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875A -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875A
KR20090019875A KR1020090000440A KR20090000440A KR20090019875A KR 20090019875 A KR20090019875 A KR 20090019875A KR 1020090000440 A KR1020090000440 A KR 1020090000440A KR 20090000440 A KR20090000440 A KR 20090000440A KR 20090019875 A KR20090019875 A KR 2009001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s
glasses
legs
cabl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134B1 (ko
Inventor
안평래
Original Assignee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1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다리들에 램프들이 구비되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렌즈들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한 쌍의 다리들, 복수의 램프들, 전원과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들은 프레임의 양측에 접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선단부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후단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전면이 트인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다. 램프들은 수납홈에 그 전방을 향하여 빛을 투사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전원은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고 램프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램프들과 케이블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홀더는 수납홈에 끼워지는 평판형 실장판부와 플랜지를 가지며, 플랜지의 전면에 램프들이 장착되는 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저항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실장판부에 안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들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램프들이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한 전방으로 조명을 구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므로, 착용자가 야간, 어두운 장소 등에서 행동의 제약을 받지 않고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들의 선단부에 내장형으로 구비되는 램프들에 의하여 조명 기능을 보유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안경의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는 이동단말기, 배터리팩 등과 같은 전원을 케이블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GLASSES WITH ILLUMIN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다리들에 램프들이 구비되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기구이다. 시력의 교정을 위한 안경의 일례로 노안경(Reading glasses)은 가까운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노안이 있는 사람이 착용하고 있다.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안경(Safety glasses)의 일례로 선글라스(Sunglasses)는 태양광선, 자외선 등을 피하기 위하여 착용하고 있다. 또한, 보호 안경의 다른 예로 고글(Goggle)은 스키, 레이싱 등을 행할 때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착용하는 깨지지 않는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경은 프레임(Frame), 한 쌍의 렌즈(Lens)들과 한 쌍의 다리(Temple)들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야간, 어두운 장소 등에서 임시로 조명을 필요로 하는 일이 흔히 존재한다.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회중전등(Flashlight)은 임시 조명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항상 회중전등을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는 없다. 또한, 회중전등은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목표하는 사물에 비추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 2007/0200998A1호의 안경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조명을 구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의 기술은 안경의 프레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로 제작되어 있고, 프레임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들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조립체(LED Assembly)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들의 점등을 위하여 한 쌍의 다리들 중 어느 하나의 다리에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다리에 전력의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의 안경은 발광다이오들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는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들의 빛이 프레임을 투과하면서 눈 주위로 산란되고, 렌즈들에 의하여 반사되어 시인성(Visibility)을 저하시키고, 눈에 피로감을 가중시켜 시력에 악영향을 끼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경의 다리들에 스위치와 배터리가 구비되어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커서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프레임의 재료를 금속, 불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없어 설계자유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들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램프들이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한 전방으로 조명을 구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들의 선단부에 내장형으로 구비되는 램프들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제작할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의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는 전원을 케이블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한 쌍의 렌즈들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측에 접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선단부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후단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전면이 트인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들과; 다리들의 수납홈에 그 전방을 향하여 빛을 투사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램프들과;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고, 램프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램프들과 복수의 케이블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전원과; 다리들의 수납홈에 끼워지는 평판형 실장판부와 실장판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플랜지의 전면에 램프들이 장착되는 복수의 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램프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실장판부에 복수의 안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안경(1)은 프레임(10),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렌즈(12)들과 프레임(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14)들을 구비한다. 다리(14)들의 선단부는 힌지(Hinge: 16)에 의하여 프레임(10)의 양측에 접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후단부는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팁(Tip: 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리(14)들의 선단부에 전면이 트인 수납홈(20)을 갖는 하우징(Housing: 2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수납홈(20)과 연결되는 걸림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2)은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다리(14)들의 내측면과 반대되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수납홈(20)의 내면에 지지턱(26)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14)들의 일측면, 즉 다리(14)들의 선단부와 근접하는 하우징(22)의 후면에 수납홈(20)과 연결되는 배선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1)은 다리(14)들의 수납홈(20)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Holder: 30)를 구비한다. 홀더(30)는 수납홈(20)에 끼워지는 실장판부(Mount Plate Portion: 32)와, 실장판부(32)의 선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Flange: 34)로 구성되어 있다. 실장판부(32)는 평판형(Plate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장판부(32)에는 복수의 안착구멍(36)들과 복수의 관통구멍(38)들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4)의 전면에 복수의 안착홈(40)들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40)들은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지지면(42)을 가지며, 경사지지면(42)에 복수의 배선구멍(44)들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4)의 후면 가장자리는 지지턱(26)에 지지되어 수납홈(20) 내에서의 위치가 정확하게 구속된다. 실장판부(32)의 일측면에 스냅훅(Snap Hook: 46)이 형성되어 있다. 스냅훅(46)은 다리(14)들의 걸림구멍(24)에 결합되어 수납홈(20)으로부터 홀더(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1 실시예의 안경(1)은 홀더(30)의 안착홈(40)들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램프(50)들을 구비한다. 램프(50)들은 광축(52)을 가지며, 광축(52)은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램프(50)들은 발광다이오드(54)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54)는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빛을 발광하는 몸체부(54a)와 전력의 공급을 위하여 몸체부(54a)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리드(54b)들을 갖는다. 발광다이오드(54)의 몸체부(54a)는 안착홈(40)에 수용되어 있다. 몸체부(54a)는 경사지지면(42)에 지지되어 광축(52)과 착용자의 시야를 나란하게 유지한다. 리드(54b)들은 배선구멍(44)들에 관통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홀더(30)의 안착구멍(36)들에 복수의 저항(56)들이 장착되어 있다. 저항(56)들의 리드(56a)들은 관통구멍(38)에 끼워져 있다. 발광다이오드(54)의 리드(54b)들과 저항(56)들의 리드(56a)들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하나의 다리(14)의 수납홈(20)에 램프(50)들과 저항(56)들이 두 개씩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램프(50)들과 저항(56)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램프(50)들은 복수의 케이블(60)들에 의하여 전원(70)과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60)들은 하우징(22)의 배선구멍(28)을 관통하여 전원(70)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60)들의 일단은 저항(56)들의 리드(56a)들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전원접속수단으로 커넥터(Connect: 6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70)은 휴대전화기(Mobile Phone),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엠피포플레이어(MP4 Player) 등과 같은 공지의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72)로 구성될 수 있다. 공지의 이동단말기(72)는 충전식 배터리(Battery: 72a)와 커넥터(62)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72b)를 구비한다. 또한, 전원(70)은 배터리를 갖는 배터리팩(Battery P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전원(70)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60)들의 일측에 전력의 공급를 온오프 제어(On/Off Control)하는 스위치(Switch: 8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의 안경(1)을 착용한 상태에서 조명이 필요한 경우, 착용자는 케이블(60)들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62)를 이동단말기(72)의 커넥터(72b)에 접속시키고, 스위치(80)를 온(On)시킨다. 스위치(80)가 온되면, 이동단말기(72)의 배터리(72a)로부터 전력이 저항(56)들을 통하여 램프(50)들에 각 각 인가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램프(50)들의 점등에 의하여 빛이 발광되고, 빛은 수납홈(20)을 통하여 안경(1)의 전방으로 투사된다. 램프(50)들의 빛은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하게 투사되어 시인성을 보장하므로, 착용자는 그 행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목표하는 사물을 명확하고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54)는 수명이 길고, 친환경적이며, 저전력·고출력의 특성을 보유하므로, 다리(14)들에 간단한 구조의 내장형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장착하기 쉽다. 또한, 발광다이오드(54)의 빛은 손실이 작고, 시인성과 지향성이 좋기 때문에 야간의 낚시, 등산용 조명 등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노안경의 착용자에게는 작업 및 독서용 조명으로 사용하기도 좋다.
도 7에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케이블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리(14)들의 선단부와 근접하는 하우징(22)의 후면에 소켓(Socket: 9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소켓(90)은 저항(56)들을 통하여 램프(50)들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60)들의 일단에 잭(Jack: 9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소켓(90)과 잭(92)의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램프(50)들이 점등된다. 잭(92)이 소켓(90)으로부터 분리되면, 다리(14)들로부터 케이블(60)들이 분리되므로, 착용자는 조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 장소에서 케이블(60)들이 없는 안경(1)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안경(100)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안경(1)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10), 한 쌍의 렌즈(112)들, 한 쌍의 다리(114)들, 힌지(116)로 구성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는 다리(114)들의 후단부에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팁이 삭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팁은 제1 실시예의 안경(1)과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다리(114)들의 후단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안경(100)의 다리(114)들은 그 선단부에 전면이 트인 수납홈(120)을 가지며, 수납홈(120)과 연결되도록 다리(114)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보어(Bore: 122)를 갖는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114)들의 후단부에 복수의 케이블(160)들이 통과되는 배선구멍(124)이 보어(1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납홈(120)의 내면에 지지턱(126)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114)들의 수납홈(120)에 홀더(13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홀더(130)의 후면 가장자리는 지지턱(126)에 지지되어 수납홈(20) 내에서의 위치가 정확하게 구속된다. 홀더(130)의 전면에 복수의 안착홈(1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132)들은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지지면(134)을 가지며, 경사지지면(134)에 복수의 배선구멍(136)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더(130)의 안착홈(132)들에 복수의 램프(150)들이 장착되어 있다. 램프(150)들의 광축(152)은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램프(150)들은 빛을 발광하는 몸체부(154a)와 복수의 리드(154b)들을 갖는 발광다이오드(15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램프(150)들은 필요에 따라 홀더(130)에 장착하지 않고 다리(114)들의 수납홈(120)에 직접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홈(120)의 내측에 램프(150)들의 광축(152)이 하향으로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안착홈(132)과 경사지지면(134)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램프(150)들은 다리(114)들의 보어(122)와 배선구멍(124)을 통하여 배선되는 복수의 케이블(160)들에 의하여 전원(170)과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60)들의 일단은 램프(150)들과 솔더링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원(170)은 배터리팩(Battery Pack: 1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팩(172)은 케이스(172a), 케이스(172a)를 덮는 커버(172b)와 케이스(172a)에 수납되는 복수의 배터리(172b)들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160)들과 배터리팩(172)은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커넥터들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170)은 제1 실시예의 안경(1)과 마찬가지로 이동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고, 배터리팩(172)은 제1 실시예의 안경(1)에 채택될 수도 있다. 도 8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전원(170)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160)들의 일측에 전력의 공급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180)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180)를 구성하는 케이스(182)의 내측에 케이블(160)들에 연결되는 저항(156)이 장착되어 있다. 저항(156)이 스위치(180)의 케이스(182)에 장착되는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1 실시예의 안경(1)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의 안경(100)은 램프(150)들의 점등에 의하여 빛이 발광되고, 빛은 수납홈(120)을 통하여 안경(100)의 전방으로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하게 투사된다. 케이블(160)들은 다리(114)들의 보어(122)를 통하여 전 원(170)과 배선되므로, 다리(114)들과 전원(170) 사이에서 노출되는 케이블(160)들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리(114)들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구멍(136)을 통하여 다리(114)들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귀의 후방에서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져 정돈된다. 따라서 다리(114)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블(160)들이 착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도 13에 제2 실시예의 안경에서 케이블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리(114)들의 후단부에 소켓(9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소켓(90)은 케이블(160a)에 의하여 램프(150)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60b)들의 일단에 잭(19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소켓(190)과 잭(192)의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램프(150)들이 점등된다. 잭(192)이 소켓(190)으로부터 분리되면, 다리(114)들로부터 케이블(160b)들이 분리되므로, 착용자는 조명이 필요 없을 때 케이블(160b)들이 없는 안경(100)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안경(200)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안경(1)과 기본적인 구성이 거의 동일하므로, 제3 실시예의 안경(200)은 제1 실시예의 안경(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의 안경(200)은 그 다리(14)들의 외측면에 케이블(60)을 수용하여 은폐하는 배선관(Wiring Pipe: 64)이 다리(14)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 다. 배선관(64)의 일단은 하우징(22)의 배선구멍(28)에 끼워져 있으며 타단은 착용자의 귀의 전방과 근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다리(14)들의 외측면에 착용자의 귀의 전방과 근접하도록 고정돌기(66)가 다리(14)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66)는 배선관(64)의 타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멍(66a)을 갖는다.
케이블(60)들은 하우징(22)의 배선구멍(28), 배선관(64)과 고정돌기(66)의 구멍(66a)을 통과하여 전원(70)과 연결된다. 케이블(60)들은 고정돌기(66)의 구멍(66a)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착용자가 귀의 전방에 근접하여 노출되는 케이블(60)들을 귀의 상방을 지나게 해서 후방으로 넘기면, 케이블(60)들이 착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케이블(60)들이 귀의 후방으로 넘겨져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착용자는 케이블(60)들을 귀와 근접하는 전방에서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지도록 제3 실시예의 안경(200)을 착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에 의하면, 다리들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램프들이 착용자의 시야와 나란한 전방으로 조명 을 구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므로, 착용자가 야간, 어두운 장소 등에서 행동의 제약을 받지 않고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들의 선단부에 내장형으로 구비되는 램프들에 의하여 조명 기능을 보유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안경의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는 이동단말기, 배터리팩 등과 같은 전원을 케이블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을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홀더, 램프들과 저항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홀더와 램프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수납홈에 홀더와 램프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램프들, 저항들과 전원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안경에서 케이블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을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에서 홀더와 램프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에서 수납홈에 홀더와 램프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에서 램프들, 저항들과 전원의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안경에서 케이블의 연결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안경을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안경에서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200: 안경 10, 110: 프레임
12, 112: 렌즈 14, 114: 다리
20, 120: 수납홈 22: 하우징
30, 130: 홀더 32: 실장판부
34: 플랜지 40, 132: 안착홈
42, 134: 경사지지면 50, 150: 램프
52, 152: 광축 54, 154: 발광다이오드
56, 156: 저항 60, 160, 160a, 160b: 케이블
64: 배선튜브 66: 고정돌기
70, 170: 전원 72: 이동단말기
172: 배터리팩 80, 180: 스위치 90, 190: 소켓 92, 192: 잭

Claims (6)

  1. 한 쌍의 렌즈들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접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선단부와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후단부를 가지며, 선단부에 전면이 트인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의 수납홈에 그 전방을 향하여 빛을 투사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램프들과;
    상기 프레임과 독립되어 있고, 상기 램프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램프들과 복수의 케이블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전원과;
    상기 다리들의 수납홈에 끼워지는 평판형 실장판부와 상기 실장판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의 전면에 상기 램프들이 장착되는 복수의 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램프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실장판부에 복수의 안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 각각은 광축을 가지며, 상기 램프들의 광축은 착용자의 시선과 나란하도록 하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들에 상기 램프들의 광축이 하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램프들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판부의 일측에 스냅훅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들의 일측에 상기 스냅훅이 결합되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의 일측면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배선구멍이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원 사이의 상기 케이블들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은 배터리팩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은 상기 케이블들을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는 보어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다리들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원 사이의 상기 케이블들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은 배터리를 갖는 이동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KR1020090000440A 2009-01-05 2009-01-05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KR10099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40A KR100996134B1 (ko) 2009-01-05 2009-01-05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40A KR100996134B1 (ko) 2009-01-05 2009-01-05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18A Division KR100904764B1 (ko) 2007-08-20 2008-08-08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75A true KR20090019875A (ko) 2009-02-25
KR100996134B1 KR100996134B1 (ko) 2010-11-23

Family

ID=4068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440A KR100996134B1 (ko) 2009-01-05 2009-01-05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1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485B1 (ko) 2005-06-10 2006-07-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134B1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76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US7607775B2 (en) Illuminating eyeglasses and eyeglasses frame structure
CA2735648C (en) Illuminated eyewear
US8899744B2 (en) Lighted reading glasses
US8235524B2 (en) Illuminated eyewear
US11280480B2 (en) User-wearable illumination assembly
ES2547907T3 (es) Gafas iluminadas
ES2583685T3 (es) Gafas de lectura con iluminación
US200802977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20130021311A1 (en) Head mount display
US4086004A (en) Eye glasses
KR10099613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WO2009025472A1 (en) Glasses with illumination function
JP3121995U (ja) 照明機能を有するメガネフレーム
CN218547168U (zh) 一种发光镜架眼镜
WO2007008062A1 (en) Spectacle frame having provisions for illuminating objects
KR200216107Y1 (ko) 발광 귀이개
JP2005134579A (ja) 眼鏡用投光具、及び、眼鏡
TWM457190U (zh) 具有警示效果之眼鏡
JP2015225146A (ja) 照明装置
KR20110028058A (ko) 조명 기능을 갖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