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025A - 지반 개량 공법 - Google Patents

지반 개량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025A
KR20090015025A KR1020087024777A KR20087024777A KR20090015025A KR 20090015025 A KR20090015025 A KR 20090015025A KR 1020087024777 A KR1020087024777 A KR 1020087024777A KR 20087024777 A KR20087024777 A KR 20087024777A KR 20090015025 A KR20090015025 A KR 2009001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ells
layer
air
predetermined interv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033B1 (ko
Inventor
시게요시 다카하시
쯔요시 코하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아사히 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30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494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아사히 테크노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아사히 테크노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22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3216B2/ja
Publication of KR2009001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2Subsoil filtering
    • E21B43/08Screens or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으로서, 지상부에서 지반 내부에 에어 시멘트밀크나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를 공급함으로써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신선한 공기나 맑은 물을 공급함으로써 오염 토양의 정화를 꾀한다.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지표면(1a)에서 에어 시멘트밀크나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를 지반(1b) 내에 공급하는 유공 배관(3a)을 당해 지반 내에 연설 설치하는 공정과, 지반(1b) 내에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반 내(1b) 근방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동시에, 당해 지반 내의 주변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지반(1b)을 대체적인 진공 상태로 하는 공정과, 지표면(1a)상에서 지반(1b) 내에 연설 설치한 유공 배관(3a)을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공급하는 공정, 또는 공기 또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과, 자연 지하 수위까지 지반(1b) 내의 지하수를 회복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구성.

Description

지반 개량 공법 {SOIL IMPROVEMENT METHOD}
본 발명은 건설 분야의 토양 개량 기술에서의 지반 개량 공법으로서, 지상부로부터 지반 내부로 에어 시멘트 밀크나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의 기초 공사, 지하철, 지하도 등 지하에서의 작업의 안전성, 경제성은 지하수 대책을 잘 세웠는데 아닌 지에 크게 좌우된다.
종래부터 지하수 대책으로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수 벽으로 막는 지수 공사, 혹은 지하수를 지상으로 배수하여 지하 수위를 낮추는 지하 수위 저하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 및 출원인들은 아래의 특허 발명을 보유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0-27170 (일본 특허 제324350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1-11846 (일본 특허 제3280935호) 공보
상기 특허 발명은 이른바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이라고 불리는 지하 수위를 낮추는 지반 개량 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개략은 다음과 같다. 즉, 스트레이너부를 이중관 구조 (특수 세퍼레이트 스크린)로 함으로써, 우물 내를 진공으로 유지하면서 강제로 배수하는 공법이다.
특수 세퍼레이트 스크린의 구조 세퍼레이트 스크린은 내통관과 코일 스트레이너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코일 스트레이너로부터 유입된 지하수는, 이중관 내에서 공기와 물로 분리되고 하부의 통기공을 통하여 우물 내로 유입된다.
진공 펌프에 의하여 이중관의 내부에 부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연속된 진공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에서는, 지상부에서 지반 내부에 에어 시멘트 밀크나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를 공급하는 공법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공법에 의한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특수 세퍼레이트 스크린의 개발에 의하여 대심도에서 진공 효과를 발휘하고 광범위하게 전파하여 강제 배수할 수 있다. 둘째, 깊이가 6 내지 7m로 한정되어 있던 웰 포인트 공법과 달리, 딥웰과 동등한 심도로 진공으로 강제 배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중력 배수 때문에 우물 효율이 나쁘고 여러 개를 필요로 하는 딥 웰에 비하여, 진공 효과에 의하여 우물 효과가 향상되므로 시공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넷째, 진공 딥 웰 공법으로 스크린 위치까지 수위가 낮추어지면 우물 내에 공기가 들어가 진공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다섯째, 본 공법은 대심도에서의 진공 효과에 의한 강제 배수를 가능하게 하므로, 양수량은 종래 공법과 비교하여 지질에 따라 1.2배 내지 수십배 크고, 더 광범위하게 지하수를 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는 대심도 진공 배수, 압밀 탈수 공법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우물을 설치하고, 상기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실시함으로써 한층 더 지반을 개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지반의 지표면에서 에어 시멘트 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를 지중에 공급하는 유공 배관을 당해 지중에 연설 설치하는 공정과, 지중에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중 근방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동시에 당해 지중의 주변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지중을 대체로 진공 상태로 하는 공정과, 지표면 상에서 지중에 연설 설치한 유공 배관을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공급하는 공정과, 자연 지하 수위까지 지중의 지하수를 되돌려보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오염 토양에 있어서의 지반의 지표면으로부터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을 지중에 공급하는 유공 배관을 당해 지중에 연설 설치하는 공정과, 지중에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중 근방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동시에 당해 지중의 주변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지중을 대체로 진공 상태로 하는 공정과, 지표면 상에서 지중에 연설 설치한 유공 배관을 통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과, 자연 지하 수위까지 지중의 지하수를 돌려보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용 우물의 외주 위에 걸친 지표면에 시트, 또는 콘크리트재/아스팔트재 등에 의한 포장, 또는 새로운 헤도로(Hedoro)[니질퇴적물(muddy sediment)] 등의 기밀성 재료를 덮어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을 정지한 후, 또는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의 정지와 동시에, 지표면을 덮도록 설치한 기밀성 재료를 제거하여 지중 및 지표면의 내외 압력차에 의한 자연 급기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점성토층과 모래층의 호층지반에 있어서, 점성토층보다 하부의 모래층의 간극 수압을,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점성토층에 응력 하중을 가하여 점성토를 압밀 탈수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점성토층과 모래층의 호층지반에서, 점성토층보다 하부의 모래층을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진공 상태로 만들고 점성토층 중의 수분을 기화시켜 탈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점성토층과 모래층의 호층지반에서, 점성토층보다 하부의 모래층을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부등 침하된 지표면에 설치된 기존의 구축물의 하부를 보링머신으로 삭공하고, 그 삭공에 발포재 등의 영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지반 개량을 하고, 또한 상기 영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부등침하된 구조물을 리프트 업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모래층의 지중에 당해 모래층을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지중의 수위를 낮춘 후, 동압 밀공법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발명은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 모래층의 지중에 2개 이상의 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시에, 2개 1쌍의 우물 중 하나의 우물에 압송 작용을 가하고, 나머지 하나의 우물에 흡인 작동을 가하는 관계를 소정 시간마다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지중에 물다짐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대심도로 큰 진공도 Pv≒-0.085Mp로 양수 및 압밀 탈수를 실시하면 여러가지 진공 효과가 발생한다. 이 효과를 이용하여 조기 압밀 탈수가 가능하고, 복합적으로 그 특징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반 개량을 도모할 수 있다.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는, 그 진공 효과에 의하여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으로 서로 흡인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크게 수위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점성토의 지반 개량으로서, 성토로 가압하는 방법이 아니라 점성토 하부의 양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응력 하중을 증가시켜서 하중을 실을 수 있다. 또한, 제2항에 있어서는,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6항에 있어서는, 상기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으로 서로 흡인함으로써, 점성토의 잔류 침하량을 기설 구조물 아래에서도 침하 촉진시킬 수 있다.
제7항에 있어서는, 발생한 구조물의 부등 침하를 영구 그라우트재로 리프트업시켜 수정할 수 있다.
제8항에 있어서는,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과 동압 밀공법의 조합으로, 깊은 곳까지 수위를 낮춰 불포화 지반을 만들고 충격의 전파를 깊은 곳까지 할 수 있어서 광범위한 지반 개량이 가능해졌다.
제9항에 있어서는,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스윙 세정 효과에 의하여 모래 지반의 물다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슈퍼 웰 세정 효과에 의하여 단단하지 못한 모래 지반에서 점토, 콜로이드분을 제거하여 지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의 우물, 차수벽, 연직 유공 배관 및 기밀 시트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의 우물, 지상 구조물, 만곡 유공 배관 및 포장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흙 입자, 자유수, 흡착수 및 공기 기포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의 지하수(자유수) 및 공기 기포 배제 상태에서의 흙 입자 및 흡착수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의 공기 송기 상태에서의 흙입자, 흡착수 및 공기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의 물을 원래의 지하수 수위로 되돌린 상태에서의 흙입자, 자유수, 흡착수 및 공기 기포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 개량 공법에 있어서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공정 및 지반 내의 감압 공정에서 이용하는 우물(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이 문형(門型) 크레인의 기초부에 영구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리프트업공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모래 지반 개량에 있어서의 종래 공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지반 개량 공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스윙 세정 시스템을 채용한 본 발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4는 2개 이상의 우물(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서 스윙 세정 시스템을 채용한 본 발명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스윙 세정 후의 흙 입자의 입도를 나타낸 분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지하수의 양수 수단으로 양수 효율이 높은 2개의 우물을 굴삭하여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이용한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반의 액상화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성토의 지반 개량 공사에 있어서, 공정(1): 준비 공사로서 대상 지반을 에워싸도록 차수벽을 구축한다. 공정(2): 복수개의 우물(슈퍼 웰 포인트)을 설치한다. 공정(3): 지상 및 지반 내에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의 공급 설비를 설치한다. 공정(4): 지표면에 기밀성 재료를 덮어 설치한다. 공정(5): 상기 공정(2)에서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반의 지하수의 양수 및 공기 기포를 탈기한다. 공정(6): 상기 공정(3)의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액상 물질의 공급 설비에 의하여 지중에 액상 물질을 공급한다. 공정(7): 상기 공정(4)에서 덮도록 설치한 기밀성 재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한다. 공정(8): 상기 공정(3)에서 설치한 공급 설비를 철거한다. 공정(9): 지반의 지하수를 자연 수위까지 회복시킨다. 공정(10): 상기 공정(2)에서 설치한 2개의 우물을 철거한다. 공정(11): 상기 공정(1)에서 구축한 차수벽을 철거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는 지반의 구조 및 지상부에 존재하는 구조물이나 지표면 상태 등에 따라서는 공정(1), (4) 및 각각 이들에 대응하는 공정(7), (11)을 생략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하, 상기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지중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정(1): 차수벽(5)의 구축"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개량의 대상으로 하는 모래층(11·13), 점성토층(12)으로 이루어진 호층 지반(1)의 지중(1b)을 에워싸도록, 필요한 깊이까지 강널말뚝 등으로 차수벽(5)을 지상부로부터 시공하여 구축한다. 이때, 차수벽(5)의 상단 높이는 지표면(1a)에서 돌출하도록 구축하고, 또한 차수벽(5)을 구성하는 강널말뚝 등의 부재 상호간에서는 차수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한다.
"공정(2): 우물(2)(슈퍼 웰 포인트)의 설치"
다음으로, 상기 공정(1)에서 구축된 차수벽(5)의 내부에 복수개(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우물(2)(슈퍼 웰 포인트)을 설치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2)(슈퍼 웰 포인트)는 케이싱(2a), 기밀 뚜껑(2b), 스트레이너(2c), 토사 피트(pit)(2d), 양수 펌프(2e), 진공 펌프(2g), 배관(2h, 2i) 및 수조(2j)를 주요 구성 부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우물(2) 내로 집수하는 기능과 우물(2)외로 양수하는 기능을 독립된 진공 펌프(2g) 및 양수 펌프(2e)로 만족시키는 대용량의 고양정형 양수 시스템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것이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도 8은 지하 수면(1c)의 저하 상태를 나타내고, 도면 내의 화살표는 지하수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에서는 도 8에 기재된 지상설비를 생략하여 기재한다.
"공정(3): 그라우트재 공급 설비(3)의 설치"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에서 구축된 차수벽(3d)의 내부에 필요한 개수의 유공 배관(3a)을 보링 공사 등의 천공 삭공 방법을 이용하여 설 치하고, 유공 배관(3a)의 상단부에는 배관(3b, 3b) 및 밸브(3c)를 설비함으로써, 지상으로부터의 그라우트재 도입로로서 기능하게 하는 공급 설비(3)를 구성한다. 또한,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 공급 설비(3)의 설치 단계에서는 밸브(3c)를 닫아 둔다. 여기서, 화살표는 지표면(1a)으로부터 및 지중(1b)으로의 그라우트재(9)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공급 설비(3)는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의 공급에 사용할 수도 있다.
"공정(4): 기밀성 재료(6)를 덮어서 설치"
이어서, 상기 공정(1)에서 구축된 차수벽(3d)으로 에워싸인 액상화 방지의 대상이 되는 지중(1b)의 지표면(1a)에 기밀성 재료(6)를 덮어 설치하고, 기밀성 재료의 단부 및 유공 배관(3a)과 우물(2)에 의하여 발생하는 일부의 개구부에 대하여 기밀성 재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지상부로부터의 그라우트재(9)의 유통 경로를 상기 (3)에서 설치한 공급 설비(3)의 하나의 계통으로 제한한다. 상기 기밀성 재료(6)에는 기밀성 시트, 아스팔트재 또는 콘크리트재에 의한 포장, 악취를 발산하지 않는 새로운 헤도로(Hedoro)[니질퇴적물(muddy sedime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우트재(9)로서는 에어 시멘트 밀크 또는 발포재가 있다.
상기 (1) 내지 (3)의 각 공정을 거쳐, 대상이 되는 지중(1b)은 어느 일정한 범위에서 측부 및 상부가 밀폐된 영역이 구축된다.
"공정(5): 지하수 양수, 공기 기포 탈기"
여기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이용하여 상기 (2)에서 설치한 우물(2)을 기능하게 함으로써, 지중(1b)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우물(2) 내에 집수하고, 또한 우 물(2) 내로부터 집수된 지하수를 지상까지 양수하고 배수하여 요구되는 지하 수위까지 지하 수면(1c)을 낮춘다. 이때, 지중(1b)의 상태는, 지하 수면(1c)보다 상위의 영역에서 지중(1b)에 존재하던 지하수가 양수되어 배제되는 동시에, 지중(1b)에 존재하던 그라우트재(9)도 탈출되어 배제되어 있고, 지중(1b)을 구성하는 흙 입자는 존재하지만 매우 진공도가 높은 상태(이하, "대체적인 진공 상태"라고 함)가 형성된다. 도 8에서는 자연 지하 수위가 되는 지하 수면(1c)의 저하 상태를 나타낸다.
"공정(6):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9)의 공급"
다음으로 상기 공정(3)에서 설치한 공급 설비(3)에 의하여, 지상으로부터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9)를 배관(3b, 3b) 및 유공 배관(3a)을 경유하여 밸브(3c)를 개방함으로써 지중(1b)에 기압차를 이용하여 공급한다. 다만, 지중(1b)에 그라우트재(9)를 공급하는 본 공정으로 이행되기 전에 우물(2)의 양배수 및 탈기의 기능을 정지하여 둔다. 여기서, 지중(1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적인 진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빠른 확산속도로 균일하게 지중(1b)에 충전된다. 또한, 상기 그라우트재(9) 대신에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을 공급할 때도 상기 공급 설비(3)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공정(7): 기밀성 재료(6)의 철거"
다음으로, 상기 공정(4)에 있어서 덮도록 설치한 기밀성 재료(6)를 철거한다. 이때, 상기 공정(3)에 의하여, 지중(1b)의 지표면(1a) 근방의 기압은 대기압 상당에 가깝기 때문에 지중(1b)과 지상의 내외 압력차가 없어지고 용이하게 철거가 능하다.
"공정(8): 그라우트재 공급 설비(3)의 철거"
이어서, 그라우트재 공급 설비(3)를 철거하고, 배관 갱도를 메워서 원상태로 만든다.
"공정(9): 지하수 수위 회복"
여기서, 상기 공정(5)에서 양수한 지하수를 우물(2)을 이용하여 자연 지하 수위가 되는 지하 수면(1c)까지 회복시킨다. 이 공정에서, 지하수의 양수 후의 지하 수면(1c)과 자연 상태의 지하 수면(1c)의 수두 차가 작은 시공물에 대하여는, 우물(2)로부터 취수한 지하수를 회복시키지 않고 다음 공정(10)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시공 규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공정(11): 우물(2)(슈퍼 웰 포인트)의 철거"
다음으로 우물(2)을 철거하고, 우물 갱도를 원래대로 메운다.
"공정(12): 차수벽(5)의 철거"
마지막으로, 차수벽(5)을 철거하고, 일련의 공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지반(1)의 개량 대책을 정기적으로 반복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는 공급 설비(3)의 유공 배관(3a), 우물(2) 및 차수벽(5)을 철거하지 않고, 차기 시공의 공정 수 절감을 위하여 존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공정 (1) 내지 (10)의 공정과는 다른 환경 하에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공정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변경된 부분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표면(1a)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에 의하여 기밀성 재료가 포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또한 개량의 대상이 되는 지중(1b)에 구조물 기초(7) 및 대형의 오일 탱크나 석회 탱크와 같은 지상 구조물(8)이 축조된 경우, 또한 개량의 대상이 되는 지중(1b)이 광범위에 걸친 경우 등의 각각의 예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예에서는, 상기 공정(1), (4), (7), (11)을 생략할 수 있고, 광범위한 지중(1b)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공정(1)에서의 차수벽(5)을 구축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지중(1b)의 주변 영역에 걸쳐 지하 수면(1c)을 저하시킴으로써 대응할 수 있고, 상기 공정(11)에 기재된 차수벽(5)의 철거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지표면(1a)에 기밀성 재료(6)가 시공되지만, 그 재료로서는 비닐 시트, 방수 텐트, 시멘트나 아스팔트 등에 의한 포장, 악취가 발산하지 않는 신선한 헤도로(Hedoro)[니질퇴적물(muddy sediment)] 등을 목적이나 조달 편의성에 따라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기밀성 재료(6)가 시공되지 않은 경우에도, 지반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지중(1b)의 상층 영역에 기밀성이 높은 불투수층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반 구조인 경우에는 이 불투수층이 기밀성 재료(6)의 대체 재료가 될 수 있다 (도시 생략).
그러나, 이미 설치된 구조물 기초(7) 및 지상 구조물(8)이 개량의 대상이 되는 모래층(11·13)과 점성토층(12)으로 이루어진 호층 기반(1)의 지중(1b)의 지표(1a)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공정(3)에서의 공급 설비(3)의 구성을 변경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직으로 배치된 유공 배관(3a)이 아니라 구조물 기초(7)의 더욱 하층 지반을 곡선 보링하고, 구조물 기초(7)의 좌우에 걸친 형태로 유공 배관(3a)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정(6)에 기재된 효과적인 발포재 등의 영구 그라우트재(9)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공정(2), (3), (5), (6), (8) 내지 (10)과 동일하게 한다.
여기서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양수 공정으로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채용하여 더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설명과 함께 지반 개량의 대상이 되는 지중(1b)에서 발생되는 물리 현상을 미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개량의 시공 전의 정상 상태에서는, 지중(1b)의 주요 구성 재료가 되는 흙 입자(4a), 자유수의 형태를 취하는 지하수(4b), 물리 화학적(전기적)인 결합 강도로 흙 입자(4a)에 흡착되는 흡착수(4c) 및 자유수(4b)에 개재하는 공기 기포(4d)가 각각 존재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정(5)에 있어서, 지중(1b)의 감압작용 및 지하수(4b)의 양배수가 이루어진 후의 지중(1b)의 상태는, 지하수(4b)가 자유수(4b)의 상태로 우물(2) 내에 집수되기 때문에, 흙입자(4a) 및 흡착수(4c)만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흙입자(4a) 및 흡착수(4c)의 장의 압력은 대체적인 진공(4e) 상태가 된다. 이 진공도의 향상이 일반적인 웰 포인트 공법과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차이가 되고, 이후의 단락에 기재하는 지중(1b)에의 에어 시멘트 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9)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당해 그라우트재의 공급량도 극대화하기 때문에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이 채용 가능한 조건 하에서는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정(6)에 있어서, 지중(1b)에 지표면(1a)으로부터 상기 그라우트재를 공급한 상태는, 일시적으로 대체적인 진공(4e) 상태에 있던 영역이 공급된 공기로 충전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정(9)에 있어서, 지중(1b)에 지하수(4b)를 되돌려보내 지하 수면(1c)을 정상 상태의 지하 수위까지 회복시킨 상태에서는, 공기가 충만한 영역에 자유수(4b)가 침수되어 지하수(4b)에 존재하는 공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지하수(4b)의 공기 함유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불포화 상태인 지하수(4b)의 불포화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물 비율을 저하시켜 흙 입자간에 존재하는 간극 수의 수압 상승을 억제하고 흙 입자간의 마찰력의 저하를 회피함으로써 지반 개량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수평 도리(8")를 좌우 2개의 지주(8')로 지지하는 크레인과 같은 문형의 구조물(8)이며, 당해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부(7')의 부등 침하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이용한 진공 탈수에 의하여, 조기에 압밀 탈수한 후, 도 3의 만곡 유공 배관(3)에 의하여 발포재를 허용하는 영구 그라우트재(9)를 상기 기초부(7')의 하부에 주입함으로써, 당해 기초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업리프트(up-lift)할 수 있다.
도 11은 단단하지 못한 모래 지반의 지반 개량 공사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즉, 종래의 동압 밀공법(도 11(b))만으로는 그 동압 밀공법에 따른 지하 수면하의 충격이 약하고 강도 증가가 작기 때문에, 점성토 이하에서는 강도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동압밀공법에 더하여, 도 11(a)와 같이,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을 사용하면, 진공 탈수에 의하여, 조기에 압밀 탈수하여 지하 수위를 낮춤으로써, 동압밀공법에 따른 충격을 더 깊은 심부까지 전할 수 있고 점성토층(12)은 진공 효과로 탈수할 수 있다.
도 12에서,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서는 대량의 물(Q≒1~4.0t/min)을 지중에 송수하고, 그 후 높은 진공도(Pv=-0.1~0.08MP)로 진공 흡인을 한다. 시간 등은 동일한 정도로 송수 및 흡인한다.
모래의 흙 입자의 미세분을 제거함으로써, 입자의 매트릭스를 균일하게 하고 모래 지반의 강도가 상승한다(도 13 참조). 또한, 모래 지반의 강도 저하는 모래 성분 중에 콜로이드, 실트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데 기인한다. 또한, 스윙 효과에 의하여 물다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부호의 설명
1: 지반
1a: 지표면
1b: 지중
1c: 지하수면
11: 모래층
12: 점성토층
13:점성토층보다 하부의 모래층
2: 우물(슈퍼 웰 포인트)
2a: 케이싱
2b: 기밀 뚜껑
2c: 스트레이너
2d: 토사 피트(pit)
2e: 양수 펌프
2f: 배수 펌프
2g: 진공 펌프
2h, 2i: 배관
2j: 수조
3: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 공급 설비
3a: 유공 배관
3b: 배관
3c: 밸브
4a: 흙 입자
4b: 자유수(지하수)
4c: 흡착수
4d: 공기 또는 공기 기포
4e: 진공부
5: 차수벽
6: 기밀성 재료
7: 구조물 기초
8: 지상 구조물
8': 지주
8'': 수평 도리
9: 그라우트재

Claims (9)

  1. 지반(1)의 지표면(1a)에서 그라우트재(9)를 지중(1b)에 공급하는 유공 배관(3a)을 당해 지중에 연설 설치하는 공정과,
    지중(1b)에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중(1b) 근방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동시에 당해 지중의 주변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지중(1b)을 대체적인 진공 상태로 하는 공정과,
    지표면(1a)에서 지중(1b)에 연설 설치한 유공 배관(3a)을 통하여 에어 시멘트밀크 또는 발포재 등의 그라우트재(9)를 공급하는 공정과,
    자연 지하 수위까지 지중(1b)의 지하수를 회복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지반 개량 공법.
  2. 오염 토양에서의 지반(1)의 지표면(1a)으로부터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을 지중(1b)에 공급하는 유공 배관(3a)을 당해 지중에 연설 설치하는 공정과,
    지중(1b)에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지중(1b) 근방의 지하수를 양수하는 동시에 당해 지중의 주변 영역을 감압함으로써 지중(1b)을 대체적인 진공 상태로 하는 공정과,
    지표면(1a)에서 지중(1b)에 연설 설치한 유공 배관(3a)을 통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과,
    자연 지하 수위까지 지중(1b)의 지하수를 회복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지 반 개량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 이상의 슈퍼 웰 포인트 공법용 우물(2)의 외부주위에 걸친 지표면(1a)에 기밀 시트, 또는 콘크리트재 또는 아스팔트재에 의한 포장, 또는 새로운 헤도로(Hedoro)[니질퇴적물(muddy sediment)] 등의 기밀성 재료(6)를 덮어 설치한 지반 개량 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 정지 후, 또는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의 정지와 동시에, 지표면(1a)을 덮도록 설치한 기밀성 재료(6)를 제거하여 지중(1b) 및 지표면(1a)의 내외 압력 차에 의한 자연급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지반 개량 공법.
  5. 점성토층(12)과 모래층(11, 13)의 호층 지반에서, 점성토층(12)보다 하부의 모래층(13)의 간극 수압을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점성토층(12)에 응력하중을 가하여 점성토층(12)을 압밀 탈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공법.
  6. 점성토층(12)과 모래층(11, 13)의 호층 지반에서, 점성토층(12)보다 하부의 모래층(13)을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진공 상태로 만들어 점성토층(12) 중의 수분을 기화시켜 탈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공법.
  7. 점성토층(12)과 모래층(11, 13)의 호층 지반에서, 점성토층(12)보다 하부의 모래층(13)을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부등 침하된 지표면(1a)에 설치된 기존의 구축물(8)의 하부를 보링머신으로 삭공하고, 그 삭공에 영구 그라우트재(9)를 주입하여 지반 개량을 하고, 또한 영구 그라우트재(9)를 주입하여 부등 침하된 구조물(8)을 리프트업(lift-u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공법.
  8. 모래층의 지반에서, 당해 모래층을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에 따라 서로 흡인하여 감압함으로써 지중(1b)의 수위를 낮춘 후, 동압밀공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공법.
  9. 모래층(11, 13)의 지중(1b)에 2개 이상의 우물(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슈퍼 웰 포인트 공법의 운전에 있어서, 2개 1쌍의 우물 중 하나의 우물에 압 송 작용을 가하고, 나머지 하나의 우물에 흡인 작동을 가하는 관계를 소정 시간마다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지중(1b)에 물다짐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공법.
KR1020087024777A 2006-05-09 2007-05-07 지반 개량 공법 Active KR10113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0537A JP4114944B2 (ja) 2006-05-09 2006-05-09 地盤の改良工法
JPJP-P-2006-130537 2006-05-09
JP2007122125A JP5213216B2 (ja) 2007-05-07 2007-05-07 地盤の改良工法
JPJP-P-2007-122125 2007-05-07
PCT/JP2007/059475 WO2007129693A1 (ja) 2006-05-09 2007-05-07 地盤の改良工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025A true KR20090015025A (ko) 2009-02-11
KR101138033B1 KR101138033B1 (ko) 2012-04-20

Family

ID=386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777A Active KR101138033B1 (ko) 2006-05-09 2007-05-07 지반 개량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8033B1 (ko)
WO (1) WO200712969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47B1 (ko) * 2009-11-16 2010-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관을 이용한 진공배수, 보강 및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에 의한 터널 막장의 천단부 보강 및 안정화 방법
KR100982477B1 (ko) * 2009-11-16 2010-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 배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를 이용한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68683B1 (ko) * 2010-03-15 2011-09-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 배수를 이용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에 의한 블록형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68684B1 (ko) * 2010-07-12 2011-09-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입공 사이의 진공배수공 형성 및 진공배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를 이용하는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7370A (zh) * 2012-08-13 2012-12-12 中国矿业大学 正负压联合注浆方法
CN107964991B (zh) * 2017-11-23 2019-12-24 杭州敦固建筑特种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物迫降纠偏设备及使用该设备的方法
CN108930262A (zh) * 2018-08-15 2018-12-04 中电建南方建设投资有限公司 一种淤泥层中盾构上跨高速地铁线路施工工法
CN112709216B (zh) * 2020-12-22 2022-09-13 中铁十九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工程应用水泥注浆施工方法
CN114908775B (zh) * 2022-05-18 2023-06-02 陕西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黄土滑坡综合治理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726401B (zh) * 2022-11-17 2023-09-12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局部抗浮泄压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693B2 (ja) * 1989-12-13 1995-05-10 株式会社大林組 ドレーン材打設装置
JP3653305B2 (ja) * 1995-04-26 2005-05-25 平成テクノス株式会社 不等沈下構築物の復元工法
JP3243501B2 (ja) * 1998-05-01 2002-01-07 西松建設株式会社 地下水位低下装置、地盤改良方法およびストレーナ装置
JP3486572B2 (ja) * 1999-05-11 2004-01-13 不動建設株式会社 地盤強化複合工法
JP2001294857A (ja) * 2000-04-17 2001-10-23 Konoike Constr Ltd 地盤改良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47B1 (ko) * 2009-11-16 2010-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관을 이용한 진공배수, 보강 및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에 의한 터널 막장의 천단부 보강 및 안정화 방법
KR100982477B1 (ko) * 2009-11-16 2010-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 배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를 이용한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68683B1 (ko) * 2010-03-15 2011-09-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공 배수를 이용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에 의한 블록형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68684B1 (ko) * 2010-07-12 2011-09-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입공 사이의 진공배수공 형성 및 진공배수에 의한 그라우트재의 주입방향 제어를 이용하는 지중 그라우팅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033B1 (ko) 2012-04-20
WO2007129693A1 (ja)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33B1 (ko) 지반 개량 공법
JP5213216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01806055B (zh) 真空预压联合刚性桩复合地基加固方法
JP6158555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10485436A (zh) 工程泥浆和渣土互层回填矿坑地基结构及再造地基方法
JP2007303270A5 (ko)
CN114108597A (zh) 一种真空引流的注浆方法
JP4114944B2 (ja) 地盤の改良工法
CN101560760A (zh) 快速固结吹填超细粒土地基的施工方法
CN102787608B (zh) 真空作用重力式基坑支护体系及施工方法
JP5142348B2 (ja) 地盤の液状化防止方法
KR100996969B1 (ko) 진공가압 기능을 갖는 탈 함수 장치를 이용한 고함수비 토사의 탈 함수 공법
CN104711968A (zh) 一种负压立体导流扰动冲击固结吹填土方法
JP5519722B2 (ja) 地盤の改良工法
KR101029978B1 (ko) 진공가압 기능을 갖는 탈 함수 장치
CN112627212B (zh) 一种临水围堰内管井降水法干挖施工方法
CN106869153B (zh) 一种井点降水快速处理软地基的方法
JP5713442B2 (ja) 地盤改良方法および減圧容器
CN104153344A (zh) 一种软地基的处理方法
CN100422447C (zh) 软土地基快速加固技术
JP6040552B2 (ja) バキュームディープウェルを用いた地下水位低下工法及びシステム
CN110144871A (zh) 一种暗浜处理施工方法
KR20160142009A (ko) 지하 대수층 내 하부 지층의 지하수위 조정을 이용한 지반압밀 발생 및 압밀침하량 조정공법
CN111172997B (zh) 基坑预制围护减震桩及搭建基坑围护墙的方法
JP2015148105A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