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051A -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 Google Patents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051A
KR20090019051A KR1020070083175A KR20070083175A KR20090019051A KR 20090019051 A KR20090019051 A KR 20090019051A KR 1020070083175 A KR1020070083175 A KR 1020070083175A KR 20070083175 A KR20070083175 A KR 20070083175A KR 20090019051 A KR20090019051 A KR 2009001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liner body
silicone
socket
seal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재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전영재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재, 김영기 filed Critical 전영재
Priority to KR102007008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051A/ko
Publication of KR2009001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7812Interface cushioning members placed between the limb stump and the socket, e.g. bandage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7812Interface cushioning members placed between the limb stump and the socket, e.g. bandage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7843Inflatable b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80Sockets, e.g. of sucti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소켓에 끼워지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라이너는; 실리콘으로 성형 제작되며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라이너본체와;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되 라이너본체와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밀폐시트와; 상기 라이너본체와 밀폐시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라이너본체 외부에 공기층을 이루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그 두께를 조절하여 소켓 및 환부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의수족을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의족, 의수, 실리콘라이너, 소켓, 밀착

Description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Silicone liner for artificial arm and leg}
본 발명은 의수족(義手足)용 실리콘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사고나 질병에 의해 활동력을 잃거나 또는 팔다리를 절단함으로써 신체적 기능장애를 가지게 된 사람들을 위한 보철구(補綴具)로서 의수나 의족(이하, 의수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의수족은 이를테면 신체의 절단된 부위에 장착되어 팔이나 다리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실제 팔과 다리의 기능을 최대한 비슷하게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의수족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실리콘라이너와 소켓이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라이너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로서 (마치 양말처럼) 절단된 부위를 그 내부에 수용하며 보호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실리콘라이너를 착용한 절단부위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성형 제작되며 의수족 보철구와 연결된다. 결국 상기 실리콘라이너와 소켓이 의수족을 신체의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이른바 어댑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를 소켓과 함께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10)는, 착용자의 절단부위(이하, 환부)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16)을 갖는 라이너본체(12)와, 상기 라이너본체(12)의 외주면에 밀착하며 커버하는 직물커버(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너본체(12)를 이루는 실리콘은 의료용 실리콘으로서 소정두께를 가져 직물커버(14)와 더불어 외부의 충격에 대해 환부를 어느 정도 보호한다. 상기 라이너본체(12)는 사용자가 마치 양말과 같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환부에 완벽히 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직물커버(14)는 당겼을 때 늘어나는 성질의 천으로서 라이너본체(12)를 감싼다. 상기 직물커버(14)는 소켓(18)에 대한 실리콘라이너(10)의 삽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물커버(14)가 없다면 소켓(18)과의 마찰에 의해 라이너본체(12)가 소켓(18)에 쉽게 끼워질 수 없다. 결국 상기 직물커버(14)는 실리콘재질의 라이너본체(12)를 감싸 라이너본체(12)가 소켓(18) 내부에 쉽게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라이너본체(12)의 하부에는 연결구(도 2a의 2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라이너본체(12)의 하단부에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 하부로 돌출된 암나사구멍(20a)을 갖는다. 상기 연결구(20)는 실리콘라이너(10)를 보철구(미도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라이너본체(12)의 하단부는 받침대(17)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받침대(17)는 고무로 제작된 받침판으로서 마치 접시의 형태를 취하며 라이너본체(12)의 하단부 저면에 밀착하고, 라이너본체(12)의 하단부와 소켓(18)의 바닥면 사이에서 양자간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소켓(18)은 실리콘라이너(10)를 착용한 상태의 환부를 수용하는 통으로서 그 아래쪽에 보철구가 고정된다. 상기 소켓(18)은 그 내주면이 실리콘라이너(10)에 접한 상태로 보철구와 강하게 결합하여 환부의 힘이 보철구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실리콘라이너(10)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환부에 라이너본체(12)가 고른 밀착력으로 밀착하여야 하는 것과, 실리콘라이너(10)와 소켓(18)의 내벽면이 고른 밀착력으로 접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실리콘라이너(10)는 그 크기가 정해져 있으므로, 예컨대 착용자의 체중이 줄어 환부가 말랐을 때, 라이너본체(12)가 환부에 완벽히 밀착하지 않게 되기 쉽다. 또한 제작된 소켓(18)의 크기가 약간이라도 클 경우 환부가 소켓(18)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으므로 의수족을 착용하고 활동하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고 견디기 어려운 일이 된다. 사실, 실리콘라이너와 소켓을 아무리 정밀하게 제작하더라도, 실리콘라이너와 소켓의 사이즈를 완벽히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18)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실리콘라이너(10)가 소켓(18)의 내벽면(18b)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환부(A)를 감싸고 있는 실리콘라이너(10)가 소켓(18)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환부(A)가 소켓(18) 내부에서 이리저리 흔들리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소켓(18) 내에서 흔들리는 환부가 소켓 테두리부(18a)에 부딪혀 매우 극심한 고통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절단 환부내의 신경은 그대로 살아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작은 자극을 받더라도 매우 심한 통증을 느낀다.)
도 2b의 경우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환부(A)가 실리콘라이너(10)의 내측면에 밀착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를테면 상기한 바와같이 착용자의 체중이 줄어 환부(A)가 처음보다 말랐을 때 환부의 피부가 라이너본체(12)로부터 벌어져 도 2b의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환부(A)가 실리콘라이너(10)의 내부에 헐거웁게 끼워지면 도 2a와 마찬가지로 소켓 테두리부(18a)에 환부(A)가 부딪혀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두께를 조절하여 소켓 및 환부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의수족을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소켓에 끼워지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라이너는; 실리콘으로 성형 제작되며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라이너본체와;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되 라이너본체와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밀폐시트와; 상기 라이너본체와 밀폐시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라이너본체 외부에 공기층을 이루는 공기주입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 하측부에는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시트는,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시트형 부재로서,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그 상단부가 라이너본체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하단부가 상기 환형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환형돌출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받아 상기 밀폐공간으로 전달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라이너본체와 밀폐시트 사이의 밀폐된 공간 내부에는 공간을 두 개소 이상으로 나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시트의 외측면에는 실리콘라이너를 소켓에 삽입할 때 소켓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직물커버가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그 두께를 조절하여 소켓 및 환부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의수족을 보다 편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30)는, 외주면 하측부에 돌출부(32b)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환부를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38)을 제공하는 라이너본체(32)와, 상기 라이너본체(3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되어 라이너본체(32)와의 사이에 밀폐공간(36)을 만드는 밀폐시트(34)와, 상기 밀폐시트(34)의 외측면을 감싸는 직물커버(14)로 구성된다.
상기 라이너본체(32)는 종래의 라이너본체(도 1의 12)와 마찬가지로 의료용 실리콘으로 성형 제작된다. 특히 상기 돌출부(32b)는 라이너본체(32)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것으로서 라이너본체(3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턱부(32a)를 이룬다.
상기 밀폐시트(34)는 소정두께를 갖는 시트형 부재로서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밀폐시트(34)의 상단부는 라이너본체(32)의 상단부에 밀폐 결합하고, 하단부는 돌출부(32b)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한다. 상기 라이너본체(32)에 대한 밀폐시트(34)의 결합은 예컨대 접착제를 통한 결합으로서 접착부위를 통해 공기가 통과하지 못한다. 즉 라이너본체(32)와 밀폐시트(34) 사이에 마련되는 밀폐공간(36)이 외부에 대해 밀폐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시트(34)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하여 밀폐시트(34)를 감싸는 직물커버(14)는, 당겼을 때 늘어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며 실리콘라이너(30)가 소켓(도 5의 18)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다.
한편, 상기 밀폐공간(36)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밀폐공간(36)으로 보내는 체크밸브(도 4의 40)를 포함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라이너본체(32)의 하측부에 체크밸브(4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40) 자체는 공지의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밀폐공간(36)으로 전달한다. 상기 밀폐공간(36)으로 공급된 공기는 밀폐공간(36)을 채우며 라이너본체(32)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폐시트(34) 및 직물커버(14)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 라이너본체(32)를 둘러싸는 공기층을 형성한다. 상기 라이너본체(32)에 대한 체크밸브(40)의 설치는 일반적인 인서트사출에 의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40)에는 공기주입구(42)와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주입구(42)는 예컨대 에어펌프나 기타 공기공급기 등의 공기 주입노즐(도 5의 52)에 맞추어져, 주입노즐을 통해 압입되는 공기를 체크밸브(40)로 전달하는 통로이다. 또한 공기토출구(44)는 체크밸브(40)를 통과한 공기를 밀폐공간(36)으로 주입하는 튜브이다.
아울러 공지의 체크밸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주입구(42)를 체크밸브(40)측으로 누르면 체크밸브(40) 내부의 공기통로가 일시 개방되어 밀폐공간(36)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라이너(30)가 소켓(18)에 끼워지되, 실리콘라이너(30)와 소켓(18)의 내벽면(18b)이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환부(A)도 라이너본체(3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만일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실리콘라이너(30) 및 소켓(18)을 착용한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착용자의 환부(A)가 소켓(18)의 내부에서 흔들거림은 물론 소켓 테두리부(18a)에 닿아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라이너는, 상기한 바와같이 실리콘라이너(30)와 소켓(18)의 크기가 잘 맞지 않더라도 상기 밀폐공간(36)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체크밸브(40)의 공기주입구(42)에 주입노즐(52)을 맞추고 공기공급기(50)를 구동하여 상기 밀폐공간(36)에 공기를 충진시킴으로써, 환부가 라이너본체(32)에, 직물커버(14)가 소켓(18)의 내벽면(18b)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여, 결국 환부(A)를 소켓(18)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40)의 공기주입구(42)에 주입노즐(52)을 맞추기 위하여, 소켓(18)의 해당 위치에 관통구멍(18c)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공기공급기(50)는 공기를 압축하여 원하는 장소로 공급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상기 공기공급기(50)로서 예컨대 동력식 에어펌프나 또는 (이를테면 물놀이용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동식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니면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라이너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공간(36)의 내부에 하나의 격벽(46)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격벽(46)은 밀폐시트(34)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 시트로 서 상기 밀폐공간(36)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격벽(46)에 의해 구획된 두 개의 공간은 상호 격리되며 다만 공기구멍(46a)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공기구멍(46a)은 체크밸브(4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벽(46)의 개수나 또는 설치 방식을 얼마든지 달리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를 소켓과 함께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실리콘라이너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라이너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실리콘라이너 12,32:라이너본체
14:직물커버 16:수용공간
17:받침대 18:소켓
18a:테두리부 18b:내벽면
18c:관통구멍 20:연결구
20a:암나사구멍 32a:턱부
32b:돌출부 34:밀폐시트
36:밀폐공간 38:수용공간
40:체크밸브 42:공기주입구
44:공기토출구 46:격벽
46a:공기구멍 50:공기공급기
52:주입노즐

Claims (5)

  1.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소켓에 끼워지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라이너는;
    실리콘으로 성형 제작되며 팔이나 다리의 절단된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라이너본체와;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되 라이너본체와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밀폐시트와;
    상기 라이너본체와 밀폐시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라이너본체 외부에 공기층을 이루는 공기주입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 하측부에는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시트는,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시트형 부재로서, 상기 라이너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그 상단부가 라이너본체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하단부가 상기 환형돌출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 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환형돌출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받아 상기 밀폐공간으로 전달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본체와 밀폐시트 사이의 밀폐된 공간 내부에는 공간을 두 개소 이상으로 나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시트의 외측면에는 실리콘라이너를 소켓에 삽입할 때 소켓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직물커버가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KR1020070083175A 2007-08-20 2007-08-20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KR20090019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75A KR20090019051A (ko) 2007-08-20 2007-08-20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75A KR20090019051A (ko) 2007-08-20 2007-08-20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51A true KR20090019051A (ko) 2009-02-25

Family

ID=4068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175A KR20090019051A (ko) 2007-08-20 2007-08-20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0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69Y1 (ko) * 2011-04-13 2013-02-2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의지용 실리콘 라이너
KR200473361Y1 (ko) * 2014-02-10 2014-07-01 황병욱 의지용 밀폐라이너
US9248032B2 (en) 2010-10-14 2016-02-02 Ossur Hf Suspension liner system with distensible seal
KR20180085117A (ko) * 2017-01-17 2018-07-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지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
KR20220006811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휴고다이나믹스 지체부위에 대한 지지력 조절이 가능한 소켓을 갖는 의지장치
US20220104954A1 (en) * 2018-12-10 2022-04-07 Ottobock Se & Co. Kgaa Orthopedic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8032B2 (en) 2010-10-14 2016-02-02 Ossur Hf Suspension liner system with distensible seal
KR200465569Y1 (ko) * 2011-04-13 2013-02-2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의지용 실리콘 라이너
KR200473361Y1 (ko) * 2014-02-10 2014-07-01 황병욱 의지용 밀폐라이너
KR20180085117A (ko) * 2017-01-17 2018-07-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지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의지
US20220104954A1 (en) * 2018-12-10 2022-04-07 Ottobock Se & Co. Kgaa Orthopedic device
KR20220006811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휴고다이나믹스 지체부위에 대한 지지력 조절이 가능한 소켓을 갖는 의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796B2 (en) Prosthetic liner and prosthetic shaft system comprising prosthetic liner and prosthetic shaft
US11311395B2 (en) Prosthetic socket sealing system and method
US5387245A (en) Inflatable prosthesis liner
KR100238099B1 (ko) 신체 보호구
KR20090019051A (ko) 의수족용 실리콘라이너
US53144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liner to a prosthesis
KR100296939B1 (ko) 브래지어용에어패드
CA2682201C (en) Prosthetic device utilizing electric vacuum pump
US7914586B2 (en) Prosthetic device utilizing electric vacuum pump
US20100070051A1 (en) Prosthesis shaft with active air release
EP2144578B1 (en) Pneumatic connector for prosthetic socket
US20040098136A1 (en) Socket liner for artificial limb with permanent attachment to socket
JPH0751306A (ja) 義肢用断端受け入れソケット
WO2001054631A1 (en) Socket liner for artificial limb
US201600081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sthetic suspension system
WO2002026158A2 (en) Socket liner for artificial limb
EP3432841B1 (en) Air control system for enhancing a connection between a limb liner and a limb prosthesis
US20150035208A1 (en) Sealing member for vacuum suspension prosthetic device
EP3005994B1 (en) Male sexual dysfunction sufferer-use negative pressure assistance device
WO2018219036A1 (zh) 牙膏存储体、牙膏体及一体结构牙刷
US20160250045A1 (en) Prosthetic device utilizing electric vacuum pump
CN109843223A (zh) 利用连接器形成残肢的石膏印模的设备
KR20070063940A (ko) 브래지어용 컵
KR20100075062A (ko) 의지용 라이너
ES2950364T3 (es) Método de configuración de un bloqueo de bomba intercambiable para encaje protés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