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693A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693A
KR20090015693A KR1020070080239A KR20070080239A KR20090015693A KR 20090015693 A KR20090015693 A KR 20090015693A KR 1020070080239 A KR1020070080239 A KR 1020070080239A KR 20070080239 A KR20070080239 A KR 20070080239A KR 20090015693 A KR20090015693 A KR 2009001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coration
mobile terminal
ornam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5693A/ko
Publication of KR2009001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된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를 이용하여 우수한 외관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고정함으로써 고품격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CASE FOR PORTABLE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외관을 갖는 보석류 같은 세라믹을 케이스의 장식물 (decoration)로 사용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에도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합성 수지 재질의 몸체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도료를 도포한다. 또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금속 재질의 몸체로 형성되고, 다양한 표면 처리 방법에 의해 케이스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세라믹 재료의 충격에 대한 취약한 특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외관을 갖는 보석류 같은 세라믹이 케이스의 장식물로 널리 사용되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우수한 외관을 갖는 보석류 같은 세라믹을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장식물로 적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된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박힌 상태로 고정된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몸체에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식물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거나 혹은 단차가 형성된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구조와 함께 혹은 별도로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 고정용 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각종 부품들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사출 성형된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박힌 상태로 고정된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의 소정 위치에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되 상기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장식물 고정용 시트를 위치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우수한 외관을 지니지만 충격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사용되지 못했던 보석류 같은 세라믹을 케이스의 장식물로 사용하고, 이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로 감싸 보호함으로써, 고품격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둘째, 세라믹을 케이스 몸체로 사용하지 않고 장식물로 사용하여 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다양한 색채를 띄는 2종 이상의 세라믹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타입 (Slide-type)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Bar-type), 폴더 타입 (Folder-type), 스위블 타입 (Swivel-type)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 하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 (100)와, 이 제1 바디 (100)의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 (2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 (100)가 제2 바디 (20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 (closed configuration)라고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 (100)가 제2 바디 (200)의 일부를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 (open configuration)라고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 바디 (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 (110)와 제1 리어 케이스 (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 (110)와 제1 리어 케이스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상기 제1 프론트 케이스 (110)와 제1 리어 케이스 (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바디 (100),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 (110)에는 디스플레이부 (130), 음향 출력부 (140), 제1 영상 입력부 (150) 또는 제1 조작부 (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13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13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 (140)는 리시버 (receiver) 또는 스피커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 (15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 (160)에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제1 바디 (100)와 마찬가지로, 제2 프론트 케이스 (210)와 제2 리어 케이스 (220)가 제2 바디 (20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어 케이스 (220)는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 (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제2 리어 케이스 (220)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바디 (200),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 (210)의 전면 (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 (2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론트 케이스 (210) 또는 제2 리어 케이스 (2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 (240), 제1 음향 입력부 (250), 인터페이스 (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 (160, 230, 240)는 조작부 (manipulating portion)로 통칭되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는 방식 (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 (16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 (230)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 (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 (240)는 제1 영상 입력부 (150)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 (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 (250)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하여,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260)는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26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컨대,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 (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 (wireless Lan port) 등},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260)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 (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 (210)와 제2 리어 케이스 (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바디 (20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제2 리어 케이스 (220)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 의하면, 제2 바디 (200)의 제2 리어 케이스 (220)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 (27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 제2 영상 입력부 (270)는 제1 영상 입력부(도 1의 도면 부호 150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 (270)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 (270)에 인접하게는 플래쉬 (272)와 거울부 (274)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 (272)는 제2 영상 입력부 (270)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 (274)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 (270)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 (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 (220)에는 제2 음향 출력부 (280)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제2 음향 출력부 (280)는 제1 음향 출력부 (도 1의 도면 부호 140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 (2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2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290)는 제2 바디 (200)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 (100)의 제1 리어 케이스 (120) 측에는 제1 바디 (100)와 제2 바디 (2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 (12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 (12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 (200)의 제2 프론트 케이스 (210) 측에 배치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로서 제2 바디 (200)의 제2 리어 케이스 (2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리어 케이스 (220)는 상기 제2 프론트 케이스 (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제2 리어 케이스 (220)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디 리어 케이스 (220)는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 (211)와,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 (213, 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수한 외관을 지닌 보석류 등의 세라믹은 충격에 대한 취약한 특성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의 적용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세라믹을 케이스 몸체에 적용하려면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휴대 기기의 경량화 및 슬림화라는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라믹을 장식물로 사용하고, 이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 (213, 214)을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 (211)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박힌 상태로 고정시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식물 (213, 214)로는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수정, 에머럴드, 큐빅 등의 보석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우수한 외관을 지닌 다양한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물 (213, 214)은,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둑알 형상으로 여러 개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사용되어, 다양한 그림,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 (213, 214) 중 어느 한 장식물 (213)과 다른 한 장식물 (214)은 서로 다른 재질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입체감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장식물 (213, 214)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스에 구현되는 그림 등이 양각, 음각,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 (211)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도 4a 및 도 4b의 B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 (213, 214)은 상기 케이스 몸체 (211)의 내측 (도면상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진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 (211)가 상기 장식물 (213, 214)의 경사진 부위를 덮도록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경사진 부위로 인해, 상기 장식물 (213, 214)은 상기 케이스 몸체 (211)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 (211)는 상기 장식물 (213, 214)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혹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장식물 (213, 214)은 상기 경사진 부위 대신 상기 케이스 몸체 (211)의 내측 (도면상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단차가 형성된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 (211)가 상기 장식물 (213, 214)의 단차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식물 (213, 214)과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 몸체 (211) 부분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위치 고정을 보조하는 가이드 돌기 (도 4a의 211a) 또는 가이드 홈 (도 4b의 21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식물 (213, 214)은 상기 가이드 돌기 (도 4a의 211a) 또는 가이드 홈 (도 4b의 211b)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 몸체 (211) 중 상기 장식물 (213, 214)이 박힌 부분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케이스 몸체 (211')에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케이스 몸체 (211') 내부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하는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를 포함하고, 이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을 접착에 의한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4의 방법과 달리,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측면이 경사지거나 단차 질 것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는 전체가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장식물 (213', 214')과 접촉하는 부위만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는 폴리카보네이트 (PC)로 이루어진 시트 중 상기 장식물 (213', 214')과 접촉하는 부위에 양면 접착 테이프나 접착성 페이스트 같은 접착 부재를 부착 또는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 중 상기 장식물 (213', 214')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는 상기 케이스 몸체 (211')를 이루는 수지가 관통하기 위한 수지 관통 홀 (21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관통 홀 (215a)은 수지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주입되는 데 도움을 준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에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 4a 및 도 4b와,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의 소정 위치에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하되,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케이스 몸체 (211)를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측면이 경사진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사출 성형만으로도 상기 장식물 (213, 214)이 사출 성형된 케이스 몸체 (211)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에 부착된 장식물 (213', 214')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의 소정 위치에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한 후, 이 장식물 (213', 214')에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를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을 부착한 후, 이를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하되,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케이스 몸체 (211')를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몸체 (211')에 상기 장식물 (213', 214')을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식물 고정용 시트 (215)를 사용하므로, 상기 장식물 (213, 214)의 측면이 경사진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된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에 사용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단면도의 일 예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단면도.

Claims (13)

  1. 사출 성형된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박힌 상태로 고정된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여러 개로 분리된 상태로 그림,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중 어느 한 장식물과 다른 한 장식물은 서로 다른 재질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거나 혹은 단차가 형성된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과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 몸체 부분에 상기 장식물의 위치 고정을 보조하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 고정용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중 적어도 상기 장식물과 접촉하는 부위는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고정용 시트 중 상기 장식물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케이스 몸체를 이루는 수지가 관통하기 위한 수지 관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각종 부품들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사출 성형된 수지 재질의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박힌 상태로 고정된 세라믹 재질 의 장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은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거나 혹은 단차가 형성된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 고정용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가)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의 소정 위치에 세라믹 재질의 장식물을 고정하고,
    (나)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수지를 주입하되, 상기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 공정 이전 또는 직후에, 상기 케이스 사출용 몰드 내 공간에 상기 장식물과 결합하는 장식물 고정용 시트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20070080239A 2007-08-09 2007-08-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KR20090015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239A KR20090015693A (ko) 2007-08-09 2007-08-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239A KR20090015693A (ko) 2007-08-09 2007-08-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693A true KR20090015693A (ko) 2009-02-12

Family

ID=4068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239A KR20090015693A (ko) 2007-08-09 2007-08-09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5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395A (ko) * 2011-10-12 2013-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
WO2021238402A1 (zh) * 2020-05-25 2021-1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壳体的制备方法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395A (ko) * 2011-10-12 2013-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
WO2021238402A1 (zh) * 2020-05-25 2021-1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壳体的制备方法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202364273U (zh) 一种具有滑插式后盖的手机保护壳
KR101545573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제조 방법
TW200522841A (e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108775A (ko)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4002591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US20050192044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KR101371033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5693A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KR201400517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커버
CN112243180A (zh) 扬声器组件以及电子装置
KR10186977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제조방법
KR20110066741A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KR20080112848A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CN209964104U (zh) 盖板装饰圈、中框组件以及电子装置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130109455A (ko) 이동 단말기
KR20090011318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US20220190865A1 (en) Device for safely supporting mobile phone
USD537805S1 (en) Cordless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