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744A -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744A
KR20090014744A KR1020070078928A KR20070078928A KR20090014744A KR 20090014744 A KR20090014744 A KR 20090014744A KR 1020070078928 A KR1020070078928 A KR 1020070078928A KR 20070078928 A KR20070078928 A KR 20070078928A KR 20090014744 A KR20090014744 A KR 2009001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md
dcd
terminal
down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532B1 (ko
Inventor
박종관
박경
손경찬
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7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5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3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CD(Dynamic Content Delivery)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전송하기 위한 DCD/BCMCS(Dynamic Content Delivery/Broadcast Multicast Service) 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SMD 센터; 상기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여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SMD 관리부가 포함된 단말기;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상기 SMD 센터로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DCD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경제적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78928
콘텐츠, 단말기, 전송, 신뢰성

Description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 및 단말기{Method, DCD/BCMCS Interworking System, DCD Server, SMD Center, And Terminal for Delivering Content to Stand-by Screen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경제적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많이 생겨났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운영하는 해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함으로써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에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변경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방안으로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이 절실히 요구되어졌으며, 그러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의 일종으로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ATOM 등이 제안되어 표준이 되어졌고, 이러한 RSS 및 ATOM 등으로 인해 콘텐츠의 배포가 가능해졌으며, RSS Reader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수집하는 것도 많이 원활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원이 제한된 이동(Mobile) 환경에서는 RSS/ATOM을 이용해 배포하는 콘텐츠를 PC환경에서와 같이 접근하는 것은 제한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위해 수집된 콘텐츠를 최적화된 형태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OMA(Open Mobile Alliance)가 표준화를 추진중인 동적 콘텐츠 전송(Dynamic Content Delivery: DCD, 이하 "DCD"라 칭함)이다. 이러한 DCD 기술을 이용한 DCD 서비스가 추구하는 바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을 반영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콘텐츠 전달 기법으로 DCD 서버가 콘텐츠 업데이트(전송)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DCD-2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푸쉬(Push)방식이 제안되어졌다. 이러한 DCD-2 인터페이 스를 사용한 푸쉬 방식에 의하여, 기존의 이동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무선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여러 단계(Depth)를 거쳐 콘텐츠를 찾아가서 보던 방식에 탈피하여 콘텐츠를 사용자가 어렵게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해 주고,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 반영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이 DCD의 목적이다. 즉, DCD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전송 서비스이다. 그리고, DCD는 기존의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 업데이터(전송) 요청에 의해서 DCD 서버가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DCD-1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풀(Pull) 방식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DCD 서비스를 제공하는 DCD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 DC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해주기 위한 DCD 서비스에 대한 DCD 시스템은 DCD 클라이언트(110) 및 DCD 애플리케이션(120)이 포함된 단말기(100), DCD 콘텐츠제공 서버(DCD Content Provider: DCD CP, 이하 "DCD CP"라 칭함)(140), DCD 서버(150), 및 네트워크(13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DCD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Model)로써 설명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DCD 클라이언트(110)와 서버 역할을 하는 DCD 서버(150)의 연동에 의해 수행되는데, DCD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는 DCD CP(140), DCD 서버(150), DCD 클라이언트(120), 및 DCD 애플리케이션(11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 해당 단말기(100)의 대기화면으로 전송되어 표현된다.
네트워크(130)는 DCD 서버(150)로부터 단말기(100)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로로서, CDMA 1x 망, EVDO 망, WCDMA 망, HSDPA 망, HSUPA 망, Wibro 망 등의 이동통신망, WiFi 네트워크 등의 무선네트워크, 유선 인터넷(Wired Interne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DCD CP(140)와 DCD 서버(150)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DCD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정보(스트리밍, 텍스트 메시지, 음성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주기 위해서는, 단말기 수만큼 동일한 정보를 반복 전송해야한다. 이러한 반복 전송에 따른 단말기 및 네트워크 사용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 사업자 또는 방송 사업자가 이러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음성,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전송해주기 위한 서비스인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Broadcast Multicast Service: BCMCS, 이하 "BCMCS"라고 칭함)가 제안되어졌고,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등의 표준화 단체, 통신사업자, 각국 제조업체 등에서 BCMCS에 대한 표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BCMCS를 제공하기 위한 BCMCS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는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 BCMC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CMCS 시스템이 제공해주는 BCMCS는 동일한 정보(텍스트 메시지, 스트리밍, 음성, 동영상,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동일한 멀티미디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무선 구간에서 동일한 정보의 반복 전송을 없애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BCMCS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Broadcast Service: BCS, 이하 "BCS"라 칭함)와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cast Service: MCS, 이하 "MCS"라 칭함)로 나눌 수 있으며, MCS는 제한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만 동일한 정보가 전송되는 서비스이며, 사용자가 제한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하기 위해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편, BCS는 브로드캐스트 영역인 특정 지역(셀(Cell), 섹터(Sector) 단위 등)을 경계로 특정 지역 내 존재하는 단말기로 동일한 정보가 전송되는 서비스로서, 특정 지역에 근거하는 위치정보, 교통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서비스 성격에 따라서는 공공 및 사설 서비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BCMCS 시스템(200)은 네트워크(210)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영역(220)에 있는 복수의 단말기(1, 2, 3, 4, 5, 6)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브로드캐스트)해줄 수 있다. 또한, BCMCS 시스템(200)은 네트워크(210)를 통하여 MCS 가입에 의해 생성된 멀티캐스트 그룹(230)에 속한 사용자들의 단말기(1, 2, 3)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멀티캐스트)해줄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네트워크(210)는 CDMA 1x 망, EVDO 망, WCDMA 망, HSDPA 망, HSUPA 망, Wibro 망 등의 이동통신망, WiFi 네트워크 등의 무선네트워크, 유선 인터넷(Wired Interne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 중 적어 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BCMCS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전술한 두가지 시스템을 연동하여 콘텐츠를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기술들은 종래에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로 인한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 및 서비스 불만족으로 인한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익성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에도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익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DCD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SMD 센터; 상기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여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SMD 관리부가 포함된 단말기;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상기 SMD 센터로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DCD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을 수행한 정보 생성 관리부;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및 상기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한 후, 상기 응답 한계시간 이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상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콘텐츠 재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신 관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 및 상기 응답 한계시간(RTO)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SMD 센터에 있어서, DCD 서버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중계 관리부;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관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 는 콘텐츠 복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SMD 센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SMD 관리부가 포함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SMD 관리부는,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달 관리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관리부;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생성 관리부;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관리부;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관리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가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 (b)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 (c)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면,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SMD 센터를 경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 (e)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면,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효 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경제적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CD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은 콘텐츠가 전송되는 시작 지점으로써 콘텐츠 전송 종단점(End)인 DCD 서버(350), 콘텐츠가 전송되는 끝 지점으로써 종단점(end)인 DCD 클라이언트(310), 및 콘텐츠 전송시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기능을 수행하는 구간에서의 SMD(Scheduled Multimedia Download: SMD, 이하 'SMD'라 칭함) 관리 부(320)와 SMD 센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로로써 네트워크(33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에서 언급한 DCD 클라이언트(310)와 SMD 관리부(320)는 단말기(300) 내부에 존재한다.
SMD 센터(340)는 DCD 서버(350)에 저장된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콘텐츠를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320)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 단말기 내 SMD 관리부(32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DCD 서버(350)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320)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한다.
SMD 센터(340)는 DCD 서버(350)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고 저장해두었다가, SMD 관리부(32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 저장해둔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일시저장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320)는 SMD 센터(34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단말기(300) 내 DCD 클라이언트(310)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여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 감지된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 브(Posi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340)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 및 감지된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SMD 센터(340)로 전송하여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SMD 센터(340)와 SMD 관리부(320) 사이 구간은 종단간(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간)에 콘텐츠를 신뢰성 있게 전송해주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간으로서, 콘텐츠 다운로드에 따른 다운로드 상태 감지 및 판단,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다운로드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결과 보고 또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콘텐츠의 신뢰성 있는 전송 방법에 대하여서는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말기(300)는 위에서 언급한 SMD 관리부(320)뿐만 아니라 SMD 관리부(320)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으며, 콘텐츠가 전송되는 끝 지점으로서의 종단점(end)인 DCD 클라이언트(310)와 DCD 클라이언트(310)가 전달받은 콘텐츠를 단말기(300)의 대기화면으로 표현하기 위한 DCD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CD 서버(350)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 콘텐츠 및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340)로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및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340)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DCD 서버(350)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시작 지점이며 콘텐츠 전송 종단점(End)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RTO) 정보를 생성하고 SMD 센터(340)로 전송하고,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단말기(300)의 DCD 클라이언트(310)로 직접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콘텐츠 재전송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는 DCD 서버가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해당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며, DCD 서버는 응답 한계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여야만 해당 콘텐츠가 단말기로 잘 전송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전술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은 콘텐츠를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32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BSM(Base Station Management: BSM, 이하 'BSM'이라 칭함)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은 SMD 센터(340)로부터 콘텐츠를 단말기(300) 내 SMD 관리부(320) 및 DCD 클라이언트(310)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수행된다.
이러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을 통해서,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는 SMD 센터와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간의 연동에 의하여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전송이 보장된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한다.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에 대해서는, 단말기 내 SMD 관리부는 콘텐츠를 완전하게 다운로드(전송)받게 되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를 통해서 DCD 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콘텐츠가 완전하게 전송되었음을 알려줌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재전송 방법에 대해서는, SMD 센터에서 재전송하는 방법과 DCD 서버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두가지 재전송 방법이 있다.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만약 단말기 내 SMD 관리부는 콘텐츠를 완전하게 다운로드(전송)받지 못했을경우, 콘텐츠 복구 요청을 통해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된 재전송 콘텐츠를 다운로드(전송)받음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DCD 서버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만약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를 송신할 때 함께 송신한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토대로,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콘텐츠를 잘 수신했다는 의미인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DCD 서버가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직접 재전송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아울러, 복구되는 콘텐츠 즉, 재전송해주는 콘텐츠는 재전송 전 이미 전송된 부분을 무시하고 전체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방법과 재전송 전 전송되었던 부분의 다음 부분부터 일부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서 관리됨으로써 콘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복구 기능 또한 만약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를 송신할 때 함께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콘텐츠 특성, 단말기 상태,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콘텐츠 재전송 기능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콘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내 DCD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350)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351), 정보 생성 관리부(352), 데이터 송신 관리부(353),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354), 및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3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저장 관리부(351)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생성 관리부(352)는 콘텐츠에 대한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 및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송신 관리부(353)는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및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한 후 응답 한계시간 이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콘텐츠 재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354)는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355)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354)에서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TO)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데이터 송신 관리부(353)는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355)와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354)의 연동에 의해서, 콘텐츠에 대한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직접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내 SMD 센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SMD 센터(340)는 콘텐츠 중계 관리부(341),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관리부(342), 및 콘텐츠 복구 관리부(3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중계 관리부(341)는 DCD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관리부(342)는 SMD 관리부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복구 관리부(343)는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의 단말기 내 SMD 관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의 단말기 내 SMD 관리부(320)는 콘텐츠 전달 관리부(321),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관리부(322), 메시지 생성 관리부(323), 다운로드 결과 보고 관리부(324), 콘텐츠 복구 요청 관리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전달 관리부(321)는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관리부(322)는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고,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생성 관리부(323)는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 브(Positive) 상태인 경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을 수행한다.
다운로드 결과 보고 관리부(324)는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복구 요청 관리부(325)는 감지된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SMD 센터로 전송하여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가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S 700), SMD 관리부가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S 702), SMD 관리부가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S 704), 위에서 언급한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S 702)에서 판단된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면, SMD 관리부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SMD 센터를 경유하여 DCD 서버로 콘텐츠의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S 706), 위에서 언급한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S 702)에서 판단된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면, SMD 관리부가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단계(S 708)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S 706)에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받은 DCD 서버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
DCD 서버가 송신하는 콘텐츠는 심볼(Symbol) 단위로 나누어져서 전송되며, 전술한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S 702)에서의 다운로드 상태는 SMD 센터가 콘텐츠에 포함된 전체 심볼(Symbol)을 모두 수신한 상태인 포지티브(Positive) 상태와 콘텐츠에 포함된 전체 심볼(Symbol) 중 일부 심볼(Symbol)만을 수신한 상태인 네거티브(Negative) 상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전술한 콘텐츠 복구 단계(S 708)는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이고,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가 온(on)으로 설정된 상황에서 수행된다.
SMD 센터가 전술한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S 700)에서 DCD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해 두고, 전술한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S 706)에서 SMD 센터가 SMD 관리부로부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 기저장해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콘텐츠 복구 단계(S 708)는 아래와 같은 5가지 세부 단계로 이루어진 다.
첫번째로 콘텐츠 복구 요청 단계에서는, SMD 관리부가 SMD 센터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두번째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에서는, SMD 관리부가 SMD 센터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세번째로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에서는, SMD 관리부가 재전송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네번째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에서는, SMD 관리부가 감지된 상기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게 된다.
다섯번째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면, SMD 관리부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재전송 콘텐츠를 전달하고, SMD 센터를 경유하여 DCD 서버로 재전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받은 DCD 서버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
전술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면, 전술한 첫번째 단계인 콘텐츠 복구 요청 단계에서부터 콘텐츠 복구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전술한 두번째 단계인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에서, SMD 센터로부터 SMD 관리부로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재전송되는 재전송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가 포함하는 전체 심볼이 포함된 전체 재전송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가 포함하는 일부 심볼이 포함된 일부 재전송 콘텐츠 중 하나가 된다. 위에서 언급한 일부 재전송 콘텐츠는 SMD 관리부가 콘텐츠 복구 단계 수행 전 이미 수신한 콘텐츠의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SMD 센터는 콘텐츠 복구 단계 수행을 통해서 콘텐츠 복구 단계 수행 이전에 전송한 해당 콘텐츠의 일부(심볼)를 무시하고 해당 콘텐츠의 전체를 다시 재전송해줄 수도 있고, 콘텐츠 복구 단계 수행 이전까지 전송했던 해당 콘텐츠의 부분(심볼)에 이어지는 다음 부분(심볼)부터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SMD 센터가 SMD 관리부로 송신할 재전송 콘텐츠가 전체 재전송 콘텐츠인지 일부 재전송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SMD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에 명시되어 있거나 SMD 센터가 SMD 관리부로 송신한 콘텐츠의 심볼 시퀀스(Sequence)를 체크해둔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게 된다.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SMD 센터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BSM(Base Station Managemen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BSM(Base Station Management) 시스템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전술한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S 700)는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송신할 때,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도 추가 송신할 수 있으며, DCD 서버가 SMD 센터로부터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DCD 서버가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요약하면,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는 SMD 센터와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간의 연동에 의하여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전송이 보장된다. 이러한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한다.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에 대해서는, 단말기 내 SMD 관리부는 콘텐츠를 완전하게 다운로드(전송)받게 되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를 통해서 DCD 서버로 송신하여 해당 콘텐츠가 완전하게 전송되었음을 알려줌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이러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에 의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 보장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재전송 방법에 대해서는, SMD 센터에서 재전송하는 방법과 DCD 서버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두가지 재전송 방법이 있다.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만약 단말기 내 SMD 관리부는 콘텐츠를 완전하게 다운로드(전송)받지 못했을경우, 콘텐츠 복구 요청을 통해서 해 당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된 재전송 콘텐츠를 다운로드(전송)받음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이러한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의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 보장 방법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CD 서버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만약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를 송신할 때 함께 송신한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토대로,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콘텐츠를 잘 수신했다는 의미인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DCD 서버가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직접 재전송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해주게 된다. 이러한 DCD 서버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의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 보장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복구되는 콘텐츠 즉, 재전송해주는 콘텐츠는 재전송 전 이미 전송된 부분을 무시하고 전체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방법과 재전송 전 전송되었던 부분의 다음 부분부터 일부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서 관리됨으로써 콘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복구 기능 또한 만약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를 송신할 때 함께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콘텐츠 특성, 단말기 상태,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콘텐츠 재전송 기능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콘텐츠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Positive) 다운로드 상태에서의 콘텐츠 전송 흐름도이다.
도 8은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에 대하여 SMD 센터와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간의 연동으로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방법 중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이러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에 의한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은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일 때 수행된다.
도 8을 참조하면, DCD 서버로부터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기 위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은,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SMD 센터로 전송(S 800)하고, SMD 센터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BSM으로 전송(S 802)하고, BSM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S 804)하고, 베어러 경로가 설정된 이후 SMD 센터가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콘텐츠를 전송(S 806)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드(수신)하는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고 판단하며(S 808), 판단된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고 가정하면 SMD 관리부가 콘텐츠를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전달(S 810)하고, SMD 관리부는 단말기가 콘텐츠를 포지티브(Positive) 상태(정상적인 상태)로 다운로드받았음을 알리기 위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를 통해서(S 812) DCD 서버로 전송(S 812)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Negative) 다운로드 상태에서 콘텐츠 복구 단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흐름도이다.
도 9는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에 대하여 SMD 센터와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간의 연동으로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방법 중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이러한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의한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은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일 때 수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DCD 서버로부터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기 위한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은,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포함하여 SMD 센터로 전송(S 900)하고, SMD 센터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BSM으로 전송(S 902)하고, BSM은 콘텐츠를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S 904)하고, 베어러 경로가 설정된 이후 SMD 센터가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콘텐츠를 전송(S 906)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드(수신)하는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고 판단하며(S 908), 판단된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고 가정하면 SMD 관리부는 SMD 센터로 콘텐츠를 재전송 받기 위해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S 910)하고,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MD 센터는 해당 콘텐츠에 대해서 전체 콘텐츠를 재전송할지 일부 콘텐츠(전송되지 못한 부분)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콘텐츠 복구 메커니즘을 수행(S 912)하고, SMD 센터가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재전송 콘텐츠를 전송(S 914)하고, 그에 따라 SMD 관리부가 다운로드 상태에 대하여 감지 및 판단(S 916)하고, 드디어 판단된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이면 SMD 관리부가 재전송 콘텐츠를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전달(S 918)하고, SMD 관리부는 단말기가 콘텐츠를 포지티브(Positive) 상태(정상적인 상태)로 다운로드받았음을 알리기 위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SMD 센터를 통해서(S 920) DCD 서버로 전송(S 922)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답 한계시간 이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콘텐츠 재전송 흐름도이다.
도 10은 DCD 서버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만약 DCD 서버가 SMD 센터로 콘텐츠를 송신할 때 함께 송신한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토대로,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콘텐츠를 잘 수신했다는 의미인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DCD 서버가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콘텐츠를 직접 재전송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는 DCD 서버가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해당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며, 응답 한계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어야만 DCD 서버는 해당 콘텐츠가 단말기로 잘 전송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DCD 서버로부터 DCD 클라이언트로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기 위한 SMD 센터단에서 재전송하는 방법은, DCD 서버가 콘텐츠를 SMD 센터로 콘텐츠와 함께 응답 한계시간 정보(1100)를 함께 송신(S 1000)하고, 응답 한계 시간(1100) 이내에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 1002), 해당 콘텐츠를 DCD 클라이언트로 직접 재전송(S 1004)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동적 콘텐츠 전송(DCD) 기술에 적용되어, 콘텐츠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DCD 서버, SMD 센터 등의 상태 및 무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 방법으로써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방법과 재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로의 신뢰성 있는 콘텐츠 전송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통신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경제적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 DC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 BCMC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내 DCD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내 SMD 센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의 단말기 내 SMD 관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Positive) 다운로드 상 태에서의 콘텐츠 전송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거티브(Negative) 다운로드 상태에서 콘텐츠 복구 단계가 포함된 콘텐츠 전송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답 한계시간 이내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콘텐츠 재전송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단말기
310: DCD 클라이언트
320: SMD 관리부
330: 네트워크
340: SMD 센터
350: DCD 서버

Claims (28)

  1. DCD(Dynamic Content Delivery)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전송하기 위한 DCD/BCMCS(Dynamic Content Delivery/Broadcast Multicast Service) 연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 상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SMD 센터;
    상기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여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SMD 관리부가 포함된 단말기;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상기 SMD 센터로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DCD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D 센터는,
    상기 DCD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전달받고 저장해두었다가,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 저장해둔 상기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일시저장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응답 한계시간 이내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상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직접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콘텐츠 재전송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전달받는 상기 DCD 클라이언트, 상기 DCD 클라이언트가 전달받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대기화면으로 표현하기 위한 DCD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D/BCMCS 연동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상기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BSM(Base Station Management)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SM 시스템은,
    상기 SMD 센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상기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DCD/BCMCS 연동시스템.
  7.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생성 관리부;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하는 콘텐츠 송신 기능 및 상기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를 SMD 센터로 전송한 후, 상기 응답 한계시간 이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수신시 상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콘텐츠 재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신 관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 및
    상기 응답 한계시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관리부는,
    상기 응답 한계시간 감시 관리부와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수신 관리부의 연동에 의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응답 한계시간 이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상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로 직접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DCD 서버.
  9.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SMD 센터에 있어서,
    DCD 서버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SMD 관리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중계 관리부;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전달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중계 관리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복구 관리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SMD 센터.
  10.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SMD 관리부가 포함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SMD 관리부는,
    SMD 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는 콘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달 관리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 판단 관리부;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생성 관리부;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결과 보고 관리부;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 경우 생성된 상기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D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관리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전송받는 상기 DCD 클라이언트, 상기 DCD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대기화면으로 표현하기 위한 DCD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DCD/BCMCS 연동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12.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 내 SMD 관리부가 DCD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SMD 센터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
    (b)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
    (c)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면,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SMD 센터를 경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상기 콘텐츠의 다 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 및
    (e) 상기 (c)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면,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복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심볼(Symbol) 단위로 나누어져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다운로드 상태는,
    상기 SMD 센터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전체 상기 심볼(Symbol)을 모두 수신한 상태인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와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전체 상기 심볼 중 일부 심볼만을 수신한 상태인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 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 상태이고, 상기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가 온으로 설정된 상황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SMD 센터가 상기 DCD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SMD 센터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는,
    상기 (d)단계에서 상기 SMD 센터가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결 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의 상기 콘텐츠 복구 단계는,
    (e1)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텐츠 복구 요청 단계;
    (e2)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SMD 센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단계;
    (e3)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재전송 콘텐츠에 대한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를 감지하는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감지 단계;
    (e4)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감지된 상기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인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인지 판단하는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 판단 단계; 및
    (e5) 상기 (e4)단계에서 상기 판단된 상기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포지티브(Positive) 상태라면,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재전송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SMD 센터를 경유하여 상기 DCD 서버로 상기 재전송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결과 보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e4)단계에서 상기 판단된 상기 재전송 콘텐츠 다운로드 상태가 상기 네거티브(Negative) 상태라면, 상기 (e1)단계부터 상기 콘텐츠 복구 단계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전체 심볼(Symbol)이 포함된 전체 재전송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일부 심볼(Symbol)이 포함된 일부 재전송 콘텐츠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재전송 콘텐츠는,
    상기 SMD 관리부가 상기 콘텐츠 복구 단계 수행 전 이미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심볼(Symbol)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Symbo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SMD 센터가 상기 SMD 관리부로 송신할 상기 재전송 콘텐츠가 상기 전체 재전송 콘텐츠인지 상기 일부 재전송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상기 SMD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재전송 요청 메시지에 명시되어 있거나 상기 SMD 센터가 상기 SMD 관리부로 송신한 상기 콘텐츠의 심볼(Symbol) 시퀀스(Sequence)를 체크해둔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SMD 센터가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상기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BSM(Base Station Management)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단계를 추가로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플로우 시작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BSM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내 상기 SMD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베어러 경로(Bearer Path)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도 추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한계시간(Response Time Out) 정보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DCD 서버가 상기 응답 한계시간 정보에 대한 수신 가능 시간 이내에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야만 상기 콘텐츠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가 상기 SMD 센터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복구 기능 적용 여부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SMD 센터로부터 수신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의 수신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응답 한계시간(RTO) 정보가 추가로 송신한 경우,
    상기 DCD 서버가 상기 SMD 센터로부터 상기 응답 한계시간(RTO) 이내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 미 수신시,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콘텐츠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2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결과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DCD 서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BCMCS 연동시스템에서 단말기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KR20070078928A 2007-08-07 2007-08-07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KR10118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8928A KR101182532B1 (ko) 2007-08-07 2007-08-07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8928A KR101182532B1 (ko) 2007-08-07 2007-08-07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44A true KR20090014744A (ko) 2009-02-11
KR101182532B1 KR101182532B1 (ko) 2012-09-12

Family

ID=4068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8928A KR101182532B1 (ko) 2007-08-07 2007-08-07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8810A (zh) * 2011-04-20 2011-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组播方式下载应用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127755B1 (ko) * 2010-04-13 2012-03-23 텔코웨어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방식 및 푸시 방식을 이용한 dcd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11B1 (ko) 2005-08-1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cast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전송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55B1 (ko) * 2010-04-13 2012-03-23 텔코웨어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방식 및 푸시 방식을 이용한 dcd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2158810A (zh) * 2011-04-20 2011-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组播方式下载应用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2142790A1 (zh) * 2011-04-20 2012-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组播方式下载应用的方法、装置和系统
CN102158810B (zh) * 2011-04-20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组播方式下载应用的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532B1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624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хэндовера mbms во время доставки в режиме загрузки
JP3908490B2 (ja) マルチキャスト配信サービスにおける再送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再送制御装置、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7610043B2 (en) Duplicate notif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terminal
EP1653693B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US8200245B2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point-to-multipoint data transmissions
KR1009054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장치 및방법
CN101156470A (zh) 一种并行下载方法和终端
US2007007098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ferred Messages
KR101641518B1 (ko)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무선 채널을 통하여 신뢰성 있고 동적으로 그룹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EP1655915A1 (en) Method for managing duplicated arrival notification messages i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KR2008010161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WO2006107165A1 (en) File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0812396B1 (ko)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2009153173A (ja) 伝送方法、交換機
JP4354924B2 (ja) Mmsメッセージの分割伝送及び自動再伝送方法
US20060089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MS notification message
KR101182532B1 (ko)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dcd/bcmcs 연동시스템, dcd 서버, smd 센터및 단말기
CN101155337A (zh) 短消息处理方法
CN107786607B (zh) 一种消息重传方法、消息重传服务器及用户设备
US20120117256A1 (en) Session Switching During Ongoing Data Delivery in a Network
KR101074777B1 (ko)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데이터 전송 방법
CN113489786A (zh) 一种长连接网络弱网重连方法、重发方法
CN104620525A (zh) 用于在广播递送期间分发信息的方法和装置
CN114465697A (zh) 一种基于以太网的可靠通信方法、装置及设备
KR20130018948A (ko) 방송 보완 데이터 전송 장치, 방송 보완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