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976A -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976A
KR20090020976A KR1020070085651A KR20070085651A KR20090020976A KR 20090020976 A KR20090020976 A KR 20090020976A KR 1020070085651 A KR1020070085651 A KR 1020070085651A KR 20070085651 A KR20070085651 A KR 20070085651A KR 20090020976 A KR20090020976 A KR 20090020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purification
pi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420B1 (ko
Inventor
진준태
Original Assignee
진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준태 filed Critical 진준태
Priority to KR102007008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4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은 일측에서 음식쓰레기 등의 생활쓰레기를 포집하여 공동주택의 외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형성되는 포집관과, 상기 포집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관에서 포집된 생활쓰레기가 인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인입된 생활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생활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형성되는 분리망과,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공기정화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인입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인입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의 집하와 악취제거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세균까지 박멸한 후 대기 중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Description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Air purifier for a waste disposal site}
본 발명은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의 집하와 악취제거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세균까지 박멸한 후 대기 중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악취를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성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악취라 함은 여러가지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면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인간의 쾌적한 정서생활과 나아가서는 건강에 피해를 주는 나쁜냄새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악취로 취급되는 물질들은 대부분 저농도이므로 생리적으로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식욕감퇴, 구토, 두통, 불면, 앨러지증상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심리적 영향에 의한 정서생활의 방해, 작업능률의 저하뿐만 아니라 그 지역사회주민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고 식당, 숙박업 등 서비스업의 부진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은 주로 음식물 등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상기와 같은 생활쓰레기 집하장에는 각 세대별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들이 동시에 집하되므로 생활쓰레기가 부패 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각종 유해세균도 다량함유되어 있으므로 환경오염과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공동주택의 생활쓰레기 집하장에는 공기정화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생활쓰레기 집하장에는 공기정화기가 설치되었지만 악취만 제거할 뿐 세균박멸과 같은 살균작업을 거치지 않은 채로 대기중으로 배출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집하와 악취제거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세균까지 박멸한 후 대기 중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은, 일측에서 음식쓰레기 등의 생활쓰레기(10)를 포집하여 공동주택(20)의 외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형성되는 포집관(100);과 상기 포집관(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관(100)에서 포집된 생활쓰레기(10)가 인입되는 흡입관(200);과 상기 흡입관(200)에 인입된 생활쓰레기(10)를 흡입하는 흡입모터(300);와 상기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생활쓰레기(10)가 걸러지도록 형성되는 분리망(400);과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실(500);과 상기 공기정화필터(5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인입되는 배출관(600); 및 상기 배출관(600)에 인입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기배출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생활쓰레기(10)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포집구(110);와 상기 포집구(110)를 덮는 덮개(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실(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기정화실(800);과 상기 공기정화실(8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실(8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실(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실(8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망(400)에 의해 걸러진 생활쓰레기(10)가 하측방향에 집하되도록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집하구멍(410);과 상기 집하구멍(410)으로부터 생활쓰레기가 집하되는 생활쓰레기 집하부(420);와 상기 생활쓰레기 집하부(410)에 집하된 생활쓰레기(1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쓰레기배출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은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주는 데미스터필터부(510);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를 거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미디움필터부(520);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와 미디움필터부(52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 중 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산성탈취필터(531):와 중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중성탈취필터(532):와 염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염기성탈취필터(533):를 구비한 캐미컬필터부(530);와 상기 캐미컬필터부(530)를 거친 공기를 유브이(UV) 살균등으로 살균하는 유브이필터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브이필터부(540)에 의해 살균된 공기를 액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NaClO), 이산화염소(ClO2) 등의 살균탈취제를 살포하여 세균박멸과 악취제거를 하는 세균박멸필터부(550);와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분사된 액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유리, 아크릴, 도자기 등의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분사된 살균탈취제와 공기의 혼합기를 2차 혼합시켜 상기 배출구(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후처리 하는 후처리필터부(5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의 집하와 악취제거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세균까지 박멸한 후 대기 중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분리망에 의해 생활쓰레기가 격리되는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필터실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필터실에서 오염공기가 정화 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포집관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는 포집관(100), 흡입관(200), 흡입모터(300), 분리망(400), 공기정화필터실(500), 배출관(600), 공기배출구(700)가 포함되며, 포집구(110), 덮개(120), 집하구멍(410), 집하부(420), 쓰레기배출구(430), 데미스터필터부(510), 미디움필터부(520), 캐미컬필터부(530), 유브이필터부(540), 세균박멸필터부(550), 후처리필터부(560), 산성탈취필터(531), 중성탈취필터(532), 염기성탈취필터(533), 공기정화실(800), 중앙제어실(810), 출입구(8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집관(100)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20)의 앞베란다 또는 뒷베란다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포집관(100)의 일측으로 음식쓰레기 등의 생활쓰레기(10)를 포집하여 공동주택(20)의 외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생활쓰레기(10)는 후술할 흡입관(200)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쓰레기(10)의 포집이 용이하도록 대체로 깔때기 형상의 포집구(110)가 상기 포집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생활쓰레기(10)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방지와 예컨대, 빗물 등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덮개(120)가 힌지(30)를 매개로 상기 포집구(1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생활쓰레기(10)를 버릴 때에는 상기 덮개(120)를 연 후, 생활쓰레기(10)를 버리고, 평상시에는 상기 덮개(120)를 닫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관(200)은 상기 포집관(100)의 타측과 연결되는데, 상기 포집관(100)에서 포집된 생활쓰레기(10) 즉, 공동주택(20)의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10)가 인입되는 곳이며, 후술할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을 매개로 공기정화필터실(500)까지 오염된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200)으로 인입된 생활쓰레기(10)는 후술할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관(200)을 따라 이동되다가 분리망(400)에 걸러져서 집하부(420)로 인입된다.
상기 흡입모터(300)는 상기 흡입관(200)에 인입된 생활쓰레기(10)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는데, 공동주택(20)의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10)는 일반적으로 그 무게가 5kg이하이므로 상기 흡입모터(300)의 흡입용량은 생활쓰레기(10)의 흡입이 가능한 정도의 용량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입되는 생활쓰레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분리망(400)에 걸러져서 집하부(420)에 집하된다. 즉, 생활쓰레기는 악취, 세균이 포함된 공기와 상기 분리망(400)을 매개로 격리되며, 악취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분리망(400)을 통과하여 후술할 공기정화필터실(500)로 유입된다.
상기 분리망(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생활쓰레기(10)를 격리하여 생활쓰레기(10)가 후술할 공기정화필터실(500)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이 격리되어도 악취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분리망(400)을 거쳐 후술할 공기정화필터(500)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망(400)에 의해 걸러진 생활쓰레기(10)가 집하되도록 집하구멍(4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집하구멍(410)은 상기 분리망(400)과 인접한 상기 흡입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생활쓰레기(10)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망(400)에 의해 걸러진 생활쓰레기(10)는 상기 집하구멍(410)을 거쳐 상기 집하부(420)에 집하되는데, 상기 집하부(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집하부(420)에 일정량 이상의 생활쓰레기(10)가 집하 되면 외부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쓰레기배출구(4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은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인데,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필터실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며, 생활쓰레기(10)는 상기 분리망(400)에 의해 걸러져서 상기 집하부(420)에 인입되므로,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에는 오염공기만 인입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에 인입된 오염공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미스터필터부(510), 미디움필터부(520), 캐미컬필터부(530), 유브이필터부(540), 세균박멸필터부(550), 후처리필터부(560)의 총 6단계를 거쳐 탈취와 살균작업을 하며, 상기 각 필터부에 고장 등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필터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에는 출입문(5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공기정화가 진행되는 6단계의 필터부를 살펴보면,
첫째,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는 상기 흡입모터(30)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필터(500)로 흡입된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분진 중 입자가 큰 분진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공기정화필터(500)에 인입된 공기를 집진하므로 산화부식이 방지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상기 미디움필터부(520)는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를 거친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분진 중 입자가 작은 분진을 걸러주는 역할, 즉,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포집효율이 95%이상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필터(500)로 흡입된 공기 중의 분진은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와 미디움필터부(520)를 거쳐 먼지가 완전히 제거된다.
셋째, 상기 캐미컬필터부(530)는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와 미디움필터부(52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탈취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미컬필터부(530)는 산성탈취필터(531), 중성탈취필터(532) 및 염기성탈취필터(533)의 3가지의 기능을 갖는 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산성탈취필터(531)는 상기 캐미컬필터부(530)에 인입된 공기 중의 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며, 상기 중성탈취필터(532)는 중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고, 상기 염기성탈취필터(533)는 염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한다.
넷째, 상기 유브이필터부(540)는 상기 캐미컬필터부(530)를 거친 공기를 적외선, 즉, 유브이(UV:Ultraviolet)가 발산되는 등으로 살균하는 역할을 하며, 대장 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집먼지 진드기 등의 각종 유해세균을 살균한다.
다섯째,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는 상기 유브이필터부(540)를 거친 공기에 액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NaClO), 이산화염소(ClO2) 등의 살균탈취제를 살포하여 세균을 박멸하는데,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락스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식품의 부패균이나 병원균의 사멸하기 위하여 살균제로서 사용되며, 세균박멸에 우수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는 유독성 무기물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악취제거에 우수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살균탈취제가 분사되면, 졸(Sol)의 형태로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 존재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공기와 충분히 섞여 공기 중의 세균이 박멸되도록 다른 필터부 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후처리필터부(560)는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를 거친 공기가 후술할 배출구(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후처리하는 필터인데,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분사되는 부식성이 강한 액상의 살균탈취제로 인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유리, 아크릴, 도자기 등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처리필터부(56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으로 일방향으로 흐르는 강한 압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압력을 이용하면,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살균탈취제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예컨대, 벽면 등의 표면에 부딪히게 하는 방법으로 한번 더 혼합시키는 2차 혼합을 한다. 상기와 같은 2차 혼합을 거치게 되면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세균탈취제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 보다 더 균일한 혼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관(600)은 일측이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의 맨 마지막에 형성되는 상기 후처리필터부(560)와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필터실(500)에서 6단계에 걸쳐 탈취, 살균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측은 후술할 공기배출구(700)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배출구(700)는 상기 배출관(600)의 타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관(600)에서 인입된 공기, 즉,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에서 탈취, 살균된 공기를 대기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배출관(600)으로부터의 공기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대체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정화실(8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가 수용되는 공간인데, 상기 공기정화실(800)의 내측에 수용된 각 구성요소인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실(8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실(80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관리자가 상기 공기정화실(800)의 내측으로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 구(8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분리망에 의해 생활쓰레기가 격리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필터실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필터실에서 오염공기가 정화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의 포집관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생활쓰레기
20-공동주택
30-힌지
100-포집관 110-포집구
120-덮개
200-흡입관
300-흡입모터
400-분리망 410-집하구멍
420-집하부 430-쓰레기배출구
500-공기정화필터실 501-출입문
510-데미스터필터부 520-미디움필터부
530-캐미컬필터부 531-산성탈취필터
532-중성탈취필터 533-염기성탈취필터
540-유브이필터부 550-세균박멸필터부
560-후처리필터부
600-배출관
700-공기배출구
800-공기정화실 810-중앙제어실
820-출입구

Claims (6)

  1. 일측에서 음식쓰레기 등의 생활쓰레기(10)를 포집하여 공동주택(20)의 외벽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형성되는 포집관(100);과
    상기 포집관(1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포집관(100)에서 포집된 생활쓰레기(10)가 인입되는 흡입관(200);과
    상기 흡입관(200)에 인입된 생활쓰레기(10)를 흡입하는 흡입모터(300);와
    상기 흡입모터(3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생활쓰레기(10)가 걸러지도록 형성되는 분리망(400);과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실(500);과
    상기 공기정화필터(5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인입되는 배출관(600); 및
    상기 배출관(600)에 인입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기배출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생활쓰레기(10)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포집구(110);와
    상기 포집구(110)를 덮는 덮개(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실(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기정화실(800);과
    상기 공기정화실(8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실(8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흡입모터(300), 공기정화필터실(500), 배출관(600) 및 공기배출구(7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실(8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망(400)에 의해 걸러진 생활쓰레기(10)가 하측방향에 집하되도록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집하구멍(410);과
    상기 집하구멍(410)으로부터 생활쓰레기가 집하되는 생활쓰레기 집하부(420);와
    상기 생활쓰레기 집하부(410)에 집하된 생활쓰레기(1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쓰레기배출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실(500)은
    상기 흡입모터(300)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주는 데미스터필터부(510);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를 거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미디움필터부(520);와
    상기 데미스터필터부(510)와 미디움필터부(52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공기 중
    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산성탈취필터(531):와
    중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중성탈취필터(532):와
    염기성성분의 냄새를 탈취하는 염기성탈취필터(533):를 구비한 캐미컬필터부(530);와
    상기 캐미컬필터부(530)를 거친 공기를 유브이(UV) 살균등으로 살균하는 유브이필터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필터부(540)에 의해 살균된 공기를 액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NaClO), 이산화염소(ClO2) 등의 살균탈취제를 살포하여 세균박멸과 악취제거를 하는 세균박멸필터부(550);와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분사된 액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한 부식 이 방지되도록 유리, 아크릴, 도자기 등의 비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세균박멸필터부(550)에서 분사된 살균탈취제와 공기의 혼합기를 2차 혼합시켜 상기 배출구(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후처리 하는 후처리필터부(5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20070085651A 2007-08-24 2007-08-24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090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51A KR100903420B1 (ko) 2007-08-24 2007-08-24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651A KR100903420B1 (ko) 2007-08-24 2007-08-24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976A true KR20090020976A (ko) 2009-02-27
KR100903420B1 KR100903420B1 (ko) 2009-06-18

Family

ID=4068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651A KR100903420B1 (ko) 2007-08-24 2007-08-24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00B1 (ko) * 2011-02-28 2011-05-24 (주) 경화엔지니어링 하수, 폐수 및 침출수처리장의 가스 정화배출장치
CN110327705A (zh) * 2019-08-13 2019-10-1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麻醉室用麻醉废气抽除净化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219B1 (ko) 2019-02-22 2021-04-19 주식회사 유진테크 공기정화장치
KR20220170597A (ko) 2021-06-23 2022-12-30 씨와이에이지 주식회사 공기 정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614A (ja) 1997-02-14 1998-08-25 Clean Kasei:Kk 粉末活性炭を用いた脱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192561B1 (ko) * 1997-04-10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관로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32836B1 (ko) 1997-12-22 1999-12-01 박민식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KR100750388B1 (ko) * 2007-01-12 2007-08-2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쓰레기 분리수거 관로이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00B1 (ko) * 2011-02-28 2011-05-24 (주) 경화엔지니어링 하수, 폐수 및 침출수처리장의 가스 정화배출장치
CN110327705A (zh) * 2019-08-13 2019-10-1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麻醉室用麻醉废气抽除净化设备
CN110327705B (zh) * 2019-08-13 2021-06-29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麻醉室用麻醉废气抽除净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420B1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147B1 (ko) 공기 정화장치
EP1946781B1 (en) A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150101575A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5880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0903420B1 (ko) 생활쓰레기 집하장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
CN101322852A (zh) 厕卫空气净化装置
WO1994022558A1 (en) Suction/filtration apparatus of gas
KR100957757B1 (ko) 치과용 석션장치
CN106989451A (zh) 一种无耗材、免维护的医用杀菌空气净化器
CN206875624U (zh) 一种公共厕所使用的高效空气净化装置
KR101595321B1 (ko)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2573980B1 (ko)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는 유기물 처리시스템
KR20060122123A (ko) 축사내 악취 및 황사 제거용 공기 정화 장치
CN208606283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空气净化机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CN213178682U (zh) 一种灭菌中心洁净室的排风灭菌装置
KR20110007266U (ko) 웰빙 에어 워셔 크리링
CN213668662U (zh) 一种紫外光解耦合植物液喷淋吸收处理餐厨废气除臭装置
CN214345504U (zh) 垃圾转运站组合式除臭系统
CN213913114U (zh) 一种具备杀菌功能的垃圾房用换气除臭装置
CN211339077U (zh) 生活污水回收处理装置
CN208606312U (zh) 一种环保厕所空气净化消毒系统
KR20130128246A (ko) 양압을 이용한 실내클린장치
CN113983613A (zh) 一种水洗空气消毒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