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267A -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267A
KR20090020267A KR1020070084891A KR20070084891A KR20090020267A KR 20090020267 A KR20090020267 A KR 20090020267A KR 1020070084891 A KR1020070084891 A KR 1020070084891A KR 20070084891 A KR20070084891 A KR 20070084891A KR 20090020267 A KR20090020267 A KR 2009002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rfid tag
data
premises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니탄 세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267A/ko
Publication of KR2009002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RFID태그 내에 저장된 접속식별ID를 이용하여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는 RFID태그와, 상기 RFID태그를 판독하는 RFID리더기를 구비하며,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식별ID의 데이터 크기는 상기 RFID태그의 데이터의 최대 크기보다 같거나 작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속식별ID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802.11 표준에 따르는 SSID 및 BSSID임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통신, WLAN, ID, SSID, BSSID, AP, 네트워크, 접속, 802.11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Wireless network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1은 정보제공을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WLAN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SSID 및 BSSID가 저장된 RFID태그가 빌딩 등의 구내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내에 설치된 RFID태그를 이용한 WLAN 네트워크 접속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단말장치가 구내에 진입하여 RFID태그를 판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스캐닝 및 동기화를 수행하는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단말장치가 구내에서 벗어날 때 RFID태그를 판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WLAN 네크워크 의 연결을 해제하는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단말장치 15: 로컬 정보제공 장치
2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22: RFID 리더기
23: 표시부 24: 입력부
25: 저장부 26: 제어부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장치(모바일폰/PDA/무선노트북 등)가 새로운 거리나 빌딩에 들어서면, 그 위치나 주소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빌딩이나 거리에 정확히 도달했는지를 단말장치 사용자가 알기를 원한다면, 단말장치 사용자는 거리나 빌딩에 있는 사람들에게 물어봐야 한다. 또한, 단말장치 사용자가 그 주변 거리나 빌딩의 정보에 대하여 단말장치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로부터 해당 거리의 정보를 원한다면 거리나 빌딩에서 머무는 자가 전화를 통해 알려주어야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단말장치가 진입한 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즉, RFID 리더기를 내장한 단말장치를 소유한 자(이하, 단말 장치 소유자라 함)가 RFID태그가 설치된 특정 거리나 빌딩에 진입하면, 단말장치는 무선 LAN(WLAN;Wireless LAN) 등의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통해 로컬 정보제공장치로부터 해당 지역 정보를 단말장치에서 수신하여 단말장치 소유자가 해당 지역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무선 LAN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가 로컬 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기 위하여, 단말장치 소유자는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단말장치 소유자는 수많은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강도를 판단하여 가장 큰 신호 강도를 가진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단말장치 소유자가 낯선 거리나 빌딩 등의 특정 지역에 처음 방문할 때, 해당 지역 내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말장치 소유자가 이전에 방문했었던 거리나 빌딩 등의 특정 지역에 다시 방문한 경우라도, 서비스 정보가 그 사이에 변경될 수 있는데도 단말장치 소유자는 이를 알 수가 없다.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접속 설정을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는 RFID태그와, 상기 RFID태그를 판독하는 RFID리더기를 구비하며,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식별ID의 데이터 크기는 상기 RFID태그의 데이터의 최대 크기보다 같거나 작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속식별ID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802.11 표준에 따르는 SSID 및 BSSID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태그는 상기 SSID, BSSID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또한, 상기 RFID태그는, 상기 SSID, BSSID 모두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특정 구내의 입구/출구에 설치어 있는 RFID태그로부터 상기 접속식별ID를 판독하는 RFID리더기와, 상기 구내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구내의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장 데이터 필드와, 상기 구내의 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퇴장 데이터 필드를 구비한 저장부와,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통신 표준 알고리즘을 진행하며, 상기 구내를 들어설 때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내를 벗어날 때 동일한 RFID태그를 판독할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내역을 삭제하고 해당 RFID태그의 데이터를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내를 벗어나 다른 구내로 진입하여 새로운 RFID태그를 판독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새롭게 판독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종래의 RFID태그의 데이터로 업데이트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특정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저장부의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2과정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도중에 상기 접속식별ID와 동일한 데이터를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내역을 삭제하고 동시에 판독된 데이터를 저장부의 퇴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특정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저장부의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2과정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도중에 새로운 접속식별ID를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새롭게 판독된 RFID태그의 접속식별ID를 저장하며,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종래의 RFID태그의 접속식별ID로 업데이트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종래의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새로운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4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과정은, WLAN 네트워크의 802.11 표준에 따라 상기 SSID 및 BSSID를 포함하는 스타트 스캔 이벤트(Start Scan Event)를 802.11 표준의 SME 엔터티에 전송하여 스캐닝 및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 제4과정은, WLAN 네트워크의 802.11 표준에 따라 상기 SSID 및 BSSID를 포함하는 액시트 이벤트(Exit Event)를 802.11 표준의 SME 엔터티에 전송하여 접속 해제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단말장치 소유자들은 정보제공 시스템을 통해 자동적으로 현재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단말장치 소유자가 특정 빌딩이나 거리에 진입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현재의 지역정보나 센서정보(환경 데이터 등)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말장치(11)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로서, RFID리더기와 WLAN 네트워크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단말장치(11)가 특정 거리에 진입하면 단말장치 내의 RFID리더기는 거리 입 구에 있는 RFID태그(12;12a,12b)와 출구에 있는 RFID태그(13:13a,13b)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 RFID태그(12,13)는 각 거리마다 설치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빌딩)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RFID태그(12,13)는 트랜스폰더와 안테나로 이루어져 소정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단말장치 내의 RFID리더기로 전송한다.
단말장치(11)는 무선 네트워크(14)를 통해 로컬 정보제공장치(15)로 판독된 상기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로컬 정보제공장치(15)는 수신한 RFID태그의 데이터에 매칭 저장되어 있는 해당 거리의 지역정보(예컨대, 거리의 출구ID, 다른 쪽에 설치된 RFID태그의 데이터, 해당 거리의 이름, 해당 거리에 있는 사람들의 정보(성별,전화번호,이름,나이 등), 해당 거리에 있는 회사, 상점, 식당 등에 관한 정보)와, 해당 거리의 센서정보(해당거리의 온도, 유해가스 농도 등의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해준다. 단말장치는 수신한 상기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단말장치(11)가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무선 네트워크(14)를 통해서 로컬 정보제공장치(15)에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이루어질 때 사람의 수동 검색을 통한 접속이 아니라 RFID태그(12,13)로부터 접속식별ID를 판독하여, 해당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스캐닝 및 동기화를 거쳐 자동 접속 및 접속 종료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접속식별ID는 무선 네트워크(14)의 고유한 ID로서 상기 ID를 알고 있어야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일 예로서 WLAN(Wireless LAN) 네트워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 밖에도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단말장치가 다수의 ESS(Extended Service Set)과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 이루어진 WLAN 네트워크에 진입할 때, 도 2와 같이 WLAN 네트워크에서 특정 ESS와 AP에 연결된다. 단말장치(11)가 다수의 ESS 중에서 특정 ESS와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라는 접속식별ID를 알아야하는데, 이러한 SSID 및 BSSID를 입구에 있는 RFID태그(12;12a,12b)와 출구에 있는 RFID태그(13:13a,13b)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값을 알아낸다. 단말장치(11)는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SSID 및 BSSID를 가지고서 접속가능한 WLAN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접속한다.
상기 SSID는 WLAN 네트워크의 액세스 시에 하나의 무선 랜(WLAN)을 다른 무선 랜(WLAN)으로부터 구분해주는 서비스 셋트 식별자로서 WLAN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붙는 고유 식별자이다. 특정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모든 단말장치들은 반드시 일정한 SSID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장치는 이러한 SSID를 RFID태그(12)로부터 판독하는 것이다. WLAN에 접속하려는 무선 장치들은 동일한 SSID(식별부호)를 사용하여 모든 신호마다 해당 SSID를 포함시켜 통신하게 되기 때문에, 각 무선 랜(WLAN)마다 다른 SSID를 등록해놓으면, 단말장치는 SSID에 따라 해당 무선 랜을 선택해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BSSID는 WLAN 네트워크에서 각 무선 클라이언트, 즉, 액세스 포인 트(AP) 구분하는 고유 식별자로서, 이러한 기본 서비스 셋트 ID(BSSID)는 각 어댑터에 대한 이더넷 MAC주소이다. 즉, BSSID는 선택된 WLAN에서의 서브넷 식별자(subnet identifier)라 할 수 있다.
상기의 SSID 및 BSSID가 RFID태그 내의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데, RFID태그 별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컨버팅되어 저장될 수 있다. SSID만이 RFID태그에 저장되거나, 또는, BSSID만이 RFID태그에 저장되거나, 또는, SSID 및 BSSID 모두를 RFID태그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SSID나 BSSID의 데이터 크기는 RFID태그의 데이터의 최대 크기보다 같거나 작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IEEE에서 제안한 WLAN의 스펙인 802.11 표준에 따르면 SSID 사이즈는 0 ~ 32바이트 크기의 값을 가지는데, RFID태그의 데이터 최대 크기가 16바이트라고 가정할 경우, 이때는 SSID의 크기는 16바이트보다 같거나 작도록 설계해야 한다.
상기 SSID 및 BSSID가 저장된 RFID태그가 빌딩 등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 3에 도시하였는데, 도 3(a)는 SSID가 기록되어 있는 제1 RFID태그(31)와 BSSID가 기록되어 있는 제2 RFID태그(32)가 빌딩 등의 구내 입구에 2개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고, 도 3(b) SSID 및 BSSID가 모두 기록되어 있는 단일의 RFID태그(33)가 구내 입구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21)는 로컬 정보제공장치(15)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 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로서, Wireless LAN, Wibro, WiFi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장치의 제어부는 RFID태그의 데이터로부터 SSID 및 BSSID를 판독하여, 읽어온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WLAN에 접속한다.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로컬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수신받는다.
RFID리더기(22)는 트랜스폰더/안테나로 이루어진 각 거리에 설치된 RFID태그(12)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RFID리더기(22)는 RFID태그로부터 SSID 및 BSSID를 판독하여 제어부(26)에 제공한다.
표시부(23)는 로컬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5)는 로컬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는 입장 데이터 필드(entry data field) 및 퇴장 데이터 필드(exit data field)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는 빌딩, 숍 등의 특정 구내의 입구에 들어설 때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읽어온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며,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는 특정 구내의 출구를 나설 때 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읽어온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단말장치가 특정 구내를 벗어날 때는 입장 데이터 필드 내의 해당 RFID태그의 내용이 지워지고 대신에 퇴장 데이터 필드에 이러한 내용이 기록된다.
제어부(26)는 상기 RFID리더기를 구동하여 거리(또는 빌딩)의 입구/출구에 있는 RFID태그를 판독하여 SSID 및 BSSID를 알아낸 후,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해당 ID를 갖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WLAN 통신 알고리즘을 가진다.
즉, 제어부(26)는 RFID태그가 설치된 구내에 단말장치가 진입할 때는 입장 이벤트를 발생시켜 판독한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특정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해당 구내를 벗어날 때는 출구에 있는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켜 연결되어 있는 WLAN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26)는 상기 구내를 들어설 때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며, 상기 구내를 벗어날 때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내역을 삭제하고 동시에 해당 데이터를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한다.
또한, 로컬 정보제공장치(15)로부터 수신한 해당 거리의 지역정보 및 센서정보를 표시부(23)에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거리에 관한 상세정보 또는 해당 거리에 있는 사람찾기 기능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내에 설치된 RFID태그를 이용한 WLAN 네트워크 접속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RFID리더기가 내장된 단말장치를 소지한 자(단말장치 소유자)가 도 6과 같이 빌딩(building), 숍(shop), 거리(street) 등의 입구 및 출구가 있는 밀폐된 공간(구내)에 들어서면, 상기 단말 장치는 입구(또는 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를 판 독(S51)한다.
상기 판독되는 정보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로서, 이러한 값들은 빌딩이나 숍 등의 해당 구내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정 LAN 아이디(SSID)거나 특정 액세스 포인트(AP)의 어드레스(BSSID)이다. 단말장치는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SSID 및 BSSID를 가지고서 해당 구내의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소정의 RFID태그가 판독(S51)되면 입장 이벤트를 발생(S52)시켜, 판독된 데이터(SSID 단독, 또는 BSSID 단독, 또는 SSID 및 BSSID 양쪽 포함)가 저장부의 진입 데이터 필드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진입 이벤트를 발생시켜 판독된 데이터를 진입 데이터 필드에 저장 등록한다.
그 후, 단말장치는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SSID 및 BSSID를 가지고서 해당 구내의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스캐닝 및 동기화(S53)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Start Scan Event"를 발생시킨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802.11 표준에 따라 SME(Station Management Entity)에 판독한 SSID 및 BSSID를 포함하는 "Start Scan Event"를 전송함과 동시에, MLME(MAC Layer Management Entity)로 하여금 MLME-SCAN할 것을 요청하도록 SME에 지시한다. 상기 SME는 MLME의 최초 정보로서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SSID 및 BSSID를 이용한다. 상기 SME, MLME 등의 엔터티 는 802.11 표준에 따라 무선 랜(WLAN) 스캔 및 동기화를 수행하는 엔터티로서,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SSID 및 BSSID를 가지고서 해당 값을 가지는 무선 랜(WLAN)을 스캐닝한다.
상기와 같이 스캐닝 및 동기화를 거쳐 해당 구내에서 제공하는 WLAN 네트워크를 자동 검색하여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는, 해당 WLAN 네트워크를 통해 로컬 정보제공장치와 WLAN 무선 통신(S54)을 한다.
상기 WLAN 네트워크 통신(S54) 중에 단말장치 소유자가 도 8과 같이 구내를 벗어나게 되어, 단말장치가 도 8(a)와 같이 입구에 있는 RFID태그의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도 8(b)와 같이 출구에 있는 RFID태그를 판독한 경우(S55) 퇴장 이벤트가 발생(S56)된다.
도 8(a)는 구내에 하나의 진입로밖에 없어 동일한 통로를 통해 구내를 벗어날 때 RFID태그를 판독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별도의 출구가 있어 출구에 있는 RFID태그를 판독하는 경우를 도시한 그림이다.
WLAN 네트워크와 통신 중에 RFID태그를 판독한 경우에는, 제어부는, 판독된 RFID태그의 데이터가 저장부 내의 입장 데이터 필드에 있는지를 체크(S55)한다. 만약, 판독된 RFID태그의 데이터가 입장 데이터 필드 내에 있다면, 퇴장 이벤트를 발생(S56)시켜 입장 데이터 필드 내에 있는 해당 RFID태그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를 퇴장 데이터 필드로 옮겨 저장한다. 결국, 제어부는, 판독되는 RFID태그의 데이터인 SSID 및 BSSID가 입장 데이터 필드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할 시에는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퇴장 이벤트가 발생되면, 접속되어 있는 WLAN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S57)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SSID 및 BSSID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Exit Event"를 802.11 표준에 따라 SME(Station Management Entity)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802.11 표준에 따라 SME(Station Management Entity)에 판독한 SSID 및 BSSID를 가진 "Exit Event"를 전송하며, MLME(MAC Layer Management Entity)에게 802.11 표준에 따른 MLME-DISSASSOCIATE.request를 요청할 것을 SME에 지시한다. 상기 SME는 802.11 표준의 "PeerSTAAddress"에 해당하는 값으로 SSID와 BSSI를 이용한다. 이후의 종료 과정은 802.11 표준에 따라 WLAN 네트워크 접속 종료가 이루어진다. 상기 퇴장 이벤트가 발생하여 WLAN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은, 접속중인 상태에서 동일한 접속식별ID를 RFID태그로부터 판독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단계 S56에서 퇴장 이벤트(exit event) 발생은, 도 8(a)와 같이 입구를 벗어나 해당 구내를 벗어나거나, 도 8(b)와 같이 별도의 출구에 있는 RFID태그를 판독한 경우에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RFID태그를 두 번째 읽었을 때, 이러한 데이터가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S55)하여, 저장되어 있다면 퇴장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현재 RFID 리더기(passive 구동)의 경우, RFID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최대 거리(maximum distance)가 대략 15m까지 지원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거리 내 에서는 비록 현재 접속중인 서버 네트워크와 연결을 지속하고 싶더라도 의도하지 않게 끊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지금 현재 접속중인 동일한 접속식별ID를 RFID 태그로부터 두 번째 읽었을 때 퇴장 이벤트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RFID태그로부터 새로운 접속식별ID를 읽었을 때, 퇴장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이전의 구내를 벗어나 새로운 구내(shop)로 진입하여 새로운 구내의 입구에 설치된 새로운 RFID태그를 읽는 시점에 퇴장 이벤트를 발생시켜, 기존의 연결 데이터를 삭제하는, 즉, 퇴장 데이터 필드를 업데이트하고 동시에 입장 데이터 필드를 수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구내로 들어와서 새로운 RFID태그를 판독하여 새로운 접속식별ID를 판독하여 퇴장이벤트 발생된 경우에는, 종래의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새로운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구현할 시에는, 출구에 별도의 RFID태그를 설치할 필요 없이, 입구에만 RFID태그를 설치하기만 하면 구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RFID태그의 데이터에 저장된 접속식별ID를 이용하여 특정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어, 단말장치 소유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수동 조작을 하지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들어선 단말장치 소유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접속을 허용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안에서 특정 AP의 트래픽 흐름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 접속하기 위하여 RFID리더기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장치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현 용이성이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 패킷을 이용한 불필요한 스캐닝 및 동기화를 회피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2)

  1.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는 RFID태그;
    상기 RFID태그를 판독하는 RFID리더기를 구비하며,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식별ID의 데이터 크기는 상기 RFID태그의 데이터의 최대 크기보다 같거나 작도록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식별ID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802.11 표준에 따르는 SSID 및 BSSID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태그는 상기 SSID, BSSID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특정 구내의 출입구에 설치어 있는 RFID태그로부터 상기 접속식별ID를 판독하는 RFID리더기;
    상기 구내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구내의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장 데이터 필드와, 상기 구내의 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퇴장 데이터 필드를 구비한 저장부;
    상기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통신 표준 알고리즘을 진행하며, 상기 구내를 들어설 때 입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내를 벗어날 때 동일한 RFID태그를 판독할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내역을 삭제하고 해당 RFID태그의 데이터를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내를 벗어나 다른 구내로 진입하여 새로운 RFID태그를 판독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새롭게 판독된 RFID태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종래의 RFID태그의 데이터로 업데이트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8.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특정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하는 제1과정;
    상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저장부의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2과정;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도중에 상기 접속식별ID와 동일한 데이터를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의 데이터 내역을 삭제하고 동시에 판독된 데이터를 저장부의 퇴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는 제3과정;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4과정
    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9.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접속식별ID를 특정 구내의 입출구에 설치된 RFID태그로부터 판독하는 제1과정;
    상기 판독된 접속식별ID를 저장부의 입장 데이터 필드에 저장하고 상기 접속식별ID를 가진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2과정;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도중에 새로운 접속식별ID를 RFID태그로부터 판독한 경우에는, 상기 입장 데이터 필드에 새롭게 판독된 RFID태그의 접속식별ID를 저장하며, 상기 퇴장 데이터 필드에 종래의 RFID태그의 접속식별ID로 업데이 트 저장하는 제3과정;
    상기 종래의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새로운 접속식별ID를 가진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4과정
    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식별ID는, W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802.11 표준에 따르는 SSID 및 BSSID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WLAN 네트워크의 802.11 표준에 따라 상기 SSID 및 BSSID를 포함하는 스타트 스캔 이벤트(Start Scan Event)를 802.11 표준의 SME 엔터티에 전송하여 스캐닝 및 동기화를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WLAN 네트워크의 802.11 표준에 따라 상기 SSID 및 BSSID를 포함하는 퇴장 이벤트(Exit Event)를 802.11 표준의 SME 엔터티에 전송하여 접속 해제를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1020070084891A 2007-08-23 2007-08-23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90020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891A KR20090020267A (ko) 2007-08-23 2007-08-23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891A KR20090020267A (ko) 2007-08-23 2007-08-23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67A true KR20090020267A (ko) 2009-02-26

Family

ID=4068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891A KR20090020267A (ko) 2007-08-23 2007-08-23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2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41B1 (ko) * 2011-05-19 2013-04-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Qr 코드 및 음파를 이용한 무선랜 접속 설정 방법 및 실내 위치 확인 방법
KR101323265B1 (ko) * 2012-03-05 2013-10-30 주식회사 러브이즈터치 Ieee 802.11을 이용한 네트워킹 방법
KR20140103579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GB2541580B (en) * 2014-04-16 2021-06-23 Jamf Software Llc Using a mobile device to restrict focus and perform operations at another mobi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41B1 (ko) * 2011-05-19 2013-04-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Qr 코드 및 음파를 이용한 무선랜 접속 설정 방법 및 실내 위치 확인 방법
KR101323265B1 (ko) * 2012-03-05 2013-10-30 주식회사 러브이즈터치 Ieee 802.11을 이용한 네트워킹 방법
KR20140103579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GB2541580B (en) * 2014-04-16 2021-06-23 Jamf Software Llc Using a mobile device to restrict focus and perform operations at another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027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chang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4122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3200647B (zh) 无线通信
US94678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ccess point
US75088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detection method
US20060268743A1 (en)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89703A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CN103181234A (zh) 移动终端与局域网络的动态连接
US20140379911A1 (en) Network Activity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US8284421B2 (en) Printing client management method and wireless LAN printer in wireless network
JP4735022B2 (ja) 無線lan端末、無線lan端末のスキャン動作方法およびスキャン動作プログラム
CN107027121A (zh) 一种WiFi网络安全接入方法及装置
KR20090020267A (ko)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0403717C (zh) 一种无线局域网中网络共享的方法
KR100933238B1 (ko) 단말 기반의 네트워크 정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JP6095277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40103579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3204A1 (zh) 一种wifi热点的共享方法及装置
JP2003319455A (ja) 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09139242A1 (ja) サーバ、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KR100647768B1 (ko) 이상형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87727B1 (ko)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401329B1 (ko)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805B1 (ko)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