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522B1 -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522B1
KR100725522B1 KR1020060084346A KR20060084346A KR100725522B1 KR 100725522 B1 KR100725522 B1 KR 100725522B1 KR 1020060084346 A KR1020060084346 A KR 1020060084346A KR 20060084346 A KR20060084346 A KR 20060084346A KR 100725522 B1 KR100725522 B1 KR 10072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put
state
partial
lock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522B1/ko
Priority to US11/837,270 priority patent/US87047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오작동을 줄이고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분잠금 기능을 부여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제1 잠금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잠금상태와 제3 잠금상태 중 어느 잠금상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휴대기기의 잠금상태를 제2 잠금상태와 제3 잠금상태 중 선택된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제2, 제3 잠금상태가 각각 전부잠금 상태, 부분잠금 상태, 전부해제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이다. 접촉입력부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옵티컬 조그와 같은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찍기와 문지르기와 같은 접촉입력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부분잠금 상태는 접촉입력부의 유형별로 또는 접촉입력 방식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이다.
접촉입력부, 잠금키, 잠금상태, 부분잠금, 잠금/해제

Description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artial lock in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input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잠금 제어방법이 구현되는 휴대기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어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오작동을 줄이고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촉입력부의 유형별로 또는 접촉입력 방식별로 부분잠금 기능을 부여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말미암아 인간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도와주는 각종 휴대기기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 PDA, MP3 플레이어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휴대기기의 입력부로서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옵티컬 조그(optical jog) 등을 채택하는 예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들은 하드웨어적으로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한 반면,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에 의하여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따라서 소위 '접촉입력부(touch input device)'라 부를 수 있다.
사용자의 누름동작을 인식하여 구동되는 기존의 버튼입력부(button input unit)와 달리, 접촉입력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찍기(touch)와 문지르기(sweep) 동작에 의하여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접촉입력 방식은 신체 또는 사물에 살짝 닿기만 해도 사용자의 조작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되어 버리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견 직관적이고 편리한 입력 방식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는 잦은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기능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기술은 버튼입력부처럼 구동하는 잠금키를 채택하여 접촉입력부에 대한 잠금/해제(lock/unlock)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접촉입력부가 두 가지 이상의 유형(예컨대, 터치패드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거나 입력 방식이 찍기와 문지르기로 구분된 경우에는 잠금 기능이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례를 들어, 터치패드와 터치스크린이 함께 장착된 기기를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다닐 때 터치패드가 정전기에 반응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 기기를 모두 잠금상태로 바꿔버리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휴대 전화기와 같은 통신기기의 경우, 잠금상태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모든 입력부가 잠겨 있으므로 신속하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오동작 방지는 찍기 방식의 잠금만으로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입력 방식을 잠금상태로 만들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 접촉입력부의 감도(sensibility)를 낮추어 웬만한 외부 자극에는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사용성(usability)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의 접촉입력부가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부 유형별로 잠금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오작동 방지와 사용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의 접촉입력 방식이 찍기와 문지르기로 구분된 휴대기기에서 입력 방식별로 잠금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오작동 방지와 사용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분잠금(partial lock)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잠금 제어방법은 접촉입력부와 잠금키를 구비한 휴대기 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으로서, 제1 잠금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와,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잠금상태와 제3 잠금상태 중 어느 잠금상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휴대기기의 잠금상태를 제2 잠금상태와 제3 잠금상태 중 선택된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제2, 제3 잠금상태가 각각 전부잠금 상태, 부분잠금 상태, 전부해제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서,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부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부분잠금 상태는 접촉입력부의 입력부 유형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이다. 또한,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부분잠금 상태는 접촉입력부의 입력 방식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이다. 입력부 유형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옵티컬 조그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방식은 찍기와 문지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 잠금상태의 진입 단계는 휴대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잠금상태는 부분잠금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잠금 제어방법은 접촉입력부와 잠금키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으로서,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잠금상태가 전부잠금 상태, 부분잠금 상태, 전부해제 상태 중의 어느 잠금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잠금상태가 판단되면 현재 잠금상태가 아닌 나머지 잠금상태 중에서 어느 잠금상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휴대기기의 잠금상태를 현재 잠금상태에서 선택된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잠금 제어방법이 구현되는 휴대기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기기(100)는 터치패드(110), 터치스크린(120), 잠금키(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특히 입력판단 모듈(142)과 잠금제어 모듈(144)을 구비한다.
터치패드(110)와 터치스크린(120)은 휴대기기(100)의 접촉입력부를 구성한다. 이와 달리, 휴대기기(100)의 접촉입력부는 한 가지 유형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접촉입력부(110, 120)는 사용자의 접촉동작에 의한 입력(이하, '접촉입력'이라 함)을 감지한다. 접촉입력의 방식은 찍기와 문지르기로 구분되며, 접촉입력부는 두 가지 접촉입력 방식을 모두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접촉입력 방식만 채용할 수도 있다.
잠금키(130)는 통상적인 버튼입력부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누름동작을 감지한다. 잠금키(130)는 사용자가 휴대기기(100)의 잠금상태를 바꾸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제어부(140)는 휴대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휴대기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한다.
특히, 입력판단 모듈(142)은 접촉입력부(110, 120)로부터 접촉입력이 수신되는지, 잠금키(130)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접촉입력이 수신되면 어떤 유형의 입력부(110, 120)로부터 어떤 방식의 접촉입력이 수신된 것인지, 잠금상태의 선택이 있는지 등을 판단한다.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가 무엇인지 판단하고, 접촉입력이 수신되면 그에 따라 해당기능을 잠그거나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잠금상태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잠금상태로 설정한다.
저장부(150)는 현재 설정된 잠금상태를 저장하며, 현재의 잠금상태를 나타내거나 잠금상태의 선택 목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저장한다.
표시부(160)는 잠금제어 모듈(144)의 제어 하에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현재의 잠금상태를 표시하거나 잠금상태의 선택 목록을 표시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제어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도 1의 참조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휴대기기(100)의 구동을 인식하고(단계 202), 부분잠금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20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기기가 구동될 때마다 자동으로 부분잠금 상태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부분잠금 상태란 접촉입력부의 유형별로 또는 접촉입력의 방식별로 각기 다른 잠금/해제 기능을 부여한 상태를 말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분잠금 상태로 진입함과 동시에 표시부(160)에는 부분잠금 상태임을 알리는 팝업창(162; pop-up window)이 출력된다.
도 3a는 접촉입력부의 유형에 따른 부분잠금 상태의 화면 예시도이며, 도 3b는 접촉입력의 방식에 따른 부분잠금 상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의 예와 같이 터치패드(110)에만 잠금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터치스크린(120)에만 잠금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의 예와 같이 찍기에만 잠금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문지르기에만 잠금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부분잠금 상태를 어떻게 설정하는가는 휴대기기의 종류, 특성 등에 따라 사전에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부분잠금 상태로 진입한 후, 입력판단 모듈(142)은 접촉입력부(110, 120)로부터 접촉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06). 접촉입력이 없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키(130)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08). 잠금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상태의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210). 이때, 잠금제어 모듈(144)은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164)을 표시부(160)에 출력한다.
현재의 잠금상태가 부분잠금이므로 선택할 수 있는 상태는 전부잠금 또는 전부해제이다. 입력판단 모듈(142)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잠금제어 모듈(144)은 선택된 상태로 잠금상태를 설정한다(단계 212, 214). 이때, 잠금제어 모듈(144)은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잠금상태를 알리는 팝업창(166)을 표시부(160)에 출력한다. 전부잠금 상태로 설정된 경우의 후속 절차가 도 2b에, 전부해제 상태로 설정된 경우의 후속 절차가 도 2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접촉입력의 판단 단계(206)에서 접촉입력이 있을 경우의 후속 절차는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부잠금 상태로 설정된 경우, 입력판단 모듈(142)은 접촉입력부(110, 120)로부터 접촉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16). 접촉입력이 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잠금이므로 해당기능을 잠근다(단계 218). 즉, 찍기나 문지르기와 같은 접촉입력이 있더라도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접촉입력이 없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키(130)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20).
잠금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상태의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222). 이때, 잠금제어 모듈(144)은 도 3e, 도 3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168)을 표시부(160)에 출력한다. 도 3e는 부분 잠금 상태를 선택하면 어느 유형의 접촉입력부(또는 어느 방식의 접촉입력)에만 잠금 기능을 부여할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이다. 이와 달리, 도 3f는 어느 유형(또는 어느 방식)에 잠금 기능을 부여할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이다.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잠금이므로 선택할 수 있는 상태는 부분잠금 또는 전부해제이다. 입력판단 모듈(142)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잠금제어 모듈(144)은 선택된 상태로 잠금상태를 설정한다(단계 224, 214). 만약 부분잠금 상태로 설정된다면 전술한 단계 206으로 돌아간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술한 단계 214에서 전부해제 상태로 설정된 경우, 입력판단 모듈(142)은 접촉입력부(110, 120)로부터 접촉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26). 접촉입력이 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해제이므로 해당기능을 수행한다(단계 228). 즉, 찍기나 문지르기와 같은 접촉입력이 있으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접촉입력이 없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키(130)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단계 230). 잠금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상태의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232). 이때, 잠금제어 모듈(144)은 도 3e 또는 도 3f와 유사한 팝업창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해제이므로 선택할 수 있는 상태는 부분잠금 또는 전부잠금이다. 입력판단 모듈(142)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잠금제어 모듈(144)은 선택된 상태로 잠금상태를 설정한다(단계 224, 212).
한편, 전술한 접촉입력의 판단 단계(206)에서 접촉입력이 있을 경우, 즉 부분잠금 상태에서 접촉입력이 수신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판단 모 듈(142)은 수신된 접촉입력이 잠금대상 입력인지 판단한다(단계 234).
예를 들어 현재의 잠금상태가 터치패드는 잠금으로, 터치스크린은 해제로 설정되었다면, 수신된 접촉입력이 터치패드의 입력인지 터치스크린의 입력인지 판단한다. 다른 예로, 현재의 잠금상태가 찍기는 잠금으로, 문지르기는 해제로 설정되었다면, 수신된 접촉입력이 찍기인지 문지르기인지 판단한다. 전자의 경우는 터치패드와 터치스크린의 입력 수신경로가 다르므로 쉽게 구별이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는 접촉입력의 시작지점과 종결지점이 동일한지의 여부로 구별할 수 있다. 찍기는 한 곳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접촉입력의 시작지점과 종결지점이 동일하고, 문지르기는 손가락이 움직이면서 접촉입력이 발생하므로 두 지점이 서로 다르다.
단계 234에서 잠금대상 입력인지 판단한 결과, 수신된 접촉입력이 잠금대상 입력이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해당기능을 잠그고(단계 218), 잠금대상 입력이 아니면 해당기능을 수행한다(228).
이어서,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잠금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기기가 구동될 때마다 자동으로 부분잠금 상태가 설정되는 경우이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는 기기가 구동될 때의 잠금상태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기가 꺼지기 전의 잠금상태를 기억하고 있다가 기기가 구동될 때의 잠금상태로 삼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판단 모듈(142)은 잠금키(130)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402). 잠금키 입력이 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가 부분잠금인지 판단한다(단계 404). 부분잠금 상태이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전부잠금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단계 406). 전부잠금이 선택되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전부잠금으로 설정한다(단계408). 전부잠금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전부해제로 설정한다(단계 410).
한편, 단계 404의 판단결과 현재의 잠금상태가 부분잠금이 아니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잠금인지 판단한다(단계 412). 전부잠금 상태이면, 입력판단 모듈(142)은 부분잠금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단계 414). 부분잠금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전부해제로 설정한다(단계410). 부분잠금이 선택되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부분잠금으로 설정한다(단계 416).
또한, 단계 412의 판단결과 현재의 잠금상태가 전부잠금도 아니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현재의 잠금상태를 전부해제로 판단한다. 이어서, 입력판단 모듈(142)은 부분잠금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단계 418). 부분잠금이 선택되었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부분잠금으로 설정한다(단계416). 부분잠금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잠금제어 모듈(144)은 기기의 잠금상태를 전부잠금으로 설정한다(단계 408).
이상 설명한 부분잠금 제어방법은 잠금키 입력이 있을 때 잠금상태를 어떻게 설정할지(또는 어떻게 변경할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접촉입력부로부터 접촉입력이 있을 때 후속 절차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따를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는 접촉입력부의 유형별로 또는 접촉입력의 방식별로 각기 다른 잠금/해제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에 해당되지만, 접촉입력부 유형과 접촉입력 방식을 조합하여 각 조합별로 서로 다른 부분잠금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은 휴대 전화기, PDA, MP3 플레이어, PMP, DMB 수신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촉입력부를 가지는 각종 휴대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에서 부분잠금의 개념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단일한 휴대기기에 부분적으로 잠금/해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제 어방법을 제공한다. 부분잠금 제어방법은 휴대기기의 접촉입력부가 두 가지 유형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동일한 입력 하드웨어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입력 방식이 공존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오작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사용성을 저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6)

  1. 접촉입력부와 잠금키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 잠금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잠금상태와 제3 잠금상태 중 어느 잠금상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기기의 잠금상태를 상기 제2 잠금상태와 상기 제3 잠금상태 중 선택된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제3 잠금상태가 각각 전부잠금 상태, 부분잠금 상태, 전부해제 상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부 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잠금 상태는 상기 접촉입력부의 입력부 유형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잠 금 상태는 상기 접촉입력부의 입력 방식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유형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옵티컬 조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식은 찍기와 문지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상태의 진입 단계는 상기 휴대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상태는 부분잠금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키 입력의 수신 판단 단계 전에, 상기 접촉입력부로부터 접촉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키 입력의 수신 판단 단계는 상기 접촉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상태가 부분잠금 상태이고 상기 접촉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촉입력의 수신 판단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접촉입력이 잠금대상 입력인지 판단하여 잠금대상 입력이면 상기 접촉입력의 해당기능을 잠그고 잠금대상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접촉입력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상태가 전부잠금 상태이고 상기 접촉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촉입력의 수신 판단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접촉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잠그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상태가 전부해제 상태이고 상기 접촉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 단되면, 상기 접촉입력의 수신 판단 단계 후에, 상기 수신된 접촉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2. 접촉입력부와 잠금키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키의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잠금상태가 전부잠금 상태, 부분잠금 상태, 전부해제 상태 중의 어느 잠금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잠금상태가 판단되면 현재 잠금상태가 아닌 나머지 잠금상태 중에서 어느 잠금상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기기의 잠금상태를 상기 현재 잠금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잠금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부 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잠금 상태는 상기 접촉입력부의 입력부 유형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력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잠 금 상태는 상기 접촉입력부의 입력 방식별로 잠금 기능과 해제 기능을 다르게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유형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옵티컬 조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식은 찍기와 문지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잠금 제어방법.
KR1020060084346A 2006-09-01 2006-09-01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KR10072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46A KR100725522B1 (ko) 2006-09-01 2006-09-01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US11/837,270 US8704774B2 (en) 2006-09-01 2007-08-10 Method for controlling partial lock in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inpu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46A KR100725522B1 (ko) 2006-09-01 2006-09-01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522B1 true KR100725522B1 (ko) 2007-06-07

Family

ID=3835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46A KR100725522B1 (ko) 2006-09-01 2006-09-01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04774B2 (ko)
KR (1) KR100725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609A (ko)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9310963B2 (en) 2007-06-29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9733827B2 (en) 2010-09-01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Mode switching
US9830049B2 (en) 2011-12-12 2017-11-2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transition between scre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3222B2 (en) * 2007-01-08 2014-09-23 Varia Holdings Llc Selective locking of input controls for a portable media player
KR101349292B1 (ko) * 2007-08-07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91935A (ja) * 2009-01-26 2010-09-02 Toshiba Tec Corp 注文受付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428387B (zh) 2009-04-22 2014-10-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印刷的有机光电二极管阵列的成像测量系统
US9424444B2 (en) 2009-10-14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US8924893B2 (en) 2009-10-14 2014-12-30 At&T Mobility Ii Llc Locking and unlock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loped lock track
US8656457B2 (en) 2009-11-24 2014-02-18 Koninklijke Kpn N.V. Controlling locking state transitions in a terminal
KR101673925B1 (ko) * 2010-05-26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10300915A1 (en) * 2010-06-08 2011-12-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partial functionality of a mobile terminal
US20120184247A1 (en) * 2011-01-19 2012-07-1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708994A4 (en) 2011-06-10 2014-11-19 Huawei Device Co Ltd RELEASE PROCESS AND WIRELESS PORTABLE DEVICE
US20130036377A1 (en) * 2011-08-05 2013-02-07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US9395800B2 (en) * 2011-09-30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instant handwritten inpu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8494585B2 (en) 2011-10-13 2013-07-23 The Boeing Company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ccessory functions and related methods
US8863004B2 (en) * 2011-10-28 2014-10-14 Navteq B.V.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of a user device in a locked state
CN102799387A (zh) * 2012-08-07 2012-11-2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具有触摸解锁功能的移动终端及移动终端触摸解锁的方法
KR101321941B1 (ko) * 2012-10-24 2013-10-28 알서포트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정보기기의 선택적 잠금방법
WO2014129286A1 (ja) * 2013-02-19 2014-08-2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US9454251B1 (en) 2013-06-26 2016-09-27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in a display inhibited state
CN104298551A (zh) * 2013-07-15 2015-01-2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应用程序调用系统及方法
US10064240B2 (en) * 2013-09-12 2018-08-28 The Boeing Comp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9497221B2 (en) 2013-09-12 2016-11-15 The Boeing Comp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9819661B2 (en) 2013-09-12 2017-11-14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authorizing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a targeted computing device
JP6497549B2 (ja) * 2015-03-05 2019-04-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08A (ko) * 2001-02-01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확장 표시방법
KR20030013907A (ko) * 2001-08-10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137B2 (en) * 2001-08-13 2006-01-1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touch pad input due to accidental touching
AU2002237465A1 (en) * 2002-03-04 2003-09-16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7231231B2 (en) * 2003-10-14 2007-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US20060012577A1 (en) * 2004-07-16 2006-01-19 Nokia Corporation Active keypad lock for devices equipped with touch screen
US20070135091A1 (en) * 2005-12-08 2007-06-14 Wassingbo Tomas K Electronic equipment with call key lock and program for providing the same
US7480870B2 (en) * 2005-12-23 2009-01-20 Apple Inc. Indication of progress towards satisfaction of a user input condition
US7792544B2 (en) * 2007-05-25 2010-09-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the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08A (ko) * 2001-02-01 2002-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확장 표시방법
KR20030013907A (ko) * 2001-08-10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시건장치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2002-0064408
특2003-0013907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0963B2 (en) 2007-06-29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10310703B2 (en) 2007-06-29 2019-06-04 Nokia Technologies Oy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US9733827B2 (en) 2010-09-01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Mode switching
US9830049B2 (en) 2011-12-12 2017-11-2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transition between screens
KR20140029609A (ko)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949737B1 (ko) * 2012-08-28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55276A1 (en) 2008-03-06
US8704774B2 (en)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522B1 (ko) 접촉입력부를 구비한 휴대기기의 부분잠금 제어방법
US8639295B2 (en) Method for unlocking scre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thereof
EP3046017B1 (en) Unlock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US104020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US9071970B2 (en) Terminal device
KR100722278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8049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091468A1 (en) Individualized method for unlocking display screen o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US20140189584A1 (en)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5635483B (zh) 一种操作移动终端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886766B (zh) 一种指纹识别方法、指纹识别电路及移动终端
KR20010052135A (ko) 접촉 감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무선 전화 및 그동작 방법
US20120262388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KR20100073743A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US2022007861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16257836B (zh)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CN105045477A (zh) 一种终端解锁方法及终端
US1015904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5827792A (zh) 一种电子设备的屏幕解锁方法及电子设备
JP5901479B2 (ja) 携帯情報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510916A (zh) 一种通话过程中屏幕的处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4808933A (zh) 智能终端的解锁控制方法和装置
US201302324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electronic device
CN108337376A (zh) 副屏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090015259A (ko)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