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40U -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40U
KR20090013040U KR2020080008092U KR20080008092U KR20090013040U KR 20090013040 U KR20090013040 U KR 20090013040U KR 2020080008092 U KR2020080008092 U KR 2020080008092U KR 20080008092 U KR20080008092 U KR 20080008092U KR 20090013040 U KR20090013040 U KR 20090013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unit
tiles
plastic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이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텍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텍, 김용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텍
Priority to KR2020080008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040U/ko
Publication of KR20090013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가 개시된다. 격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타일들과, 상기 단위 타일들을 각각 상호 연결하되 인접된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의 측면 일부에 마련되어 그 인접 단위 타일들 상호 간에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음부를 갖는 타일부와; 상기 타일부에 결합되되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그 공간을 메우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타일의 격자형 배열에 대응되는 그물 형(mesh-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일부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끼워맞춤 접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타일류 건축마감재의 중량이 경량화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규격화된 제조에 의하여 시공이 간편해질 수 있다.
플라스틱 타일, 단위 타일, 돌출부, 야광부

Description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 Plastic Tile Assembly }
본 고안은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류 건축마감재의 중량이 경량화되고 시공비가 절감되며, 규격화된 제조에 의하여 시공이 간편해지면서 장식성과 기능성이 부여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타일(tile)은 건물의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마감재로서 일반적으로는 점토나 자기(瓷器)와 같은 소재로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의 타일은 중량이 무거워 무게가 민감한 설치 환경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한 번 설치하면 바닥이나 벽체와 일체로 고정되므로, 기 설치된 타일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타일의 훼손은 물론이고 바닥면이나 벽체도 깨끗한 상태로 원상회복 되지 못한다. 이런 점 때문에 원할 때 벽면이나 바닥면의 타일을 쉽게 교체해야 되는 환경에도 자기 타일은 적합하지 않다. 기존의 자기 타일은 시공비도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대안으로서, 플라스틱 타일(plastic tile)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은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에 다수의 부 원료 및 안료를 섞어 금형에 부어 일정한 형태와 색상을 갖는 타일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한편, 합성수지 기재에 경계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타일형상부를 마련한 플라스틱 타일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라스틱 타일은 다수의 타일형상부 간을 경계부를 기준으로 절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경계부 전체를 절단해야 하므로 시공이 불편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일 세트의 색상이 단조롭게 마련되며 표면이 평탄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벽이나 바닥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장식성과 기능성을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일류 건축마감재의 중량이 경량화되고, 시공이 간편해지며,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고, 필요시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이나 바닥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성과 기능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있어서, 격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타일들과, 상기 단위 타일들을 각각 상호 연결하되 인접된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의 측면 일부에 마련되어 그 인접 단위 타일들 상호 간에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음부를 갖는 타일부와; 상기 타일부에 결합되되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그 공간을 메우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타일의 격자형 배열에 대응되는 그물 형(mesh-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일부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끼워맞춤 접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일부는 백색 계통의 ABS 수지나 PP 수지와 같은 재료를 주원료로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부는 ABS 수지나 PP 수지와 같은 재료에 불연첨가제를 혼합한 난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부는 상기 단위 타일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수지 재료에 원하는 안료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위 타일의 적어도 일부는 그 표면이 평면형이 아닌 입체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단위타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은 평면형 단위타일과 그 위에 탈착가능하게 접착되는 입체 돌출부를 포함한 형태 또는 평면형 단위 타일과 입체 돌출부가 구분됨이 없이 한 몸체로 만들어진 형태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은 i) 미끄럼 방지에 유리하도록 그 표면이 다수의 입 체형 돌출부가 배치된 요철 입체형, ii) 피라미드 형 단위타일, iii) 반구형단위타일 중 어느 한 가지의 형태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이 형성된 영역과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이한 색의 도료가 각각 착색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타일의 배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부는, 상기 타일부를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일부의 네 변의 소정 위치의 단위 타일의 측면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고정돌출편과, 상기 고정돌출편이 마련된 단위 타일의 반대쪽 단위 타일의 배면에 상기 고정돌출편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의 최외곽 테두리 선폭은 그 내부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의 선폭의 절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일부 및 상기 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는 야광안료가 포함되거나 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야광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은 가볍고,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쉽게 다른 타일로 교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닌다. 또한, 불연첨가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들 외에도 다음과 같은 고유의 장점을 지닌다.
원하는 색상의 타일을 안료나 도료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 므로 화려한 분위기, 고상한 분위기 등 다양한 색상의 타일을 적절히 취사선택하여 벽이나 바닥에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장식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일의 표면을 입체 형상으로 만들어서 평면 형상의 타일과 대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문자, 기호, 그림, 패턴 등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타일이 설치되는 벽이나 바닥 전체가 커다란 장식수단이 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야광 기능이 부여된 타일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장식성은 물론이거니와 비상구 안내 등과 같은 기능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부(110)와, 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타일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M×N 크기의 타일세트를 구성하도록, 예컨대 16×14의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타일(111)들과, 이들 단위 타일(111)들을 각각 상호 연결하되 인접된 단위 타일(111)들 사이의 측면 일부에 마련되어 단위 타일(111)들 상호 간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음부(112)를 포함한다.
타일부(110)는 ABS 수지나 PP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적당량의 불연첨가제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불연첨가제는 난연성을 높이는 반면에 ABS 수지나 PP 수지를 딱딱하게 만들어 가공성을 떨어뜨린다. 불연첨가제의 혼합량은 이 두 가지 특성을 적절히 절충할 수 있는 정도에서 탄력적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ABS 수지나 PP 수지는 백색 계통이다.
타일부(110)는 다양한 색상의 타일을 연출하여 장식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타일부(110)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塗料)를 도포하거나, 또는 주원료 수지에 원하는 안료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타일부(110)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부(110)에 착색되는 도료에는 펄(pearl) 성분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단위 타일(111)의 형상이 정방형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타일(111)의 형상은 원형으로 마련되거나 그 밖에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타일이 될 수 있다.
이음부(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타일(111)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단위 타일(111)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인접한 단위 타일(111)들 사이는 이음부(112)가 존재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빈 공간이다. 이음부(112)는 단위 타일(111)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에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정도의 굵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부(110)가 피시공부위에 시공되기에 크기와 형태가 맞지 않을 경우, 원하는 개소의 이음부(112)를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와 형태의 소 타일부를 얻을 수 있다.
타일부(110)는 접착제로 벽이나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체를 이용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단위 타일(111)의 배면(벽 등에 접하는 면)에는 요홈(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부(110)는 예컨대 나사못(119)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부(110)의 네 변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돌출편(116)을 여러 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출편(116)은 단위 타일(111a)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가운데에 나사못(119)과 결합되는 결합공(117)이 형성된다. 고정돌출편(116)의 연장 길이는 단위 타일(111a)의 폭보다 짧게 하고, 두께 역시 단위 타일(111a)의 두께보다 얇게 만든다. 고정돌출편(116)을 예컨대 (1,0)의 위치에 있는 단위 타일(111b)의 측면에 배치한 경우, 이의 반대편 끝에 위치하는 대응 단위타일(111c)의 바닥에는 고정돌출편(116)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돌출편(116)이 형성된 모든 단위 타일의 반대쪽 끝에 위치한 대응 단위타일들의 바닥에는 수용홈(118)이 형성된다. 하나의 타일부(110) 주위로 다른 타일부(110)를 인접하여 고정할 때, 하나의 타일부(110)에 마련된 고정돌출편(116)이 인접한 타일부(110)의 단위 타일에 덮여서 보이지 않게 된다. 만약, 고정돌출편(116)이 불필요한 경우, 그것을 잘라내면 될 것이다. 고정돌출편(116)과 그것이 연결된 단위 타일(111a)의 연결지점을 자르기 쉽게 두께를 얇게 하거나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부(110)에 결합되되 단위 타일(111)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그 이격 공간을 메운다. 도 1에 도시 된 것처럼, 예컨대 타일부(110)가 사각 단위타일의 격자형 배열인 경우, 프레임부(120)는 그에 대응하여 그물 형(mesh-type)으로 만든다. 프레임부(120)도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으로 만든다. 타일부(11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부(120)도 불연첨가제가 포함된 난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 타일 조립체(100) 전체가 난연성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끔한 외관을 얻으려면, 프레임부(120)는 이음부(112)를 덮어 이음부(11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음부(112)와 접하는 프레임부(120)의 바닥 부분에는 이음부(112)가 삽입되는 요홈(102)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타일조립체(100)를 이어 붙였을 때, 인접 타일조립체 간의 경계 지점의 프레임 선폭이 비경계지점의 프레임 선폭과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프레임부(120)의 4각형의 최외곽 테두리 선폭은 그 내부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의 선폭의 대략 절반 정도로 얇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20)는 통상의 도자기 타일의 접착 마감재와 같은 느낌을 주도록 흰색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20)는 타일부(110)에 간단히 끼워 맞춰 접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자기 타일의 경우, 별도의 타일 마감재를 일일이 단위 타일 사이에 바르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에 비해, 훨씬 간단하게 프레임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나 타일부(110) 모두 가벼운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중량이 경량화된다. 이런 특성들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가 크게 절감될 수 있다.
한편, 타일부(110)의 단위 타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 표면이 평면형이 아 니라 입체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입체돌출형 단위 타일의 예로서 피라미드(pyramid) 형상의 돌출부(130)를 들 수 있다. 도 1에는 피라미드형 돌출부(130)가 "비"자를 나타내도록 배치된 것이 도시된다. 돌출부(130)의 형상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타일(111) 상에 복수의 돌기(소형 피라미드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돌기)들이 형성된 요철표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돌출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특히,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소형 돌기가 배치된 돌출부(130)를 갖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는 바닥이 미끄러운 욕실 바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입체돌출형 단위 타일은 예컨대, 평면형 단위 타일 위에 탈착가능하게 접착되는 입체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입체 돌출부(130)는 평면인 바닥에 양면 접착제가 부가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돌출부(130) 표면의 색상도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만든다. 설치자는 이런 돌출부(130)를 원하는 위치의 평면형 단위 타일(111) 위에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기호, 도형, 패턴 등을 입체형 단위 타일로 표현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재료는 단위 타일(111)의 그것과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돌출부(130)와 평면형 단위 타일(111)을 일체로 한 입체형 단위 타일로 만들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일부(110)의 단위 타일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일체입체형 단위타일로 만든다. 이 방법은 표현할 내용이 확정된 경우(예컨대 "비상구"라는 문자와 출구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입체형 단위 타일로 나타내는 경우), 적용하면 유용할 것이다.
돌출부(13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부(110)와 프레임부(120)의 구별 없이 타일부(110) 및 프레임부(1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일정한 형태나 메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예컨대, '비상구'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130)는 프레임부(12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가 형성된 영역과 돌출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입체 형상과 비 입체 형상이라는 차이로 구분될 수 있지만, 나아가 색상으로도 구별될 수도 있다. 즉, 돌출부(130)가 형성된 영역과 돌출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이한 색의 도료가 각각 착색되어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의 장식성과 표현력이 강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타일부(110) 및 프레임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야광부(140)가 마련된다. 이 야광부(140)는 위에서 언급한 타일부(110)의 주 재료에 야광 안료를 혼합한 원료를 이용하여 단위 타일 자체를 야광체로 만들거나 또는 비 야광성의 단위 타일의 표면에 야광도료(luminescent paint)를 도포하는 형태로 만든다. 황화아연 등과 같은 형인광체(螢燐光體)가 야광안료로 많이 사용되며, 이를 전색제에 혼합시켜 야광도료를 만든다는 점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야광부(140)는 형광도료, 그 밖에 다른 다양한 야광물질이나 야광소자들을 이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도 8에는 "비상구"라는 단어와 출구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도형이 야광부(140)로 구성된 타일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 부(140)는 돌출부(130)가 형성된 곳에 돌출부(130)와 함께 형성되며, 주간과 야간에 돌출부(130)와 야광부(140)가 각각 "비상구"와 화살표 도형의 표시자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광부(140)는 프레임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야광안료를 포함하거나 야광도료가 도포된 부분은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발광하여 장식성과 표현력이 더욱 강조될 수 있어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가 야간 인테리어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LOVE"와 하트 모양의 도형 영역이 야광부(140)로만 구성된 타일 조립체(100)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의 야광부(140)는 안내수단 등과 같은 기능성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지하철과 같은 지하공간이나 나이트클럽, 선박 내부의 벽이나 복도 바닥 등에 설치되어, 비상구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100)는 사출성형이나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만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ABS 수지나 PP 수지만을 이용하거나, 여기에 불연첨가제를 혼합하거나, 나아가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더 혼합한 원료를 이용한다. 안료를 첨가하지 않은 원료를 이용하여 만든 경우, 원하는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는 작업을 추가로 한다. 나아가 단위 타일(111)과 분리형 돌출부(130)를 같은 방식으로 만든다.
준비된 타일 조립체(100)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한다. 먼저 타일부(110)를 피시공장소에 부착시킨 후, 프레임부(120)를 단위 타일(111)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하여 마감 시공을 하게 된다. 타일부(110)의 고정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배면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양면 테이프를 붙여서 고정하거나 또는 나사못으로 고정한다.
프레임부(120)는 사용자의 요구나 특성에 따라 미리 마감재 처리까지 완료된 형태가 되며,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재나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 방법 등으로 접착한다. 타일부(110)가 피시공부위에 시공되기에 크기와 형태가 맞지 않을 경우와 같이 필요하다면, 평면형 타일부와 입체형 타일부, 그리고 원하는 색상의 타일부, 야광 타일부 등을 적절히 혼용하고, 또한 각종의 타일부를 원하는 크기나 모양으로 이음부(112)를 잘라내어서 혼용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문자, 기호, 도형, 패턴 등을 형상화 해내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타일 조립체(100) 내에 원하는 문자나 도형을 표현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평면형 타일부와 입체형 타일부, 그리고 원하는 색상의 타일부, 야광 타일부 등을 적절히 배치하여 대형의 글씨나 도형 등을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를 사용하면, 타일류 건축마감재의 중량이 경량화되고 시공비가 절감되어 모델하우스와 같은 가설 건축물이나 선박, 항공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는 규격화된 제조에 의하여 시공이 간편해지고 장식성과 표현력이 부여되어 주택이나 미술관 또는 나이트클럽 등의 내부 벽면과 건물이나 선박 등의 비상구 안내 장소 또는 외부 간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난연성 플라스틱을 채용하여 화재 발생시에도 불에 잘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타일부를 뒤집어 놓은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타일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야광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부에만 야광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 없이 야광부만 형성된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110 : 타일부
111 : 단위 타일 112 : 이음부
120 : 프레임부 130 : 돌출부
140 : 야광부

Claims (12)

  1.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에 있어서,
    격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타일들과, 상기 단위 타일들을 각각 상호 연결하되 인접된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의 측면 일부에 마련되어 그 인접 단위 타일들 상호 간에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음부를 갖는 타일부와;
    상기 타일부에 결합되되 상기 단위 타일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그 공간을 메우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타일의 격자형 배열에 대응되는 그물 형(mesh-type)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일부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끼워맞춤 접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백색 계통의 ABS 수지나 PP 수지와 같은 재료를 주원료로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ABS 수지나 PP 수지와 같은 재료에 불연첨가제를 혼합한 난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단위 타일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수지 재료에 원하는 안료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타일의 적어도 일부는 그 표면이 평면형이 아닌 입체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단위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은 평면형 단위타일과 그 위에 탈착가능하게 접착되는 입체 돌출부를 포함한 형태 또는 평면형 단위 타일과 입체 돌출부가 구분됨이 없이 한 몸체로 만들어진 형태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은 i) 미끄럼 방지에 유리하도록 그 표면이 다수의 입체형 돌출부가 배치된 요철 입체형, ii) 피라미드 형 단위타일, iii) 반구형단위타일 중 어느 한 가지의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이 형성된 영역과 상기 돌출형 단위타일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이한 색의 도료가 각각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타일의 배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는,
    상기 타일부를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일부의 네 변의 소정 위치의 단위 타일의 측면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고정돌출편과,
    상기 고정돌출편이 마련된 단위 타일의 반대쪽 단위 타일의 배면에 상기 고정돌출편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최외곽 테두리 선폭은 그 내부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의 선폭의 절반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 및 상기 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는 야광안료가 포함되거나 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야광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KR2020080008092U 2008-06-17 2008-06-17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KR200900130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92U KR20090013040U (ko) 2008-06-17 2008-06-17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92U KR20090013040U (ko) 2008-06-17 2008-06-17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40U true KR20090013040U (ko) 2009-12-28

Family

ID=4929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92U KR20090013040U (ko) 2008-06-17 2008-06-17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0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9230A (zh) * 2017-11-22 2018-04-03 江门市佳信达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地板的连接平台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9230A (zh) * 2017-11-22 2018-04-03 江门市佳信达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地板的连接平台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577B2 (en) Decorative coverings
US20100263323A1 (en) Method and materials for decorative glowing tile installations with optional inserts
RU2588790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20090214836A1 (en) Pathway Marker, Especially Fire Escape Marker in a Floor or Wall
KR20090013040U (ko) 플라스틱 타일 조립체
KR101525422B1 (ko) 서로 다른 색상의 석재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29713Y1 (ko) 축광물질이 내장된 건축용 그라스보드
ATE334004T1 (de) Glasfliese mit veränderlichem erscheinungsbild
JPH0530325U (ja) 装飾用板
WO2007044862A2 (en) Photomorphic building materials
KR200373360Y1 (ko) 장식용 타일
CN211543105U (zh) 一种石面装饰板
CN104863327A (zh) 采用upvc材料的墙面装饰板
KR200358611Y1 (ko) 인테리어용 모형타일
CN210482889U (zh) 一种水性聚氨酯彩砂地坪涂装结构
KR20210019802A (ko) 4d 구현 기능의 극장용 의자
CN218702460U (zh) 一种灯影立体挂画
KR20200130917A (ko) 인테리어용 기능성 타일
KR20210019334A (ko) 조명 효과 쇼케이스
KR100810235B1 (ko) 합성수지 블록
KR20230030186A (ko) 림버스 조명 연출용 기능성 타일
JPH01171999A (ja) 装飾用構成体
KR20210015389A (ko) 림버스 연출용 기능성 보드
JP2020138545A (ja) ガラス窓装飾体
CN206707186U (zh) 一种建筑安装扣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