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23U - 포장용 가방 - Google Patents

포장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23U
KR20090012223U KR2020080006915U KR20080006915U KR20090012223U KR 20090012223 U KR20090012223 U KR 20090012223U KR 2020080006915 U KR2020080006915 U KR 2020080006915U KR 20080006915 U KR20080006915 U KR 20080006915U KR 20090012223 U KR20090012223 U KR 20090012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ortion
packaging bag
bag
cov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2020080006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223U/ko
Publication of KR20090012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 배면부, 저면부, 상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포장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부는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테두리부가 좌측면부, 우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와 마주하는 테두리부는 각각 하나의 보강띠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재봉되어 고정되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부 및 상기 상면부에 걸쳐서 개봉용 지퍼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면부가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포장용 가방을 적재하는 경우에 서로 접하게 되는 배면부와 전면부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방의 파손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포장용 가방, 투명, 접합, 보강띠.

Description

포장용 가방{PACKAGING BAG}
본 고안은 포장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적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판매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방은 원활한 수납을 위해서 전면부, 배면부, 양측면부, 저면부 및 상면부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고 있다. 일부의 경우에는, 상기 상면부의 일부가 연장되어서 전면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가방은 책이나 기타 소품을 휴대하는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어깨끈을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가방은 고급품인 경우에는 가죽 등의 소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재 또는 천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합성수지재 또는 천 등은 중량이 가볍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므로 일회용 가방 또는 판촉물로서 제공되는 염가의 가방 등에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형태에 있어서, 대부분은 두 장의 시트형 소재의 외주부를 서로 부착하여 주머니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가방은 제작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서 그 형태가 변형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고, 세워 놓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제작된 형태가 서두에서 설명한 직육면체 형태의 가방이다. 직육면체 형태의 가방은 그 형태를 유지하기가 쉬워서 수납된 물품이 적은 경우에는 그 형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외관이 보다 미려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직육면체 형태의 가방은 서적 등의 패키징용 가방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즉, 서적 판매에 있어서 서적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징용 가방의 내부에 서적이 패키징된 형태로 판매함으로써, 운송 및 판매 과정에서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유용한 보관 수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패키징용 직육면체 형태의 가방은 불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그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한 형태의 가방도 사용되지만 이는 합성수지재 사이의 접착력으로 인해서 장시간 서적을 보관하는 경우 각각의 패키징용 가방이 서로 붙어 파손되거나 운반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직육면체 형태의 포장용 가방의 형태를 개선하여 내용물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다량 적재시에 인접한 가방끼리 서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전면부, 배면부, 저면부, 상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포장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부는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테두리부가 좌측면부, 우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와 마주하는 테두리부는 각각 하나의 보강띠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재봉되어 고정되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부 및 상기 상면부에 걸쳐서 개봉용 지퍼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가방을 제공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면부가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포장용 가방을 적재하는 경우에 서로 접하게 되는 배면부와 전면부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 방의 파손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가방의 내부에 포장된 서적의 모든 면이 아닌 일부면 만이 노출되므로 서적의 특징적인 면을 부각되도록 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중 어느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면부가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포장용 가방을 적재하는 경우에 서로 접하게 되는 배면부와 전면부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방의 파손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가방의 내부에 포장된 서적의 모든 면이 아닌 일부면 만이 노출되므로 서적의 특징적인 면(예를 들어, 서적의 정면이나 제본된 측면)을 부각되도록 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가방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가방의 제1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00)는 기본적으로 높이에 비해 좌우폭이 큰 직육면체 형태 를 가지며, 전면부(102), 저면부(103), 배면부(104), 우측면부(106), 좌측면부(108),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12)의 사이에는 지퍼(114)가 위치하여, 가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110, 112)는 가방의 상면부와 좌우측면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지퍼를 개방한 경우에 상면부만이 아니라 좌우측면의 일부까지 개방되도록 하여 서적을 보다 쉽게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02) 및 저면부(103)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배면부(104), 우측면부(106), 좌측면부(108), 제1 덮개부(110) 및 제2 덮개부(112)는 불투명한 직물 재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상기 실시예(100)에 서적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102)가 위를 향하도록 다수개를 적재하여도 서로 접하게 되는 전면부 및 배면부가 접착되지 않으므로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02) 및 저면부(103) 만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서적 중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전면부와 측면부만을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서 서적이 구매자에게 더욱 부각되도록 하는 시각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부(102)의 테두리부와 제2 덮개부(112), 좌우측면부(106, 108) 및 저면부(103)의 테두리부는 보강띠(120)가 덮힌 상태에서 재봉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104)의 테두리부와 제2 덮개부(112), 좌우측면부(106, 108) 및 저면부(103)의 테두리부도 보강띠(122)가 덮힌 상태에서 재봉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방의 강성을 보강하여 가방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102)와 배면부(104)에는 각각 손잡이(130)가 부착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길다란 띠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가 전면부와 배면부에 재봉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가방의 제2 실시예(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200)는 기본적으로 높이에 비해 좌우폭이 작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전면부(202), 저면부(203), 배면부(204), 우측면부(206), 좌측면부(208), 제1 덮개부(210) 및 제2 덮개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덮개부(210) 및 제2 덮개부(212)의 사이에는 지퍼(214)가 위치하여, 가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실시예(10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210, 212)는 가방의 상면부와 좌우측면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지퍼를 개방한 경우에 상면부만이 아니라 좌우측면의 일부까지 개방되도록 하여 서적을 보다 쉽게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210, 212)는 가방의 좌측면부(208) 보다 우측면부(206) 쪽으로 더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좌측면부(208) 측으로 서적의 제본부측 측면이 배치되는 경우에 서적의 제목 등이 상기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210, 212)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측면부(208)의 하측에는 상기 제1 덮개부 및 제2 덮개부(210, 212)가 연장된 만큼의 불투명부가 위치한다. 이는, 좌측면부(208) 상에서 상하측면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02) 및 좌측면부(208)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배면부(204), 우측면부(206), 저면부(203), 제1 덮개부(210) 및 제2 덮개부(212)는 불투명한 직물 재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상기 실시예(200)에 서적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202)가 위를 향하도록 다수개를 적재하여도 서로 접하게 되는 전면부 및 배면부가 접착되지 않으므로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02) 및 좌측면부(208) 만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서적 중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전면부와 측면부만을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서 서적이 구매자에게 더욱 부각되도록 하는 시각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부(202)의 테두리부와 제2 덮개부(212), 좌우측면부(206, 208) 및 저면부(203)의 테두리부는 보강띠(220)가 덮힌 상태에서 재봉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204)의 테두리부와 제2 덮개부(212), 좌우측면부(206, 208) 및 저면부(203)의 테두리부도 보강띠(222)가 덮힌 상태에서 재봉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방의 강성을 보강하여 가방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202)와 배면부(204)에는 각각 손잡이(230)가 부착된다. 상기 손잡이(230)는 길다란 띠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가 전면부와 배면부에 재봉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가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가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2)

  1. 전면부, 배면부, 저면부, 상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포장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부는 불투명한 직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테두리부가 좌측면부, 우측면부, 상면부 및 저면부와 마주하는 테두리부는 각각 하나의 보강띠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재봉되어 고정되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부 및 상기 상면부에 걸쳐서 개봉용 지퍼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중 어느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가방.
KR2020080006915U 2008-05-27 2008-05-27 포장용 가방 KR200900122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15U KR20090012223U (ko) 2008-05-27 2008-05-27 포장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15U KR20090012223U (ko) 2008-05-27 2008-05-27 포장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23U true KR20090012223U (ko) 2009-12-02

Family

ID=492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915U KR20090012223U (ko) 2008-05-27 2008-05-27 포장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2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51A (ko) 2014-11-25 2016-06-02 김병열 다용도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51A (ko) 2014-11-25 2016-06-02 김병열 다용도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7924A (en) Rigid plastic bag
US6328158B1 (en) Product ensemble display and carrying package
US20070065049A1 (en) Display package for blanket or the like
US20120187012A1 (en) Mattress package
US20060177159A1 (en) Triangular packaging
KR100784246B1 (ko) 싸바리 포장박스
KR100906301B1 (ko) 포장박스
KR101218035B1 (ko)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US20030234201A1 (en) Gift bag with protective liner
KR101028572B1 (ko) 포장박스
KR101282603B1 (ko) 포장용 봉투
KR20090012223U (ko) 포장용 가방
KR101300468B1 (ko) 상품의 운반 및 전시용 포장케이스
JP2013010525A (ja) 商品包装体
US2861680A (en) Article packaging wrapper
JP7121976B2 (ja) 包装袋
KR101037623B1 (ko)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CN208499129U (zh) 包装礼盒
JP3108844U (ja) 折り畳み式の可撓性運搬収納容器
JPH0542146U (ja) 新鮮フルーツ等の包装用角袋
KR102564347B1 (ko) 친환경 다용도 박스
KR102618059B1 (ko) 사각형 물품 포장용 케이스
JP3183895U (ja) 展示袋兼用持運び袋
JP3135721U7 (ko)
KR200470977Y1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