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29B1 -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29B1
KR101401329B1 KR1020130140628A KR20130140628A KR101401329B1 KR 101401329 B1 KR101401329 B1 KR 101401329B1 KR 1020130140628 A KR1020130140628 A KR 1020130140628A KR 20130140628 A KR20130140628 A KR 20130140628A KR 101401329 B1 KR101401329 B1 KR 10140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 network
client device
cli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트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트릭스
Priority to KR102013014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29B1/ko
Priority to PCT/KR2014/004504 priority patent/WO2014189262A1/en
Priority to TW103118167A priority patent/TW20150365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4.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은, AP 식별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AP 식별정보 및 상기 MAC 주소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및 수신된 상기 MAC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보안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킨 인증 방법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Wireless LAN, WLAN)의 일종인 와이파이(Wi-Fi)는 Wireless Fidelity의 약자로, AP(Access Point, 무선 접속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칭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인 액세스 포인트(AP)가 필요하다. AP가 있으면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기기가 수신 전파를 잡아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 최근에는 기술 향상으로 접속 지점 기준 50m 에서 100m 까지의 거리에서도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를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같은 AP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이 공유 폴더로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 폴더를 사용할 경우 암호를 걸어놓거나 공유를 해제하는 등 보안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통신 단말의 접근 제어를 위하여 다양한 보안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허가 받은 사용자 단말과 AP가 동일한 공유키(Public Key)를 보유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시 공유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허가받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랜 카드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AP에 미리 입력시키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의 무선랜 카드의 MAC주소를 저장된 MAC주소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는 사용자가 무선통신 구간(On Air) 내에서 테이터를 수집하여 Key를 추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랜 카드의 MAC 주소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의 경우, 다수의 불특정 사용자가 존재하는 공중망 서비스 또는 사용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관리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특정 사용자 단말이 AP에 접속하여 무선랜에 연결할 때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킨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AP 식별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AP 식별정보 및 상기 MAC 주소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및 수신된 상기 MAC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은 AP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AP 식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RFID, NFC,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AP의 부팅 시 생성되는 상기 AP의 공인 IP 주소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면, 상기 접속 허용 목록에서 상기 MAC주소를 삭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AP 식별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MAC주소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MAC주소가 유효한 경우 상기 MAC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P 식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RFID, NFC,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AP로부터 상기 AP의 공인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면, 상기 접속 허용 목록에서 상기 MAC주소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AP에서의 접속 인증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패스워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를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어 네트워크 접속 권한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인증 및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은, 수신부(100), 검증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수신부(100)는 AP 식별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장치와 AP간에 연결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허브 또는 기지국으로 기능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AP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들 간에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이동 가능한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V, 냉장고, 데스크탑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한 제품일 수 있다.
AP 식별정보는 복수의 AP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인자로, AP의 고유 IP 주소 또는 서버에 등록된 AP의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AP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AP 식별정보는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는 AP 식별 정보를 AP가 속한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된 RFID태그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다양한 통신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와 함께 별도로 구축된 서버에 전송될 수 있고, 서버에 포함된 수신부(100)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내장된 RFID 수신부를 이용하여 RFID통신을 통해 근거리 통신 모듈인 RFID 태그에 저장된 AP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AP 식별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와 함께 서버의 수신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는 인증 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정된 웹 링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간의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데이터 통신 또는 무선랜 네트워크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증부(200)는 수신된 AP 식별정보와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 주소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200)에서 상기 AP 식별정보 및 MAC 주소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후술할 제어부(300)에 MAC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P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 RFID통신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 배치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제1 AP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AP 식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 요청시 AP 식별정보를 제외하고 MAC 주소만 서버에 전송하면, 검증부(200)에서는 이를 유효하지 않는 정보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AP 영역에 배치된 제2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1 AP의 연결승인을 요청하면 마찬지로 유효하지 않는 정보값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에 포함된 검증부(200)는 서버가 관리하는 복수의 AP별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미리 저장하여 수신된 AP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유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200)가 AP 식별정보 및 MAC 주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MAC 주소를 제어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LAN 또는 인터넷을 통해 AP와 통신하며, AP의 부팅 시 전송되는 IP 주소를 AP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관리할 수 있고, 각 AP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수신된 MAC 주소를 무선 네트워크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고, 접속되는 MAC 주소와 비교하여 클라이언트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종료하면, 제어부(300)는 접속허용 목록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삭제하여 다른 장소에서 동일한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외부의 침입에 대항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별도의 비밀번호를 저장, 관리하거나 자신의 MAC 주소를 미리 AP에 등록시킬 필요 없이, 임의의 장소에 배치된 RFID 태그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에 클라이언트 장치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부(100), 검증부(200) 또는 제어부(300)는 유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00)와 검증부(200)는 서버에 포함되고 제어부(300)는 AP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성요소 전부가 서버에 포함되거나 각각의 구성 요소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승인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일 예가 도시된다.
먼저, 클라이언트 장치(30)가 AP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AP 식별정보는 특정 장소에 배치된 AP(10)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영역(11) 내에 배치된 근거 통신 모듈(20)에서 관리될 수 있다. AP 식별정보는 AP(10)의 고유 번호, AP 부팅시 수신되는 공인 IP 주소 또는 AP의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40)와 별도의 통신과정 없이도 근거리 통신 모듈(2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자체로 AP(10)의 영역(11)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위치정보와 무선통신의 접속 승인 요청을 서버(40)측에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2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20)은 RFID, NF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QR코드 태그, 바코드 태그 등의 다양한 통신 기법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장치(30)가 근거리 통신 모듈(20)로부터 AP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장치(30)에 설치된 인증 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AP 식별정보와 함께 클라이언트 장치(30)의 MAC 주소를 서버(40)에 전송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40)는 수신된 AP 식별정보 및 MAC 주소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S30)하여 유용한 정보라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 주소를 AP(10)에 전송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의 식별정보를 서버에서 미리 저장해 두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전송하는 AP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수신된 AP 식별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서버(40)는 클라이언트 장치(30)로 접속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AP 식별정보가 다른 지역에 배치된 AP의 정보이거나, AP 식별정보를 임의로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서버에 저장된 해당 AP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이를 유효하지 않은 정보르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침입 및 타 지역에서의 무분별한 접속 요청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AP(10)는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수신된 MAC 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는 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접속허용 목록에 MAC 주소를 추가한 결과를 서버(40)에 전송하고(S60), 서버(40)는 클라이언트 장치(30)에 접속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가(30)가 인증 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AP(10)에 접속을 시도하면, 클라이언트 장치(30)의 MAC 주소가 접속허용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 후, 클라이언트 장치(30)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30)가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종료하거나 영역(11)에서 벗어나게 되면(S80), AP(10)는 접속허용 목록에서 클라이언트 장치(30)의 MAC 주소를 삭제하는 단계(S90)를 수행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40)와 AP(10)는 하나의 통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30)가 AP 식별정보 및 MAC 주소를 직접 AP(10)에 전송하고, AP는 부팅 시 설정된 AP 식별정보와 전송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여 클라이언트 장치(30)에 무선 네트워크 승인여부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AP(10)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MAC 주소 목록을 일일이 관리하거나 클라이언트 장치가 AP에서의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미리 취득하거나 저장할 필요 없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 보안성이 강화되고, 관리가 용이한 무선 네트워크 인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AP(Access Point)
11: AP가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는 영역
20: 근거리 통신 모듈
30: 클라이언트 장치
40: 서버
100: 수신부
200: 검증부
300: 제어부

Claims (10)

  1. AP 식별정보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AP 식별정보 및 상기 MAC주소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 및
    수신된 상기 MAC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면, 상기 접속허용 목록에서 상기 MAC주소를 삭제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은 AP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AP 식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RFID, NFC,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AP의 부팅 시 생성되는 상기 AP의 공인 IP 주소를 더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5. 삭제
  6.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AP 식별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MAC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MAC주소의 유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MAC주소가 유효한 경우 상기 MAC주소를 접속허용 목록에 추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면, 상기 접속허용 목록에서 상기 MAC주소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P 식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RFID, NFC,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AP로부터 상기 AP의 공인 IP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인증 방법.
  10. 삭제
KR1020130140628A 2013-05-24 2013-11-19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40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28A KR101401329B1 (ko) 2013-11-19 2013-11-19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04504 WO2014189262A1 (en) 2013-05-24 2014-05-20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of access point apparatus
TW103118167A TW201503655A (zh) 2013-05-24 2014-05-23 存取點裝置的使用者終端驗證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28A KR101401329B1 (ko) 2013-11-19 2013-11-19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329B1 true KR101401329B1 (ko) 2014-05-29

Family

ID=5089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628A KR101401329B1 (ko) 2013-05-24 2013-11-19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946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액세스 포인트 검출 방법
EP1758303B1 (en) * 2005-08-25 2009-0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gue access point detection and restriction
KR20130099750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Ap 검증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20130122358A (ko) * 2012-04-30 2013-11-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인증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8303B1 (en) * 2005-08-25 2009-0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gue access point detection and restriction
KR20080050946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액세스 포인트 검출 방법
KR20130099750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Ap 검증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20130122358A (ko) * 2012-04-30 2013-11-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인증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903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107282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dential management
US9678693B2 (en) Method of sett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60080943A1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20150172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US10410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201501392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arameter sharing
US20150085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 Sharing
CN104255064B (zh) 将接入信息从实体接入控制系统发送到用户终端
US98139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authorized access point
AU2016361318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CN101156487A (zh) 利用令牌的基于相邻关系的认证
TW201503655A (zh) 存取點裝置的使用者終端驗證方法
US202102431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evices
CN107027121A (zh) 一种WiFi网络安全接入方法及装置
KR20150137947A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이용한 차량 도어락 시스템
US200900379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uthentication in a Network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KR101401329B1 (ko) 무선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GB2582617A (en) A compu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ibility of data
KR101487348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ap
WO20150521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wearable device
KR20130074829A (ko) 단말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