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97A -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 Google Patents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97A
KR20090012497A KR1020070076380A KR20070076380A KR20090012497A KR 20090012497 A KR20090012497 A KR 20090012497A KR 1020070076380 A KR1020070076380 A KR 1020070076380A KR 20070076380 A KR20070076380 A KR 20070076380A KR 20090012497 A KR20090012497 A KR 2009001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assembly
lens assembly
driving unit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4962B1 (en
Inventor
설진수
이병철
강병길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962B1/en
Publication of KR2009001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is provided to perform an auto focus function and a shutter function at the same time to supply a high sensitivity image. A mainframe(120) includes an opening along with an optical axis. A lens assembly(140) performs a reciprocating motion in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frame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lens drive unit(130) operates the lens assembly. An image sensor assembly(150) closes a rear part of the mainframe. The shutter assembly comprises a shutter base(210), a shutter wing(240), a shutter cover(230) and a shutter driving unit(220). The shutter base covers one end of the main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Description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영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포커스 기능과 광로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셔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오토포커스 장치와 셔터 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simultaneously perform an autofocus function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us of an image, and a shutter function to adjust a quantity of light incident on an optical path to enable clear image captu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n autofocus device and a shutter devic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slimmer and smaller.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등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소자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amera manufacturing technology, a compact and light weight camera lens assembly has appeared, so that a camera can be mou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optical lens and a camera element is becoming popular.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기 시작한 초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은 당시에 상용화된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예를 들어,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이 400만 화소급이였던 당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30만 화소급이 일반적이었고 고급 단말기에 장착된 것이 100만 화소급에 불과하였다.  In the early days when cameras were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the performance of cameras mounted in mobile terminal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digital cameras. For example, when the performance of entry-level digital cameras was 4 million pixels, cameras moun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ere generally 300,000 pixels, and those equipped with high-end terminals were only 1 million pixels.

최근에는 100만에서 200만 화소급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것이 보 편화되어 있으며, 고급 단말기의 경우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 준하는 300만 화소급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고, 700만 화소급 이상의 성능을 갖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popular to mount a 1 million to 2 million pixel camera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igh-end terminal is equipped with a 3 million pixel camera, which is equivalent to a low-end digital camera, and a camera having a performance of 7 million pixels or more. Succeeded in commercializ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가 300만 화소급 이상으로 고성능화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영상 촬영 시 피사체의 촬영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초점 흐트러짐을 보정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의 탑재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다 선명한 영상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으로 인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 발달이 가속화 되고 있다.As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more than 3 million pixels high in performance and generalization, the mounting rate of the camera with the built-in autofocus function for correcting the focal blur caused by the shooting distance of the subject when the image is taken is increasing.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ctively progressed by the user's request for a clearer image,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camera lens assembly is accelerated.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과 그 제작 기술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디지털 카메라 시장을 점차 잠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지능, 즉 통신 기능의 유지와 휴대성을 고려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을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과 동일한 수준에 이르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and the precision of its fabrication technology have improv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radually eroding the digital camera market, considering the main intellig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maintenance and por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here is a limit to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to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digital camera.

즉, 일반적인 콤팩트(compact)형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도 광학 중(zoom) 기능, 자동 초점 기능및 셔터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 된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되고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 휴대성을 고려해야만 하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하더라도 광학 줌 기능, 오토포커스 기능, 셔터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등을 탑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That is, even in a typical compact digital camera, an optical zoom function, an auto focus function, and a shutter function are basically installed. In addition, some cameras are equipped with image stabilization. However, sin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to take portability into consideration as the main function of communication, optical zoom, autofocus, and shutter can be installed even with a camera lens assembly. It is having a hard time installing functions and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 광학 줌 기능과 셔터 기능은 공간상 제약 및 성능 구현에 어려움이 있어 제한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광학 줌 기능과 셔터 기능 보다 상대적으로 공간 활용이 용이한 오토포커스 기능을 내장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detail, the optical zoom function and the shutter func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limited in terms of space limitations and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the space is relatively used than the optical zoom function and the shutter function. The adoption of camera lens assemblies with this easy autofocus function is increasing.

그러나, 고화소급 카메라으로의 기술 발달이 가속화되고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오토포커스 기능과 더불어 고감도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셔터 기능을 추가해야할 필요성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셔터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있어 셔터 장치의 크기 및 형상 구조에 따른 공간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However, as the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cameras accelerates and the demand of users to capture sharper images increases, the necessity of adding a shutter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high-quality image quality along with the autofocus function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spac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hutter device in applying the shutter device used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s it i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의 기술적 진화에 유연하게 대체할 수 있는 소형 제품 개발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오토포커스 장치에 셔터 장치를 탑재하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품화할 경우 두께가 두꺼워져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슬림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형화 슬림화를 실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능 구현에 있어서도 동특성 및 셔터 속도 등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small product that can be flexibly replaced by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specially, when the camera lens assembly is manufactured by mounting a shutter device in an autofocus device,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There is a difficulty in adopting a sli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liability such a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shutter speed must be secured not only in realizing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but also in performan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포커스 기능과 셔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고감도의 영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소형화에 용이한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easy to miniaturize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high-sensitivity image by integrally formed to perform the autofocus function and the shutter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특 정함으로써 두께를 줄이고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cify a coupling structure of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to reduce the thickness and compactly configure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를 각각 모듈 구성하고 특성이 검증된 제품을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단자 결선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 비용도 절감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s a module and to assemble a product whose characteristics have been verifie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terminal wir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광축을 따라 개구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광축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부(後部)를 폐쇄하는 이미지센서 조립체를 포함하고,The autofocus assembly may include a main frame form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long an optical axis, a lens assem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to reciprocat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ens driving unit driving the lens assembly, and An image sensor assembly for closing the rear of the main frame,

상기 셔터 조립체는, 셔터 베이스와, 상기 셔터 베이스의 외면(外面)에 설치된 셔터 날개 및 셔터 커버와, 상기 셔터 베이스에 설치된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며,The shutter assembly includes a shutter base, a shutter vane and a shutter cove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utter base, and a shutter driver installed on the shutter base.

상기 셔터 베이스는 메인 프레임의 광축 방향 일단부를 덮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er base may be installed to cover one end of the optical axis in the main frame.

여기서, 광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그 일변 근방에 셔터 날개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는 광축방향으로 연장되 어 있어 'ㄱ' 형상을 이루며,Here,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hutter blade drive unit is installed near one side thereof,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the shutter blade drive unit extend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 'b' shape,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는 상기 셔터 조립체의 셔터 날개 구동부를 수용하도록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autofocus assembly is shaped 'b' to receive a shutter vane drive of the shutter assembly.

또한,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는 각각 모듈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modular.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는 렌즈의 일측에서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것으로, 광축방향과 수직되게 서로 대면하는 코일 및 영구자석과,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인쇄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at one side of the lens,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facing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lens assembly, the driv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print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bstrate.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과 상기 메인 프레임은 홈과 돌기의 결합을 통해 서로 고정 결합되어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driving unit and the mai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i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또한, 상기 셔터 커버의 둘레의 일부가 절곡되어 걸림구멍이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셔터 조립체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hutter cover is bent to form a catching piece having a catching hole, and a protruding piece catching the catching hole is formed at a side of the shutter base, so that the shutter assembly is configured as a module. It is done.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에 설치된 구동부 인쇄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 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lens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image sensor assem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의 센서부 인쇄기판에는 일측에 회로 결선된 오목홈들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구동부 인쇄기판의 일측에 돌기들이 형성되어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substrat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image sensor assembly is formed in the concave grooves are circuit-connected on one side, the projec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drive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s fix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 사이에는 셔터단자 결선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er terminal connection uni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and the image sensor assembly.

또한,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에는 단자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의 센서부 인쇄기판의 테두리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단자 결선부는 단자핀과 오목홈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erminal pin is formed in 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a concave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nsor unit printed board of the image sensor assembly, and the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and fixed between the terminal pin and the concave groove. It features.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에 설치된 구동부 인쇄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inted board installed in the lens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image sensor assem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 사이에는 셔터단자 결선부가 개재되어 있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ar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and the image sensor assemb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셔터 조립체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utter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perture blad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또한, 상기 셔터 날개와 조리개 날개 사이에는 셔터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er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utter blades and the aperture blades.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에 오토포커스 기능과 셔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고감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obile phone can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autofocus function and the shutter function, thereby providing a high sensitivity imag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 조립체의 구동부를 일측으로 편심 배치하고 광축방향으로 ‘ㄱ’형상으로 구성하고 오토포커스 조립체를 ‘ㄴ’형상으로 구성하여 오토포커스와 셔터 조립체의 외형으로 돌출됨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셔터 조립체의 베이스를 오토포커스 조립체의 커버로 활용함으로써 제품 전체 두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of the shutter assembly is eccentrically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autofocus assembly is configured in a 'b' shap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autofocus assembly is configured in a 'b' shape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autofocus and shutter assembly. And the base of the shutter assembly as a cover of the autofocus assembly can minimize the loss of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를 각각 모듈 구성하고 특성이 검증된 제품을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고, 오토포커스 구동부 및 셔터 조립체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부를 별도로 인출되는 결선부가 필요 없이 오토포커스의 이미지센서 조립체에 각각 납땜 결선되도록 함으로써 단자 결선의 간소화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each configured as a module and the products having proven characteristics are integrally assemble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terminal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autofocus driving unit and the shutter assembly driving unit. By separately soldering the connection to the image sensor assembly of the autofocu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onnec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simplify the terminal conn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광축방향으로 피사체가 있는 부분, 즉 셔터 커버가 있는 쪽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이미지센서 조립체(150)가 있는 부분을 후방(後方)으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rt in which the subject exist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e, the side in which the shutter cover is located, is in the front, and the part in which the image sensor assembly 150 is in the rea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는 크게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와 셔터 조립체(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는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셔터 조립체(200)는 후술하는 셔터 날개 구동부(220)에 의해 'ㄱ' 형상으로 이루어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와 셔터 조립체(200)는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에도 대략 4각형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n autofocus assembly 100 and a shutter assembly 200, the autofocus assembly 100 is laterally When viewed from the 'b' shape, the shutter assembly 200 is made of a 'b' shape by the shutter blade drive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That is, the autofocus assembly 100 and the shutter assembly 200 are substantially quadrangular even when viewed from the side by complementarily coupling.

또한, 상기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는 광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대략 4각형의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for a mobile phone has a shape of a quadrilateral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먼저, 도 3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는 외형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20)과 렌즈 조립체(140)와 렌즈 조립체(140)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부(130)와 이미지센서 조립체(150)로 구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autofocus assembly 100 includes a lens driver 130 for reciprocating the main frame 120, the lens assembly 140, and the lens assembly 140. And an image sensor assembly 150.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내측으로 상기 이미지센서(151)의 촬영 경로가 되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에 적외선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후부에는 상기 이미지센서(15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이미지센서 조립체(150)가 조립되고 상기 개구가 상기 적외선 필 터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151)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며 상기 적외선 필터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만을 검출하게 된다. The main frame 120 is formed with an opening (not shown) that serves as a photographing path of the image sensor 151, and an infrared filte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opening. 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image sensor 151, the image sensor assembly 150 is assembled and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infrared filter, the image sensor 151 Is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detects only an image incident through the infrared filter.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전부(前部)에는 일측이 개방된 외측면부(122)가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외측면부(122)는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게 형성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 구동부(130)의 조립홈(137)과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돌기(1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립돌기(170)는 상기 렌즈 구동부(130)가 기울어짐이 없이 안내되어 조립되도록 광축방향으로 충분히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outer side surface portion 122, one side of which is open, extends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20. The outer surface portion 122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140 to prevent the lens assembly 14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assembly groove 137 of the lens drive unit 130 And an assembly protrusion 170 to facilitate assembly. The assembly protrusion 170 is preferably formed by exten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lens driving unit 130 is guided and assembled without inclination.

또한, 상기 외측면부(122)의 가장 앞부분은 셔터 조립체(200)의 셔터 베이스(210)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되어 조립되도록 바닥 조립부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oremost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22 forms a bottom assembly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hutter base 210 of the shutter assembly 200 enters and is assembled.

구체적으로, 조립시 상기 외측면부(122)의 가장 앞부분과 상기 셔터 베이스(210)의 천정부가 인접하게 대향하며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Specifically, at the time of assembly, the front part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22 and the ceiling of the shutter base 210 face each other and are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20)과 셔터 조립체(200)의 결합에 의한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crease in thickness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main frame 120 and the shutter assembly 200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21)를 형성하여 상기 셔터 조립체(200)의 셔터 날개 구동부(220)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121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20 is formed to support the shutter wing driver 220 of the shutter assembly 2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조립체(140)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초점 거 리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측면에는 영구자석(14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영구자석(145)은 상기 렌즈 구동부(130)에 설치되는 코일(136)과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40)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lens assembly 140 has at least one lens installed therein, and adjusts a focal length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140. On one side is a permanent magnet 145 is mounted. The permanent magnet 145 interacts with the coil 136 installed on the lens driver 13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reciprocating the lens assembly 140.

상기 영구자석(145)의 자로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 구동부(130) 방향으로 자속을 집중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측면에는 제1 요크(17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크(171)는 상기 영구자석(145)과 상기 렌즈 조립체(140) 사이에 개재된다.A first yoke 171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ens assembly 140 to form a magnetic path of the permanent magnet 145 and to concentrate the magnetic flux in the direction of the lens driver 130. The first yoke 171 is interpos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45 and the lens assembly 140.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에서 이미지 검출을 위한 이미지센서 조립체(150)는 이미지센서(151), 회로기판(152), 가요성 인쇄회로(15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mage sensor assembly 150 for image detection in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includes an image sensor 151, a circuit board 152,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155. It is composed.

결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이미지센서(151)는 와이어 본딩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152)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155)는 상기 회로기판(152)으로부터 연장되어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회로 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센서(151)는 후술하는 적외선 필터(156), 상기 렌즈 조립체(140)와 함께 상기 광축에 정렬된다.The image sensor 151 disposed on an image forming surface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52 by wire bonding,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155 extends from the circuit board 152 to move a camera or move. It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not show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sensor 151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together with the infrared filter 156 and the lens assembly 140 described later.

상기 인쇄기판(15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의 렌즈 구동부(130) 및 셔터 조립체(200)의 구동부(2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구동부(130)(220)에서 인출되는 인쇄기판(134) 또는 단자 핀과 납 땜 고정하기 위한 회로 결선된 오목홈들로 형성된 단자 결선부(153)를 구비하고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printed board 152 may have a driving unit 1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ns driving unit 130 of the autofocus assembly 100 and the driving unit 220 of the shutter assembly 200. A terminal connection part 153 formed of a printed board 134 or a terminal pin and a circuit-connected concave groove for soldering and soldering the terminal pins 220 is provided.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구동부(130)는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145)과 대면하는 코일(136)과 렌즈 조립체(1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3)와 상기 코일(13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기판(134)과 렌즈 조립체(14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변위센서(135)와 상기 영구자석(145)의 자로를 형성하는 제2 요크(172)로 구성된다.4 and 6, the lens driver 130 supports the coil 136 and the lens assembly 140 facing the permanent magnet 145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assembly 140. The position displacement sensor 135 and the permanent magnet 145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133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136 and the lens assembly 140. It consists of a second yoke 172 forming a.

상기 렌즈 구동부(130)의 내측으로는 인쇄기판(134)과 상기 인쇄기판(134)상에 고정되는 코일(136)과 상기 코일(136)의 내부 공심에 위치하는 위치변위센서(135)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136)은 전기장을 발생시켜서, 상기 코일(136)의 전기장과 상기 영구자석(145)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40)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Inside the lens driving unit 130, a printed board 134, a coil 136 fixed on the printed board 134, and a position displacement sensor 135 positioned at an inner concentric portion of the coil 136 are configured. It is. 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6, the coil 136 generates an electric field, and the electric field of the coil 136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145 interact with the lens assembly 140. I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eciprocate.

또한, 상기 렌즈 구동부(130)의 외측으로는 상기 코일(136)의 전기장 및 영구자석(145)의 자기장을 상기 코일(136)과 영구자석(145) 사이에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일(136)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 요크(17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구동부(130)의 하단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8)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il 136 to concentrate the electric field of the coil 136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145 between the coil 136 and the permanent magnet 145 outside the lens driver 130. The second yoke 172 is mounted to surround the second yoke 172, and a stopper 13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driver 130 to restric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ens assembly 140.

또한, 렌즈 구동부(130)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과 조립되 도록 하는 조립홈(137)이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lens driver 130 is formed so that the assembly groove 137 to be assembled with the main frame 120 extend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변위센서(135)로 광센서 또는 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치변위센서로 홀센서를 적용한 예로 하여 설명한다.An optical sensor, a hall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position displacement sensor 135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ens assembly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hall sensor is used as the position displacement sensor.

상기 렌즈 구동부(130)에는 홀 센서(135)가 설치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140)에 장착된 영구자석(145)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145)은 상기 렌즈 조립체(14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The lens driver 130 is provided with a hall sensor 135 to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145 mounted on the lens assembly 140. Since the permanent magnet 145 is mounted on the lens assembly 140, the hall sensor eventually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of the lens assembly 140.

상기 홀 센서(135)는 상기 코일(136)과 함께 상기 인쇄기판(134)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136)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조립된다.The hall sensor 135 is attached to the printed board 134 together with the coil 136, and is assembl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coil 136.

상기 인쇄기판(134)은 코일(136)과 홀 센서(135)에 각각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등의 전기 회로 결선을 위해 일단에는 상기 이미지센서(151)의 단자 결선부(153)의 오목홈(153a)들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기들을 갖는 단자 결선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The printed board 134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il 136 and the hall sensor 135, and at least one of the image sensor for connecting an electric circuit such as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circuit 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134a having protrusions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grooves 153a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153 of the 151.

상기 홀 센서(135)는 렌즈 조립체(140)의 위치 변화 값과 이미지센서 조립체(150)에서 발생하는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코일(136)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내장하는 원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ll sensor 135 may be configured as a one-chip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136 by comparing the position change value of the lens assembly 140 with a refe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sensor assembly 150. Do.

이와 같이, 홀센서(135)와 제어부를 하나의 칩으로 구성하고 코일(136)의 공심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의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As such, the hall sensor 135 and the control unit are configured as one chip and installed inside the air core of the coil 136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부(130)에 상기 렌즈 조립체(140) 결합시키면, 상기 영구자석(145)과 제2 요크(172)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상기 지지부(133)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영구자석(145)은 그 자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요크(172)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상기 스토퍼(138)에 밀착된다.When the lens assembly 140 is coupled to the lens driving uni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ssembly 140 is supported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45 and the second yoke 172. Close to) At the same time, when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6, the permanent magnet 145 is moved in a direc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yoke 172 by its own magnetic force, thereby the lens Assembly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138.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후부면이 상기 스토퍼(138)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미흡할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138)에 자성 재질의 부재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2 요크(172)를 스토퍼(138) 측으로 연장하여 밀착력을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rear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14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138, the magnetic member is installed on the stopper 138 or the second yoke 172 is moved toward the stopper 138. It is also possible to strengthen the adhesion by extending.

즉,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측면은 상기 지지부(133)에 대면하고, 후부면은 상기 스토퍼(138)에 대면하며, 상기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렌즈 조립체(140)는 그 후부면이 상기 스토퍼(138)에 밀착되는 위치에 정지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136)에서 발생하는 전기장과 상기 영구자석(145)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136)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이동거리와 이동 방향이 설정되며, 이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의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lens assembly 140 faces the support part 133, the rear surface faces the stopper 138, and if the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coil 136, the lens assembly ( 140 is stopped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138. In the state in which the lens assembly 140 is stopped,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6,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136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145 interact with the lens assembly 140. Is mov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moving distanc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ens assembly 140 are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coil 136, there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상기 렌즈 조립체(140)와 렌즈 구동부(130)를 하나의 구동 조립체로 모듈화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결합하면,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측면은 상기 렌즈 구동부(130)에 대면하고 그 나머지 외주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외측면 부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광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ens assembly 140 and the lens driver 130 are modularized into one driv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120, one side of the lens assembly 140 faces the lens driver 130. The remain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main frame 120 to move on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 조립체(140)는 상기 영구자석(145)과 제2 요크(172)에 의해 상기 지지부(133)에 밀착되려는 성향을 갖게 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140)가 상기 지지부(133)에 밀착된다면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왕복 운동이 불가능해지거나, 가능하더라도 큰 구동력이 요구된다.The lens assembly 140 has a tendenc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33 by the permanent magnet 145 and the second yoke 172, if the lens assembly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33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ns assembly 140 becomes impossible, or even a large driving force is required.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는 상기 렌즈 구동부(130)와 렌즈 조립체(140) 사이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볼들(미도시)을 제공함으로써 적은 구동력으로도 상기 렌즈 조립체(140)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amera lens assembly 1000 may form a guide portion between the lens driver 130 and the lens assembly 140 and provide balls (not shown) to reciprocate the lens assembly 140 even with a small driving force. Can be.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 조립체(140)의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홈(143)들과 상기 지지부(133)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143)들에 대면하는 제2 가이드홈(139)들과, 상기 제1 가이드홈(143)과 제2 가이드홈(133)에 수용되는 볼(139a)들로 구성되어 있다. The guide part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 grooves 14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140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part 133 to face the first guide grooves 143. And a ball 139a accommodated in the first guide groove 143 and the second guide groove 133.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조립체(200)는 광로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상에 조립되며, 입사되는 빛을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219)를 가지는 셔터 베이스(210)와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키기 위한 셔터 날개(240)들과 상기 셔터 날개(24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독립 구동이 가능한 셔터 날개 구동부(220)와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211)와 셔터커버(2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hutter assembly 200 is assembled on the autofocus assembly 100 to be coaxial with the optical path and has a shutter base having an opening 219 for penetrating incident light. For fixing the shutter blades 240 for blocking the light incident to the 210 and the shutter blade driver 220 and the shutter blade driver 220 which can be independently driven to rotate the shutter blades 240. It is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211 and the shutter cover (230).

또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리개가 필요한 경우 조리개 날 개(260)들과 상기 조리개 날개(260)들을 회전키기 위한 구동부(270)와 상기 조리개 날개(260)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공간 형성 및 접촉 마찰 부하를 줄이기 위한 셔터 플레이트(25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when the aperture is requir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he aperture 260 and the drive unit 270 for rotating the aperture blades 260 and the aperture blades 260 allow the space to flow. A shutter plate 250 is further included to reduce the forming and contact frictional load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베이스(210)는 후면으로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의 앞쪽을 커버하도록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의 메인 프레임(120) 최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진입되며, 내측 일면에는 셔터 날개(240) 구동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셔터 날개(240)의 전면이 바닥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들(212)이 구비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10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 구동부(220)(270)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t least a portion of the shutter base 210 enters an uppermost side of the main frame 120 of the autofocus assembly 100 so as to cover the front of the autofocus assembly 100 to the rear side. On the inner side, protrusions 212 are provided to prevent the front surface of the shutter blades 240 from contacting the floor to reduce friction when driving the shutter blades 240, and on one side of the autofocus assembly 100. A seating portion 211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ide and to fix the wing drivers 220 and 270.

상기 안착부(211)에는 상기 날개 구동부(220)(27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후크 형상의 걸쇠(211a)를 마련하여 체결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seating portion 211 is provided with a hook-shaped clasp 211a for fixing and coupling the wing driving parts 220 and 270 to facilitate fastening.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날개(240)는 상기 셔터 베이스(210)에 회전 지지되기 위한 조립홀(2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220)에서 인출되어 돌출된 구동핀(223)에 안내받아 회전하도록 하는 안내 홀(242)이 형성되며, 광로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2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hutter vane 240 has an assembly hole 241 form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utter base 210, and a driving pin protruded from the shutter vane driver 220. A guide hole 242 is formed to guide and rotate the guide 223, and has two shutter vanes to effectively block the optical path.

도 3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220)는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절연부재(222)와 상기 절연부재(222)에 권선된 코일(224)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한 자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요크(226a) 및 제2요크(226b)와 코일(224)에 자력을 공급하기 위한 원통형의 영구자석(225)과 상기 영구자석(225)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돌출핀(223)과 상기 영구자석(225)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구동프레임(227)으로 구성되어 독립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nd FIG. 7, the shutter blade driver 220 is an insulator member 222 for winding a coil and a ruler based on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24 wound on the insulator member 222. Cylindrical permanent magnets 225 for supplying magnetic force to the first yoke 226a and the second yoke 226b and the coil 224 and protruding pins protruding from the permanent magnets 225 to form a 223 and the drive frame 227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permanent magnet 225 is configured to enable independent driving.

상기 코일(2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인쇄기판(152) 또는 단자핀(228)의 일단에는 상기 이미지센서(151)의 단자 결선부(153)의 오목홈들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기들을 갖는 단자 결선부(270)가 형성되어 있다.To supply power to the coil 224, one end of the printed board 152 or the terminal pin 228 has protrusion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grooves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153 of the image sensor 151.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270 is formed.

상기와 같은 셔터 날개 구동부(220)의 대략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코일(224)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요크(226a) 및 제2 요크(226b)로 이루어진 자성부재(226)에 전자력이 인가되어, 한쪽은 N극, 다른 한쪽은 S극의 서로 다른 극성이 발생이 되며, 이 전자력에 의해 구동프레임(227)의 회전축(227a)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 영구자석(225)이 스토퍼(미도시)가 정한 소정의 각도만큼 왕복 회동하여, 이 영구자석(225)과 일체화되어 있는 구동핀(223)에 체결된 셔터 날개(240)가 열림, 닫힘 동작을 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hutter vane driver 220 as described abov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24,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magnetic member 226 consisting of the first yoke 226a and the second yoke 226b. When the polarity is applied, one pole of the N pole and the other pole of the S pole are generated, and the driving permanent magnet 225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227a of the drive frame 227 by this electromagnetic force causes the stopper ( The shutter blade 240 coupled to the driving pin 223 integrated with the permanent magnet 225 is opened and closed by reciprocating the predetermined angle determin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커버(230)는 광축에 개구부(2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 날개(240)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셔터 베이스(210)에 조립 고정된다. 특히, 상기 셔터 커버(230)의 둘레의 일부가 절곡되어 걸림구멍이 형성된 걸림편(237)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 베이스(210)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돌출편(218)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utter cover 230 has an opening 235 formed in an optical axis, forms a space for the shutter vane 240 to flow, and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shutter base 210. . In particular,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hutter cover 230 is bent to form a catching piece 237 having a catching hole, and a protruding piece 218 catching the catching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hutter base 210. have.

이에 따라, 상기 셔터 조립체(20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단품처럼 취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hutter assembly 200 may be composed of one module and treated as a single unit.

도 3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개날개(260)는 입사되는 빚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광통과공(265)이 구비되며, 상기 셔터 베이스(210)에 회전축(216)을 통해 회전 지지되기 위한 조립홀(2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리개 날개 구동부(270)에서 인출되어 돌출된 구동핀(273)에 안내받아 회전하도록 하는 안내 홀(262)이 형성되며, 광로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2개의 조리개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3 and 9, the aperture blade 260 is provided with a light passing hole 265 for adjusting the light amount of the incident debt, through the rotating shaft 216 to the shutter base 210 An assembly hole 261 is formed to be rotatably supported, and a guide hole 262 is formed to rotate by being guided by the driving pin 273 protruding from the aperture wing driver 270 to protrude. It is equipped with two aperture blades to block.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플레이트(250)는 상기 셔터 날개(24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과 상기 조리개 날개(26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하는 수단으로 셔터 날개(240) 및 조리개 날개(260)의 접촉 마찰을 주이기 위해 표면에 코팅처리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shutter plate 250 is a shutter vane 240 as a means for distinguishing a space in which the shutter vane 240 may flow and a space in which the aperture vane 260 may flow.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coated on the surface in order to give contact friction of the iris blade 260.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셔터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셔터 날개(240)들은 각각의 조립홀(241)이 셔터 베이스(210)의 각각의 회전축(215)에 삽입되어지고, 셔터 날개 구동부(220)의 구동핀(223)에 의해 셔텨 날개(240)들의 안내공(242)이 공통으로 삽입되어져 셔터 날개 구동부(220)의 코일(22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축(215)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7 and 8,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the shutter blades 240, each assembly hole 241 is inserted into each rotation shaft 215 of the shutter base 210. The guide holes 242 of the shutter vanes 240 are inserted in common by the driving pins 223 of the vane driving unit 220, a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24 of 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220. It is driven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215 by an angle.

여기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날개(240)의 열림 위치는 셔터 스토퍼(217a)에 의해 위치제어가 가능하며, 셔터 구동시 셔터 베이스(210)와 조리개(260) 사이에 구동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셔터 플레이트(250)가 배치되며, 그 공간의 높이는 셔터 베이스(210)에서 돌출된 돌기에 의해 엄격히 제어된다.Here, as shown in FIG. 8 (a), the open position of the shutter vane 240 may be controlled by the shutter stopper 217a,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utter base 210 and the aperture 260 when the shutter is driven. The shutter plate 250 i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o be driven, and the height of the space is strictly controlled by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hutter base 210.

또한, 셔터 구동핀(223)이 열림 위치로 이동되는 순간 동일한 방향으로 셔터 날개(240)가 각각의 변위 각도만큼 이동하여 셔터 날개(240)가 일정치 중첩되어 차폐기능을 하게 되며, 그로 인해 빛을 차단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hutter drive pin 223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the shutter blades 240 are moved by the respective displacement angles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shutter blades 240 overlap with each other to serve as a shielding function. Will block.

이때의 닫침 위치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힘 위치 스토퍼(217b)에 의해 위치 제어가 가능한 구조이고, 셔터 날개(240) 구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셔터 베이스(210)의 바닥면 일측에 돌기부(212)를 구비하여, 마찰력 감소에 따른 셔터 날개(240)의 구동시간 단축 및 마모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ure 8 (b), the position control is possible by the closed position stopper 217b, the shutter base 210 of the shutter base 210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 force when driving Providing the projection 212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riving time and wear phenomenon of the shutter blades 240 due to the frictional force is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장치의 동작은 초기의 열림 상태에 있으며, 촬영 시작모드로 진입시 카메라 내부 휘도 검출장치에 의해 광량을 측정 후 조리개 동작 유, 무를 판단하여 조리개 동작이 판단되면, 조리개(260)가 동작하고 수 ms이후 이미지센서(151) 광 계측이 개시되고, 그와 동시에 셔터의 닫힘 신호가 인가되어 적정 노출 이후 이미지센서(151)의 계측이 종료되면 수 ms이후 셔터(240)가 열기고, 조리개(260)가 열려 완전 개방 상태로 동작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device is in the initial open state, and when entering the shooting start mode, the aperture 260 is determined when the aperture operat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perture operation afte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by the internal brightness detector of the camera. After several ms of operation, light measurement of the image sensor 151 is started,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closing signal of the shutter is applied and the measurement of the image sensor 151 is terminated after proper exposure, the shutter 240 opens after several ms, The aperture 260 is opened and operated in a fully open state.

한편, 조리개의 작동은 도 9의 (a)의 개방구조 및 (b)의 폐쇄구조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원리는 셔터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aperture is shown in the open structure and the closed structure of (b) of Figure 9, respectively, the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가 분리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

도 3은 도 1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fu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도 4는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5는 도 1a에서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베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n autofocus assembly and a shutter base in FIG. 1A.

도 6은 도 3에서 렌즈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ens driving unit in FIG. 3.

도 7은 도 3에서 셔터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hutter driver in FIG. 3.

도 8은 도 2에서 셔터 날개의 구동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the shutter blades in FIG. 2.

도 9는 도 2에서 조리개 날개의 구동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aperture blade in FIG.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jor Components>

100... 오토포커스 조립체100 ... autofocus assembly

120... 메인 프레임120 ... main frame

130... 렌즈조립체 구동부130. Lens assembly drive unit

140... 렌즈 조립체140 ... lens assembly

150... 이미지센서 조립체150 ... Image Sensor Assembly

200... 셔터 조립체200 ... Shutter Assembly

210... 셔터 베이스210 ... Shutter Base

220... 셔터 구동부220 ... shutter drive

230... 셔터 커버230 ... Shutter Cover

240... 셔터 날개240 ... shutter wings

250... 셔터 플레이트250 ... Shutter Plate

260... 조리개 날개260 ... Aperture wings

270... 셔터단자 결선부270 ...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art

1000...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0 ...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s

Claims (13)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광축을 따라 개구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광축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 조립체, 상기 렌즈 조립체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부(後部)를 폐쇄하는 이미지센서 조립체를 포함하고,The autofocus assembly may include a main frame form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long an optical axis, a lens assem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to reciprocat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ens driving unit driving the lens assembly, and An image sensor assembly for closing the rear of the main frame, 상기 셔터 조립체는, 셔터 베이스와, 상기 셔터 베이스의 외면(外面)에 설치된 셔터 날개 및 셔터 커버와, 상기 셔터 베이스에 설치된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며,The shutter assembly includes a shutter base, a shutter vane and a shutter cover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hutter base, and a shutter driver installed on the shutter base. 상기 셔터 베이스는 메인 프레임의 광축 방향 일단부를 덮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the shutter base is installed to cover one end of the main fram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광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그 일변 근방에 셔터 날개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는 광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ㄱ' 형상을 이루며,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hutter blade drive unit is installed near one side thereof,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the shutter blade drive unit extend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 'b' shape,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는 상기 셔터 조립체의 셔터 날개 구동부를 수용하도록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Viewed from the side, the autofocus assembly is a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 shape to accommodate the shutter blade drive of the shutter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토포커스 조립체와 셔터 조립체는 각각 모듈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the autofocus assembly and the shutter assembly are modularized,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렌즈 구동부는 렌즈의 일측에서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것으로, 광축방향과 수직되게 서로 대면하는 코일 및 영구자석과, 상기 렌즈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 인쇄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lens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on one side of the lens, and the coil and the permanent magnet facing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lens assembly, and the driving unit printed boa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렌즈 구동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은 홈과 돌기의 결합을 통해 서로 고정 결합되어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lens driving unit and the main frame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odul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셔터 커버의 둘레의 일부가 절곡되어 걸림구멍이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셔터 조립체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hutter cover is bent to form a catching piece having a catching hole, and a protruding piece catching the catching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hutter base, so that the shutter assembly is configured as a module.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렌즈 구동부에 설치된 구동부 인쇄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driv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lens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image sens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의 센서부 인쇄기판에는 일측에 회로 결선된 오목홈들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구동부 인쇄기판의 일측에 돌기들이 형성되어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sensor substrat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image sensor assembly is formed with recessed grooves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and projec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fixed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 사이에는 셔터단자 결선부 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between the shutter vane driver and the image sensor assembly.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에는 단자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의 센서부 인쇄기판의 테두리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단자 결선부는 단자핀과 오목홈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is formed with a terminal pin,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sensor substrate printed board of the image sensor assembly, and the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and fixed between the terminal pin and the concave groove.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phon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렌즈 구동부에 설치된 구동부 인쇄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The driving unit printed board installed in the lens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image sensor assemb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상기 셔터 날개 구동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조립체 사이에는 셔터단자 결선부가 개재되어 있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nd a shutter terminal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utter vane driving unit and the image sensor assemb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셔터 조립체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The shutter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diaphragm wing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셔터 날개와 조리개 날개 사이에는 셔터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shutter blades and the aperture blades.
KR1020070076380A 2007-07-30 2007-07-30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KR100884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80A KR100884962B1 (en) 2007-07-30 2007-07-30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380A KR100884962B1 (en) 2007-07-30 2007-07-30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97A true KR20090012497A (en) 2009-02-04
KR100884962B1 KR100884962B1 (en) 2009-02-23

Family

ID=4068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380A KR100884962B1 (en) 2007-07-30 2007-07-30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962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6223B2 (en) 2011-12-02 2014-04-15 Jahwa Electronics Co., Ltd.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1462727B1 (en) * 2012-10-16 2014-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50091860A (en) * 2014-02-04 2015-08-12 자화전자(주) Camera lens module
US20170090147A1 (en) * 2015-05-21 2017-03-30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WO2018139748A1 (en) * 2017-01-26 2018-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iris driving apparatus
CN109302556A (en) * 2018-11-30 2019-02-01 上海信迈电子科技有限公司 Anti-shaking struc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the photographic device with it
KR20190019797A (en) * 2017-08-18 2019-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CN109960003A (en) * 2017-12-25 2019-07-02 惠州大亚湾三美达光学技术有限公司 A kind of lens driver
JP2019139223A (en) * 2018-01-25 2019-08-22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Optical system
US10506146B2 (en) 2017-08-18 2019-12-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190139657A (en) * 2018-06-08 2019-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JP2021179621A (en) * 2017-08-05 2021-11-18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Imag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maging module and of imag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108B1 (en) * 2010-03-23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356805B1 (en) * 2015-09-18 2022-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1700771B1 (en)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2545460B1 (en) 2018-07-23 2023-06-20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A frame for camera lens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85B1 (en) * 2002-10-26 2009-06-03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Improved image sensing means for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adopting the sam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6223B2 (en) 2011-12-02 2014-04-15 Jahwa Electronics Co., Ltd.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1462727B1 (en) * 2012-10-16 2014-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50091860A (en) * 2014-02-04 2015-08-12 자화전자(주) Camera lens module
US20170090147A1 (en) * 2015-05-21 2017-03-30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US10768393B2 (en) 2015-05-21 2020-09-08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US10437006B2 (en) 2015-05-21 2019-10-08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filter module
US10412313B2 (en) 2017-01-26 2019-09-10 Jahwa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a blade of a camera
WO2018139748A1 (en) * 2017-01-26 2018-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iris driving apparatus
JP2021179621A (en) * 2017-08-05 2021-11-18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Imag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maging module and of imaging module
US10506146B2 (en) 2017-08-18 2019-12-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190019797A (en) * 2017-08-18 2019-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CN109960003A (en) * 2017-12-25 2019-07-02 惠州大亚湾三美达光学技术有限公司 A kind of lens driver
JP2019139223A (en) * 2018-01-25 2019-08-22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Optical system
EP3518016A3 (en) * 2018-01-25 2019-10-30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US11125920B2 (en) 2018-01-25 2021-09-21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KR20190139657A (en) * 2018-06-08 2019-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852623B2 (en) 2018-06-08 2020-1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09302556A (en) * 2018-11-30 2019-02-01 上海信迈电子科技有限公司 Anti-shaking struc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the photographic device w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962B1 (en)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962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cell phone
KR102513965B1 (en) A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2046473B1 (en)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46472B1 (en)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6462029B (en) Camera module
CN110998433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0881726B1 (en) Camera shutter apparatus
CN106161902B (en) Camera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shooting method
US7316514B2 (en) Light controller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21549B2 (en) Optical device, camera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144260A (en) Reflec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233934B1 (en)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810583B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00138269A (en)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phone functioning as a shutter
KR102241321B1 (en)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5373350B2 (en) Image shake correction device, imaging lens unit, and light amount control device
KR20110026337A (en) Shutter device and micro camera have the same
CN115616831B (en) Aperture control method, aperture controller,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314832A1 (en) Anti-vibration device and camera device
JP2007033602A (en) Blade drive device for camera
KR102187734B1 (en) Mirror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795551B1 (en) Infrared cut off filter changing apparatus
CN116095439B (en) Aperture shutter adjusting devic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7411850B1 (en) Variable aperture,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JP4204236B2 (en) Magnetic drive unit,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