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029A -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029A
KR20090014029A KR1020070078248A KR20070078248A KR20090014029A KR 20090014029 A KR20090014029 A KR 20090014029A KR 1020070078248 A KR1020070078248 A KR 1020070078248A KR 20070078248 A KR20070078248 A KR 20070078248A KR 20090014029 A KR20090014029 A KR 2009001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environ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덕
이동학
박원형
유재황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029A/ko
Publication of KR2009001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02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통해 환경정보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고,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상기 환경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받아 표시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휴대용 환경정보 측정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따른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분석서버를 포함한다.
환경정보, 근거리 무선통신, 이동통신, 측정센서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System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센서를 통해 환경정보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고,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상기 환경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받아 표시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선 작업이 필요없는 10m 내외의 단거리에서 사용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킹 솔루션인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무선 PAN 기술 중 지그비 기술은 저전력 지그비 송수신기를 빛, 압력, 기온, 습도 등의 검출용 센서와 결합하여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지그비 기술은 센서네트워크와 같은 버티컬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대략 10m 이내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부각되고 있는 환경 분야에도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접목이 시 도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 726099호(명칭: 브이씨엠(VCM)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IEEE 802. 15. 4 기반의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VCM(Virtual Control Monitoring)에서 홈네트워크 상의 각종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환경정보에 따라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측정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장치가 대부분 측정기 안에 포함되고, 환경정보 측정과 관련해서는 주로 가스센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측정기의 부피와 무게가 커질 수밖에 없어서 휴대성 및 이동성에 제약이 있다. 또한, 환경정보 측정센서가 커짐에 따라 전력 소모량도 크고, 측정 항목의 개수만큼 가스센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공기오염, 가스유출 등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주변 환경정보를 개인이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측정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핸드폰 액세서리 같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세서리 형태로 휴대가능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변의 환경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환경정보 분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환경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휴대용 환경정보 측정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따른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분석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는 휴대가능한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상기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측정센서에서 환경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측정부에서의 환경정보 검출을 위한 가상머신(VM:Virtual Machine)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담당하는 제1이동통신송수신부;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로부터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이동통신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정보, 환경정보, 건강영향도, 행동요령 및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분석하는 환경정보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은,
환경정보 측정부에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이동통신단말로 근거리 무선통신에 통해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환경정보 분석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를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를 셋업(SetU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환경정보의 분석결과 중 열람하고 싶은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따라 환경정보 분석 요청을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멀티센서를 갖는 휴대형 환경정보 측정부를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하여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자기 주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과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은 환경정보 측정부(100), 이동통신단말(200), 이동통신망(300) 및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측정 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수의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온도, 습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일산화탄소(CO), 알코올(R-OH), 황화수소(H2S) 등을 각각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휴대가능한 소정의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되어 이동통신단말(200)과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액세서리로서 제작되어 소정의 연결고리를 통해 이동통신단말(200)에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200)과 함께 이동하며 항상 일정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분리되어 별도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환경정보 측정부(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환경정보 측정 요청신호의 송신 및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의 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이동통신단말(2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width)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이동통신단말(200) 간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지그비(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 및 환경정보 측정서버(40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된 측정결과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에 전달하며,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가 분석한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CDMA-2000 망, WCDMA 망 또는 이들이 조합된 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CDMA-2000 망은 일반적으로 BTS, BSC 및 PSDN 등을 포함한다. BTS(Base Transceiver Station)는 기지국(Cell Site)으로서 자원할당을 수행하고, CDMA-2000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물리적 무선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BSC(Base Station Controller)는 자신의 도메인 내에 있는 다수의 BTS의 제어를 담당하며, BTS와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사이의 패킷을 라우팅한다. 상기 PSDN(Packet Data Serving Node)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필수 구성 요소로서, 대표적인 기능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과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고, 과금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WCDMA 망은 일반적으로 Node B, RNC, SGSN 및 GGSN 등을 포함한다. Node B는 기지국으로서 하나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연결된다. 상기 RNC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Node B들의 무선자원을 제어한다. RNS(322)와 Node B가 서로 결합된 것을 RNS(Radio Network Subsystem)라고 한다. 상기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은 회선 교환 방식에서의 MSC/VLR의 기능과 유사하며, 패킷 교환 방식에서의 이동성(Mobility) 관리, 보안 및 접속 제어 등과 같은 동일한 기능 을 수행한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시켜 준다. 사용자는 상기 GGSN을 통하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CDMA-2000 망, WCDMA 망 또는 이들이 조합된 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럽의 GSM 이동통신망, TDMA 이동통신망, IMT-2000 이동통신망, 초고속(HPi) 이동통신망 등 이동통신단말(200) 사이의 무선 데이터를 중계하는 모든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수신된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사용자정보에 따른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2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이동통신단말(200)에 탑재된 가상머신(VM:Virtual Machine)과의 연동기능, 상기 VM의 다운로드 및 서버운영/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환경정보의 분석결과 중 열람하고 싶은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200)에서 분석을 위한 메뉴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이동통신망(3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서의 환경정보 측정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제1무선통신부(110), 측정센서(120), 제1제어부(130) 및 전원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서의 측정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를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바람직하게는 지그비(ZigBee) 통신, UWB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120)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멀티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멀티센서의 각 센서에서는 서로 다른 고유의 환경정보를 서로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어부(130)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상기 제1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측정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정보를 측정하도록 상기 측정센서(120)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제1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내의 각 기능부의 동작을 위 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제1무선통신부(110), 측정센서(120) 및 제 1 제어부(130)의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며, 휴대용 배터리(battery)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가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기 편하도록 소형으로 제조되거나, 이동통신단말의 액세서리로 제조되어 이동통신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지그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전원부(140)에 의해 각 기능부(210,220,2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측정센서(200)가 자동교정(Auto-Calibration)을 통하여 센서 초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웨이크업(WakeUp)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가 셋업(SetUp)된다. 이후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통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에서의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200)은 저장부(210), 제2무선통신부(220), 제1이동통신송수신부(230), 표시부(240) 및 제2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 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1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 환경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정보 검출 실행을 위한 가상머신(VM:Virtual Machine)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VM은 바람직하게는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환경정보 검출을 위하여 필요시에 제2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즉, 상기 VM은 환경정보 측정부(100)에서 환경정보 검출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환경정보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실행시키고, 환경정보 측정부(100)로 전달할 측정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상기 제2무선통신부(220)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송수신부(23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환경정보 측정서버(4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가 측정한 환경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가 분석한 분석결과를 각각 전송받아 표시한다.
상기 제2제어부(250)는 이동통신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VM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환경정보 측정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로 상기 측정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환경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정보를 상기 환경정보 측정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른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분석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의 상기 측정센서(120)가 초기화된 후,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가 셋업(SetUp)된다.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와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환경정보 분석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제2이동통신송수신부(410), 데이터베이스(420) 및 환경정보분석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이동통신송수신부(410)는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사용자정보 및 환경정보, 건강영향도, 행동요령 및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4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도 4에서는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환경정보분석부(43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환경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정보에 따른 건강영향도, 행동요령 등을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제2이동통신송수신부(410)에 의해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환경정보의 분석결과 중 열람하고 싶은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경정보 분석메뉴 중 하나를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서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환경정보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이동통신송수신부(410)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그비(ZigBee) 통신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상기에서 밝힌 바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VM을 구동하여 UI를 실행시킨다(S501).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서 UI가 구동되면서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환경정보 측정부(100)로 주기적으로 지그비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하고(S502),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로부터 신호를 대기한다(S503).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의 전원이 온(ON)되면 측정센서(120))가 자동교정(Auto-Calibration)을 통하여 센서 초기화를 수행한다(S504). 상기 측정센서(120)의 초기화와 동시에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의 제1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제2무선통신부(220)와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를 셋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05). 상기 UI에서 환경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측정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 요청신호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로 전송된다(S506). 상기 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일산화탄소(CO), 알코올(R-OH) 및 황화수소(H2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에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S507).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100)의 제1무선통신부(110)는 상기 환경정보 측정항목에 대응하여 측정된 환경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하며(S508),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서 표시부(240)에 상기 전송된 측정결과를 표시한다(S509).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의 제1이동통신송수신부(230)는 상기 환경정보의 측정결과와 사용자 정보를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300)로 전송한다(S510).
한편,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에서 환경정보의 분석결과 중 열람하고 싶은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전송받는다(S511).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200)과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이동통신망(300)(도면 미도시)을 통해 통신한다. 상기 환경정보 분석메뉴 중 하나를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을 이용하여 선택하면(S512),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환경정보 분석을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에 요청한다(S513).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는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생성한 후(S514), 상기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한다(S515).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200)은 상기 분석된 환경정보 분석결과를 상기 표시부(240)에서 표시한다(S516). 사용자가 UI의 종료 명령을 실행하면 VM의 구동 및 제2무선통신부(220)의 실행은 종료된다(S51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S511에서 S513까지의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400)에 전송하여 분석요청을 하면(S510), 상기 측정결과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생성한 후(S514), 상기 분석결과를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515).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실생활에서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환경에 따른 건강상태 및 대응요령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경정보 측정센서를 이동통신단말의 액세서리 형태로 제작하여 이동통신단말과 함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고, 환경정보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환경정보 측정결과를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환경정보의 분석을 위한 소정의 분석서버를 구비하고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결과를 언제 어디서나 빠르게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환경정보 측정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 제공시스템의 환경정보 분석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정부 110 : 제1무선통신부
120 : 측정센서 130 : 제1제어부
140 : 전원부 200 : 이동통신단말
210 : 저장부 220 : 제2무선통신부
230 : 제1이동통신 송수신부 240 : 표시부
250 : 제2제어부 300 : 이동통신망
400 : 환경정보 분석서버 410 : 제2이동통신 송수신부
420 : 데이터베이스(DB) 430 : 환경정보 분석부

Claims (10)

  1.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휴대용 환경정보 측정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따른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분석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는,
    휴대가능한 액세서리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
    상기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측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측정센서에서 환 경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송신하도록 하는 제1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측정부에서의 환경정보 검출을 실행하기 위한 VM(Virtual Machine)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부;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담당하는 제1이동통신송수신부;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로부터 분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이동통신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정보, 환경정보, 건강영향도, 행동요령 및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하여 분석하는 환경정보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7. 환경정보 측정부에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환경정보를 이동통신단말로 근거리 무선통신에 통해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환경정보 분석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를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 측정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경로를 셋업(SetUp)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에서 환경정보의 분석결과 중 열람하고 싶은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환경정보의 분석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환경정보 분석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따라 환경정보 분석 요청을 상기 환경정보 분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건강영향도 및 행동요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방법.
KR1020070078248A 2007-08-03 2007-08-03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090014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48A KR20090014029A (ko) 2007-08-03 2007-08-03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48A KR20090014029A (ko) 2007-08-03 2007-08-03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29A true KR20090014029A (ko) 2009-02-06

Family

ID=4068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48A KR20090014029A (ko) 2007-08-03 2007-08-03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40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35A (ko) * 2019-01-29 2020-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835A (ko) * 2019-01-29 2020-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US11178524B2 (en) 2019-01-29 2021-1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collection method using user terminal and data coll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 et al. IoT enable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smart cities
KR10189234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CN103119998B (zh) 用于识别本地信标系统的方法和设备
CN106464363B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双模终端及接入设备
RU2018128831A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детектор газа
JP2012529797A (ja) 位置情報確定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Varsamou et al. A bluetooth smart analyzer in iBeacon networks
Khan et al. Sensors are power hungry: An investigation of smartphone sensors impact on battery power from lifelogging perspective
CN107172702A (zh) 移动终端及其WiFi发射功率的调整方法和装置
Valach et al. Exploration of the LoRa technology utilization possibilities in healthcare IoT devices
CN107422298A (zh) 蓝牙测距参数优化方法、系统、存储介质及移动终端
Kwiecień et al. Reliability of bluetooth smart technology for indoor localization system
CN109640329A (zh) 链路聚合实现方法及相关产品
JP5263318B2 (ja) 位置情報認識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Ali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 ZigBee and LoRa-based smart building sensor network
CN110267125A (zh) 智能抄表方法及相关产品
CN103516911A (zh) 便携式无线装置及其省电控制方法
KR20090014029A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60109177A (ko) 헬스기구의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250213A (ja) 通信装置、情報処理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042504B1 (ko) 지그비(Zigbee) 기반의 USN 무선통신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JP2004303125A (ja) 環境情報供給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環境情報送信装置及び環境情報送受信装置
CN108990104A (zh) 无线通信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CN108668226A (zh) 基于区块链的处理环境特点和用户偏好的方法及其应用
Taşkın Design of bluetooth low energy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