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448A -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448A
KR20090018448A KR1020070082898A KR20070082898A KR20090018448A KR 20090018448 A KR20090018448 A KR 20090018448A KR 1020070082898 A KR1020070082898 A KR 1020070082898A KR 20070082898 A KR20070082898 A KR 20070082898A KR 20090018448 A KR20090018448 A KR 20090018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tegic material
control
strategic
cod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553B1 (ko
Inventor
심성근
우용한
송주호
이한익
박은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지식경제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867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184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지식경제부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지식경제부장관)
Priority to KR102007008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5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략물자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략물자 관리 방법은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 있어서, 물품에 대한 HS 코드, 품명 및 제조자명을 포함하는 물품상세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자체 판정을 요청받는 단계; 자체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상기 통제 번호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및 복수의 통제 기준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통제 기준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송신된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82898
전략 물자, 자체 판정, 사전 판정, HS 코드

Description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 방법{network for managing strategic item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략물자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략물자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전략물자 및 이에 관련된 개념을 설명한다.
전략물자(strategic items)란 대량살상무기 또는 무기류의 제조, 개발에 이용 가능한 이중용도물품, 소프트웨어 및 기술로서 위험한 국가 또는 단체에 이전될 경우 국제평화와 안전에 위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무역거래가 제한되는 물품, 기술을 말한다.
전략물자에 관계된 제조자 및 수출입자는 대외무역법에 따라 취급하는 품목에 대한 전략물자 확인?신고?통보 및 수출허가의 의무가 부가되어 있어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형사처벌 및 행정제재를 받게 된다. 이러한 전략물자는 산업자원부 '전략물자기술수출입통합고시 별표2내지7의 품목리스트'에 지정고시되어 있다.
전략물자는 '전략물자 품목 리스트'에 의해 정리될 수 있다. 전략물자 품목리스트는 전략물자로 지정고시된 품목들의 리스트로서 그 구조는 전략물자에 해당되는 품목명 및 그 품목명을 가진 품목이 전략물자에 해당되기 위해 가져야 할 성능, 사양 등의 기술적인 특성기준(이하, '통제 기준' 이라 칭함)이 서술되어 있고 각 품목은 '통제 번호'라고 하는 알파벳 및 아라비아 숫자로 구성된 일련의 번호로 구분된다.
특정한 기업이 자신이 취급하는 제품 또는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는 매우 어렵다. HP, Northrop Grumman 등의 해외 기업의 경우, 각 기업의 전략물자 판정전문 엔지니어 수십 명이 전담하여 관련 업무를 처리할 정도로 전략물자 관리 업무는 많은 인력과 자원을 소모한다.
이에 반하여 국내의 대부분의 기업은 전문가 부재 등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 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전략물자와 관련하여 통제되는 품목의 명세서의 분량은 매우 방대하여 쉽게 숙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업이 생산 판매 중인 물품이 전략물자 수출관리제도에 따라 통제대상인지 여부와 수출입허가를 받고 수출하는 절차를 밟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수출통제를 성실하게 이행하지 못하여 국제적으로 수출 금지와 같은 제재를 당할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전략물자 해당여부를 판정하는 관계 기관 등에 자신들이 취급하는 물품이 통제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정해줄 것을 요청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수출허가를 받아 물품을 판매 수출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에서 적은 인원으로 전략물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략물자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에서 판매 수출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략물자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략물자 관리 방법은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 있어서, 물품에 대한 HS 코드, 품명 및 제조자명을 포함하는 물품상세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자체 판정을 요청받는 단계; 자체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상기 통제 번호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및 복수의 통제 기준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통제 기준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송신된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전략물자 관리를 위한 관리 네트워크는,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는, 물품에 대한 HS 코드, 품명 및 제조자명을 포함하는 물품상세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자체 판정을 요청받고, 자체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상기 통제 번호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및 복수의 통제 기준을 표시하고, 상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통제 기준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송신된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특정한 HS 코드와 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간의 매핑 관계를 정의하는 연계표에 따라,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를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복수 개의 통제 기준이 계층적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시트에 따라 상기 송신되는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상기 파라미터시트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되는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품목해설서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 방법은 간단한 절차에 의해 전략물자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략물자와 관련된 품목의 판매 및 수출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전략물자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구현되는 관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엔터티(100)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과 외부 데이터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다양한 규모의 기업에 설치되어 해당 기업의 전략물자를 관리하는 엔터티(entity)이다.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10), 네트워크 엔터티에서 처리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20),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30) 및 상술한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40)을 포함한다.
또한,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은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210), 전략물자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20) 및 상술한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230)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 데이터 서버(300)는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관리 네트워크상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제공하며, 통신모듈(310)과 제어모듈(320)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주체(100, 200, 300)나 각 주체에 포함되는 모듈은 하 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모듈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기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듈이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전략물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의 데이터 처리는 크게, 전략물자에 관련된 물품의 품목 등록,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자체 판정,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외부에 판정 요청하는 사전 판정, 특정한 코드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 도구(Search Tool)에 관한 것으로 구분된다.
이하, 전략물자에 관련된 품목을 등록하는 데이터 처리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10)을 통해 해당 기업에서 처리하는 품목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HS 코드, 품명, 모델명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HS 코드는 수출/수입의 대상이 되는 모든 물품에 부여되는 품목분류번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출과 수입의 대상이 되는 모든 물품은 수출과 수입 신고서상에 동 물품에 대한 품목번호를 기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국제 협약이 HS협약이며 우리 나라도 체약국으로 모든 수출입물품은 HS 품목번호에 따라서 수출입 물품에 대한 각종 통계분류 및 관세의 부과 등을 하게 된다. HS 코드는 10 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지며 이중 처음 6 자리까지는 국제 협약사항으로 체약국 모 두의 공통사항이고, 나머지 4 자리는 체약국이 자국의 현실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외무역법령의 규정에 따라 우리의 현실에 맞춰 HS 10단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HSK 또는 HSK 코드라 칭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HS 또는 HSK 품목 번호를 'HS 코드'라 칭한다.
도 2는 전략물자에 관련된 품목을 등록하는 입력창의 일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각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는바, 도 2와 같은 윈도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략물자에 관련된 품목을 등록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조건(201)을 입력하고 재조회(202) 버튼을 누르면 목록(203)에 등록된 품목의 품목정보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조회한 품목정보는 목록(203)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품목정보 목록의 상세정보는 제1 상세정보 영역(204)에 표시된다.
제1 상세정보 영역(204)에는 품목정보 처리 버튼(205)이 포함되며, 다양한 종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저장, 취소, 삭제, 다운 버튼이 가능하다. 새로운 품목을 입력시 신규버튼을 누른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저장 버튼은 품목을 입력 혹은 수정한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또한, 취소 버튼은 품목을 입력 혹은 수정시 이를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삭제 버튼은 선택한 품목을 삭제하는데 사용하며, 다운 버튼은 스프래드쉬트 형태로 자료를 다운로드 하는데 사용된다.
제1 상세정보 영역(204)에는 이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 는 HS 코드, 품명, 형식 및 규격, 제조자명, 판정번호 등이다. 품목코드는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서 부여하는 품목 관리번호이고, HS 코드는 해당되는 HS 코드를 나타내고, 품명은 품목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고, 형식 및 규격은 품목의 규격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고, 제조자명은 제조자의 성명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고, 판정번호는 품목의 자체판정 또는 사전판정을 통해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서 부여하는 관리번호이다.
이하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자체 판정을 설명한다. 자체 판정은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사용자가 스스로 해당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절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매우 어려우므로,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특정한 물품의 정보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자체 판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엔터티(100)가 자체 판정을 시작한다(S301).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물품을 선택하고 자체판정을 선택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물품을 선택하는 경우 네트워크 엔터티(100)가 해당 물품의 HS 코드를 송신할 것을 제안한다(S302).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사용자 대부분은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므로 일단 해당 물품의 HS 코드를 통해 물품을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은 HS 코드를 수신하고,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는 '연계표'와 '파라미터시트(parameter sheet)'를 이용하여 수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통제 기준 및 판단 기준을 송신한다(S303).
상기 '연계표'는 'HS 코드'와 '파라미터시트' 간의 대응관계를 정의하는 표이다. 상기 HS 코드는 수출입 통관 목적으로 구축된 코드 체계이므로, 전략물자판정의 목적으로 구축된 파라미터시트와의 HS 코드 간의 대응관계를 상기 연계표를 통해 확인한다.
상기 연계표에 포함되는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HS 코드 8486203000에 대응관계에 있는 파라미터시트상의 통제 번호는 IL3.B.1.b.이다. 상기 HS 코드 8486203000는 관세율표에서 '반도체재료 도핑용 이온주입장비'로 지정되어 있으며 통제 번호 IL3.B.1.b.는 '이온주입장비로서 다음 중 하나의 특성을 갖는 것, 1. 빔 에너지(가속 전압)가 1 MeV를 초과하는 것, 2. 2 keV 미만의 가속전압에서 동작되도록 전용설계되고 최적화된 것, 3. 직접기록 능력(direct write capability)이 있는 것, 4. 가열된 반도체 재료 “기판(substrate)”에 고에너지 산소주입이 가능한 65 keV 이상의 가속 전압과 45 mA 이상의 빔전류(beam current)'로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HS 코드와 통제 번호/통제 기준에는 반도체소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이온주입장비'를 공통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양자에는 대응관계가 있는 것으로 연계표에 정의된다.
상기 파라미터시트는 해당 품목의 전략물자 해당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통제 기준에 기초하여 상위항목에 해당하는 통제 기준과 하위항목에 해당하는 통제 기준을 계층적으로 정리한 시트(sheet)로서,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다.
상기 파라미터시트에는 상술한 전략물자 품목리스트의 통제 번호/통제 기준이 체계화되어 정리된다. 상기 파라미터시트에 포함되는 전략물자 품목리스트의 통제 번호/통제 기준의 일례는 도 4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략물자 해당 여부의 기준이 되는 통제 기준에 기초하여 상위 및 하위항목으로 구분되며, 그에 따라 통제 번호가 부여된다.
상기 파라미트시트에는 각각의 통제 기준이 계층적으로 구분되며, 특정한 물품이 상위항목에 해당하더라도 하위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제되지 않는다.
상술한 연계표와 파라미터시트를 이용하면 특정한 HS 코드에 상응하는 다수의 통제 번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시트는 계층적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통제 기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판단 기준은, 특정한 물품이 어떠한 통제 기준에는 해당하고 어떠한 통제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물품이 통제대상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상기 통제 번호/통제 기준, 판단 기준은 네트워크 엔터티(100)로 송신된다(S303). 또한, 상기 연계표와 파라미터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수신된 통제 번호 및 통제 기준을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304).
도 5는 네트워크 엔터티에서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을 통해 수신된 통제 번호 및 통제 기준을 표시한 일례에 관한 것이다.
도 5의 제1 영역(50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가 표시된다. 상기 통제 번호는 S302 단계를 통해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시트 상에서 통제 번호는 계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영역(501)에 표시된 하나의 통제 번호와 관련된 다수의 하위 통제 번호가 존재한다. 제1 영역(501)에 표시된 통제 번호와 관련된 다수의 하위 통제 번호는 제2 영역(502)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하위 통제 번호에 따른 다수의 통제 기준 역시 제2 영역(502)에 표시된다.
도 5의 일례에서는, IL4.A.3의 통제 번호에 관련된 다수의 통제 번호가 표시되며, 각 통제 번호에 따른 통제 기준 역시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통제 기준은 제3 영역(503)에 '판정 기준' 항목으로 상세하게 표시되며, 각 판정 기준에 대한 응답은 제4 영역(504)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도 5의 제3 및 제4 영역(503, 504)을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통제 기준에 따라 응답을 작성하여 입력할 수 있다(S305).
사용자는 S305 단계를 수행하는 도중에 검색 도구(search tool)를 활성화하여 각 통제 기준에 포함된 문구나 단어에 관한 설명과 같은 각종 추가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S306). 사용자가 추가 자료의 검색을 요구하는 경우, 텍스트 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한 다(S307).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은 상기 키워드를 수신하고,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220) 또는 외부 데이터 서버(300)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로 송신한다(S308). 즉,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키워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검색 도구를 통해 추가로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4 영역(504)을 통해 응답을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입력된 응답과 판단 기준을 기초로 해당 물품이 통제대상인지를 자체판정한다(S309). 상기 판정 결과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다(S310).
도 6은 자체판정을 수행하고 판정 결과를 조회하는 입출력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6의 검색 영역(601)을 통해 미리 등록된 물품에 대한 자체판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미 판정이 내려진 결과를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색 영역(601)을 통해 검색조건을 입력하거나 선택하고 '재조회' 버튼을 누르면 도 6과 같은 목록이 표시된다.
도 6의 신고서 목록(602)상에는, 관리번호, 송신상태, 수신상태, 판정결과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유효시작일자, 유효종료일 등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번호는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부여한 식별번호이며, 송신 상태는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작성한 내역이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수신상태는 사전판정을 신청하는 경우 판정이 어떤 단계에 이르렀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판정결과는 전략물자에 해당여부를 표시하고, 유효시작일자 및 유효종료일은 사전판정결과의 유효기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유효기간은 사전판정결과에 대해 전략물자기술수출입통합고시에 고시된 유효기간을 말하며, 현재 2년으로 고시되어 있다. 전략물자 품목리스트 상의 통제 기준이 1년마다 갱신되므로 유효기간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도 7은 자체판정 수행하는 입력창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물품을 선택하는 경우, 도 7과 같은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도 7의 제1 영역(701)에는 도 6의 결과가 표시되며, 도 7의 제2 내지 제3 영역(702, 703)에는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도 7의 제2 영역(702)에는 관리번호, 공개여부, 판정품목관리번호, 품목코드, 유효기간, HS부호, 판정결과코드, 품명, 모델명, 형식/규격, 설명, 제조자명이 표시되며, 대북수출구분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관리번호는 문서 관리번호이며, 공개여부는 물품정보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 의해 공개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며, 판정품목관리번호는 자체/사전판정 후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서 물품에 부여되는 판정품목번호이다. 또한, 품목코드는 시스템에서 부여하는 품목 관리번호이며, 유효기간은 판정된 품목에 대한 유효기간이고, HS 코드항목에는 품목에 대한 HS 코드가 표시된다. 판정결과코드에는 선택한 물품을 판정했을 때 물품의 전략물자 여부가 표시되며, 품명에는 물품의 명칭을 입력하고, 모델명에는 물품의 모델명을 입력한다. 형식/규 격에는 물품의 형식 및 규격을 입력하고, 설명에는 물품의 설명정보를 입력하며, 제조자명에는 제조자의 성명을 입력하고, 대북수출구분에는 대북수출물자 여부를 선택한다.
도 7의 제3 영역(703)에는 해당 물품의 HS 코드에 해당하는 통제 번호가 표시되고, 해당 통제 번호에 따른 통제 기준이 표시된다. 도 7의 제4 영역(704)은 도 5에서 이미 설명한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자체판정 입력창은 다양한 입력버튼을 추가로 구비한다. 송신 버튼(705)은 자체판정 신고서에 누락사항이 없는지 오류검증을 수행한 후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출력 버튼(706)은 자체판정 신고서를 출력할 때 사용하며, 판정 버튼(707)은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된 이후 판정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하며, 판정 초기화 버튼(708)은 판정을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하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외부에 판정 요청하는 사전 판정을 설명한다.
상기 사전 판정은 사용자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물품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물품에 대한 오프라인(off-line) 상의 판정을 온라인(on-line)을 통해 요청하는 것이다.
상술한 절차에 따라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데이터 베이스(12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 전송하면 신청내용이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다. 추후 판정 및 허가가 완료되면 결과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되고 네트 워크 엔터티(100)에 그 결과가 전송되어 사용자는 신청품목에 대한 판정 및 허가결과를 조회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그 품목에 대한 전략물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사전판정에 관한 상세 내역을 조회하는 출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조건을 입력하면 도 8의 제1 영역(801)에 사전판정 신청서의 목록이 표시된다. 해당 목록에서 특정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세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8의 제2 영역(802)에는 사전 판정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제2 영역(802)에는 수출허가신청 내역 목록이 표시된다. 수출허가신청이란 전략물자를 수출할 경우 관계행정기관에 수출허가를 취득하기 위해 수출국, 수출품목, 선적일 등을 신청서에 기재하고 수출자 서약서 등을 첨부하여 수출허가를 신청하는 것을 말한다.
도 9는 사전판정을 신규로 요청하거나 삭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입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제1 영역(901)에는 사전판정을 요청하는 사전판정 신고서에 관련된 처리 버튼이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901)에는 신규, 저장, 취소, 삭제 버튼 등이 위치한다. 신규버튼은 사전판정 신고서를 신규작성할 때 사용하고, 저장버튼은 신규 혹은 수정된 사전판정 신고서를 저장시 사용하고, 취소버튼은 사전판정서의 작성을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또한, 삭제버튼은 선택한 사전판정 신고서를 삭제시 사용한다.
도 9의 제2 영역(902)에는 사전판정과 관련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보다 구 체적으로, 제2 영역(902)에는 관리번호, 등록자ID, 상호, 대표자명, 주소, 사업자번호 등이 표시된다. 관리번호는 시스템에서 부여하는 문서 관리번호이고, 등록자ID는 신청서를 등록한 사용자의 ID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도 9의 제3 영역(903)에는 물품에 관한 품목분류, 품목코드, HS 코드, 모델, 규격/성능, 용도, 대북수출구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도 9의 제4 영역(904)에는 첨부파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영역(904)에는 첨부파일유형, 첨부파일, 제출메모 등이 표시되고 추가적으로 통제 번호, 통제한글명, 품목기술수준이 표시될 수 있다. 첨부파일유형은 특성 명세서 또는 사용 매뉴얼 인지를 나타내고, 제출메모는 첨부파일에 대한 추가 설명을 나타낸다. 또한, 통제한글명은 통제 번호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고, 품목기술수준은 품목기술수준이 표시된다. 상술한 특성명세서 품목의 기술적 특성을 기재하는 양식이고, 사용 매뉴얼이란 그 품목에 대한 사용자 매뉴얼을 뜻하며, 품목기술수준이란 ‘통제 기준(예, 전압이 1kV)’에 대비되는 품목의 기술사양(예, 품목의 전압이 1.5kV)을 뜻한다.
도 10은 사전판정 접수와 보완요청에 관련된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출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전판정 접수와 관련해서는 판정신청번호, 접수번호, 등록일자, 승인자성명,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다. 보완요청이 있는 경우, 1차보완요청일, 1차보완완료일, 2차보완요청일, 2차보완완료일 등이 표시된다. 보완요청이란 사전판정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이나 첨부된 '특성명세서' 등이 판정을 하기에 부족할 경우 신청자에게 보완을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사전판정 결과는 '심사' 항목에 표시되며, 판정자성명, 전화번호, 종합의견, 판단근거 등이 표시된다.
이하, 특정한 코드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 도구(Search Tool)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엔터티(100)의 사용자는 HS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물품과 관련된 통제 기준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특정한 코드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 도구가 활성화된 입출력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제1 영역(1101)에는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물품에 관한 HS 코드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송신된다.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서는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연계표와 파라미터시트 및 품목해설서를 통해 해당 물품에 관련된 통제 번호/통제 기준과 전략물자 품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품목해설서는 전략물자로 지정된 품목에 대해 그 품목과 관련이 있는 HS 코드, 세부 통제 기준, 외형 등에 대해 해설한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은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로 통제 번호/통제 기준과 전략물자 품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10)을 통해 송신된 정보를 표시한다.
도 11의 제1 영역(1101)에서는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송신될 HS 코드가 선택된다.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에서 검색된 결과가 송신되며, 도 11의 제2 내지 제4 영역(1102, 1103, 1104) 영역에 해당 HS 코드와 관련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이상, 전략물자에 관련된 품목의 등록,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자체 판정,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외부에 판정 요청하는 사전 판정, 특정한 코드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 도구(Search Tool)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도 12는 상술한 각 내용이 수행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략물자에 관련된 물품을 네트워크 엔터티(100)에 등록한다(S1201). 사용자는 해당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자체 판정할지 아니면 사전 판정을 요청할지를 결정하고(S1202), 사전 판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방법에 사전 판정을 요청한다(S1204).
만약, 사용자가 자체 판정을 수행하는 경우, 자체 판정을 위한 입출력 창을 활성화시키고 자체 판정을 수행한다(S1203). 이 경우, 검색 도구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5, S1206).
상기 자체 판정 또는 사전 판정의 결과는 네트워크 엔터티의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며(S1207), 저장된 데이터 중 일부는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송신되거나 수출입 업무와 관련된 사후 업무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S1208).
도 13은 상술한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데이터 처리의 종류는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우선, 상술한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기본정보관리에 관한 데이터 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는 전략물자의 규정에 관련된 CP관리, 품목에 관련된 품목정보관리, 거래자와 관련된 거래자정보관리, 비즈니스에 연관된 업무처리에 관한 기초데이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정보에 관한 데이터 처리는, 도 13에 도시된 체계에 따라 입출력 메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기본정보관리 항목의 '품목정보관리' 와 '거래자정보관리' 항목을 통해 무역거래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엔터티(100)를 통해 품목에 대한 판정에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도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검색도구를 통해 획득하는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품목에 대한 정보와 부적격 거래자에 대한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품목에 대한 정보는, 품목과 관련된 각종 국제 식별 코드들에 관한 정보 또는 품목의 사용 용도에 대한 정보이다. 부적격자 거래자에 관한 정보는 특정 거래처가 국제적으로 요주의 업체로 공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술한 검색도구에 관한 데이터 처리는, 도 13에 도시된 체계에 따라 입출력 메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상술한 사전 판정 또는 자체 판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바, 도 13에 도시된 체계에 따라 입출력 메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으로 제공된 파라미터 시트를 관리하고, 자체/사전 판정을 수행하며, 이와 관련된 첨부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엔터티(100)는 수출입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바, 도 13에 도시된 체계에 따라 입출력 메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전략물자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품목에 대하여 수출허가, 수출거래 보고, 수입증명서 발급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3의 각각의 동작은 전략물자관리시스템(200) 또는 외부 데이터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수행되거나 네트워크 엔터티(100)에 의해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터티는 특정한 물품에 관련된 거래자, 계약서 등 전략물자 관리를 위한 통합 기능 제공을 제공한다. 즉, 기업에서 제조, 수출입하는 품목에 대한 HS 코드, 모델명 등 품목관련정보, 국내외 수출거래자 정보, 각종 계약서 관리를 사용자의 네트워크 엔터티(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에서 수행하므로 유연한 전략물자 관리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HS 코드와 같이 미리 입력한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도구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연계표와 파라미터시트, 품목해설서 등으로부터 관련 통제 번호, 통제 기준, 전략물자 품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검색도구과 연계하여 업체 스스로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체판정 지원기능 제공하여 적은 관리 인원으로도 손쉽게 전략물자 업무를 처 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체판정이 불가한 경우, 품목에 대한 전략물자 확인을 전략물자 판정전문기관에 신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손쉽게 전략물자 업무를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략물자로 확인된 경우 해당 물품에 관련된 판정정보, 품목정보, 기업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고, 해당 물품에 관련된 전략물자 신고, 수출허가 신청 및 조회, 수출거래보고, 수입증명서발급 등 전략물자 관리업무 처리를 한번에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통해 전략물자 관리제도를 준수하였다는 의무이행내역을 증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략물자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구현되는 관리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략물자에 관련된 품목을 등록하는 입력창의 일례이다.
도 3은 특정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를 자체 판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파라미터시트에 포함되는 전략물자 품목리스트의 통제 번호/통제 기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네트워크 엔터티에서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을 통해 수신된 통제 번호 및 통제 기준을 표시한 일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자체판정을 수행하고 판정 결과를 조회하는 입출력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자체판정 수행하는 입력창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전판정에 관한 상세 내역을 조회하는 출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사전판정을 신규로 요청하거나 삭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입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사전판정 접수와 보완요청에 관련된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출력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특정한 코드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 도구가 활성화된 입출력 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술한 각 내용이 수행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술한 네트워크 엔터티(10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6)

  1.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 있어서,
    물품에 대한 HS 코드, 품명 및 제조자명을 포함하는 물품상세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자체 판정을 요청받는 단계;
    자체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상기 통제 번호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및 복수의 통제 기준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통제 기준에 상응하는 통제 번호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송신된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략물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특정한 HS 코드와 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간의 매핑 관계를 정의하는 연계표에 따라,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를 송신하고,
    복수 개의 통제 기준이 계층적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시트에 따라 상기 송신되는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상기 파라미터시트로부터 획득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물자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사전 판정을 요청받는 단계; 및
    사전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 규격 및 성능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물자 관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물자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물자 관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저장된 품목해설서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물자 관리 방법.
  6. 전략물자 해당 여부를 자체 판정하는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전략물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는,
    물품에 대한 HS 코드, 품명 및 제조자명을 포함하는 물품상세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물품상세정보가 저장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 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관한 자체 판정을 요청받고,
    자체 판정이 요청된 물품의 HS 코드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상기 통제 번호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및 복수의 통제 기준을 표시하고,
    상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통제 기준에 상 응하는 통제 번호를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에 송신하고, 송신된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제 기준에 대한 각각의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특정한 HS 코드와 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 간의 매핑 관계를 정의하는 연계표에 따라, 상기 송신된 HS 코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제 번호를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복수 개의 통제 기준이 계층적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시트에 따라 상기 송신되는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는 복수의 통제 기준을 기초로 전략물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기준을 상기 파라미터시트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통제 기준에 관한 상세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되는 통제 번호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품목해설서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물자 관리를 위한 관리 네트워크.
KR1020070082898A 2007-08-17 2007-08-17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KR10092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98A KR100927553B1 (ko) 2007-08-17 2007-08-17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98A KR100927553B1 (ko) 2007-08-17 2007-08-17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48A true KR20090018448A (ko) 2009-02-20
KR100927553B1 KR100927553B1 (ko) 2009-11-27

Family

ID=4068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98A KR100927553B1 (ko) 2007-08-17 2007-08-17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21A1 (ko) * 2012-06-21 2013-12-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통한 기술시장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468A (ko) * 2021-03-09 2022-09-16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우려거래자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00B1 (ko) * 2013-05-07 2014-11-03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전략물자 관련 키워드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6599B1 (ko) * 2013-05-07 2014-11-03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전략물자 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97A (ko) * 2000-03-17 2000-06-05 이준호 인터넷 개방형 네트워크에서의 상거래 주체 중심의 전자상거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21A1 (ko) * 2012-06-21 2013-12-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품 수요·공급 연결망을 통한 기술시장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468A (ko) * 2021-03-09 2022-09-16 한국원자력 통제기술원 우려거래자 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553B1 (ko) 200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anteeing authenticity of branded goods
JP3941358B2 (ja) 受発注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流通支援システム
US2008012615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ortation and exportation transaction logistics facilitation
US200400445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rocurement involving electronic requests for quotation
KR102181941B1 (ko) 상품 안전성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417552B2 (en) Electronic select provider network
US20100017253A1 (en) Profiling service provider companies and technicians
US20020099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mmunicating with suppliers, such as under an electronic auction
JP2009110197A (ja) 購買業務システム、購買業務処理方法、および購買業務処理プログラム
KR100927553B1 (ko) 전략물자 관리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전략물자 관리방법
KR100890426B1 (ko) 동일한 제품에 대해 서로 다르게 표기되는 제품코드 및부품코드의 통합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품공급망 체인 관리방법과 시스템
KR101254720B1 (ko) 무역 시뮬레이션의 hs 코드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77662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문상품 정보의 정렬방법
US20040039735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earching for products and services
KR100382837B1 (ko)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
US6393417B1 (en) Method for providing a rapid internet search
US20100017337A1 (en) Establishing a buyer/service provider relationship electronically
US20170147978A1 (en) Executing shipments based on physical trade documents
KR20030078446A (ko)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기업 간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0155A (ko) 철강재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방법
US20020010644A1 (en) B2B e-commerce system for plant construction implemented on web server and method thereof
JP4867291B2 (ja) 商談・注文システム、商談・注文方法、および商談・注文処理プログラム
JP2001175687A (ja) 企業間電子商取り引きのための標準化された品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19025B2 (en) Executing terms of physical trade documents
KR20090116317A (ko)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