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43A - 보안 감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감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43A
KR20090012643A KR1020070076641A KR20070076641A KR20090012643A KR 20090012643 A KR20090012643 A KR 20090012643A KR 1020070076641 A KR1020070076641 A KR 1020070076641A KR 20070076641 A KR20070076641 A KR 20070076641A KR 20090012643 A KR20090012643 A KR 2009001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sensor
top box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392B1 (ko
Inventor
신진섭
이학남
박종운
신성호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비알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비알아이티(주)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3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감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셋탑박스에 자체 Linux OS를 탑재하여 CPU에 의해 모든 처리가 가능하며, 카메라의 데이터와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장치간의 연결 케이블을 생략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거리 감시 및 통신이 가능한 보안 감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안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신호 및 센서신호 처리에 필요한 자체 Linux OS가 탑재된 셋탑박스(2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아날로그 카메라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카메라부(1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센서부(50); 및 상기 셋탑박스(20)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을 하며 인터넷 또는 개인용 휴대폰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보며 센서 및 카메라를 제어하는 모니터/네트워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76641
카메라부, 셋탑박스, CPU, 위변조 방지부, GUI, 모니터/네트워크부

Description

보안 감시용 시스템{System for Security Surveillance}
본 발명은 보안 감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셋탑박스에 자체 Linux OS를 탑재하여 CPU에 의해 모든 처리가 가능하며, 카메라의 데이터와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장치간의 연결 케이블을 생략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거리 감시 및 통신이 가능한 보안 감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 시스템은 보안 감시 시스템이 있고 컴퓨터 인터넷 상에서의 정보보호 보안 시스템이 있다.
정보보호 보안 시스템에서 정보보호산업의 패러다임이 재래산업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e-Biz산업으로 빠르게 급변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보보호 인프라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정보보호산업은 방화벽, 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 등 제품 위주의 시장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정보보호컨설팅 , 보안관리서비스 , 보안호스팅 등에 새로운 서비스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정보보호관리 서비스 산업의 성장요인은 해킹과 바이러스 유포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이버 범죄가 크게 늘면서 정보보안 위협성이 커지고 있고,또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보안전문가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보서비스대행업(ASP),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등을 중심으로 정보기술(IT) 아웃소싱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성과 글로벌성이다.그러나 이를 뒤집어보면 전세계 어디서나 정보 탈취와 해킹, 사이버 테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으로 안전한 비즈니스가 이뤄지려면 정보 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이처럼 현대에 와서는 정보보안이 중요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발전하고 있는 것이 보안 감시이다.
보안 감시에 사용되는 보안 감시 시스템은 현재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시스템의 장치들고 다양화하고 첨단화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보안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거리나 건물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많이 사용되는 PC 기반의 보안시스템은 PC를 항상 켜 놓아야 하므로 전력소모 및 불편함이 있고, Windows OS를 사용하므로 보안 취약성,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카메라 및 센서 제품은 카메라 및 센서 연결시 유선 연결을 하여 설치시 복잡하며 비용이 발생하고 외관상 지저분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 제품은 단순하게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순한 보안 감시용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은 인체감지센서에서 열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데 애완견, 고양이 등의 동물의 움직임에 대하여 반응함으로써 오동작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셋탑박스에 자체 Linux OS를 탑재하여 CPU에 의해 모든 처리가 가능하며, 카메라의 데이터와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장치간의 연결 케이블을 생략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거리 감시 및 통신이 가능하여 핸드폰이나 인터넷의 활용 용도가 넓고 주변 장치들이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여 케이블이 생략될 수 있는 감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안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신호 및 센서신호 처리에 필요한 자체 Linux OS가 탑재된 셋탑박스(2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아날로그 카메라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카메라부(1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센서부(50); 및 상기 셋탑박스(20)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을 하며 인터넷 또는 개인용 휴대폰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보며 센서 및 카메라를 제어하는 모니터/네트워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셋탑박스(20)는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로 수신하여 압축, 저장하는 비디오 인코더(22);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1송수신 모듈(30)로부터 입력받는 카메라 입력부(23);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저장된 영상을 위변조 할 수 없도록 체크하는 위변조 방지부(24); 상기 CPU(21)의 역할을 받으며 상기 셋탑박스(20)의 환경을 설정하는 GUI(25);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센서부(5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제2송수신 모듈(31)로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27);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센서부(50)에서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2송수신 모듈(31)을 통해 수신하여 이 수신 신호에 따라 센서를 콘트롤하는 콘트롤 시그널부(28);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모니터/네트워크부(4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더넷(26); 및 상기 CPU(21)와 연결이 되며 시스템에서 발생된 영상, 센싱,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HDD(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10)는 제1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1카메라(11); 제2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2카메라(12); 및 상기 제1카메라(11)와 상기 제2카메라(12)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상기 제3송수신 모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50)는 센서들에서 발생된 센싱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20)의 상기 제2송수신 모듈(31)로 전송하는 제4송수신 모듈(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셋탑박스에 자체 Linux OS를 탑재하여 CPU에 의해 모든 처리가 가능하며, 카메라의 데이터와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장치간의 연결 케이블을 생략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거리 감시 및 통신이 가능한 보안 감시용 시스템은 에더넷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 장치를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인터넷 및 핸드폰으로 조종이 가능하여 활용 용도가 넓으며 주변 장치들이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어 시스템이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감시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영상신호 및 센서신호 처리에 필요한 자체 Linux OS가 탑재된 셋탑박스(20);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아날로그 카메라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카메라부(10);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센서부(50); 셋탑박스(20)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을 하며 인터넷 또는 개인용 휴대폰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보며 센서 및 카메라를 제어하는 모니터/네트워크부(40);로 구성된다.
셋탑박스(20)는 보안 감시용 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두뇌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셋탑박스(20)는 CPU(21)를 중심으로 해서 각 장치를 장착하여 CPU(21)의 제어에 의해 각 장치를 조졸하여 카메라부(10)의 카메라를 콘트롤하고 센서부(50)의 센서를 콘트롤해서 영상정보와 센싱정보를 얻어낸다.
또한, 모니터/네트워크부와 통신을 해서 원거리 제어 및 인터넷, 핸드폰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부(10)는 2대의 카메라를 보유하여 카메라에서 찍힌 영상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을 통해 셋탑박스(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부(10)의 카메라는 셋탑박스(20)에 의해 제어되지만 모니터/네트워크부(40)을 통해 감시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센서부(50)는 여러개의 센서를 보유하고 각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제4송수신 모듈(51)을 통해 셋탑박스(20)로 무선 전송한다.
또한 본 센서들은 셋탑박스(20)의 CPU(21)에 의해 제어 된다.
모니터/네트워크부(40)는 감시자가 모니터를 보면서 카메라부(10)의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 핸드폰을 통해 감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셋탑박스(20)는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로 수신하여 압축, 저장하는 비디오 인코더(22);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로부터 입력받는 카메라 입력부(23);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저장된 영상을 위변조 할 수 없도록 체크하는 위변조 방지부(24);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셋탑박스(20)의 환경을 설정하는 GUI(25);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센서부(5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제2송수신 모듈(31)로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27);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센서부(50)에서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제2송수신 모듈(31)을 통해 수신하여 이 수신 신호에 따라 센서를 콘트롤하는 콘트롤 시그널부(28);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모니터/네트워크부(4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더넷(26); CPU(21)와 연결이 되며 시스템에서 발생된 영상, 센싱,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HDD(29);로 구성된다.
비디오 인코더(22)는 카메라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카메라(11)와 제2카 메라(12)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제3송수신 모듈(13)을 통해 전송하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을 통해 수신하여 압축,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입력부(23)는 카메라부(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카메라(11)와 제2카메라(12)에서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제3송수신 모듈(13)을 통해 전송하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을 통해 수신하여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위변조 방지부(24)는 CPU(21)에 입력되 HDD(29)에 저장된 영상, 센싱, 정보 데이터를 위변조 하지 못하도록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능은 보안 시스템에서 현재 많이 필요로 하는 장치로서 헤킹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침입으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GUI(25)는 CPU(21)와 연결되어 CPU(21)을 비롯한 셋탑박스(20) 그리고 주변 장치와의 연결 상태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입력부(27)는 센서부(5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이 센싱한 데이터를 제4송수신 모듈(51)에서 전파로 변환하여 제2송수신 모듈(31)로 수신받아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콘트롤 시그널부(28)는 CPU(21)와 연계해서 센서부(50)으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에 따라 센서들을 출력,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에더넷(26)은 현재에 많이 필요한 장치로서 모니터/네트워크부(40)와 연결이 되서 감시자가 모니터를 통해 카메라 및 센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와 인터넷 및 핸드폰을 통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HDD(29)는 CPU(21)과 연계해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부(10)는 제1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1카메라(11); 제2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2카메라(12); 제1카메라(11)와 제2카메라(12)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3송수신 모듈(13);로 구성된다.
제1카메라(11)는 보안 감시 영역인 제1영역을 촬영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한다.
제2카메라(12)는 보안 감시 영역인 제2영역을 촬영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한다.
제3송수신 모듈(13)은 제1카메라(11)와 제2카메라(12)에서 보내온 영상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셋탑박스(20)의 제1송수신 모듈(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는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UWB, ZigBee, FM 등과 같은 포맷을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부(50)는 센서들에서 발생된 센싱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셋탑박스(20)의 제2송수신 모듈(31)로 전송하는 제4송수신 모듈(51)로 구성된다.
제4송수신 모듈(51)은 여러개의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제2송수신 모듈(31)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감시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부 11: 제1카메라
12: 제2카메라 13: 제3송수신 모듈
20: 셋탑박스 21: CPU
22: 비디오 인코더 23: 카메라 입력부
24: 위변조 방지부 25: GUI
26: 에더넷 27: 센서 입력부
28: 콘트롤 시그널부 29: HDD
30: 베1송수신 모듈 31: 제2송수신 모듈
40: 모니터 네트워크부 50: 센서부
51: 제4송수신 모듈

Claims (4)

  1. 보안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신호 및 센서신호 처리에 필요한 자체 Linux OS가 탑재된 셋탑박스(2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아날로그 카메라 영상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카메라부(10);
    상기 셋탑박스(20)와 무선으로 송수신을 하며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센서부(50); 및
    상기 셋탑박스(20)와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을 하며 인터넷 또는 개인용 휴대폰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보며 센서 및 카메라를 제어하는 모니터/네트워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20)는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1송수신 모듈(30)로 수신하여 압축, 저장하는 비디오 인코더(22);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1송수신 모듈(30)로부터 입력받는 카메라 입력부(23);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저장된 영상을 위변조 할 수 없도록 체크하는 위변조 방지부(24);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셋탑박스(20)의 환경을 설정하는 GUI(25);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센서부(5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제2송수신 모듈(31)로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27);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센서부(50)에서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2송수신 모듈(31)을 통해 수신하여 이 수신 신호에 따라 센서를 콘트롤하는 콘트롤 시그널부(28);
    상기 CPU(2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모니터/네트워크부(4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더넷(26); 및
    상기 CPU(21)와 연결이 되며 시스템에서 발생된 영상, 센싱,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HDD(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10)는
    제1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1카메라(11);
    제2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3송수신 모듈(13)로 전송하는 제2카메라(12); 및
    상기 제1카메라(11)와 상기 제2카메라(12)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상기 제3송수신 모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0)는
    센서들에서 발생된 센싱 데이터를 전파로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20)의 상기 제2송수신 모듈(31)로 전송하는 제4송수신 모듈(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감시용 시스템.
KR1020070076641A 2007-07-31 2007-07-31 보안 감시용 시스템 KR10091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41A KR100910392B1 (ko) 2007-07-31 2007-07-31 보안 감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41A KR100910392B1 (ko) 2007-07-31 2007-07-31 보안 감시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43A true KR20090012643A (ko) 2009-02-04
KR100910392B1 KR100910392B1 (ko) 2009-08-04

Family

ID=406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641A KR100910392B1 (ko) 2007-07-31 2007-07-31 보안 감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52B1 (ko) * 2014-02-17 2014-05-30 류진규 원격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 시스템
KR101444079B1 (ko) * 2012-12-26 2014-09-29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하이브리드 제어 패널 및 방법
CN108917716A (zh) * 2018-06-04 2018-11-3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Gis伸缩节在线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409A (ko) * 2000-05-31 2001-12-10 이준일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제어 감시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4540456B2 (ja) 2004-12-01 2010-09-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不審者検出装置
JP2007034420A (ja) 2005-07-22 2007-02-08 Telemidic Ltd エマージェンシーレポートシステム
KR20060107487A (ko) * 2006-09-25 2006-10-13 최충현 휴대폰에서 채널 선택이 가능한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79B1 (ko) * 2012-12-26 2014-09-29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하이브리드 제어 패널 및 방법
KR101401952B1 (ko) * 2014-02-17 2014-05-30 류진규 원격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 시스템
CN108917716A (zh) * 2018-06-04 2018-11-3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Gis伸缩节在线监测装置
CN108917716B (zh) * 2018-06-04 2024-04-09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中卫供电公司 Gis伸缩节在线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392B1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4354A1 (en) Versatile dual mode wireless camera hotspot device
US10032362B2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US20120257051A1 (en) Versatile wireless video and voice monitor
Rao et al. Surveillance camera using IOT and Raspberry Pi
US20120268595A1 (en)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60284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igital video
KR101692430B1 (ko)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26129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보안장치 제어 시스템
US10076244B2 (en)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KR100910392B1 (ko) 보안 감시용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4272B1 (ko)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제어방법
KR100620560B1 (ko)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Sugumaran et al. Smart Surveillance Monitor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and pir sensor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1550736B1 (ko) 홈 cctv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KR101471060B1 (ko) 통합형 무선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US20120062733A1 (en) Smart target surveillance system
JP2003317171A (ja) 監視システム
JP2004343438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Lalitha et al. Smart surveillance with smart doorbell
CN101751707A (zh) 一种摄像机及使用该摄像机控制电子门的系统
WO2016195170A1 (ko) 바이너리 cdma와 아리아 암호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