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719A -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719A
KR20090012719A KR1020070076783A KR20070076783A KR20090012719A KR 20090012719 A KR20090012719 A KR 20090012719A KR 1020070076783 A KR1020070076783 A KR 1020070076783A KR 20070076783 A KR20070076783 A KR 20070076783A KR 20090012719 A KR20090012719 A KR 2009001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control
film
control film
opaqu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04698B1 (en
Inventor
박두진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티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티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티에스티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07007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698B1/en
Publication of KR2009001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2Removing articles from 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602/00Organic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light control film which does not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and facilitates control of the viewing angle while minimizing moire phenomenon is provid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control film is provided. A light control film comprises: a first film layer(400) and a second film layer(600); and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second film layer. The light control layer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ansparent material layer(300a) and a translucent material layer(500a) are repeated, the translucent material layer is horizontal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lm layer and second film layer, and a pitch between the translucent material layers is 70 mum or less.

Description

광제어필름 및 그 제조방법{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광제어필름(Light Control Fil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좁히기 위한 광제어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film that can be used in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control film for narrowing a viewing angle of a display device.

근래,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발광소자(Luminescent Diode)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각각의 고유특성에 맞춰 컴퓨터, 휴대폰, 은행의 입출금장치(ATM), 및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화상표시를 위해 적용되고 있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uminescent Diode), have been developed and developed. Such various types of display apparatuses are applied for displaying images of various products such as computers, mobile phones, ATMs, and navigation systems of vehicles according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넓은 시야각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display apparatus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as an image,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wide viewing angle is generally developed to enable a user to view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at various angles.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되는 개별 제품마다 시야각이 넓은 경우 오히 려 제품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시야각이 좁은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다. However, when the viewing angle is wide for each individual product to which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there may be a case that adversely affect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in some cases, a user may require a narrow viewing angle.

예를 들어, 은행의 입출금장치(ATM)의 경우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될 때 주위의 다른 사람이 개인정보를 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이 좁은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고,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경우 야간 운행시 차량의 윈도우에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컴퓨터나 휴대폰의 경우 사용자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것이 오히려 사용자의 요구와 상반되게 된다.For example, the ATM of the bank is required to prevent other people around from viewing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personal information,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s narrow, and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is rather preferable. In the case of the system, when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s wide, light may be reflected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driver's safety driving.In the case of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expose personal privacy The wid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s contrary to the needs of the user.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시야각이 넓도록 제조되고 있지만 그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시야각이 좁게 형성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적용되는 제품에 맞도록 시야각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와 같이 제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야각이 넓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조한 후 그 적용되는 제품에 맞춰 시야각을 좁히는 방안이 강구되었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에 부착하여 시야각을 좁힐 수 있는 광제어필름이 개발되었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is generally manufactured to have a wide viewing angle, but it is required to have a narrow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applied produ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display device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to fit the product to be applied, but when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oduct as described above, productivity is reduced, so that the application afte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viewing angle A method of narrowing the viewing angle has been devised in accordance with a product to be made. Accordingly, an optical control film that can be attached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o narrow the viewing angle has been developed.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좁히기 위한 광제어필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ight control film for narrowing the viewing angle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10)은 투명물질층(11)과 불투명물질층(12)이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투명물질층(11)과 불투명물질층(12)은 필름(10)의 일변(10a)에 수평한 상태로 반복되는 구조이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a, the light control film 10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11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12 is repeated. In particular,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11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12 is a structure that is repeated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10a) of the film (10).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광제어필름(10)은 투명물질층(11)과 불투명물질층(12)을 반복하여 적층한 후 적층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적층물을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As can be seen in FIG. 1B, the light control film 10 is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11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12 and then cutting the lamin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Are manufactured.

이와 같은 광제어필름(10)은 상기 불투명물질층(12)에서 광이 굴절 또는 흡수되어 특정각도로만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광제어필름(10)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에 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시야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The light control film 10 has a property that light is refracted or absorbed in the opaque material layer 12 to transmit light only at a specific angle, and the light control film 10 is attached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s a result, the viewing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may be limited to a specific angle desired by the us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광제어필름(10)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oire phenomenon occurs when the conventional light control film 10 is attached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used.

모아레 현상은 화면에 잔물결 무늬가 반복적으로 생기는 현상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구조 및 상기 광제어필름(10)을 구성하는 투명물질층(11)과 불투명물질층(12)의 반복구조 사이에서 빛의 간섭이 일어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The moiré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ripple pattern is repeatedly generated on a screen, and light interference between the pixe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repeating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11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12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10. This is what happens.

따라서, 이와 같은 모아레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있었고 그에 따라 도 2a와 같은 구조의 광제어필름이 개발되었다. Therefore, there has been a study on a method for reducing such a moire phenomenon, and accordingly a light control film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a has been developed.

도 2a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20)은 제1필름(21) 및 제2필름(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름(21) 및 제2필름(22)은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반복되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은 제1필름(21)의 일변(21a) 및 제2필름(22)의 일변(22a)에 대해서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반복되는 구조이며, 제1필름(21)에서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경사진 각과 제2필름(22)에서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경사진 각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2a, the conventional light control fil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film 21 and the second film 22. The first film 21 and the second film 22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repeated. In particular,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repeat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ide 21a of the first film 21 and one side 22a of the second film 22. An angle at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inclined in the first film 21 and an angle at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inclined in the second film 22. Are made in opposite directions.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광제어필름(20)을 구성하는 제1필름(21)은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을 반복하여 적층하고 적층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필름(23) 형태로 제조한 후, 제조된 필름(23)의 주변부(23a)를 절단하여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제1필름(21)의 일변(21a)에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광제어필름(20)을 구성하는 제2필름(22)은 상기 제1필름(21)의 제조공정에서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의 경사각을 상기 제1필름(21)에서와 반대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필름(21)의 제조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film 21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20 is repeatedly laminated wit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nd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After the film 23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lm 23, the periphery 23a of the manufactured film 23 is cut to form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on one side 21a of the first film 21. It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being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second film 22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20 has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film 21. ) I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film 21 except form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광제어필름(20)을 이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구조와 상기 제1필름(21) 및 제2필름(22)의 투명물질층(24) 및 불투명물질층(26) 사이의 반복구조 사이에 소정의 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a에 따른 광제어필름(10)에 비하여 빛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결국 모아레 현상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light control film 20, the pixe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repeating structure between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of the first film 21 and the second film 22. Since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in, the interference of light is reduced compared to the light control film 10 according to FIG. 1A, and eventually, the moiré phenomenon is reduced.

그러나, 이와 같은 광제어필름(2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light control film 20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광제어필름(20)의 제조공정상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제1필름(21)의 일변(21a) 및 제2필름(22)의 일변(22a)에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름(23)의 소정 주변부(23a)를 제거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control film 20,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predetermined on one side 21a of the first film 21 and one side 22a of the second film 22. Since the predetermined peripheral portion 23a of the film 23 is removed in order to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둘째, 투명물질층(24)과 불투명물질층(26)이 제1필름(21)의 일변(21a) 및 제2필름(22)의 일변(22a)에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의 시야각이 틸트(Tilt)되어 정확한 시야각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Second, the display device because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24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26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21a of the first film 21 and one side 22a of the second film 22. The viewing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ilt (Til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viewing angle.

이와 같이, 광제어필름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좁히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종래에 고안된 광제어필름(10, 20)들은 각각의 문제점을 갖고 있어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광제어필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s such, the light control film may be configured to narrow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but the light control films 10 and 20 conventionally designed have respectiv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a new light control film that can solve the problem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아레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제조비용이 상승되지 않고 시야각 조절이 용이한 광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require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is easy to adjust the viewing angle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minimizing the moiré phenomenon.

본 발명은 모아레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제조비용이 상승되지 않고 시야각 조절이 용이한 광제어필름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control film which is easy to adjust the viewing angle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minimizing the moiré phenomenon.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복수개의 홈에 제1물질을 충전하는 공정; 상기 제1물질을 포함한 상기 금형 상부에 제1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필름층 및 제1물질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 상기 제1필름층 위에서 상기 제1물질 사이의 영역에 제2물질을 충전하는 공정; 및 상기 제1물질 및 제2물질 상부에 제2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제어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producing a mol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re repe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illing a first material into the plurality of grooves; Forming a first film layer on the mold including the first material; Separating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first material from the mold; Filling a second material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materials on the first film layer; And it provides a light control film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econd film layer o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상기 금형을 제조하는 공정은,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도금층을 상기 마스터에서 분리하여 금속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금형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id mold includes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aster of a predetermined pattern; Forming a metal plating layer on the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And separating the metal plating layer from the master to obtain a mold including the metal plating layer.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은 기판 위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 성하는 공정; 및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에 광을 조사하고 현상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paring a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ncludes forming a photoresist layer on a substrate; And irradiating and developing light onto the photoresist layer through a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redetermined photoresist pattern.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은 기판 위에 레이저가공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레이저가공층을 레이저 스크라이빙처리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preparing a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include forming a laser processing layer on a substrate; And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by laser scribing the laser processing layer.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및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m layer and a second film layer; And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광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제어층은 투명물질층 및 불투명물질층이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투명물질층은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의 일변에 수평하게 배열되고, 상기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는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을 제공한다. And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wherein the light control lay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an opaque material layer are repeated,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formed of the first film layer. It is arrang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 provides a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7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Such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불투명물질층을 필름의 일변에 수평한 상태로 반복되게 구성한 점에 있다. 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repeatedly configured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of the film.

이와 같이 불투명물질층을 필름의 일변에 수평한 상태로 반복되게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도 2a와 같은 불투명물질층이 필름의 일변에 경사지게 형성한 종래의 광제어필름(20)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시야각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 및 필름의 소정 주변부를 제거함으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As such, by repeatedly configuring the opaque material layer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of the film, which is a problem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light control film 20 in which the opaque material layer as shown in FIG. 2A is inclined on one side of the film.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viewing angle is difficult to adjus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 by remov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portion of the film.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은 광제어필름을 구성하는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를 70㎛이하로 미세하게 형성한 점에 있다. A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itch between the layers of the opaque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is finely formed to 70 μm or less.

이와 같이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를 70㎛이하로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도 1a와 같은 종래의 광제어필름(10)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모아레 현상을 최소화한 것이다.Thus, by forming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 finely 70㎛ or less, the moiré phenomenon occurs when applying the conventional light control film 10 as shown in FIG.

모아레 현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간의 피치 패턴과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간의 피치 패턴이 겹치게 되어 발생하는 빛의 간섭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간의 피치 패턴을 미세화함으로써 빛의 간섭을 줄어 모아레 현상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moiré phenomenon is caused by the interference of light generated by overlapping the pitch pattern between the BM (Black Matrix) defining pixel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light control film. By minimizing the pitch pattern between the layers of opaque material, the interference of light is reduced to minimize the moiré phenomen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간의 피치 패턴과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 패턴에 의해서 모아레 간섭 파장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 3 is a graph showing how a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changed by a pitch pattern between BMs (Black Matrix) defining pixels of a display device and a pitch pattern between opaque material layers of a light control film.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간의 피치 패턴 중 가장 작은 피치 패턴에서 모아레 간섭 파장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 범위를 결정하게 되면 대부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모아레 간섭파장에 대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게 된다.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의 HD급 화면의 경우 일반적으로 1920 × 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데, 이와 같은 해상도를 가지는 15인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는 가로×세로가 332mm × 187mm이고, 이와 같은 화면크기를 가질 때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 간의 피치는 170㎛이다. When the pitch range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of the light control film is solv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at the smallest pitch pattern among the pitch patterns between the BMs (Black Matrix) that define the pixels of the display device, most display devices The problem of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can be solved. In the case of the HD display of the current display device generally has a resolution of 1920 × 1080, the screen size of the 15-inch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resolution is 332mm × 187mm in width × height, and when such a screen size The pitch between BMs (Black Matrixes) defining pixels is 170 μm.

따라서,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 간의 피치로서 가장 작은 피치가 170㎛이므로, 이 경우에서 소비자 수준에서 모아레 간 섭파장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 패턴을 설정하게 되면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모아레 간섭파장에 의한 문제가 해소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smallest pitch is 170 µm as the pitch between BMs (Black Matrix) defining pixels in the current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light control film can be solved at the consumer level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terference wavelength between the moire. When the pitch pattern is set, the problem caused by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solved in most display devices on the market.

도 3은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 간의 피치가 170㎛인 경우에,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 패턴이 변화함에 따른 모아레 간섭파장의 변화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X축은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를 나타내고, Y축은 모아레 간섭파장을 나타낸다. FIG. 3 illustrates the change of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as the pitch pattern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of the light control film is changed when the pitch between BMs (Black Matrix) defining pixels is 170 μm. In FIG. 3, the X axis represents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of the light control film,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도 3에서 모아레 간섭파장이 작을수록 소비자가 인식하는 모아레 간섭파장의 문제가 줄어들게 되고, 일반적으로 모아레 간섭파장이 1mm이하가 되면 소비자 수준에서 모아레 간섭파장을 인식하기가 어려워 모아레 간섭파장에 의한 문제가 해소되게 된다. In FIG. 3, the smaller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the smaller the problem of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s recognized by the consumer. In general, when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less than 1 mm,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at the consumer level. It will be resolved.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가 70㎛ 정도인 경우에 특정 하모닉(harmonic)성분에서 모아레 간섭 파장이 1mm 정도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를 70㎛이하로 형성하여 특정 하모닉(harmonic)성분에서 모아레 간섭 파장이 1mm보다 작도록 한 것이다. As can be seen in Figure 3, when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light control film is about 70㎛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generated about 1mm in the specific harmonic (harmonic)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light control film The pitch of the liver is formed to be 70 μm or less so that the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smaller than 1 mm in certain harmonic components.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은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간의 피치를 70㎛이하로 미세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새로운 제조방법을 고안한 점에 있다. A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a new manufacturing method in order to finely form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light control film to 70㎛ or less.

전술한 도 1b 및 도 2b에서와 같이 적층후 절단하는 공정으로 광제어필름(10, 20)을 제조할 경우에는 그 적층 공정의 한계상 미세한 피치로 투명물질층 및 불투명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공정 대신에 포 토리소그라피공정 등을 이용하여 미세패턴의 마스터(Mater)를 제조하고 미세패턴의 마스터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의 금형을 제조한 후 이와 같은 미세 패턴의 금형을 이용하여 투명물질층 및 불투명물질층이 반복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간의 피치를 70㎛이하로 미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When the light control films 10 and 20 are manufactured by the lamination and cut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2B, it is difficult to form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at a fine pitch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lamination process. .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lamination process, a micro pattern master is manufactured us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the like, and a mold of the micro pattern is manufactured using the micro pattern master.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are repeated,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of the finally obtained light control film can be made finer than 70 μm.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불투명물질층을 필름의 일변에 수평한 상태로 반복되게 구성함으로써, 시야각 조절이 용이하고, 필름의 소정 주변부를 제거함으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First, by repeatedly configuring the opaque material layer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of the film, it is easy to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the problem of manufacturing cost increase due to remov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portion of the film is solved.

둘째,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등을 통해 미세패턴의 마스터를 제조하고, 미세패턴의 마스터를 이용하여 미세패턴의 금형을 제조한 후, 미세패턴의 금형을 이용하여 광제어필름을 제조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광제어필름의 투명물질층과 불투명물질층의 패턴을 미세화할 수 있다. Second, a light control film obtained by manufacturing a fine pattern master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a fine pattern mold using a fine pattern master, and then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using a fine pattern mold The pattern of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can be refined.

셋째,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를 70㎛이하로 미세하게 형성함으로써 모아레 현상이 최소화된다. Third, the moiré phenomenon is minimized by forming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finely below 70 μm.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광제어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control film>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4A to 4J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 위에 포토레지스트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100)으로는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A, the photoresist layer 11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Glass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100.

다음,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 패턴의 마스크(Mask)(120)를 통해 상기 기판(100)위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층(110)에 광을 조사한다. Next, as shown in FIG. 4B,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layer 110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rough a mask 120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크(120)는 광 투과영역(120a) 및 광 차단영역(120b)이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광 투과영역(120a)을 통과한 광만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110)에 조사되게 된다. The mask 120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region 120a and a light blocking region 120b repeatedly, so that onl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region 120a is irradiated onto the photoresist layer 110. Will be.

다음,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광 조사된 포토레지스트층(110)을 현상하여, 기판(100) 상에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110a)이 구비된 마스터(Master)(130)를 제조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 4C, the light irradiated photoresist layer 110 is developed to manufacture a master 130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photoresist pattern 110a on the substrate 100. .

현상공정에 의해 상기 광이 조사된 영역의 포토레지스트층은 제거되고 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의 포토레지스트층은 제거되지 않아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110a)이 형성되게 된다.By the developing process, the photoresist layer in the region irradiated with light is removed and the photoresist layer in the region not irradiated with light is not removed, thereby forming a predetermined photoresist pattern 110a.

광이 조사된 영역이 현상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을 가진 포토레지스트를 포지티브(Positive) 포토레지스트라고 칭하며, 반대로 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이 현상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특성을 가진 포토레지스트를 네거티브(Negative) 포토레지스트라고 칭한다. 따라서, 도면에는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적용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 photoresist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light irradiated area is removed by a developing process is called a positive photoresist, whereas a photoresist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an unirradiated area is removed by a developing process is negative. A) photoresist. Accordingly, the figure shows a case where a positive photoresist is appli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redetermined photoresist pattern by applying a negative photoresist.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적용할 경우에는 도 4b의 마스크(120) 패턴에서 광 투과영역(120a) 및 광 차단영역(120b)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야 도 4c와 같은 포토레지스트 패턴(110a)이 형성될 것이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negative photoresist, the photoresist pattern 110a as shown in FIG. 4C may be formed only when the light transmitting region 120a and the light blocking region 120b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mask 120 pattern of FIG. 4B.

이와 같이 포토레지스트층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미세패턴의 마스터(130)제조가 가능하다. By apply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photoresist lay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master 130 of the fine pattern.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 위에 레이저가공층을 형성하고, 상기 레이저가공층을 레이저 스크라이빙처리하여 소정의 패턴을 구비한 마스터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세패턴으로 형성이 가능하다면,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을 통해 마스터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laser processing layer on a substrate, and to manufacture a mast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by laser scribing the laser processing layer. In addition, if it is possible to form a fine pattern, the mast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inting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다음, 도 4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기판(100)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110a)으로 구성된 마스터(130)에 금속 도금층(200a)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4D, the metal plating layer 200a is formed on the master 130 including the substrate 100 and the photoresist pattern 110a.

상기 금속도금층(200a)은 전기주조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으로는 니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도금층(200a)은 상기 마스터(130)의 패턴과 반대되는 패턴으로 형성되게 된다. The metal plating layer 200a may be formed by electroforming, and nickel may be used as the metal. The metal plating layer 200a is formed in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the master 130.

다음, 도 4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금속 도금층(200a)을 상기 마스터(130)로부터 분리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210)을 구비한 금형(200)을 제조한다. Next, as shown in FIG. 4E, the metal plating layer 200a is separated from the master 130 to manufacture a mold 200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210 repe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미세패턴의 마스터(130)를 제조하고, 그와 같은 미세패턴의 마스터(130)를 이용하여 금형(200)을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된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 패턴 또한 미세한 구조로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ster 130 of the micropattern is manufactured throug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the mold 200 is manufactured using the master 130 of such a micropattern, the manufactured mold 200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pattern is also formed in a fine structure.

또한, 후술하는 공정에서 이와 같은 미세패턴의 금형(200)을 이용하여 투명물질층 및 불투명물질층을 반복 형성함으로써 최종 얻어지는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를 미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fine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 of the finally obtained light control film by repeatedly forming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by using the mold 200 of such a fine pattern in the process described later.

도면에는, 상기 마스터(130)의 패턴에 의존하여,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보다 큰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스터(130)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자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drawing,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depending on the pattern of the master 130. Shown. However, by changing the pattern of the master 13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small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both in the same way.

이와 같이,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과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는 후술하는 공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홈(210)에 투명물질을 충전할 것인가 아니면 불투명물질을 충전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As such,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may fill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with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in a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t depends on whether you charge it.

다음, 도 4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에 제1물질(300)을 충전한다. Next, as shown in FIG. 4F, the first material 300 is fill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상기 제1물질(300)로는 투명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고, 불투명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As the first material 300,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used, or an opaque material may be used.

특히, 도 4e에서와 같이,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보다 큰 경우에는, 도 4f에서 제1물질(300)로 투명물질을 이용한다. 다만,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4f에서 제1물질(300)로 불투명물질을 이용하며,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와 같은 경우에는 도 4f에서 제1물질(300)로 투명물질을 이용해도 되고 불투명물질을 이용해도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E, when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the first portion of FIG.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as the material 300. However, when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the opaque material is referred to as the first material 300 in FIG. 4F. When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equal to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the first material 300 is illustrated in FIG. 4F. You can use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s.

상기 제1물질(300)은 UV경화형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물질(300)이 투명물질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UV경화형 수지가 이용되고, 상기 제1물질(300)이 불투명물질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UV경화형 수지에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안료로 첨가한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UV-curable resin may be used as the first material 300. Specifically, when the first material 300 is a transparent material, a UV curabl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is used, and when the first material 300 is an opaque material, carbon black is used on the UV curabl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mixture added with a black pigment such as may be used.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에 제1물질(300)을 충전하는 공정은, 상기 금형(200)에 제1물질(300)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 상기 복수개의 홈(210) 이외의 영역에 도포된 제1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에 제1물질(300)을 충전하는 공정은, 상기 복수개의 홈(210)에 대응하도록 제1물질이 도포된 그라비아(Gravure) 인쇄기를 상기 금형(200) 위에서 회전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with the first material 300, the entirety of the first material 300 is applied to the mold 200, and then, other tha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It may be made of a process for removing the first material applied to the area of. Alternatively, the process of filling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with the first material 300 may include a gravure printing machine having the first material coated thereon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It may be made of a process to rotate on the mold (200).

다음, 도 4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물질(300)을 포함한 상기 금형(200) 상부에 제1필름층(400)을 형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g, to form a first film layer 400 on the mold 200 including the first material (300).

상기 제1필름층(400)은 투명한 필름층으로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와 같은 투명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The first film layer 400 is a transparent film layer,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urethane, polycarbon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can be used.

상기 제1물질(300)로 UV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1필름층(400)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1물질(300)을 경화시키며, 이때 상기 제1물 질(300)과 제1필름층(400)이 접착하게 된다. 따라서, 제1물질(300)과 제1필름층(400)을 접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하지 않는다. When the UV curable resin is used as the first material 300, the first film 300 is cured by forming UV rays after forming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curing the first material 300. ) And the first film layer 400 are bonded. Therefore, a separate process for adhering the first material 300 and the first film layer 400 is not required.

다음, 도 4h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필름층(400) 및 제1물질(300)을 상기 금형(200)으로부터 분리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h,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the first material 300 is separated from the mold 200.

다음, 도 4i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필름층(400) 위에서 상기 제1물질(300) 사이의 영역에 제2물질(500)을 충전한다. Next, as shown in FIG. 4I, the second material 500 is fill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material 300 on the first film layer 400.

전술한 도 4f에서 상기 제1물질(300)로 투명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2물질(500)로 불투명물질을 이용한다. 다만, 상기 제1물질(300)로 불투명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2물질(500)로 투명물질을 이용한다. In FIG. 4F, when the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as the first material 300, an opaque material is used as the second material 500. However, when the opaque material is used as the first material 300, the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as the second material 500.

상기 제2물질(500) 또한 UV경화형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물질(500)이 투명물질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UV경화형 수지가 이용되고, 상기 제2물질(500)이 불투명물질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UV경화형 수지에 카본 블랙과 같은 블랙 안료로 첨가한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econd material 500 may also use a UV curable resin. When the second material 500 is a transparent material, a UV curabl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is used, and the second material 500 is an opaque material. In the case, a mixture added with a black pigment such as carbon black to a UV curabl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may be used.

상기 제2물질(500)을 충전하는 공정은, 상기 제1필름층(400) 위에 전체적으로 제2물질(500)을 도포한 후 상기 제1물질(300) 사이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 도포된 제2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물질(300)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물질이 도포된 그라비아(Gravure) 인쇄기를 상기 제1필름층(400) 위에서 회전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illing of the second material 500 may include applying the second material 500 to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then applying the second material 500 to an area other than the area between the first material 300. It may be a process of removing the two materials, or, a step of rotating the gravure (gravure) printing machine on which the second material is applied to correspond to the area between the first material 300 on the first film layer 400 It may be made of.

다음, 도 4j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물질(300) 및 제2물질(500) 상부에 제2필름층(600)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제조를 완성한다. 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4j, by forming a second film layer 600 on the first material 300 and the second material 500,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of the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필름층(600)은 전술한 제1필름층(400)과 동일하게 투명한 필름층으로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와 같은 투명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econd film layer 600 is a transparent film layer similar to the first film layer 400 described above,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polycarbon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can be used.

상기 제2물질(500)로 UV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제2필름층(500)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2물질(500)을 경화시키며, 그때 상기 제2물질(500)과 제2필름층(500)이 접착하게 된다.When the UV curable resin is used as the second material 500, the second film 500 is cured by forming UV light after forming the second film layer 500, and then curing the second material 500. And the second film layer 500 are bonded.

이상과 같이,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과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를 적절히 형성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에 투명물질을 충전할 것인가 불투명물질을 충전할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불투명물질 사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are appropriately formed, and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By deciding whether to fill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s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도 4e에서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을 소정의 길이(특히, 70㎛이하)로 형성하고, 도 4f에서 상기 제1물질(300)로 투명물질을 충전하고, 도 4i에서 상기 제2물질(500)로 불투명물질을 충전할 경우에, 최종 얻어지는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 사이의 피치가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의 폭(W)을 70㎛이하로 형성함으로써,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 사이의 피치를 70㎛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particular, 70 μm or less) in FIG. 4E, and the first material 300 is illustrated in FIG. 4F. When filling the transparent material and filling the opaque material with the second material 500 in FIG. 4I,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s of the finally obtained light control film is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Since the width W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is formed to be 70 μm or less,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s of the light control film may be formed to be 70 μm or less.

또한, 도 4e에서 상기 금형(200)의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를 소 정의 길이(특히, 70㎛이하)로 형성하고, 도 4f에서 상기 제1물질(300)로 불투명물질을 충전하고, 도 4i에서 상기 제2물질(500)로 투명물질을 충전할 경우에, 얻어지는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 사이의 피치가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의 거리(D)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홈(210)들 사이의 거리(D)를 70㎛이하로 형성함으로써,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 사이의 피치를 70㎛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 4E, the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of the mold 2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particular, 70 μm or less), and the first material 300 is illustrated in FIG. 4F. When filling the opaque material and filling the transparent material with the second material 500 in FIG. 4I,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s of the obtained light control film is equal to the distance D of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It is formed to a length, therefore, by forming a distance (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210 to 70㎛ or less, it is possible to form a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of the light control film to 70㎛ or less.

<광제어필름><Light Control Film>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단면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은 제1필름층(400), 제2필름층(600), 및 광제어층(300a, 500a)으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s 5a and 5b, the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film layer 400, a second film layer 600, and the light control layer (300a, 500a).

상기 제1필름층(400) 및 제2필름층(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필름층으로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AB)와 같은 투명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the second film layer 600, as a transparent film layer,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polycarbon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may be used.

상기 광제어층(300a, 500a)은 상기 제1필름층(400) 및 제2필름층(600) 사이에 형성되며, 투명물질층(300a)과 불투명물질층(500a)이 반복된 구조로 형성된다. The light control layers 300a and 500a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the second film layer 600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t material layer 300a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500a are repeated. do.

상기 불투명물질층(500a)은 상기 제1필름층(400)의 일변 및 상기 제2필름층(600)의 일변에 수평한 상태로 반복되게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불투명물 질층(500a)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The opaque material layer 500a is formed to be repeated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of the first film layer 4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film layer 600. Specifically, the opaque material layer 500a is one directio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linear arranged.

상기 복수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 불투명물질층(500a) 사이의 피치는 70㎛이하로 형성된다. The pitch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opaque material layers 500a is formed to be 70 μm or less.

이와 같은 구조의 광제어필름은 전술한 도 4a 내지 도 4j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The light control film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J.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평면도로서, 도 6 및 도 7은 광제어필름을 구성하는 광제어층만을 도시한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the light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Only the control layer is shown.

도 6에 따른 광제어필름은 불투명물질층이(500a) 교차 배열된 복수 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 불투명물질층(500a) 사이의 피치는 70㎛이하로 형성된다. The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FIG. 6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inears in which the opaque material layers 500a are arranged crosswise, and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500a formed of the plurality of linears is 70 μm or less.

도 7에 따른 광제어필름은 불투명물질층(500b)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점형으로 이루어진 불투명물질층(500a) 사이의 피치는 70㎛이하로 형성된다. In the light control film of FIG. 7, the opaque material layer 500b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ot shap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500a formed of the plurality of dot shapes is 70 μm or less.

상기 광제어필름을 구성하는 불투명물질층(500a, 500b)은 그 수평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도 5a 및 도 6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형, 타원형 등의 곡선형(도 7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불투명물질층(500a, 500b)는 도 6에서와 같이 쇄기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opaque material layers 500a and 500b constituting the light control film may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see FIGS. 5A and 6), and a curved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see FIG. 7). It may be made of). In addition, the opaque material layers 500a and 500b may have a wedge shape as shown in FIG. 6.

도 1a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a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픽셀을 정의하는 BM(Black Matrix)간의 피치 패턴과 광제어필름의 불투명물질층 간의 피치 패턴에 의해서 모아레 간섭 파장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 3 is a graph showing how a moiré interference wavelength is changed by a pitch pattern between BMs (Black Matrix) defining pixels of a display device and a pitch pattern between opaque material layers of a light control film.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4A to 4J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단면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제어필름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light control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기판 110(110a): 포토레지스트층(포토레지스트패턴)100: substrate 110 (110a): photoresist layer (photoresist pattern)

120: 마스크 130: 마스터120: mask 130: master

200a: 금속도금층 200: 금형200a: metal plating layer 200: mold

300: 제1물질 300a: 투명물질층300: first material 300a: transparent material layer

400: 제1필름층 500: 제2물질400: first film layer 500: second material

500a, 500b: 불투명물질층 600: 제2필름층500a and 500b: opaque material layer 600: second film layer

Claims (12)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한 금형을 제조하는 공정;Manufacturing a mol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repe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복수개의 홈에 제1물질을 충전하는 공정;Filling a first material into the plurality of grooves; 상기 제1물질을 포함한 상기 금형 상부에 제1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Forming a first film layer on the mold including the first material; 상기 제1필름층 및 제1물질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Separating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first material from the mold; 상기 제1필름층 위에서 상기 제1물질 사이의 영역에 제2물질을 충전하는 공정; 및 Filling a second material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materials on the first film layer; And 상기 제1물질 및 제2물질 상부에 제2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And forming a second film layer on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금형을 제조하는 공정은,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old,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 Preparing a master of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Forming a metal plating layer on the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And 상기 금속 도금층을 상기 마스터에서 분리하여 금속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금형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And separating the metal plating layer from the master to obtain a metal mold formed of the metal plating layer.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은 Preparing the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기판 위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Forming a photoresist layer on the substrate; And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에 광을 조사하고 현상하여 소정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And irradiating and developing light onto the photoresist layer through a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redetermined photoresist pattern.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정 패턴의 마스터를 준비하는 공정은 Preparing the master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기판 위에 레이저가공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Forming a laser processing layer on the substrate; And 상기 레이저가공층을 레이저 스크라이빙처리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And a step of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by laser scribing the laser processing layer.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은 투명물질 또는 불투명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Filling the first material is a step of filling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상기 제2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은 불투명물질 또는 투명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Filling the second material is a light control film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filling an opaque material or a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은 UV경화형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UV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UV조사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Filling the first material is a step of filling a UV curable resin, and further comprising a UV irradiation step for curing the UV curable resin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film layer. Light control film manufacturing method.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2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은 UV경화형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필름층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 UV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UV조사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제조방법. Filling the second material is a step of filling a UV curable resin, and further comprising a UV irradiation step for curing the UV curable resin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film layer. Light control film manufacturing method.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및A first film layer and a second film layer; And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광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It comprises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상기 광제어층은 투명물질층 및 불투명물질층이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투명물질층은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의 일변에 수평하게 배열되고, 상기 불투명물질층 사이의 피치는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The light control lay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material layer and an opaque material layer are repeated, and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arrang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nd the pitch between the opaque material layers.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70㎛.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불투명물질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a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near arranged in one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불투명물질층은 교차 배열된 복수 개의 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광제어필름.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near arrangement.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불투명물질층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The opaque material layer is a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oint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상기 광제어필름은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필름. The light control film is a light control film,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070076783A 2007-07-31 2007-07-31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4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783A KR100904698B1 (en) 2007-07-31 2007-07-31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783A KR100904698B1 (en) 2007-07-31 2007-07-31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19A true KR20090012719A (en) 2009-02-04
KR100904698B1 KR100904698B1 (en) 2009-06-29

Family

ID=406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783A KR100904698B1 (en) 2007-07-31 2007-07-31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6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18B1 (en) * 2012-04-27 2013-09-06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Micro mold for manufacturing a micro pattern film for security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cro mold
KR20150121533A (en) * 2014-04-21 2015-10-29 엄성우 Privacy Film Using Visual Interference Pattern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49105B1 (en) 2019-03-04 2019-11-26 주식회사 세기씨앤티 Light control film manufacture device, method and light control fil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627A (en) * 1994-08-11 1996-02-27 Nippon Zeon Co Ltd Illuminator for liquid crystal
JP2001337229A (en) * 2000-03-22 2001-12-07 Stanley Electric Co Ltd Formed optical panel and forming die thereof
JP2007163760A (en) * 2005-12-13 2007-06-28 Ryoko:Kk Mar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698B1 (en)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926B1 (en) A reflectiv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4788314B2 (en) Light diffusion sheet, transmissive screen, rear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6136827A1 (en) Transmissive screen and head-up display device using same
JP5983979B2 (en) Lens sheet,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JP200733427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ray direction control element, light ray direction control element, light source using light ray direction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N104335080A (en) Optical element, fabrication method thereof, display element, and projecting image display device
JP201222073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sheet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micro-louver layer
KR100904698B1 (en) Light Contr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38123A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22044674A (en) 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information appliance
CN111025745B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apparatus
JP6489300B2 (en) Transmission screen and head-up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834524B2 (en)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929486B1 (en) Optical element for display device
JP2012042610A (en) Diffusion sheet, light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463705B1 (en) Fla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364786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substrate for an optical device
CN106536143A (en) Manufacture of optical elements by replication and corresponding replication tools and optical devices
JP2010135220A (en) Surafce light source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985245B2 (en) Image display sheet and image display product
JP2008216971A (en) Image display device
CN114256305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148017A (en) Fresnel lens sheet, transmiss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KR10204326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lens film and different kinds lens film thereby
KR101906906B1 (en) Mold frame for light gui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 guide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ttern forming using mold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