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733A -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733A
KR20090014733A KR1020070078906A KR20070078906A KR20090014733A KR 20090014733 A KR20090014733 A KR 20090014733A KR 1020070078906 A KR1020070078906 A KR 1020070078906A KR 20070078906 A KR20070078906 A KR 20070078906A KR 20090014733 A KR20090014733 A KR 2009001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mbination
control uni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292B1 (ko
Inventor
이승우
정원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292B1/ko
Priority to US12/187,138 priority patent/US8704631B2/en
Publication of KR2009001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패드와, 입력받는 키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키 버퍼와,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가 감지하는 키 입력을 상기 키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키 버퍼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추가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70078906
키패드, 키 입력, 키락(key lock), 언락(unlock), 키 입력 잠금, 키 입력 해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LOCK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잠금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키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과 잠금 키 조합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을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제어하여 원치 않은 입력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키 입력부의 일부를 이루는 키패드가 몸체 외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키패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개폐 노출시키는, 폴더형, 슬라이드형 또는 플립형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공지된 바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량화에 따라 키패드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 는 바형(bar type) 이동통신 단말기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일부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한편 보다 많은 키입력 수행을 위해 항상 외부로 노출된 키패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다양하고 많은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카메라나 멀티미디어와 같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가진 키를 사용자가 누르기 편리하도록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깥쪽에 외부 키로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키는 다수 키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바깥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
이렇게 다수의 외부 키를 구비하거나 키패드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키 버튼이 눌려져서 휴대용 단말기가 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가방 또는 호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그 휴대용 단말기의 키 버튼이 외부 물품에 눌려서 휴대용 단말기가 원치 않는 작동을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은 사용자의 의지와 다르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또한 불필요한 충전 전력 소모, 더 나아가서는, 불필요한 통화료 및/또는 통신 요금을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마저 야기한다.
기존의 키 입력 잠금 제어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는 키의 입력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보조키(ex. Hold키)를 추가로 구비하는 방법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조작하여 잠금과 해제를 설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인 키 입력의 잠금 제어 방법들이다.
하지만. 기존 방법처럼 외부에 별도 홀드키 등의 보조 입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전체적인 디자인 상 꼭 필요로 하지 않는 키의 추가로 디자인에 제한을 받게 된다.
기존의 다른 방법인 UI를 이용한 키 잠금 제어 방법의 경우에는 잠금과 해제를 위하여 몇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통신이 슬립상태인 대기모드 상태로 동작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잠겨있다면, 휴대용 단말기는 UI를 이용한 키 잠금 제어 방법은 키 입력을 감지하면 키잠금을 해제하는 일련의 절차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원치않는 빈번한 키 입력시 휴대용 단말기가 자주 활성화되어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과 잠금 키 조합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을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별도의 제어부인 입력 제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이 잠긴 상태인 경우 입력 제어부에서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의 입력을 확인하여 정당한 해제 키 조합을 입력받으면 제어부로 키 잠금의 해제를 알리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는,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패드와, 입력받는 키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키 버퍼와,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가 감지하는 키 입력을 상기 키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키 버퍼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제어부의 키 잠금 제어 방법은, 키 잠금 상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감지한 키 입력을 저장하는 과정과, 입력 제어부에서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의 키 잠금 제어 방법은, 키 해제 상태에서 잠금 키 조합의 첫번째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면, 입력 제어부로 상기 키 해제 상태를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패드와, 입력받는 키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키 버퍼와,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가 감지하는 키 입력을 상기 키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키 버퍼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가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잠금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키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과 잠금 키 조합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을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잠금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입력부(110), 통신부(120), 표시부(130) 및, 메모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휴댕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110)는 입력 제어부(112), 키패드(114) 및, 키 버퍼(11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키패드(114)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입력 제어부(112)로 제공한다.
상기 키 버퍼(116)는 상기 입력 제어부(112)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키 잠금 상태인 경우에 상기 키패드(114)를 통해 입력받는 키입력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키 입력이 가능한 키 해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114)로부터 키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키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제공받으면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상기 제어부(100)의 설정에 따라 키 입력이 제한된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114)로부터 키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키 버퍼(116)에 저장하고 기설정 시간 내에 입력된 키 조 합이 키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해제 키 조합이 아니면 키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확인결과 해제 키 조합이면 키 잠금이 해제되어 키 해제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 상태가 대기모드이면 일반모드로 전환하고 키 해제 상태의 전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 상태가 대기모드라 함은 상기 제어부(1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즉, 전력을 소모하지 않은 비활성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 기능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130)는 화면 출력을 하지 않고, 상기 통신부(120)는 슬립모드로 동작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통신상태만 확인한다. 반면, 일반모드라 함은 상기 제어부(10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 기능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이 가능한 키 해제 상태에서 수신하는 키입력 데이터가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 키 조합의 첫번째 키이면, 기설정 시간 내에 잠금 키 조합의 키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잠금 키 조합의 키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키 해제 상태를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키 잠근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상기 입력 제어부(112)로 제공한다. 확인결과, 기설정 시간 내에 잠금 키 조합의 키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기존의 기술에 따라 입력받은 키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1을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해제 상태에서 키 잠금 상태로의 전환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감지하고, 키 잠금 상태에서 키 해제 상태로의 전환은 상기 입력 제어부(112)에서 감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제어하는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상기 제어부(100)의 요청에 따라 20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상태가 키 입력을 제한하는 키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202단계로 진행하여 키 입력을 감지하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 시간 내에 기설정한 해제 키 조합의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상기 해제 키 조합의 키 입력이 아니면, 키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202단계로 돌아가 키 입력을 감지한다.
하지만, 상기 204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해제 키 조합의 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대기모드이면,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고, 210단계로 진행하여 키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제공한다.
상기 206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 모드가 일반모드이면, 상기 입력 제어부(112)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키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제한하는 키 잠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i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302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한 잠금 키 조합의 첫번째 키의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잠금 키 조합의 첫번째 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 시간내에 잠금 키 조합의 키가 모두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기설정 시간내에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302단계로 돌아간다.
하지만, 상기 304단계의 확인결과 기설정 시간 내에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키 해제 상태를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입력 제어부(112)로 상기 키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잠금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제한하는 키 잠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패드와,
    입력받는 키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키 버퍼와,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가 감지하는 키 입력을 상기 키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키 버퍼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할 때, 상기 키 버퍼 저장된 키 입력 중에서 기설정 시간내에 입력되어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키 입력에 따른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상기 해제 키 조합이면, 상기 키 잠금 상태를 키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키 패드가 감지하는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키 잠금 상태에서 상기 키 패드를 통해 감지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키 잠금 상태를 상기 키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이면 일반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 해제 상태에서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잠금 키 조합의 키 입력을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 제어부로 상기 키 해제 상태를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키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키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요청받으면 상기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제어부의 키 잠금 제어 방법에 있어서,
    키 잠금 상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감지한 키 입력을 저장하는 과정과,
    입력 제어부에서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키 입력 중에서 기설정 시간 내에 입력되어 저장된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해제 키 조합인지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의 확인결과, 상기 최근 키 입력의 조합이 상기 해제 키 조합이면, 상기 키 잠금 상태를 키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키 해제 상태에서 감지하는 키 입력을 제어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키 잠금 상태에서 감지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잠금 상태를 키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 이후,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이면 일반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12.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의 키 잠금 제어 방법에 있어서,
    키 해제 상태에서 잠금 키 조합의 첫번째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잠금 키 조합의 모든 키가 입력되면, 입력 제어부로 상기 키 해제 상태를 키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키 잠금 상태에서 감지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잠금 제어 방법.
KR1020070078906A 2007-08-07 2007-08-07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4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06A KR101349292B1 (ko) 2007-08-07 2007-08-07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US12/187,138 US8704631B2 (en) 2007-08-07 2008-08-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lock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906A KR101349292B1 (ko) 2007-08-07 2007-08-07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733A true KR20090014733A (ko) 2009-02-11
KR101349292B1 KR101349292B1 (ko) 2014-01-10

Family

ID=4034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906A KR101349292B1 (ko) 2007-08-07 2007-08-07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04631B2 (ko)
KR (1) KR101349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4893B2 (en) 2009-10-14 2014-12-30 At&T Mobility Ii Llc Locking and unlock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loped lock track
US9424444B2 (en) 2009-10-14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DE102012108810A1 (de) * 2011-09-20 2013-03-2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ktronische einrichtung und zustands-steuerverfahren
US9383851B2 (en) * 2014-01-06 2016-07-05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sensor input in a low power system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68A (ja) * 1992-06-30 1994-01-28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入力制御装置
US6269260B1 (en) * 1999-06-21 2001-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lephone having a character recognition fea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449492B1 (en) * 1999-12-02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nadvertant operation of a manual input device
US6985137B2 (en) * 2001-08-13 2006-01-1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touch pad input due to accidental touching
AU2002237465A1 (en) * 2002-03-04 2003-09-16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6989732B2 (en) * 2002-06-14 2006-01-24 Sentrilock, Inc. Electronic lock system and method for its use with card only mode
US20040108938A1 (en) * 2002-12-10 2004-06-10 Entrekin David A. Portable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12577A1 (en) * 2004-07-16 2006-01-19 Nokia Corporatio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KR101149146B1 (ko) * 2005-08-08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잠금장치 및 방법
US7574002B2 (en) * 2005-11-17 2009-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Mechanical key l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070129098A1 (en) * 2005-12-06 2007-06-07 Motorola, In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desired mode of inputting speech
KR100725522B1 (ko) * 2006-09-01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292B1 (ko) 2014-01-10
US8704631B2 (en) 2014-04-22
US20090040018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566B2 (en) Mobile phone terminal
EP2175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 portable terminal using piezoelectric sensors
US2008012970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85215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in a touch screen mobile phone from a touch screen and keypad lock active state
US20090280872A1 (en) Mobile apparatus
KR1011562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KR10134929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662527A (zh) 一种激活手机应用程序的方法和系统
KR100310191B1 (ko) 휴대용단말기의분실/도난상태제어방법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KR20110043012A (ko)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6550129A (zh) 省电模式下的通信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060080060A (ko)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US20140028724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KR2008005368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원 오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100086264A (ko)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5473B1 (ko)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703209B1 (ko) 블루투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JP2933512B2 (ja) 携帯電話装置
KR20110007694A (ko) 터치형 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락 해제방법
KR10099320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408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72343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KR20060098854A (ko) 긴급모드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