393 2006-12-20
PCT/JP2006/325393 WO2008075422A1 (ja) 2006-12-20 2006-12-20 風力発電装置
PCT/JP2007/074303 WO2008075676A1 (ja) 2006-12-20 2007-12-18 風力発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05A true KR20090021305A (ko) 2009-03-02
KR100929092B1 KR100929092B1 (ko) 2009-11-30

Family

ID=3953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031A KR100929092B1 (ko) 2006-12-20 2007-12-18 풍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232665B2 (ko)
EP (1) EP2096304A1 (ko)
KR (1) KR100929092B1 (ko)
CN (1) CN101583795B (ko)
AU (1) AU2007335505B2 (ko)
BR (1) BRPI0720538A2 (ko)
CA (1) CA2673230C (ko)
EG (1) EG26324A (ko)
HK (1) HK1136614A1 (ko)
IL (1) IL199436A (ko)
MX (1) MX2009006697A (ko)
MY (1) MY151465A (ko)
NO (1) NO20092234L (ko)
NZ (1) NZ577700A (ko)
RU (1) RU2009127773A (ko)
WO (2) WO2008075422A1 (ko)
ZA (1) ZA20090365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58B1 (ko) * 2009-11-18 2010-07-05 김전수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선박
WO2011062346A1 (ko) 2009-11-18 2011-05-26 Kim Juen Soo 풍력발전기용 집풍타워
KR101160921B1 (ko) * 2009-11-11 2012-06-29 김전수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집풍타워
KR102188888B1 (ko) * 2019-10-01 2020-12-09 박진현 풍력발전을 위한 집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1075B2 (en) * 2007-10-15 2011-03-22 Pagliasotti Robert R Building-integrated system for capturing and harvesting the energy from environmental wind
US20100102569A1 (en) * 2008-10-27 2010-04-29 Pickard Iii William Marshall Worldwide wind farm enclosure units and grid: worldwide battery-based airflow induced wind farm enclosure units and grid (webbaidwindfarm)
US8253266B2 (en) * 2009-01-19 2012-08-28 R. Elliott & Associates, Inc. Skyscraper with integrated wind turbines
US8421265B2 (en) * 2009-02-09 2013-04-16 Grayhawke Applied Technologie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within a building structure
KR101129102B1 (ko) * 2010-02-02 2012-03-23 박병억 풍력발전기
KR101003361B1 (ko) * 2010-04-07 2010-12-22 김전수 집풍타워식 풍력발전시스템
JP2011226124A (ja) * 2010-04-19 2011-11-10 Takenaka Komuten Co Ltd 建物
CN102235302B (zh) * 2010-04-26 2014-05-14 黄郑隽 聚风发电装置
GB2481244A (en) * 2010-06-17 2011-12-21 Ronald Davenport Wilson Power generator utilising fluid collected via a corridor
US8461715B2 (en) * 2010-10-10 2013-06-1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pparatus for wind collection
KR101306754B1 (ko) * 2011-02-01 2013-09-13 고영은 바람가이드가 구비된 풍력발전장치
CN102155346B (zh) * 2011-02-09 2018-02-09 黄太清 扩径引流型流体聚流集能装置和方法
CN102644552A (zh) * 2011-02-19 2012-08-22 北海银通商务有限公司 集束风洞发电塔
US8517662B2 (en) * 2011-05-01 2013-08-27 Solar Wind Energy Tower, Inc. Atmospheric energy extrac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20261918A1 (en) * 2011-02-28 2012-10-18 John Hanback Atmospheric energy extraction devices and methods
AT510956B1 (de) * 2011-04-28 2012-08-15 Penz Alois Windkraftanlage
US8881485B2 (en) * 2011-05-23 2014-11-11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Wind turbine tower system
TW201307678A (zh) * 2011-08-09 2013-02-16 Univ Nat Pingtung Sci & Tech 複合式風力發電機
CN102979675B (zh) * 2011-09-05 2015-03-18 方祖彭 集风式房屋建筑群及旷野结构群风力枢纽发电站、动力站
US9291148B2 (en) * 2011-11-30 2016-03-22 Sheer Wind, Inc. Intake assemblies for wind-energy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JP2013127235A (ja) * 2011-12-19 2013-06-27 Onwave Corp 全方位ユニット連結風力発電機
ITMI20120029A1 (it) * 2012-01-13 2013-07-14 Adriano Pellegri Generatore eolico ciclonico
CN102678466B (zh) * 2012-05-25 2014-09-10 钟林贵 旋风式风力发电风洞
US9294013B2 (en) 2012-09-06 2016-03-22 Sheer Wind, Inc. Buildings with wind-energy-conversion systems
US9121389B2 (en) 2012-09-24 2015-09-01 Jess Edward Baker Energy producing building structures
JP5349667B1 (ja) 2012-10-10 2013-11-20 株式会社サン設計事務所 風力発電装置
US8727698B1 (en) 2013-07-22 2014-05-20 Solar Wind Energy Tower, Inc. Atmospheric energy extraction devices and methods
US9145868B2 (en) * 2013-09-25 2015-09-29 Air Era Technologies, LLC Vertical axis turbine and constructions employing same
US20150152849A1 (en) * 2013-12-04 2015-06-04 Sheer Wind, Inc. Wind-energy conversion systems with air cleaners
US20180051670A1 (en) * 2015-10-02 2018-02-22 Subhash Omkarmal Agarwal Power generating using wind
US10443570B2 (en) * 2016-02-18 2019-10-15 The Boeing Company Internal mounted cylindrical turbine for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exterior flush and scoop intakes
AU2017239036B2 (en) * 2016-03-21 2021-11-04 Václav PUTA Wind tower
WO2018073729A1 (en) 2016-10-18 2018-04-26 Pellegri Adriano Cyclonic-flow wind turbine with statoric and rotoric elements
US20190017491A1 (en) * 2017-07-12 2019-01-17 Hongman Co., Ltd. Wind gathering device
US10479197B1 (en) * 2018-12-24 2019-11-19 Chuil Peter Kim Wind powered system for vehicles
US11486359B1 (en) * 2021-09-28 2022-11-01 Kinrg, Inc. Multi-stage wind turbine
CN113638846B (zh) * 2021-10-18 2021-12-24 山西丰秦源新能源开发有限公司 微风聚能风力发电装置
CN113982834B (zh) * 2021-11-24 2024-01-05 冉农全 一种蓄热储能设备及建筑物微风发电系统
CN113982844B (zh) * 2021-11-24 2024-01-26 冉农全 一种建筑物微风发电系统
ES2957739A1 (es) * 2022-06-17 2024-01-24 Villanueva Jose Maria Gonzalez Central de generacion de energia eolica canalizada y autopropulsada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03A (en) * 1913-04-01 1914-09-29 Albert J Fandrey Atmospheric power-generator.
US3832853A (en) * 1973-03-26 1974-09-03 T Butler Wind and solar energy conversion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US4004427A (en) * 1975-08-28 1977-01-25 Butler Jr Tony W Energy conversion system
US4079264A (en) * 1976-05-03 1978-03-14 Nathan Cohen Wind or water operated power plant
US4122675A (en) * 1977-03-17 1978-10-31 Jack Polyak Solar heat supplemented convection air stack with turbine blades
US4421452A (en) * 1979-09-28 1983-12-20 Raoul Rougemont Station for collecting wind energy
ES8301330A1 (es) 1980-07-24 1982-12-01 Central Energetic Ciclonic Sistema para la obtencion de energia mediante flujos simili-lares a los que conforman un ciclon o un anticiclon natural
JPS5765880A (en) * 1980-10-08 1982-04-21 Shimizu Constr Co Ltd Wind power generation set
JPS5765882A (en) * 1980-10-09 1982-04-21 Shimizu Constr Co Ltd Wind-power generation and apparatus thereof
FI920208A0 (fi) * 1992-01-17 1992-01-17 Anna Esteri Kivilammi Vindkraftverk.
JP2680774B2 (ja) * 1992-08-25 1997-11-19 重雄 中川 風力取出し装置
US6510687B1 (en) * 1996-06-14 2003-01-28 Sharav Sluices Ltd. Renewable resource hydro/aero-power generation plant and method of generating hydro/aero-power
US5850108A (en) * 1996-10-04 1998-12-15 Bernard; Samuel Fluid flow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foil
US5982046A (en) * 1999-04-29 1999-11-09 Minh; Vu Xuan Wind power plant with an integrated acceleration system
CN2413049Y (zh) * 2000-03-21 2001-01-03 杨天福 立式风动轮
US6765309B2 (en) * 2001-12-19 2004-07-20 Joseph J. Tallal, Jr. System and building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wind power
JP2004190506A (ja) 2002-12-09 2004-07-08 Yoshito Omori 風力発電装置、風力発電方法、並びに風力発電装置に用いられる風洞部材
US7757490B2 (en) * 2003-07-21 2010-07-20 Morph Pty Limited Power generation from solar and waste heat
JP3817675B2 (ja) * 2003-09-26 2006-09-06 敏雄 野沢 風力発電用集風システム
USD516581S1 (en) * 2004-07-07 2006-03-07 Josep Lluis Gomez Gomar Wind tower
KR101383849B1 (ko) * 2004-12-23 2014-04-10 카트루 에코-에너지 그룹 피티이. 엘티디. 전방향식 풍력 터빈
CN101080569B (zh) * 2005-03-22 2012-07-04 邱尼莱·沃拉·安安德伯哈艾 具有导向装置的立轴式风车
US7911075B2 (en) * 2007-10-15 2011-03-22 Pagliasotti Robert R Building-integrated system for capturing and harvesting the energy from environmental wind
US8253266B2 (en) * 2009-01-19 2012-08-28 R. Elliott & Associates, Inc. Skyscraper with integrated wind turbines
US7821153B2 (en) * 2009-02-09 2010-10-26 Grayhawke Applied Technologie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921B1 (ko) * 2009-11-11 2012-06-29 김전수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집풍타워
KR100967158B1 (ko) * 2009-11-18 2010-07-05 김전수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선박
WO2011062345A1 (ko) * 2009-11-18 2011-05-26 Kim Juen S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선박
WO2011062346A1 (ko) 2009-11-18 2011-05-26 Kim Juen Soo 풍력발전기용 집풍타워
KR102188888B1 (ko) * 2019-10-01 2020-12-09 박진현 풍력발전을 위한 집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27773A (ru) 2011-01-27
BRPI0720538A2 (pt) 2014-01-07
ZA200903659B (en) 2010-02-24
CA2673230A1 (en) 2008-06-26
US8232665B2 (en) 2012-07-31
AU2007335505B2 (en) 2012-01-12
MX2009006697A (es) 2009-07-29
NO20092234L (no) 2009-08-13
US20100084867A1 (en) 2010-04-08
CA2673230C (en) 2013-08-27
IL199436A (en) 2012-12-31
CN101583795B (zh) 2011-06-22
KR100929092B1 (ko) 2009-11-30
NZ577700A (en) 2011-12-22
MY151465A (en) 2014-05-30
EG26324A (en) 2013-08-06
CN101583795A (zh) 2009-11-18
EP2096304A1 (en) 2009-09-02
AU2007335505A1 (en) 2008-06-26
WO2008075422A1 (ja) 2008-06-26
HK1136614A1 (en) 2010-07-02
WO2008075676A1 (ja)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092B1 (ko) 풍력 발전 장치
US9453494B2 (en) Building integrated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US81921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wind energy
US8459930B2 (en) Vertical multi-phased wind turbine system
US7753644B2 (en) Vertical multi-phased wind turbine system
US10280900B1 (en) Omnidirectional building integrated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CN105240207B (zh) 风力涡轮机以及使用风力涡轮机导向流体流的方法
CA2356140C (en) Multiaxis turbine
US8403623B2 (en)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WO2008009920A2 (en) Wind turbines
JP2013511649A (ja) 風力発電機用集風タワー
US9273665B1 (en) Dual wind energy power enhancer system
KR100862319B1 (ko)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JP2006348866A (ja) 風力発電装置
US7611325B2 (en) Wind collector
JP4903814B2 (ja) 風力発電装置
WO2010148168A1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ing wind power
JP2021162010A (ja) 円筒状小型風力発電装置
WO2021255833A1 (ja) 風力発電装置
WO2022260382A1 (ko) 흡기실과 배기실을 구비한 수직축 풍력발전기
US20240159221A1 (en) Wind powered generator
WO2022254763A1 (ja) タービン装置及び発電装置
EA046037B1 (ru) Ветрогенератор
JP2009148210A (ja) 栽培施設
KR20150087498A (ko) 통풍관에 흐르는 바람이용 원통형 풍력터빈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