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311A - 영상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311A
KR20090015311A KR1020070079543A KR20070079543A KR20090015311A KR 20090015311 A KR20090015311 A KR 20090015311A KR 1020070079543 A KR1020070079543 A KR 1020070079543A KR 20070079543 A KR20070079543 A KR 20070079543A KR 20090015311 A KR20090015311 A KR 2009001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unit
display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영
김선규
Original Assignee
펜타원 주식회사
(주) 펜타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타원 주식회사, (주) 펜타클 filed Critical 펜타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5311A/ko
Publication of KR2009001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 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광대역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압축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을 위한 카메라 통신부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과; 상기 카메라 통신부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와,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감시카메라를 통한 감시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감시시스템{Video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영상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감시카메라를 통한 감시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 녹화하는 영상 감시시스템이 일반화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영상 감시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와,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및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영상 감시시스템은 고정된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각이 한정되어 있어 감시의 사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식 감시 시스템의 경우도 시야가 180°정도로 한정되어 있고, 180°의 시야도 동시에 감시하지 못하여 감시의 사각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감시기능에 한계가 있어 군사지역과 같이 보안수준이 높은 지역의 경우 직접 인력을 투입하여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감시의 사각을 없애기 위해서는 최소 4~5대의 카메라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특정 모니터를 이용하여야 하는대, 모니터는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므로 특정 장소에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특정 장소에 고정 배치된 모니터를 이용하여야 함으로 확인장소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감시카메라를 통한 감시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은, 전 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광대역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압축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을 위한 카메라 통신부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과; 상기 카메라 통신부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와,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신호를 인간의 시각에 익숙한 이미지로 변환하고, 고리 모양의 원본이미지를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이미지를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랜카드, RS-232, 케이블, IEEE1394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랜카드,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모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고정 IP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IrDA,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영상기록장치(Digital Video Recorder)와; 상기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착탈 가능한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영상 감시시스템은, 하나의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의 사각이 없는 전방위로 촬영지역을 감시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감시카메라를 통한 감시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공간 및 시간이 제약 없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 감시시스템은, 설치 위치에서 전 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카메라 시스템(100)과, 카메라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카메라 시스템(10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와,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140)와, 영상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통신부(150)와, 카메라부(110)를 제어하여 전 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신호를 영상처리부(120)를 통해 처리한 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카메라 통신부(150)를 통해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100)은 독립적인 구동을 위해 배터리 등의 이동형 전원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카메라 통신부(150)의 구성에 따라, 유/무선 영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통신부(250)와,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디스플레이 통신부(250)로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한 그래픽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으로는 카메라 시스템(100)의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250)를 포함하고, 영상신호를 처리 및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지원하는 휴대폰, 내비게이션 등의 휴대형 전자장치와, 컴퓨터 및 모니터 등의 고정형 장치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영상 감시시스템은, 한 대의 카메라로 전 방향을 동시에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송신함으로 감시 기능이 탁월하며, 감시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시스템(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을 통해 수신하여 원거리에서도 감시 공간의 피사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부(110)의 제어블록도로서, 180° 전방향 촬영을 위한 파노라마 렌즈(113)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카메라부(110)에 적용된 파노라마렌즈(113)는, 정면에 설치되는 볼록렉즈(115)와, 후방의 영상을 볼록렌즈(115)로 반사시키는 미러(117)와, 볼록렌즈(115)에서 반사된 후방의 영상을 취합하여 출사하는 릴레이렌즈(119)와, 릴레리(Relay lens)렌즈(119)로 입사된 영상을 촬상하는 이미지센서(촬상소자(CCD(Charged Coupled Divece)))(111)을 포함한다.
이에, 화면각 내에 포착된 피사체는 렌즈 후방의 미러(117)에 반사되어 파노라마 렌즈(113) 정면의 볼록렌즈(115)의 볼록한 면에 반사된 후, 릴레이 렌즈(119)를 통하여 카메라의 이미지센서(촬상소자(CCD(Charged Coupled Divece)))(111)에 영상신호를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센서(CCD)(111)에 입사되는 이미지는 고리모양의 원본 이미지의 형태를 띤다. 이미지센서(1111)는 200만 화소(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촬상소자(CCD)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로는 씨모스(CMOS) 이미지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메라부(110)의 제어블록도로서, 360 °전방향 촬영을 위한 파노라마 렌즈(11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카메라부(110)에 적용된 파노라마렌즈(112)는, 전방위로 설치되는 미러와, 미러를 통해서 들어오는 영상을 취합하여 출사하는 릴레이렌즈(119)와, 릴레리(Relay lens)렌즈(119)로 입사된 영상을 촬상하는 이미지센서(촬상소자(CCD(Charged Coupled Divece)))(111)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시스템(100)의 영상처리부(120)의 제어블록도로서, 영상처리부(120)는 CCD(111)에서 받아들인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압축한다. 입사된 영상신호는 CCD(111)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기적인 신호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121)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압축장치(MPEG Encoder)(125)에서 MPEG형식으로 이미지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압 축된 영상신호는 에스디램(SDRAM)(127)과 롬(ROM)(123)의 기억장치로 전송되어 기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영상처리부(120)는 MPEC 뿐만이 아니라 JPEG, Wavelet 등 다른 종류의 Codec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제어부(13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장치(MPEG Encoder)(125)에서 압축된 영상신호는 유에스비(USB)(131)를 통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콘트롤러(Controller)(135)와 연결된 중앙처리장치(CPU)(133)로 전달될 수 있다.
콘트롤러(Controller)(135)는 CCD(111)로 입력된 고리모양의 원본이미지를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2개, 4개의 이미지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이미지는 CPU(133)의 제어에 따라 USB(131)를 통하여 메모리(140)로 저장하거나, 카메라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콘트롤러(Controller)(135)의 기능은, 디스플레이 시스템(200) 측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30)가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에 제공된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제어부(230)가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이미지를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140)는 USB인터페이스를 갖는 하드디스크 타입의 메모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USB 하드디스크 타입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IDE HDD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외부전원 등 부가적인 장치에 사용되는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외장형으로 자료의 이동에도 용이하다. 또한, 열의 발생이 비교적 적고 저전력으로도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 USB(131)는 최대 480Mbps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USB 1.1과의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통신부(150)는 영상신호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유선랜(151) 및 무선랜(153)과, 이동통신망 이용을 위한 이동통신 모뎀(155)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통신부(150)의 구성은 필요한 통신 어댑터만을 선별적으로 구성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 어댑터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을 통해 확인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100)의 카메라 통신부(150)가 유선랜(151) 및 무선랜(153)과, 이동통신 모뎀(155),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통신기능을 지원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촬영된 감시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니터(300) 혹은 컴퓨터(400)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 시스템(100)의 유선랜(151) 내지는 무선랜(153)을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시스템(100)은 IP, 인터넷 접속 주소 등을 가지며,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해 카메라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영상신호를 확인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유선랜(151)은 RS-232, 영상 케이블, USB, IEEE1394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모니터(300) 등의 간단한 구성만을 연결하여 카메라 시스템(100)의 영상신호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휴대폰(500)을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 시스템(100)의 이동통신모뎀(155)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감시지역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500)은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휴대폰(500)에서 영상신호 저장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500)에 감시지역의 영상을 저장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통신모뎀의 예로는 CDMA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는 CDMA 통신부를 들 수 있다.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매체를 소지한 경우, 카메라 시스템(10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157)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감시지역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 IrDA, RFID, 적외선통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당 근거리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내비게이션(600),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이용하여 감시지역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으로 영상기록 서버(700)를 적용하여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 신하는 영상신호를 영상기록 서버(700)를 통해 관리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카메라 시스템(100)은 각각 IP를 부여받아 촬영된 영상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기록 서버(700)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기록 서버(700)는,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영상기록장치(Digital Video Recorder, 이하, DVR이라 함)(720)과, 영상기록 서버(700)에 내장되어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710)와, 수신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740)를 포함한다.
모니터(710)는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다채널 모니터를 채용한 경우, 다수개의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니터(7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방식을 지정하여, 촬영된 고리모양의 전방향의 영상을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확인하거나, 2개, 4개의 이미지로 분할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 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저장부(740)는 DVR(7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며, 영상기록 서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이 전에 촬영된 감시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영상 저장부(740)를 영상기록 서버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컴퓨터(800)에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시간대의 감시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시스템(100)이 설치된 감시 영역의 전 방향의 영상을 항시 녹화하여 확인할 수 있음으로, 우범지역이나, 역사, 쓰레기 투기 금지지역, 등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복수개의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를 통해 관리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카메라 시스템(100)은 각각 IP를 부여받아 촬영된 영상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에 영상신호를 동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는,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영상기록장치(Digital Video Recorder, 이하, DVR이라 함)(720-1, 720-2, 720-N)과,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에 내장되어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710-1, 710-2, 710-N)와, 수신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740-1, 740-2, 740-N)를 포함한다.
각 모니터(710-1, 710-2, 710-N)는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다채널 모니터를 채용한 경우, 다수개의 카메라 시스팀(100)에서 송신된 각각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각 모니터(710-1, 710-2, 710-N)에는 현재 촬영중인 영상이 동시에 표시됨으로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가 설치된 각기 다른 지역에서 같은 장소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740-1, 740-2, 740-N)는 해당 DVR(720-1, 720-2, 720-N)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며,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이 전에 촬영된 감시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영상 저장부(740-1, 740-2, 740-N)를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시간대의 감시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시스템(100)이 설치된 감시 영역의 전 방향의 영상이 각 모니터(710-1, 710-2, 710-N)에 동시에 표시되고, 각 영상기록 서바(700-1, 700-2, 700-N)를 통해 관리되므로 감시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높은 보안수준이 요구되는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영상 감시시스템을 군사시설에 채용하여 각 영상기록 서버(700-1, 700-2, 700-N)를 소대, 중대, 대대, 등에 설치하고, GOP, 주둔지, 해안선, 탄약고 등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부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도 1의 영상처리부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도 1의 카메라 제어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메라부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카메라 시스템 110 : 카메라부
120 : 영상처리부 140 : 메모리
150 : 카메라 통신부 200 : 디스플레이 시스템
210 : 디스플레이부 230 : 디스플레이 제어부
250 : 디스플레이 통신부 300 : 모니터
400 : 컴퓨터 500 : 휴대폰
600 : 내비게이션 700 : 영상기록 서버
710 : 내부 모니터 720 : DVR
740 : 영상 저장부 800 : 컴퓨터

Claims (9)

  1. 전 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광대역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압축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의 송신을 위한 카메라 통신부와,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과;
    상기 카메라 통신부에서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와,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신호를 인간의 시각에 익숙한 이미지로 변환하고, 고리 모양의 원본이미지를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이미지를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랜카드, RS-232, 케이블, IEEE1394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 랜카드,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모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고정 I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IrDA,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신호를 인간의 시각에 익숙한 이미지로 변환하고, 고리 모양의 원본이미지를 투시적으로 정상인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이미지를 복수개로 분할하거나, 처음 변환된 이미지와 분할된 이미지를 함께 배열하거나, 특정 화면을 확대/축소하거나, 움직임감지(Motion Detection)의 기능을 적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서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영상기록장치(Digital Video Recorder)와;
    상기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착탈 가능한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렌즈는 360°방향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0070079543A 2007-08-08 2007-08-08 영상 감시시스템 KR20090015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43A KR20090015311A (ko) 2007-08-08 2007-08-08 영상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43A KR20090015311A (ko) 2007-08-08 2007-08-08 영상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311A true KR20090015311A (ko) 2009-02-12

Family

ID=4068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543A KR20090015311A (ko) 2007-08-08 2007-08-08 영상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53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60A2 (ko) 2009-05-29 2010-12-02 주식회사 영국전자 지능형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128367B1 (ko) * 2011-06-07 2012-03-23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KR101455732B1 (ko) * 2013-04-30 2014-10-28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시용 ip 카메라의 촬영 공백 감축 시스템 및 조회 지연 시간 단축 방법
CN107396064A (zh) * 2017-08-27 2017-11-24 邱诗妍 一种市政现场监控调用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60A2 (ko) 2009-05-29 2010-12-02 주식회사 영국전자 지능형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128367B1 (ko) * 2011-06-07 2012-03-23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KR101455732B1 (ko) * 2013-04-30 2014-10-28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시용 ip 카메라의 촬영 공백 감축 시스템 및 조회 지연 시간 단축 방법
CN107396064A (zh) * 2017-08-27 2017-11-24 邱诗妍 一种市政现场监控调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3755B2 (en) Network camera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network camera and system
KR101703931B1 (ko) 감시 시스템
CN100546366C (zh) 成像设备、方法以及成像系统
KR102087450B1 (ko) 초광각 영상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371880C1 (ru) Способ панорамн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00045773A1 (en) Panoramic adapter system and method with spherical field-of-view coverage
JP2006013923A (ja) 監視装置
JP200633313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システム
EP1654878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US8947781B2 (en) Monitoring syste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of measuring distance by using the image
US20070035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output images
US20120075409A1 (en) Image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972360B1 (ko) 전방위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113141442B (zh) 一种摄像机及其补光方法
KR20090015311A (ko) 영상 감시시스템
US8692879B2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30293696A1 (en) Im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077777B1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그의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136907A (ko)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감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01041B1 (ko) 전방위 영상 장치 및 그 방법
TWM453210U (zh) 異地備援的監控系統及攝影裝置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JP2008042696A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2137433B1 (ko) 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80520B1 (ko) 영상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