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835A -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835A
KR20090017835A KR1020070082318A KR20070082318A KR20090017835A KR 20090017835 A KR20090017835 A KR 20090017835A KR 1020070082318 A KR1020070082318 A KR 1020070082318A KR 20070082318 A KR20070082318 A KR 20070082318A KR 20090017835 A KR20090017835 A KR 20090017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rotation
unit
vehicl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835A/ko
Publication of KR2009001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천정패널에 장착된 모니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으로서, 적외선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부(100)와, 송신부(10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510)에 마련되는 감지부(200)와, 감지부(200)에 인가된 적외선 신호를 통해 송신부(100)의 위치를 추정한 후,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유닛(300) 및, 회전 신호 인가시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으로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니터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추정하여 승객이 시청하기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모니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천정패널, 모니터, 감지센서, 리모컨

Description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Revolving monitor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외선 신호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추정하여 승객의 위치방향으로 모니터를 회전할 수 있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RSE: Rser Seat Entertainment system)은 주로 RV차량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급 차량의 경우 RSE 모니터가 차실 내 1열, 2열 시트 헤드라이닝 중간 부분에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RSE 모니터는 대부분 헤드라이닝 중앙 부분에 마련되는 바, 차량 내에 탑승한 승객들은 RSE 모니터를 시청하기 위해 중앙으로 시선을 고정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좌우 회전이 가능한 RSE 모니터가 헤드라이닝 중앙 부분에 마련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특히,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종래 좌우 회전이 가능한 RSE 모니터는 시트에 센서를 장착하여 승객 무게에 따른 승객 위치를 파악하거나, 승객 머리 위에 별도의 센서를 마련하여 승객 위치를 파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승객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기 위한 별도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는바, 이로 인해 상기 센서를 추가 장착하기 위한 별도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어 제품 원가가 상승되고, 해당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신호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추정하여 승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모니터를 회전시키므로 승객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천정패널에 장착된 모니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으로서, 적외선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에 마련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인가된 적외선 신호를 통해 송신부의 위치를 추정한 후, 모니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회전 신호 인가시 송신부의 위치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가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한 서로 다른 적외선 신호의 수신 각도를 감지하여 송신부의 위치 추정이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유닛은, 상기 천정패널에 고정된 상부바디; 패드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와 접촉이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가 장착된 하부바디; 상기 모니터가 승강되도록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를 구동 연결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모니터의 하강시 상기 송신부의 위치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바디에 마련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웜기어와, 상기 하부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승강기어부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하부바디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에 따른 회전모터의 회전시 상기 하부바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회전축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은 차량 후석의 좌,우측에 승객이 있는 경우 상기 모니터가 헤드라이닝 센터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신호를 인가하고, 차량 후석의 일측에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위치 방향으로 모니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신호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추정하여 승객이 위치방향으로 모니터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시청하기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모니 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승객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모니터의 회전이 요구되는 경우 모니터가 하강한 후 회전되므로 차량의 고급감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리모컨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므로,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재료비의 상승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회전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부(100)와, 상기 모니터(510)에 마련되어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200)와, 적외선 신호를 통해 송신부(1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송신부(100)의 위치로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유닛(300) 및, 회전 신호에 따라 모니터(510)를 송신부(100)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니터유 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100)는, 후석에 위치한 승객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리모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리모컨은 모니터(510)의 작동하기 위한 기존 모니터의 작동하기 위한 무선리모컨이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모니터(510)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무선리모컨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후석의 좌측 또는 우측에 착석한 승객이 송신부(100)를 통해 적외선 신호를 상기 모니터유닛(400)의 감지부(200)에 인가하면,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송신부(100)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의 수신각을 추정하여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적외선 신호의 수신 각도를 통해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상기 모니터(510)에 이격 배치됨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한 서로 다른 적외선 신호의 수신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 즉 후석에 착석한 승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석 좌측 승객이 상기 모니터유닛(400)에 이격 배치된 2개의 감지부(200)에 적외선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2개의 감지부(200)에 평행하게 수신된 두 개의 적외선 신호는, 상기 모니터유닛(400)의 수평면에 대해 θ각도로 각각 수신된다. 이때, 상기 θ각도는 다음 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삼각형은 d를 빗변으로 하고 밑변을 m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다.)
[식 1]
m = c * t
m = d * cosθ
θ = cos-1(d/m)
(c : 3*10-8 m/sec (빛의 상수), t : 적외선 신호의 감지부 사이의 지연시간, d: 2개의 감지부 사이 거리)
이와 같이, 식 1을 통해 θ각도를 구하면, 적외선 수신 신호의 노말(normal) 벡터 방향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 1을 통해 계산된 θ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가 마련된 모니터유닛(400)을 π/2-θ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적외선 신호가 송신된 송신부(100)와 대향되는 방향 즉 후석 좌측 승객이 있는 방향으로 모니터유닛(400)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승객의 시인성은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θ각도에 따라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유닛(400) 및 제어유닛(300)이 각각 사용된다. 즉, 상기 감지부(200)를 통해 상기 승객의 위치가 추정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모니터유닛(400)을 통해 모니터(51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승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모니터(510)가 배치되도록 한다.
특히, 차량 후석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 중에서 어느 한 위치에만 승객이 있 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300)은 승객이 위치한 방향으로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신호를 상기 모니터유닛(400)에 인가한다. 반면에, 차량 후석의 좌측과 우측에 승객이 모두 있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300)은 차량 후석의 좌,우측 사이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510)를 회전하여 상기 모니터(510)가 헤드라이닝 센터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한 회전 신호를 상기 모니터유닛(400)에 인가한다.
이렇게 상기 제어유닛(300)으로부터 회전 신호를 인가받은 모니터유닛(400)은,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모니터(51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300)에 의해 작동되는 모니터유닛(400)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유닛(400)은 차량의 천정패널(500)에 고정 설치된 상부바디(410)와, 패드(450)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410)와 접촉 가능하며 모니터(510)가 장착된 하부바디(420)와, 상기 모니터(510)가 승강되도록 상기 상부바디(410)와 하부바디(420) 사이를 구동 연결하는 승강수단(430) 및, 상기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440)으로 구성된다.
특히,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430)은 상기 상부바디(410)에 마련되는 승강모터(431)와, 상기 승강모터(431)의 회전축에 구비되 는 웜기어(432)와, 상기 하부바디(42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432)와 치합되는 승강기어부(434)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43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4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440)은 상기 승강모터(431)의 회전축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기어부(443)와, 상기 하부바디(420)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모터(441) 및, 상기 승강부재(433)의 하강에 따른 회전모터(441)의 회전시 상기 하부바디(4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회전축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기어부(44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442)로 구성된다.
즉, 도 3a 및 4a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바디(410)와 하부바디(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적외선 신호가 상기 송신부(100)로부터 감지부(200)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유닛(300)은 감지부(200)를 통해 송신부(100)의 위치방향을 추정하고, 해당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510)가 회전되도록 상기 모니터유닛(400)에 회전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도 3b 및 4b에서 보듯이, 상기 승강수단(430)의 승강모터(431) 회전에 따라 상기 웜기어(432)가 회전되고, 상기 웜기어(432)에 치합된 승강부재(433)는 상기 웜기어(432)의 회전에 의해 하강된다.
상기 승강부재(433)의 하강에 의해 상기 하부바디(42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회전모터(441)의 회전기어부(442)는 상기 승강모터(431)의 구동기어부(443)와 치합된다. 이때, 도 3c 및 4c에서 보듯이, 상기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441)가 상기 송신부(100)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바디(420)는 상기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 회전하게 됨에 따라, 결국, 모니터(510)는 승객이 있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승객의 시인성은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경우 적외선 신호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추정하여 승객이 위치방향으로 모니터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승객이 시청하기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모니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승객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추가 장착하므로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어 제품의 원가가 상승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회전 원리를 도시한 상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송신부 200 :감지부
300 :제어유닛 400 :모니터유닛

Claims (5)

  1. 차량 천정패널에 장착된 모니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으로서,
    적외선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부(100);
    상기 송신부(10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510)에 마련되는 감지부(200);
    상기 감지부(200)에 인가된 적외선 신호를 통해 송신부(100)의 위치를 추정한 후,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유닛(300); 및,
    회전 신호 인가시 상기 송신부(100)의 위치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니터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는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한 서로 다른 적외선 신호의 수신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부(100)의 위치 추정이 하기 위해,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유닛(400)은, 상기 천정패널(500)에 고정된 상부바디(410)와, 패드(450)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410)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모니터(510)가 장착된 하부바디(420)와, 상기 모니터(510)가 승강되도록 상기 상부바디(410)와 하부바디(420) 사이를 구동 연결하는 승강수단(430) 및, 상기 모니터(510)의 하강시 상기 송신부(100) 위치 방향으로 상기 모니터(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30)은, 상기 상부바디(410)에 마련되는 승강모터(431)와, 상기 승강모터(43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웜기어(432)와, 상기 하부바디(42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웜기어(432)와 치합되는 승강기어부(434)가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웜기어(43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43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440)은, 상기 승강모터(431)의 회전축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기어부(443)와, 상기 하부바디(420)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모터(441) 및, 상기 승강부재(433)의 하강에 따른 회전모터(441)의 회전시 상기 하부바디(4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회전축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기어부(44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4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차량 후석의 일측에 승객이 있는 경우 일측 승객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니터(510)를 회전시키는 회전 신호를 인가하고, 차량 후석의 좌,우측에 승객이 있는 경우 좌,우측 승객 사이 방향으로 향 하도록 상기 모니터(510)를 헤드라이닝 센터부에 위치시키는 회전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KR1020070082318A 2007-08-16 2007-08-16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KR20090017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18A KR20090017835A (ko) 2007-08-16 2007-08-16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18A KR20090017835A (ko) 2007-08-16 2007-08-16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35A true KR20090017835A (ko) 2009-02-19

Family

ID=4068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318A KR20090017835A (ko) 2007-08-16 2007-08-16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8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088B2 (en) 2013-12-20 2019-07-30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ining frequent and in-frequent items from a large transaction database
CN111152732A (zh) * 2018-11-07 2020-05-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内显示屏的调节方法、车辆内显示屏转动组件及车辆
CN112937460A (zh) * 2019-12-11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显示器移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088B2 (en) 2013-12-20 2019-07-30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ining frequent and in-frequent items from a large transaction database
CN111152732A (zh) * 2018-11-07 2020-05-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内显示屏的调节方法、车辆内显示屏转动组件及车辆
CN112937460A (zh) * 2019-12-11 2021-06-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显示器移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440B2 (en) Seat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EP1940718B1 (en) Incline lift unit and incline lift
EP2551575B1 (en) Pop-up monitor with obstacle sensing function
KR101484201B1 (ko) 운전자 머리 위치 측정 시스템
KR101351918B1 (ko) 이중 랙기어 구조를 갖는 팝업 모니터
CN110091806A (zh) 车辆用显示装置
KR101304721B1 (ko) 전방향 바퀴를 가지는 이동장치
EP2071420A3 (en) Leve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eavy equipment
KR20130015743A (ko)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
WO2006085156A3 (en) Drive unit for x-ray system
KR20090017835A (ko) 차량 모니터의 회전 시스템
KR20190052498A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KR20130012792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팝업 모니터
US109946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ar-view vision with electronic display for a vehicle
KR101410631B1 (ko) 연료탱크를 이용한 차량 수평 유지장치
US20050200183A1 (en) Automobile seat system including a backrest inclination measuring device
EP1690756A4 (en) seat belt
US8979057B2 (en) Swinging support device
JP2021035835A5 (ko)
KR100757579B1 (ko) 자동차용 모니터의 밝기와 각도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917272B1 (ko) 적외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수단의 액티브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JP2001116841A (ja) 乗員検知装置
KR20130012793A (ko) 모니터 유동 방지 기능을 갖는 팝업 모니터
CN106198045B (zh) 一种汽车座椅调角器检测装置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