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815A - 방전등 점등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등 점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815A
KR20090015815A KR1020080072279A KR20080072279A KR20090015815A KR 20090015815 A KR20090015815 A KR 20090015815A KR 1020080072279 A KR1020080072279 A KR 1020080072279A KR 20080072279 A KR20080072279 A KR 20080072279A KR 20090015815 A KR20090015815 A KR 2009001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secondary winding
discharge
discharge lamp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아시카가
Original Assignee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7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방전등 점등 장치는, 복수의 방전등(1a 내지 1d), 직류 전압을 교번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번 전압 발생기(10), 및 1차 권선(P1)과 복수의 2차 권선(S1및 S2)을 갖는 트랜스포머(T1)를 포함한다. 1차 권선이 교번 전압 발생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방전등과 2차 권선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방전등 점등 장치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등(CCFL), 외부 전극 형광등(EEFL), 및 여타 형광등과 같은 방전등을 점등하기 위한 방전등 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FL은 수십 킬로헤르츠(kilohertz) 주파수의 수백 볼트 내지 천 수백 볼트의 전압이 인가될 때, 턴온(turn on)된다. EEFL은 그 전극 구조를 제외하고 CCFL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EEFL의 발광 원리도 CCFL의 그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EEFL을 턴온시키는데 사용되는 인버터는 CCFL을 턴온시키는데 사용되는 그것과 원리적으로 동일하다. 하기의 방전등 점등 장치에 의해 취급되는 방전등은, 예컨대, CCFL이다.
방전등 점등 장치는 인버터와 방전등을 포함한다. 인버터는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변환 주파수를 갖는 교번 전압(alternating voltage)으로 변환하는 교번 전압 발생기를 갖는다. 교번 전압은 전압 변환기에 의해 소요 전압 값을 갖는 것으로 변환된다. 방전등은 네거티브(negative) 저항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포지티브(positive) 저항 특성의 총 임피던스를 제공하기 위해, 캐패시터와 인덕터와 같은 포지티브 저항 특성을 갖는 소자와 직렬로 접속된다. 방전등에 접 속되는 캐패시터는 밸러스트(ballast) 캐패시터로 칭해진다.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를, 밸러스트 소자로서,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사용하는 밸러스트 회로가 있다. 이 회로는 방전등을 턴온시키는 고전압을 발생하고, 일단 방전등이 턴온되면, 트랜스포머의 전압을 방전등의 켜진 상태(lit-up state)를 유지하기 위한 레벨로 낮춘다. 이 회로는 항상 고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부품의 신뢰성, 노이즈 감쇄, 및 안전성이라는 점에서 유리하다. 밸러스트 소자가 캐패시터인 경우에, 캐패시터에 항상 전압이 인가되고, 따라서, 고전압이 항상 필요하다.
방전등의 휘도는 많은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방전등을 통과하는 전류치가 방전등의 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켜질 복수의 방전등이 있는 경우에, 그리고 방전등들을 통과하는 전류가 서로 동등할 경우에, 방전등들은 동등한 휘도를 각기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턴온될 복수의 방전등에 동등한 전류 또는 균형 잡힌 전류를 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등들과 직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와 같은 밸러스트 소자들을 포함하는 다중-등(multiple-lamp) 점등 회로는, 다른 방전등들이 온(ON)인지 오프(OFF)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각 방전등에 점등 개시 전압(lighting start voltage)을 계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누설 트랜스포머를 채용하는 다중-등 점등 회로는, 각기, 방전등에 대한 밸러스트 소자의 역할을 하는 누설 인덕턴스들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것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밸러스트 소자로서 누설 인덕턴스를 활용하는 다중-등 점등 회로는 방전등과 동수의 트랜스포머를 필요로 한다. 누설 트랜스포 머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 트랜스포머에 복수의 2차 권선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트랜스포머에 2개의 2차 권선을 구비시키는 것은 다중-등 점등 회로의 트랜스포머의 개수를 반감시킬 수 있다.
방전등을 통과하는 전류의 변화가 설명될 것이다. 켜질 방전등을 통과하는 전류는, 방전등의 임피던스, 온도에 기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방전등에 접속된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등에 좌우된다. 그것들로 인해, 복수의 방전등을 통과하는 전류는 서로 다르다.
도 1은 종래 기술 1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4개의 방전등(1a 내지 1d)은 각기 4개의 캐패시터(C1 내지 C4)와 직렬로 접속된다. 인버터(3)는 교번 전압 발생기(10) 및 전압 변환기(11)를 갖는다. 교번 전압 발생기(10)는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Vin)을 변환 주파수의 교번 전압으로 변환하고, 전압 변환기(11)는 교번 전압을 4개의 방전등(1a 내지 1d)을 턴온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압 값을 갖는 것으로 변환한다.
도 2는 종래 기술 2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교번 전압 발생기(10)는, 단(end)들이, 전류 공명 캐패시터(Cri)를 통해, 누설 트랜스포머(T4a 내지 T4d)의 1차 권선(P1 내지 P4)과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 소자(Q2)를 포함한다. 누설 트랜스포머(T4a 내지 T4d)는 방전등(1a 내지 1d)에 각각 접속된 2차 권선(S1 내지 S4)을 갖는다. 즉, 각 방전등에는 트랜스포머가 구비된다. 즉, 방전등(1a 내지 1d)이 동시에 턴온되도록, 방전등(1a 내지 1d)은 각기 누설 인덕턴스(L1 내지 L4)와 직렬로 접속된다. 원리 상, 어떠한 개수의 방전등도 트랜스포머 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동시에 턴온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 3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누설 트랜스포머(T5b)에서는, 누설 인덕턴스(L1), 2차 권선(S1), 누설 인덕턴스(L2), 및 2차 권선(S2)이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그 단들이 방전등(1c 및 1d)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에 접속된다. 누설 트랜스포머(T5a)에서는, 누설 인덕턴스(L3), 2차 권선(S3), 누설 인덕턴스(L4), 및 2차 권선(S4)이 직렬 회로를 형성하고, 그 단들이 방전등(1a 및 1b)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에 접속된다. 즉, 다중 방전등이 동시에 턴온될 수 있도록, 각 방전등은 누설 인덕턴스와 직렬로 접속된다. 도 4는 도 3의 종래 기술 3과 공통점이 있는 종래 기술 4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누설 트랜스포머(T6)는, 4개의 트랜스포머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4개의 2차 권선(S1 내지 S4)을 갖는다.
일본의 심사되지 않은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27789호는 복수의 트랜스포머에 대해 전류를 밸런싱(balancing)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도 1 및 2의 종래 기술 1 및 2는, 방전등 임피던스들 간의 변화, 온도에 의해 유발되는 방전등 임피던스의 변화, 또는 캐패시터들 간의 변화에 기인하는 방전등을 통과하는 변동 전류(fluctuating current)의 문제점을 각기 갖는다.
도 3의 종래 기술 3에 따르면, 방전등(1a 및 1b)과 트랜스포머(T5a)의 2차 권선이 루프(loop)를 형성하고, 방전등(1c 및 1d)과 트랜스포머(T5b)의 2차 권선이 루프를 형성한다. 그 결과, 방전등(1a 및 1b)이 동등한 전류를 수신하고 방전등(1c 및 1d)이 동등한 전류를 수신한다. 그러나, 방전등(1a 및 1c)은 동등한 전류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4의 종래 기술 4도 종래 기술 3과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방전등의 각각에 동등한 전류를 통하게 할 수 있는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턴온될 복수의 방전등의 각각에 동등한 전류를 통하게 할 수 있는 방전등 점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양태에 따르면, (i) 복수의 방전등, (ii) 직류 전압을 교번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교번 전압 발생기, 및 (iii) 1차 권선과 복수의 2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로서, 상기 1차 권선이 상기 교번 전압 발생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방전등과 상기 복수의 2차 권선은 직렬로 접속되고 폐루프(closed loop)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양태에 기반하는,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2차 권선의 개수는 4개 이상의 짝수이고, 상기 2차 권선의 2개씩 직렬로 접속되어 2차 권선 쌍을 이룬다. 상기 2차 권선 쌍의 각각은,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1 단, 및 다른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2 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직류 전압을 교번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교번 전압 발생기, 상기 교번 전압 발생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1차 권선과, 복수의 2차 권선을 각각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 및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에 각기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등 군(群)을 포함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각각과의 접속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권선과 상기 대응 방전등 군의 모든 방전등은 직렬로 접속되고 폐루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방전등의 각각에 동등한 전류를 통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에서, 교번 전압 발생기(10)는 직류 전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Vin)을 변환 주파수를 갖는 교번 전압으로 변환한다. 트랜스포머(T1)는 교번 전압을 소요 전압 값을 갖는 것으로 변환한다. 트랜스포머(T1)는 1차 권선(P1)과 2차 권선(S1 및 S2)을 갖는다.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S1)의 제1 단(점으로 마킹됨)은 방전등(제1 방전등)(1a)의 제1 단에 접속된다. 2차 권선(S1)의 제2 단은 방전등(제2 방전등)(1b)의 제1 단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S2)의 제1 단(점으로 마킹됨)은 방전등(제1 방전등)(1c)의 제1 단에 접속되고, 2차 권선(S2)의 제2 단은 방전등(제2 방전등)(1d)의 제1 단에 접속된다. 방전등(1b)의 제2 단은 방전등(1c)의 제2 단에 접속된다. 방전등(1a)의 제2 단은 방전등(1d)의 제2 단에 접속된다. 즉, 방전등(1a 내지 1d)과 2차 권선(S1 및 S2)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를 형성하거나 폐루프(Lc1)에 포함된다.
방전등(1a 내지 1d)과 2차 권선(S1 및 S2)는 폐루프 전류 경로(Lc1)를 따라 배치된다. 방전등(1b 및 1c)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방전등(1a 및 1d)이 서로 인접된다. 2차 권선(S1)의 제1 단은 인접한 방전등(1a 및 1d) 중 방전등(1a)의 제1 단에 접속된다. 2차 권선(S1)의 제2 단은 인접한 방전등(1b 및 1c) 중 방전등(1b)의 제1 단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방전등(1a 내지 1d)은 CCFL이고, CCFL, EEFL, 또는 여타의 형광등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구성에서, 전류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S1, 1a, 1d, S2, 1c, 1b, 및 S1을 따라 연장하는 경로(Lc1)를 통과한다. 즉, 4개의 방전등(1a 내지 1d)을 통과하는 전류가 단일 폐루프(Lc1)를 형성함으로써, 방전등(1a 내지 1d)은 동등한 값의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방전등과 트랜스포머의 복수의 2차 권선이 직렬로 접속되고 단일 폐루프(Lc1)에 포함되어, 동등한 전류를 방전등들에 통하게 한다. 즉, 방전등들에 의해 수신되는 전류 간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일반적으로, 방전등이 더 길어짐에 따라, 방전등은 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2차 권선(S1 및 S2)의 각각은 2개의 방전등에 대한 전압을 발생한다. 더 긴 방전등은 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고, 2차 권선(S1 및 S2)의 각각이 더 높은 전압을 발생해야하는 경우, 각 권선은 더 높은 내전압(耐電壓; withstand voltage)과 안전 신뢰성(securer reliability)을 가져야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에서, 트랜스포머(T2)는 1차 권선(P1)과 4개의 2차 권선(S1 내지 S4)을 갖는다.
2차 권선(S1 및 S2)이 직렬 회로(2차 권선 쌍)를 형성하고, 2차 권선(S3 및 S4)이 직렬 회로(2차 권선 쌍)를 형성한다. S1과 S2의 2차 권선 쌍의 제2 단과 S3 와 S4의 2차 권선 쌍의 제1 단의 사이에, 방전등(1b 및 1c)의 직렬 회로가 접속된다. S1과 S2의 2차 권선 쌍의 제1 단과 S3과 S4의 2차 권선 쌍의 제2 단의 사이에, 방전등(1a 및 1d)의 직렬 회로가 접속된다. 방전등(1a 내지 1d)과 2차 권선(S1 내지 S4)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를 형성하거나 폐루프(Lc1)에 포함된다.
방전등(1a 내지 1d), S1과 S2의 2차 권선 쌍, S3와 S4의 2차 권선 쌍은 폐루프 전류 경로(Lc1)를 따라 배치된다. 방전등(1a 및 1d)이 서로 인접되고, 방전등(1b 및 1c)이 서로 인접된다. 2차 권선(S1 및 S2)이 서로 인접되고, 2차 권선(S3 및 S4)가 서로 인접된다. S1과 S2의 2차 권선 쌍의 제1 단은 인접한 방전등(1a 및 1d) 중 방전등(1a)의 제1 단에 접속된다. S1과 S2의 2차 권선 쌍의 제2 단은 인접한 방전등(1b 및 1c) 중 방전등(1b)의 제1 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류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S1, 1a, 1d, S4, S3, 1c, 1b, S2, 및 S1을 따라 연장하는 경로(Lc1)를 통과한다. 즉, 각 방전등은 동등한 전류를 수신한다. 2차 권선들(S1 내지 S4)은 각기 단지 하나의 대응되는 방전등에 대한 전압을 발생한다. 이것은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긴 방전등에 대해서 특히 유효하다.
제2 실시예의 변형 1
도 7은 제2 실시예의 변형 1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에서, 트랜스포머(T3)는 6개의 방전등(1a 내지 1f)에 각각 대응되는 6개의 2차 권선(S1 내지 S6)을 갖는다.
방전등(1a 내지 1f)과 2차 권선(S1 내지 S6)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를 형성하여,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한다. 이러한 식으로,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6개 이상의 방전등을 취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에서, 트랜스포머(T1a)는 극성이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반대인 2차 권선(S2)을 갖는다. 방전등(1a)의 제2 단은 방전등(1c)의 제2 단에 접속되고, 방전등(1b)의 제2 단은 방전등(1d)의 제2 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류는 역방향으로 교번적으로, S1, 1a, 1c, S2, 1d, 1b, 및 S1을 따라 연장하는 경로를 통과함으로써, 각 방전등이 동등한 값의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 권선의 극성을 역전시키는 이러한 구성도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 1에 적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에서, 2개의 트랜스포머(T2a 및 T2b)는 8개의 방전등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트랜스포머(T2a)는 1차 권선(P1)과 2차 권선(S1 내지 S4)를 갖는다. 4개의 방전등(1a 내지 1d)은 방전등 군을 형성하고, 트랜스포머(T2a)의 2차 권선(S1 내지 S4)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a)를 형성하거나 폐루프(Lc1a)에 포함된다. 트랜스포머(T2b)는 1차 권선(P2)와 2차 권선(S5 내지 S8)을 갖는다. 4개의 방전등(1e 내지 1h)은 방전등 군을 형성하고, 트랜스포머(T2b)의 2차 권선(S5 내지 S8)은 직렬로 접속되어 폐루프(Lc1b)를 형성한다.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며 8개의 방전등(1a 내지 1h)를 취급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개수는 3개, 4개 또는 그 이상 증가되어 소요 개수의 방전등 군을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트랜스포머와 복수의 방전등 군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큰 다중-등 패널을 구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추가로, 도 10의 제5 실시예는 다이오드(D1 및 D2)와 저항(R1) 및 제어기(12)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기를 갖는다.
도 10에서, 다이오드(D1)과 저항(R1)의 직렬 회로는 트랜스포머(T2)의 2차 권선(S1)의 제2 단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직렬 회로의 단들은 다이오드(D2)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T2)의 2차 권선(S2)의 제1 단은 접지된다. 다이오드(D1)와 저항(R1)의 접속점은 제어기(12)에 접속된다.
전류 검출기는 2차 권선(S1)을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기반하여, 제어기(12)는 교번 전압 발생기(10)의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방전등(1a 내지 1d)에 정전류(constant current)를 통하게 한다. 제어기(12)는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라 방전등(1a 내지 1d)의 이상(abnormality)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점류 검출기를 이용하여 각 방전등에 통하는 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1을 참조하여, 도 10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기생 정전용량의 분포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서, 방전등(1a)의 제1 단과 접지 사이에는 기생 정전용량(Ca)가 있고, 방전등(1b)의 제1 단과 접지 사이에는 기생 정전용량(Cb)가 있으며, 방전등(1c)의 제1 단과 접지 사이에는 기생 정전용량(Cc)가 있고, 방전등(1d)의 제1 단과 접지 사이에는 기생 정전용량(Cd)이 있다.
2차 권선(S2 내지 S4) 주위로부터 기생 정전용량(Cb 내지 Cd)으로 전류가 통하고, 전류 검출 저항(R1)에도 전류가 통과하므로,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치는 실(true) 전류치보다 더 크게 된다. 이것은 전류 검출 정확도를 일정 레벨 아래로 저하시킬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6 실시예는 개선된 전류 검출 정확도를 실현할 수 있는 도 12에 도시된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한다. 도 12에서, 트랜스 포머(T2)의 각 2차 권선에는 전류 검출기가 구비된다. 즉, 2차 권선(S1)의 제2 단은, 2차 권선(S1)을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직렬로 접속된 저항(R1) 및 다이오드(D1 및 D2)를 갖는 전류 검출기에 접속된다. 2차 권선(S2)의 제1 단은, 2차 권선(S2)을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직렬로 접속된 저항(R2) 및 다이오드(D3 및 D4)를 갖는 전류 검출기에 접속된다. 2차 권선(S3)의 제2 단은, 2차 권선(S3)을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직렬로 접속된 저항(R3) 및 다이오드(D5 및 D6)를 갖는 전류 검출기에 접속된다. 2차 권선(S4)의 제1 단은, 2차 권선(S4)을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저항(R4) 및 다이오드(D7 및 D8)를 갖는 전류 검출기에 접속된다. 제어기(12)는 전류 검출기들에 의해 검출된 전류치들을 총합하고, 그 평균을 찾으며, 평균에 따라서, 교번 전압 발생기(10)를 제어하여 방전등(1a 내지 1d)에 정전류를 통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류 검출 정확도를 개선한다.
제7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추가로, 도 13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다이오드(D1 및 D2)와 저항(R1) 및 제어기(12)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기를 채용한다.
도 13에서, 트랜스포머(T2)는, 제2 단이 접지된 방전등(1a)에, 제1 단이 접속되는 2차 권선(S1)을 갖는다. 트랜스포머(T2)의 2차 권선(S4)은 방전등(1d)에 접속되는 제2 단을 갖는다. 방전등(1d)의 제2 단과 접지 사이에, 다이오드(D1)와 저항(R1)의 직렬 회로가 접속된다. 직렬 회로의 단들은 다이오드(D2)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1)와 저항(R1)의 접속점은 제어기(12)에 접속된다.
전류 검출기는 2차 권선(S4)에 대한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기반하여, 제어기(12)는 교번 전압 발생기(10)의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방전등(1a 내지 1d)에 정전류를 통하게 한다. 제어기(12)는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라 방전등(1a 내지 1d)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 추가로, 도 14의 제8 실시예는 다이오드(D3 및 D4) 및 저항(R2)을 포함하는 전류 검출기를 채용한다.
도 14에서, 트랜스포머(T2)는, 제2 단이 접지된 방전등(1b)에, 제2 단이 접속되는 2차 권선(S2)을 갖는다. 트랜스포머(T2)의 2차 권선(S3)은 방전등(1c)에 접속되는 제1 단을 갖는다. 방전등(1c)의 제2 단과 접지 사이에, 다이오드(D3)와 저항(R2)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가 접속된다. 직렬 회로의 단들은 다이오드(D4)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3)와 저항(R2)의 접속점은 제어기(12)에 접속된다.
제어기(12)는 전류 검출기들에 의해 검출된 전류치들을 총합하고, 그 평균을 찾으며, 평균에 따라서, 교번 전압 발생기(10)를 제어하여 방전등(1a 내지 1d)에 정전류를 통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류 검출 정확도를 개선한다. 제어기(12) 는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따라 방전등(1a 내지 1d)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7년 8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206641호에 대한 우선권의 혜택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이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되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앞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변형 및 변화가, 가르침을 참조로, 당업자에게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규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 1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 2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 3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 4의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의 방전등 점등 장치의 기생 정전용량의 분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Claims (6)

  1. 복수의 방전등;
    직류 전압을 교번 전압(alternating voltage)으로 변환하는 교번 전압 발생기; 및
    1차 권선과 복수의 2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로서, 상기 1차 권선이 상기 교번 전압 발생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전등과 상기 복수의 2차 권선은 직렬로 접속되고 폐루프(closed loop)에 포함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권선의 각각은,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1 단; 및
    상기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다른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2 단을 갖는, 방전등 점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의 개수는 4 이상의 짝수이고, 상기 2차 권선이 2개씩 직렬로 접속되어 2차 권선 쌍을 이루며;
    상기 2차 권선 쌍의 각각은,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1 단; 및
    상기 2개의 인접 배치된 방전등 중 다른 하나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제2 단을 갖는, 방전등 점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권선 쌍 중 하나의 2차 권선 쌍의 하나의 2차 권선은 접지에 접속되는 일단을 가지며,
    상기 2차 권선 쌍의 다른 2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 검출기가 설치된, 방전등 점등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권선 쌍 중 2개의 인접한 2차 권선 쌍에서 하나의 2차 권선 쌍의 2차 권선은, 제2 단이 접지에 접속된 방전등의 제1 단에 접속되는 일단을 가지며,
    제1 단이 상기 2개의 인접한 2차 권선 쌍에서 다른 2차 권선 쌍의 2차 권선에 접속되는 방전등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 검출기가 설치된, 방전등 점등 장치.
  6. 직류 전압을 교번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번 전압 발생기;
    상기 교번 전압 발생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1차 권선, 및 복수의 2차 권선을 각기 갖는 복수의 트랜스포머, 및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에 각기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등 군(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트랜스포머의 각각과의 접속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2차 권선과 상기 대응 방전등 군의 모든 방전등은 직렬로 접속되고 폐루프에 포함되는, 방전등 점등 장치.
KR1020080072279A 2007-08-08 2008-07-24 방전등 점등 장치 KR20090015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6641A JP2009043532A (ja) 2007-08-08 2007-08-08 放電灯点灯装置
JPJP-P-2007-00206641 2007-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815A true KR20090015815A (ko) 2009-02-12

Family

ID=4034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279A KR20090015815A (ko) 2007-08-08 2008-07-24 방전등 점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39795A1 (ko)
JP (1) JP2009043532A (ko)
KR (1) KR200900158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787B2 (ja) * 2007-08-27 2009-09-1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冷陰極放電灯点灯装置
US8872439B2 (en) * 2010-04-30 2014-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equal currents to current driven loa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0486B (en) * 1980-06-10 1985-02-27 Kaunassk Polt Inst Antanasa Lighting system
US6100651A (en) * 1989-04-17 2000-08-08 Hitoshi Ohtsuka Fluorescent lamp stabilizer harmonics reduction method
US5818181A (en) * 1996-11-19 1998-10-06 Magnetek, Inc. Neon lamp isolation transformer for mid-point commoned neon lamps
TW200517014A (en) * 2003-11-10 2005-05-16 Kazuo Kohno Drive circuit for lighting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43532A (ja) 2009-02-26
US20090039795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1136B (zh) 多组发光二极管的电流平衡供电电路
EP1581030B1 (en) Parallel lighting system for surface light source discharge lamps
US8890424B2 (en) Illumination device, illumination system, and lamp
US8089213B2 (en) LED fluorescent lamp
EP1981158B1 (en) Indirect d.c. converter with parallel transformers having planar windings
US7800318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a LCD backlight panel
US8054001B2 (en) Circuit structure for LCD backlight
JP4868025B2 (ja) 電流均衡化装置及びその方法、led照明器具、lcd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lcd表示機器
KR20100105368A (ko) 전류 균형화 장치 및 그 방법, 엘이디 조명기구, 엘씨디 비/엘 모듈, 엘씨디 표시기기
KR20100097600A (ko) 전류 균형화 장치 및 그 방법, 엘이디 조명기구, 엘씨디 비/엘 모듈, 엘씨디 표시기기
US20120293080A1 (en) Current balancing circuit
US8344643B2 (en) Driver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and/or external-electrode fluorescent lamps
TW200920187A (en) Ac power supply device
US8587226B2 (en) Driver system and method with cyclic configuration for multipl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and/or external-electrode fluorescent lamps
KR20090015815A (ko) 방전등 점등 장치
US9253830B2 (en) LED fluorescent lamp
US7304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charge lamps in a floating configuration
KR100959974B1 (ko) 방전 램프 점등기
US20140285115A1 (en) Multi-channel driver and illuminating device
US7319296B2 (en) Device for driving lamps
JP2007335267A (ja) 放電灯点灯装置
CN101258782B (zh) 放电灯驱动控制电路
JP2009224062A (ja) 放電管点灯装置
CA2114921A1 (en) High voltage switching circuit
KR20010021276A (ko) 미드포인트에서 피딩되는 정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