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40A -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40A
KR20090013040A KR1020080070048A KR20080070048A KR20090013040A KR 20090013040 A KR20090013040 A KR 20090013040A KR 1020080070048 A KR1020080070048 A KR 1020080070048A KR 20080070048 A KR20080070048 A KR 20080070048A KR 20090013040 A KR20090013040 A KR 2009001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put window
display
touch scre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909B1 (ko
Inventor
최현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1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제2 바디가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미지의 표시 및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바디가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표시나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슬라이딩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기기들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 기기들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향상되고 있지만, 많은 사용자는 다양한 이유로 아직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구입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은 파손되기 쉽고, 오염되기 쉬우며, 터치스크린의 구동을 위해서는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파손 방지를 위해 터치스크린을 숨기거나, 터치스크린이 동작중인 상태에서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키가 눌려졌는지를 알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비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일반적인 촉각 키의 경우, 클릭 사운드나 키의 움직임 등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일반적인 키패드가 구비되는 있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터치스크린만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일들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프로그래밍하는데 보다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전화 통화를 위해서는 통화 모드로 진입하도록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키는 것과 같은 부가적인 과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숨겨지거나 보호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일반적인 키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미지의 표시 및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 에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문자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제1 위치에서 슬라이드 업 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미지의 표시 및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된 제1 바디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제1 위치에서 슬라이드 업 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다운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은 제1 바디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제2 바디가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제2 바디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제어 메뉴나 입력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보 호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3)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3)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및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들과 중간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후술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바디(100B)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130b, 130c),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4 사용자 입력부(130d)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 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과,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b, 130c, 130d, 130e)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바디(100B)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바디(100B)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리어 케이스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프론트 케이스 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바디(100A)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00B)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S200), 제어부(180)는 제2 바디(100B)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05). 이때, 제1 위치는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인 닫힌 상태, 즉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위치는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 되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를 전부 노출한 상태인 완전히 열린 상태, 즉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드 업 된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기본 설정된 대기화면(idle screen)이 표시되지만, 절전 등을 위해 소정 시간 후에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화면 꺼짐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키 입력이나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 되는 경우 등에 다시 화면 켜짐 상태가 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S205 단계의 검사 결과, 제2 바디(100B)가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어부(180)는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된 거리에 대응하는 제어 메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한다(S210). 즉,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하기 시작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제어 메뉴가 표시되고, 제2 바디(100B)가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된 거리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의 종류, 구성,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다.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제어 메뉴 중 어느 하나가 터치입력 등에 의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제어메뉴 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220).
제2 바디(100B)가 계속 슬라이딩하여 제2 위치가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선태된 제어 메뉴에 따라 구동중인 메뉴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방향을 전환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51b)로 표시위치가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230). 또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메뉴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메뉴가 구동되도록 한다(S235).
제2 바디(100B)가 다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240).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제2 바디(100B)가 열린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바디(100B)가 다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기 모드 상태에서(S300), 제어부(180)는 제2 바디(100B)가 제1 바디(100A)에 중첩되게 배치된 슬라이드 다운된 제1 위치에서 완전히 열린 위치인 슬라이드 업된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05). 검사 결과, 제2 바디(100B)가 제2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어부(180)는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된 거리에 대응하는 입력창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한다(S310). 이때, 입력창은, 키패드 입력창, 필기인식 입력창, 선택형 입력창, 및 쿼티(Qwerty) 입력창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사 용자는 입력창을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숫자, 한글, 알파벳, 구두점 등의 문자나 혹은 기타 사용자의 선택 사항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만일, 표시된 입력창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a)나 혹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S320). 그러나, 구동되는 메뉴에 따라서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지 않고,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다른 동작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작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30). 제2 바디(100B)가 제1 위치로 이동하기 전까지, 제어부(180)는 S310 단계 이후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바디(100B)가 다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3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된 거리에 따라 대응하는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c는 문자입력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메일이나 텍스트 편집 등과 같은 문자입력 모드에서,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 되어 일부가 열린 상태가 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필기인식 입력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통해 입력된 문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바디(100B)가 조금 더 슬라이딩하게 되면, 도 6b에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쿼티(Qwerty) 입력창이 표시된다. 쿼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자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제2 바디(100B)가 계속 슬라이딩해서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쿼티(Qwerty) 입력창과 함께 쿼티 입력창을 통해 현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표시창(403)이 함께 표시된다.
이와 같이, 문자입력 모드에서, 제2 바디(100B)가 제1 바디(100A)에 중첩되어 슬라이드 다운된 상태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를 통해 문자를 입력받고,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 되면, 슬라이딩된 거리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대응하는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드 다운된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0a)에 표시되는 방향은 제1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문장입력이 편리하도록 제1 바디(100A)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된 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방향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입력창을 통해 문자 입력이 편리하도록 제1 바디(100A)의 길이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메뉴 표시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가 제1 바디(100A)에서 슬라이딩해서 일부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제1 메뉴 아이콘 그룹(413)이 표 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바디(100B)가 조금 더 슬라이딩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제2 메뉴 아이콘 그룹(415)이 표시된다. 제2 메뉴 아이콘 그룹(415)은 제1 메뉴 아이콘 그룹(413) 보다 많은 메뉴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뉴 아이콘 그룹(413, 415)에 포함되는 메뉴 아이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00B)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제2 메뉴 아이콘 그룹(415) 대신 알파벳 키패드(417)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알파벳 키패드(417)를 통해 알파벳을 입력하여 원하는 동작이나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인터넷 브라우징 모드(Internet browsing mode)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인터넷 브라우징 모드(Internet browsing mode)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접속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되어 일부 열린 상태가 되면,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바디(100B)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면, 웹페이지 화면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대기 화면이나 기타 미리 설정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은 터치입력이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스크롤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동영상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 되어 일부 열린 상태가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동영상 재생 제어를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바디(100B)가 좀 더 슬라이딩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제어를 위한 아이콘과 함께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하여 완전히 열리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동영상 화면과, 제어를 위한 아이콘(433)이 표시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통화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통화 모드에서,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통화 기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통화 기록으로 최근 통화 순으로 상대방 이름을 표시하거나, 혹은 최빈 통화 순으로 상대방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통화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00B)가 계속하여 슬라이딩을 계속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상대방 이름과 전화번호가 함께 표시되는 통화 기록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바디(100B)가 슬라이딩된 거리에 따라 항목이 변화되면서 통화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 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문자입력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메뉴 표시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a 및 8b는 인터넷 브라우징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는 통화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1)

  1.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미지의 표시 및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슬라이드 업 된 상태인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문자 입력이 가능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1 바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슬라이딩 된 거리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제1 위치에서 슬라이드 업 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미지의 표시 및 제어메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메뉴가 표시된 후, 상기 제어메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한 터치 액션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메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1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제2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기설정된 메뉴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위치로부터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문자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입력창은, 키패드 입력창, 필기인식 입력창, 연속필기 입력창, 및 쿼티(Qwerty) 입력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된 제1 바디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다운된 제1 위치에서 슬라이드 업 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 된 거리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입력창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은, 키패드 입력창, 필기인식 입력창, 선택형 입력창, 및 쿼티(Qwerty) 입력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어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메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한 터치 액션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메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80070048A 2007-07-30 2008-07-18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265807P 2007-07-30 2007-07-30
US60/952,658 200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40A true KR20090013040A (ko) 2009-02-04
KR101453909B1 KR101453909B1 (ko) 2014-10-21

Family

ID=398765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48A KR101453909B1 (ko) 2007-07-30 2008-07-18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0074811A KR20090013129A (ko) 2007-07-30 2008-07-30 휴대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811A KR20090013129A (ko) 2007-07-30 2008-07-30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90051666A1 (ko)
EP (1) EP2020807A1 (ko)
KR (2) KR101453909B1 (ko)
CN (1) CN101359252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8522A (zh) * 2009-12-22 2012-09-12 诺基亚公司 包括滑动显示部分的装置
KR101465859B1 (ko) * 2012-01-16 2014-11-2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US9225811B2 (en) 2009-03-05 2015-1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4400A (ko)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36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9250A1 (en) * 2008-02-29 2009-09-03 Ure Michael J Interface with and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s
JP4364273B2 (ja) * 2007-12-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020029B1 (ko) * 2008-07-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KR101537683B1 (ko)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9015616B2 (en) 2008-10-22 2015-04-21 Google Inc. Search initiation
US20100156887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terface
JP5177013B2 (ja) * 2009-02-25 2013-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機能付き表示装置
US20100225176A1 (en) 2009-03-09 2010-09-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tection circuitry to selectively handle multiple cable-types through the same port
KR101585460B1 (ko) * 2009-03-12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입력 방법
US8786556B2 (en) * 2009-03-12 2014-07-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xt information
US8391935B2 (en) * 2009-03-23 2013-03-05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JP4719929B2 (ja) * 2009-03-31 2011-07-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93598B1 (ko) * 2009-04-03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US8417297B2 (en) 2009-05-22 2013-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101045265B1 (ko) * 2009-05-29 2011-06-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343718B2 (ja) * 2009-06-11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110109570A1 (en) * 2009-07-29 2011-05-12 Mady Multimedia, Inc. Electronic message board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9079498B2 (en) * 2009-10-05 2015-07-14 Tesla Motors, Inc. Morphing vehicle user interface
US8797268B2 (en) * 2009-11-18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olding mobile device
JP5295940B2 (ja) * 2009-12-11 2013-09-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20110143769A1 (en) * 2009-12-16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334832B2 (ja) * 2009-12-24 2013-11-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110164376A1 (en) * 2010-01-04 2011-07-07 Logitech Europe S.A. Lapdesk with Retractable Touchpad
CN102147672A (zh) * 2010-02-04 2011-08-10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JP2011182222A (ja) * 2010-03-02 2011-09-15 Panasonic Corp 端末装置及び端末システム制御方法
US8634873B2 (en) * 2010-03-17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interchangeable second devices
US8695152B2 (en) 2010-05-20 2014-04-15 Marc Lemchen Apparatus for cleaning a touch or display screen
US8971973B2 (en) * 2010-05-28 2015-03-03 Nokia Corporation Handling user inputs
US20120005602A1 (en) * 2010-07-02 2012-01-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task switching
US8599105B2 (en) * 2010-07-02 2013-12-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ple display mode
WO2012053516A1 (ja) * 2010-10-18 2012-04-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749043B2 (ja) * 2011-03-11 2015-07-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30085705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upon detecting a change in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S20130082918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responsively chang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30082924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ed Configuration of a Deployable-Component's Interface
US20130106687A1 (en) * 2011-10-26 2013-05-02 Bladepad, Llc Electronic communication between a gamepad and an electronic device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KR102027879B1 (ko) * 2012-04-04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0471763Y1 (ko) * 2012-07-09 2014-03-12 이동현 쿼티키패드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 티브이용 입력 장치
JP2014109891A (ja) * 2012-11-30 2014-06-12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489620B1 (ko) * 2013-07-29 2015-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69779B1 (ko) * 2014-03-28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035907A1 (ko)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31363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331234B (zh) * 2014-10-29 2018-05-18 广州三人行壹佰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执行绘图操作的方法和装置
CN105611010B (zh) * 2016-03-25 2018-08-24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
CN108919885A (zh) * 2018-06-11 2018-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062065A (zh) * 2018-10-16 2020-04-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生成密码输入键盘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540277B (zh) * 2020-05-12 2022-03-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终端
EP4246279A4 (en) * 2020-12-04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405B1 (en) * 1998-12-07 2002-08-06 Motorola, Inc. Method for retrieval of stored telephone numbers in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6332084B1 (en) 1999-10-09 2001-12-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mode wireless telephone
ATE459908T1 (de) * 2001-05-02 2010-03-15 Bitstream Inc Verfahren, systeme und programmierung zur herstellung und anzeige von subpixeloptimierten font-bitmaps unter verwendung eines nichtlinearen farbausgleichs
WO2003077097A1 (fr) 2002-03-08 2003-09-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mobile, procede de commande d'affichage pour ledit dispositif et programme correspondant
US20050091431A1 (en)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096082A1 (en) * 2003-11-03 2005-05-05 Chin-Wei Chang Duo-display mobile phone
JP3974589B2 (ja) * 2004-03-22 2007-09-12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
KR100690726B1 (ko) * 2004-09-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WO2006051669A1 (ja) * 2004-11-09 2006-05-18 Sharp Kabushiki Kaisha 携帯情報端末
US7639237B2 (en) * 2006-03-03 2009-12-29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US7801576B2 (en) * 2006-06-09 2010-09-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with self-cleaning display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5811B2 (en) 2009-03-05 2015-1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96329B2 (en) 2009-03-05 2017-03-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668522A (zh) * 2009-12-22 2012-09-12 诺基亚公司 包括滑动显示部分的装置
USRE44845E1 (en) 2009-12-22 2014-04-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KR101402471B1 (ko) * 2009-12-22 2014-06-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파트를 포함하는 장치
KR101465859B1 (ko) * 2012-01-16 2014-11-2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억 매체
US9621790B2 (en) 2012-01-16 2017-04-11 Casio Computer Co., Ltd.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044400A (ko)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36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9252B (zh) 2010-12-08
US20100110010A1 (en) 2010-05-06
US8619004B2 (en) 2013-12-31
CN101359252A (zh) 2009-02-04
KR101453909B1 (ko) 2014-10-21
EP2020807A1 (en) 2009-02-04
KR20090013129A (ko) 2009-02-04
US20090051666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909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9147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1414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05439A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08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12199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664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76650A (ko)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EP2172832A2 (en) Keypad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2000151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컨텐츠 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5031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96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255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34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12201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111174A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0819A (ko) 문자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411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템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8638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538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376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20110067467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