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422A - An apparatus for cooking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422A
KR20090018422A KR1020070082857A KR20070082857A KR20090018422A KR 20090018422 A KR20090018422 A KR 20090018422A KR 1020070082857 A KR1020070082857 A KR 1020070082857A KR 20070082857 A KR20070082857 A KR 20070082857A KR 20090018422 A KR20090018422 A KR 2009001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body
heating
auxiliar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우범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허우범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우범, 용 석 장 filed Critical 허우범
Priority to KR102007008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8422A/en
Publication of KR2009001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A cooker capable of independently heating up a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 is provided to allow to a user to separately cook various materials with a heated zone of burner clas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aims of cooking or material. A cooker capable of independently heating up a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300) comprises a heating unit(100) installed in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pening(11) opened toward top of a dining table(10), a supporting frame(200) installed in the dining table and a plurality of cookers which is set at the supporting frame. The heating unit is comprised of different of heating torches(110,120,130) to independently heat a classified heat zone. The supporting frame, made of a metal material, independently supports a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 and is connected to the dining table. The several cooking container includes a main firing plate(310) inserted in a first deferment hole and sub containers(320, 330) inserted in a second and a third deferment hole.

Description

조리장치{An apparatus for cooking}An apparatus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서로 섞이지 않게 분리시켜 독립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cooking independently by separating various kinds of foods from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기존의 대중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조리장치 중에서는 식탁에 가스버너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숯불 화덕을 넣을 수 있도록 식탁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화덕 거치대가 마련된 조리장치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 또는 숯불 화덕 위에 요리를 할 수 있는 불판이나 찌게 그릇을 올려놓고 가열하여 조리해 먹는 것이 대부분이다.In general, among cooking apparatuses used in existing restaurants, gas burners are integrally installed on a dining table, or most cooking apparatuses are provided with a stove holder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ning table so as to put a charcoal stove. In addition, the gas burner or charcoal stove is cooked by heating and placing a fire plate or steaming bowl for cooking.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가스버너 또는 숯불 화덕 위에 요리 기구를 올려놓는 경우에, 한가지 음식만을 조리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식을 익힐 경우에는 서로 혼합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oking utensil is placed on the gas burner or the charcoal stove as described above, only one food may be cooked, or when various kinds of foods are cooked, there is a problem of mixing with each other.

즉, 종래에 대중 음식점에서 갈비, 삼겹살과 같은 육류를 구워먹을 경우, 가스버너 또는 숯불 화덕 위에 하나의 불판을 올려놓고, 그 불판 위에 고기뿐만이 아니라, 김치, 두부, 버섯, 마늘 등 다양한 음식을 함께 올려놓고 익히게 된다. 이 경우, 여러 가지 재료를 함께 섞어서 익히게 되므로, 각 재료의 고유의 맛이 없어져서 맛이 떨어지며, 또한 육류에 있는 균 등이 열에 의해 비활성화되기 전에 다른 재료로 옮겨져서 사람이 섭취하게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conventionally grilling meats such as ribs and pork belly in a restaurant, put one fire plate on a gas burner or charcoal fire oven, and not only meat but also various foods such as kimchi, tofu, mushrooms and garlic. Put it on and learn. In this case, since various ingredients are mixed together and cooked, the unique taste of each ingredient is lost, and the taste is reduced. Also, the germs in the meat may be transferred to other ingredients before being inactivated by heat and consumed by humans. There is this.

또한, 육류와 함께 제공되는 찌게류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식기 때문에 다시 가열하기 위해서는 육류 가열판 위에 올려놓아 식는 것을 지연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가열판 위에 찌게 그릇을 그대로 올리게 되므로 비위생적이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eamed crabs served with meat, they are delayed by placing them on a meat heating plate in order to heat them again because of the dishware, and in this case, the steaming bowls are placed on the heating plate as they are unsanitary.

또한, 다른 버너에서 찌게 등을 데울 경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when warming the steam in other burn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너의 가열부분을 여러 개로 구분하여 부분적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재료를 분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partially cooked by separating the heating portion of the burner, the object to provide an improved cooking apparatus to separate and cook a variety of materials There is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식탁의 개방된 개방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설치되며, 가열 영역을 복수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가열할 수 있는 가열유닛과; 상기 식탁의 개방구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조리용기를 독립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열영역에 대응되게 구분된 다수의 거치구멍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거치구멍 각각에 삽입되어 거치되어 여러 가지 조리 재료를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조리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pen opening of the dining table, the heating unit which can be hea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by dividing the heating area into a plurality; A support frame installed to be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dining 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ing regions so as to independently mount the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And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mounting holes of the support frame to independently accommodate various cooking materials.

여기서,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거치되며, 육류를 구울 수 있는 메인 불판용기과; 상기 메인 불판용기보다 작은 넓이로 마련되며, 상기 메인 불판용기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거치되는 복수의 보조 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oking vessel is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the main grill plate for cooking meat;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main platen container, a plurality of auxiliary containers each mounted on both sides with the main platen plate in between.

또한, 상기 메인 불판용기는, 내부 바닥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소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불판용기 몸체와;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거치구멍의 테두리에 거치되 는 플랜지부; 및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main platen container, the platen body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parallel to the inner bottom,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A flange portion bent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unstable container body and mounted on an edge of a mounting hole of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body.

또한,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수용공간의 내측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g portions a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unstable container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jaw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또한, 상기 보조 용기는, 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를 가지는 보조용기 몸체와;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구멍의 테두리에 접촉 지지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측단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The auxiliary container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contain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to accommodate material; A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dg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and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an edge of the mounting hole;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wherein the flange portion has an inlet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 side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보조용기의 다리부는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수용부의 내측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eg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바닥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is formed to be curved to the outside,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otruding ja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서로 용도가 다른 복수의 용기를 식탁에 거치시키되, 각각의 용기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음식재료를 섞이지 않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된다.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ontainers having different uses are placed on a table, each of the containers can be separately divided and heated so that various food ingredients are not mix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You will be able to eat.

특히, 육류와 국종류 등을 구분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어, 각 재료 고유의 맛이 희석되지 않게 되어 보다 맛있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cook meat and soup types, so that the inherent taste of each ingredient is not diluted, and the food can be more deliciously ingested.

또한, 각각의 보조용기를 사이즈별로 마련하여 음식재료의 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by arranging various auxiliary container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food ingredients by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탁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식탁(10)의 상면으로 개방된 개방구(11)로부터 소정 깊이에 설치되는 가열유닛(100)과, 상기 개방구(11)에 거치되게 상기 식탁(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거치되는 복수의 조리 용기(300)를 구비한다.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dining table shown in FIG. 1 and 2,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1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pening 11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ning table 10, and the opening Th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on the dining table 10 to be mounted on the table 11, and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300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0 are provided.

상기 가열유닛(100)은 가열 영역을 복수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가열유닛(100)은 상기 개방구(11)의 안쪽에서 대략 중앙에 위치한 제1버너(110)와, 제1버너(1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2 및 제3버너(120, 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버너들(110, 120, 130)을 독립적으로 동작시켜서 불을 켜거나 조절하거나 끌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제2 및 제3조작 레버(111, 121, 131)가 각 버너들(110, 120, 130)에 대응되게 설치된다.The heating unit 100 is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to be hea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The heat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burner 110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11, and second and third burners 120 and 13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burner 110, respectively. ).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ration levers 111, 121, and 131 provided to operate the burners 110, 120, and 130 independently and to turn on, adjust, or turn off the lights are respectively burners ( Corresponding to the 110, 120, 13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제1버너(110)는 넓은 영역을 가열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U'자 형태로 분기되어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할 메인 불판용기(310)의 하부 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버너(110)는 제1조작레버(111)의 조작에 의해 가스밸브의 온/오프 동작과, 가스량 조절 및 스파크발생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메인 불판용기(310)에 대한 가스불꽃의 점화, 불꽃, 소화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first burner 110 has a structure extended by branching in a 'U' shape at one end to heat a wide are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venly heat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main unplate container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burner 110 may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gas valve, the gas amount adjustment and the spark generation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on lever 111, and thus the gas flame on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I can control the ignition, flames, fire extinguishing.

상기 제2 및 제3버너(120, 130) 각각은 제1버너(110)의 양측 각각에 소정 길이로 마련되어 후술할 보조 용기들(320, 330) 각각을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및 제3버너(120, 130) 각각은 제2 및 제3조작레버(121, 131)의 조작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동작 됨으로써, 상기 보조 용기들(320, 330)을 독립적으로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불판용기(310)의 가열과도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second and third burners 120 and 1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 each side of the first burner 110 so as to independently heat each of the auxiliary containers 320 and 330 to be described later.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burners 120 and 130 is independent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operating levers 121 and 131, thereby controlling the auxiliary containers 320 and 330 to be independently heat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separately from the heating of the main unbleed container (310).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식탁(10)의 개방구(11)에 거치되게 설치된다. 이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다수의 조리용기(300)를 독립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열영역 즉, 제1 내지 제3버너(110, 120, 130)에 대응되게 마련된 제1 내지 제3거치구멍(210, 220, 230)을 가진다.3A and 3B, th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of the dining table 10. The support frame 200 includes first to third heat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ing regions, that is, the first to third burners 110, 120, and 130, to independently mount the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300. It has three mounting holes 210, 220, and 230.

상기 제1거치구멍(210)은 지지프레임(20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제1버너(11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거치구멍(210)은 제2 및 제3거치구멍(220, 230)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 제1거치구멍(210)에 상기 메인 불판용기(310)가 삽입되어 지지 된다. 상기 제2 및 제3거치구멍(220, 230) 각각에는 제1거치구멍(2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및 제3거치구멍(220, 230) 각각은 제2 및 제3버너(120, 130)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조리용기(320, 330)가 삽입되어 지지 된다.The first mounting hole 210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er of the support frame 2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burner 110. The first mounting hole 210 is formed to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and third mounting holes 220 and 230. The main unstable container 310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first mounting hole 210.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mounting holes 220 and 230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irst mounting hole 210.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mounting holes 220 and 2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burners 120 and 13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s 320 and 330.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조작레버(111, 121, 131)에 대응되게 마련된 조작구멍(24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구멍(240)을 통해서 제1 내지 제3조작레버(111, 121, 131)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레버들(111, 121, 131)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0 is formed with an operation hole 240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rating levers (111, 121, 131).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levers 111, 121, and 131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nipulation hole 240, so that the user ma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levers 111, 121, and 131.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지프레임(2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식탁(1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Support frame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s coupled to the dining table 10 is installed.

상기 복수의 조리 용기(300)는 제1거치구멍(210)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메인 불판용기(310)와, 제2 및 제3거치구멍(220, 230) 각각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보조 용기(320, 330)를 구비한다.The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300 are the main unplate container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ding hole 210 and the auxiliary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mounting holes 220 and 230, respectively ( 320 and 330.

상기 메인 불판용기(3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넓이 및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불판용기 몸체(311)와,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15)와,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의 하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317)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includes a fire plate container body 311 hav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nd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dge of the plate plate body 311. An extended flange portion 315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317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platen body 311 is provided.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 내부의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요철부(311a)가 마련된다. 상기 요철부(311a)는 소정 길이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even portion 311a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lator container body 311. The uneven portion 311a may include a protruding rib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in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의 바닥의 어느 일측에는 기름구멍(312; 도 4c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311a)가 메인 불판용기(3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기름이 흘러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한쪽으로 흘러간 기름은 상기 기름구멍(312)을 통해 메인 불판용기(310)의 하부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 불판용기(310)의 하측에는 기름수거통(4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oil hole 312 (see FIG. 4C)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unstable container body 311. Since the uneven parts 311a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unstable container 310, it may serve to guide oil to flow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the oil flowing to one side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through the oil hole (31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il sump container 400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unplate container 310.

또한, 상기 요철부(311a)는 육류가 불판용기 몸체(311)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며, 육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출부(311a)에 의해 열전달 면적을 넓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육류를 빨리 구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요출부(311a)는 불판용기 몸체(311)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neven portion 311a prevents meat from sticking to and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nplaten container body 311 and prevents meat from burning. In addition, since the heat transfer area can be widened by the convex portion 311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at can be grilled quickly. This convex portion 311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e plate container body 311.

또한,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는 소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굽고 있는 육류가 메인 불판용기(310)의 바깥으로 이탈하여 식탁(10)의 윗부분이나 조작레버(111, 121, 131) 쪽으로 이동하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ill plate container 311 can secure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the grilled meat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grill plate container 3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ning table 10 or the operation levers 111 and 121. , 131) to prevent contamination by moving toward.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315)는 불판용기 몸체(31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지지프레임(200)의 제1거치구멍(210)의 테두리 위에 올려 놓인 상태로 지지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부(315)는 제1거치구멍(210)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플랜지부(315)의 하측에는 돌출턱(315a)이 돌출형성됨으로써, 플랜지부(315)가 지지프레임(200)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315)와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소정높이의 틈(G)이 형성되고, 그 틈(G)을 통해 버너의 불꽃을 살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315)와 지지프레임(200) 사이의 틈(G)으로 메인 불판용기(3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집게 등을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열에 달궈 진 메인 불판용기(310)를 소정의 이송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315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ten body 311, so that it can be supported in a state placed on the edge of the first mounting hole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Therefore, the flange portion 315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mounting hole 210.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jaw 315a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315 so that the flange portion 315 may be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200. Therefore, a gap G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315 and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flame of the burner can be inspected through the gap G. In addition, since the tongs for moving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flange portion 315 and the support frame 200,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heated to heat is inserted. It can be easily separated using a predetermined transfer tool.

상기 다리부(317)는 상기 불판용기 몸체(311)의 하측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317)는 바람직하게는 4개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311)의 하측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다리부(317)는 몸체(311)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단차진 지지턱(317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부(317)에 지지턱(317a)을 형성하게 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인불판 용기(310)를 적층시킬 경우, 다리부(317)의 지지턱(317a)이 하측에 위치한 메인 불판용기(310)의 수용부 내측 테두리부분(313)에 걸쳐져 지지된다. 이와 같이 4곳의 다리부(317)가 불판용기 몸체(311)의 내측 상단 테두리부분(313)에 상면 및 내측면 각각에 걸쳐 접촉되어 지지 됨으로써, 다수의 메인 불판용기(310)를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 불판용기(310)를 복수 적층하여 보관하더라도, 통기성이 좋아서 내부 수용공간의 물기 등을 건조시키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leg portion 317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n body 311. Preferably, four leg portions 317 are provided at lower corners of the body 311. do. The leg portion 3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311, the lower stepped support jaw 317a is formed. The support jaw 317a is formed on the leg 317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4B, when the plurality of main plate plates 310 are stacked, the support jaw 317a of the leg 317 is formed. ) Is supported over the inner edge portion 313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inlet container 310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is way, the four leg portions 317 are supported on the inner upper edge portion 313 of the platen body 311 over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respectively, thereby stably stacking the plurality of main platen plates 310. You can do it. In addition, even if a plurality of main inflator containers 310 are stacked and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dry the moisture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due to good ventilation.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불판용기(310)를 지지프레임(200)에 거치시, 기름구멍(312) 쪽으로 메인 불판용기(310)가 기울어지도록 거치할 수 있게, 지지프레임(200)의 어느 한쪽에는 돌출된 지지턱(201)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메인 불판용기(310) 내의 기름 및 육즙 등이 흘러내려서 기름구멍(312)을 통해 제거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c, when the main platen plate 310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0, so that the main plate plate 310 can be mount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il hole 312, the support frame 200 Protruding support jaw 201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erefore, the oil and the juice in the main grill plate 310 flows down and can be removed through the oil hole 312.

또한, 도 1,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용기(320, 330)는 상기 메인 불판용기(31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각각의 보조 용기(320, 330)는 구조에 있 어서는 서로 유사하나, 전체적인 길이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으며, 그 길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더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거치구멍(230)에 2개의 보조용기(330)가 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보조용기(330)보다 작은 크기의 보조용기 3개를 거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330)를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하여 2개를 거치구멍(230)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5A and 5B, the auxiliary container (320, 330) is install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preferably have a different size. . That is, each of the auxiliary container (320, 330) is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structur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verall length, the lengt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various examples. That i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two auxiliary containers 330 are mounted to the third mounting hole 230 as an example, three auxiliary container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auxiliary container 330 are mounted. Of course you can. In addition, the auxiliary container 330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to install two in the mounting hole 230.

한편, 상기와 같은 보조용기(320, 330) 각각은 보조용기 몸체(321, 331)와, 보조용기 몸체(321, 331)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25,335)와, 보조용기 몸체(321, 331)의 하측면에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327, 337)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auxiliary containers (320, 330)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321, 331), the flange portion (325, 33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321, 331),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327 and 337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321 and 331.

상기 보조용기 몸체(321, 331)는 소정 깊이 및 넓이를 가짐으로써, 소정 음식 재료를 수용하여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국이나 찌게 종류의 음식을 담아서 가열할 수 있도록 메인 불판용기(310)보다는 깊은 수용공간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그 보조용기 몸체(321, 331)의 바닥은 하방향 즉,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321, 331)의 하부에서 불꽃이 만곡진 형상을 따라서 가이드 되어 보조용기 몸체(321, 331)의 하측면과 외측면 각각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container body (321, 331)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and heating a predetermined food material.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have a deeper receiving space than the main grill plate 310 so that it can be heated by holding a type of soup or steaming. And the bottom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321, 331) is preferably formed to be cur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the outer direction. Therefore, the flame is guided along the curved shap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321, 331) is able to evenly heat each of the lower and outer surfaces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321, 331).

또한, 몸체(321, 331) 내부에 담긴 국물류의 음식을 국자 등으로 떠내기가 용이하며, 음식물이 몸체(321, 331) 내부의 바닥에 달라붙더라도 추후에 설거지 등의 청소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food of the broth contained in the body (321, 331) with a scoop, etc., even if the food clings to the bottom of the body (321, 331) to perform cleaning operations such as washing dishes later There is an easy advantage.

상기 플랜지부(325, 335)의 하측에는 돌출턱(325a, 335a)이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턱(325a, 335a)의 형상 및 그 기능은 앞서 도 4a를 통해 설명한 돌출턱(315a)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rotruding jaws 325a and 335a protrude from the lower sides of the flanges 325 and 335. Since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protruding jaws 325a and 335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otruding jaws 315a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플랜지부(325, 335)에는 그 외측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325b, 335b)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s 325 and 335 are provided with the inlet grooves 325b and 335b formed to be introduced into the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end thereof.

상기 인입홈(325b, 335b)은 플랜지부(325,335) 4변 각각에 형성되며, 플랜지부(325, 335)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입홈(325b, 335b)은 집게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보조용기(320, 330)를 들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거치시키거나, 거치된 상태에서 분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중심을 잡고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The inlet grooves 325b and 335b are formed at four sides of the flange portions 325 and 335, respectively, and are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s 325 and 335. The inlet grooves 325b and 335b are provid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0 by lifting the auxiliary containers 320 and 330 using a tool such as a forceps or the like, or to be separated from the mounted state. It is designed for easy centering and clamping.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복수의 보조용기(320)를 설치할 경우, 보조용기들(320) 사이에 상기 인입홈(325b)에 의해서 틈(T)이 마련되므로, 그 틈(T)을 통해서 버너 불꽃의 크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b, wh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containers 320 are installed next to each other, the gap (T) is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s 320 by the inlet groove 325b, the gap Through (T) it is easy to see the size of the burner flam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입홈(325b, 335b)을 플랜지부(325, 335)의 중앙부분에 형성하게 됨으로써, 집게 등의 도구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턱(325a, 335a)은 인입부(325b, 335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let grooves 325b and 335b ar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lange parts 325 and 335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rotruding jaws 325a and 335a are drawn in the inlet part (3) to avoid interference with tools such as tongs. 325b and 335b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rebetwee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따르면, 육류를 구워먹을 수 있는 메인 불판용기(310)와 국이나 찌게 종류 또는 다른 음식재료를 별도로 구분하여 가열할 수 있는 보조 용기들(320, 330)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여러 종류의 재료가 뒤섞여서 익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료 본래의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용기들(310, 320, 330)을 독립적으로 거치하여,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재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310 for roasting meat and auxiliary containers capable of separately separating and heating soup or steaming type or other food ingredients ( By providing 320 and 330, respectively, various kinds of material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ixed and cooked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ok food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taste of the ingredients.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s 310, 320 and 330 can be independently mounted and heated independent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ingredients can be cooked and eaten according to a user's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유닛 및 지지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heating unit and a support frame shown in FIG.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의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복수의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ure 3a.

도 4a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메인 불판용기를 복수 적층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FIG. 4B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inflator containers shown in FIG. 4A are stacked;

도 4c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용기의 단면도.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container shown in FIG.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용기의 정면도.Figure 5b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contain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식탁 100..가열유닛10. Table 100. Heating unit

110, 120, 130..제1, 제2 및 제3버너110, 120, 130 ... first, second and third burners

200..지지프레임 210, 220, 230..제1, 제2 및 제2거치구멍200. Support frame 210, 220, 230. First, second and second mounting holes

300..조리용기 310..메인 불판용기300. Cooking vessel 310. Main fire plate

320,330..보조 용기320,330..Secondary Container

Claims (7)

식탁의 개방된 개방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설치되며, 가열 영역을 복수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가열할 수 있는 가열유닛과;A heating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pen opening of the dining table, the heating unit being capable of heating by dividing the heating area into a plurality and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상기 식탁의 개방구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조리용기를 독립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열영역에 대응되게 구분된 다수의 거치구멍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A support frame installed to be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dining tabl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eating regions so as to independently mount the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상기 지지프레임의 거치구멍 각각에 삽입되어 거치되어 여러 가지 조리 재료를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조리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And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inserted into each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support frame to independently accommodate various cooking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oking vessel,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거치되며, 육류를 구울 수 있는 메인 불판용기과;It is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the main grill plate to grill meat; 상기 메인 불판용기보다 작은 넓이로 마련되며, 상기 메인 불판용기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거치되는 복수의 보조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And a plurality of auxiliary containers,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a smaller area than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and is mounted on both sides with the main fire plate container therebetw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불판용기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ulge container, 내부 바닥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며, 소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불판용기 몸체와;An inflator container body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parallel to the inner bottom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f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거치구멍의 테두리에 거치되는 플랜지부; 및A flange portion that is horizontally bent and extended from an upper end of the unstable container body to be mounted on an edge of a mounting hole of the support frame; And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불판용기 몸체의 수용공간의 내측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le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unstable container body,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is a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jaw is form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는,The auxiliary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를 가지는 보조용기 몸체와;An auxiliary container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receive material;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구멍의 테두리에 접촉 지지되는 플랜지부; 및A flan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dg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and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an edge of the mounting hole; And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며,Has a plurality of legs protruding on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상기 플랜지부에는 측단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groov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ide end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다리부는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수용부의 내측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eg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nner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 몸체의 바닥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ottom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dy is formed to be curved outwardly, and a protruding jaw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KR1020070082857A 2007-08-17 2007-08-17 An apparatus for cooking KR200900184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57A KR20090018422A (en) 2007-08-17 2007-08-17 An apparatus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57A KR20090018422A (en) 2007-08-17 2007-08-17 An apparatus for coo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22A true KR20090018422A (en) 2009-02-20

Family

ID=406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57A KR20090018422A (en) 2007-08-17 2007-08-17 An apparatus for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842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31B1 (en) * 2012-12-27 2013-06-21 주식회사 맛쭈 Roaster
KR101315131B1 (en) * 2012-03-12 2013-10-0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Roasting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1B1 (en) * 2012-03-12 2013-10-0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Roasting Plate
KR101277631B1 (en) * 2012-12-27 2013-06-21 주식회사 맛쭈 R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7B1 (en) Direct flame cooking apparatus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KR101965359B1 (en) Cooking container with fire throttle
KR101163871B1 (en)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US20230337857A1 (en) Griddle
KR200371963Y1 (en) Cooking pan
KR101530070B1 (en) Multipurpose cookware for roasting and soup
KR20090018422A (en) An apparatus for cooking
KR20110046002A (en) Grill for roast
JP2008054893A (en) Earthenware cooker
JP4340781B2 (en) Indirect heating cooking plate
KR200479654Y1 (en) Roaster
KR20110006479U (en) Heat induction type oven
KR101154028B1 (en) Direct fire cooker
KR101900924B1 (en) Grilled plate coupled gas range
KR20110000512U (en) Direct flame type fry pan
KR20170027039A (en) Multi-function grill
KR20160000642U (en) roaster for complex cooking
KR200480100Y1 (en) Roaster
KR200370079Y1 (en) A set for cooking roast and boiling food
KR20190113168A (en) Baking pan
KR200479718Y1 (en) Multipurpose grill and grill device using the same
KR200245632Y1 (en) A cookpot combining plate
KR200369957Y1 (en) Hot Plate
KR200366225Y1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