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03U - 덧신 - Google Patents

덧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03U
KR20090012203U KR2020080006891U KR20080006891U KR20090012203U KR 20090012203 U KR20090012203 U KR 20090012203U KR 2020080006891 U KR2020080006891 U KR 2020080006891U KR 20080006891 U KR20080006891 U KR 20080006891U KR 20090012203 U KR20090012203 U KR 200900122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and
user
foot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훈
Original Assignee
조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훈 filed Critical 조일훈
Priority to KR2020080006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203U/ko
Publication of KR20090012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41B2400/82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with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신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은 발등을 덮는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게 밀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갖추어,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진 밀착성을 부여하거나 상기 밀착력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화시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진 최적의 착용감을 갖는 덧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등을 덮는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게 밀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착탈식으로 갖추어, 상기 부재를 분리시킴으로서 착화의 편리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덧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바닥을 보호하는 발바닥부재에 발등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 발등덮개와 연결되어 발뒤꿈치 부위에 걸어지는 밴드, 밴드와 발등덮개 간의 연결 위치의 조절로 밴드의 연결 길이조절 및 밴드의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덧신, 발등덮개, 밴드, 단추구멍, 단추

Description

덧신{overshoes}
본 고안은 발에 착용하는 덧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갖추데 상기 부재를 착탈식으로 하여, 발등덮개와 사용자 발 간에 밀착성이나 착화의 편리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밀착력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덧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신은 불규칙한 보행면으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거나, 발의 보온 및 몸 전체의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발바닥과 발등 및 발뒤꿈치를 포함한 발 일체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덧신 유형과, 착화의 편리성을 위하여 발뒤꿈치를 감싸는 부재를 배제하여 발바닥과 발등만을 감싸는 덧신 유형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 중 발 전체를 감싸는 유형은 사용자가 착화의 어려움과 사용자의 발과 덧신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발등과 발바닥을 보호하는 유형은 착화의 편리성은 있으나, 착화 후 보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20-2005-0037138의 덧신은 발바닥부에 연결되어 발등을 덮는 발등덮개부와 발뒤꿈치를 덮는 발뒤꿈치덮개부를 탄력밴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력밴드가 발등덮개부와 빌뒤꿈치덮개부를 밀착시켜 착용감 및 사용자의 발의 크기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하였으나, 반복적인 사용에 고정된 탄성밴드의 탄성력이 쉽게 저하되어 보행시 쉽게 벗겨지거나, 발등덮개부를 배제한 상태의 착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등을 덮는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게 밀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갖추어,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진 밀착성을 부여하거나 상기 밀착력 정도를 사용자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화시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진 최적의 착용감을 갖는 덧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등을 덮는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맞게 밀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착탈식으로 갖추어, 상기 부재를 분리시킴으로서 착화의 편리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덧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바닥을 보호하는 발바닥부재에 발등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 발등덮개와 연결되어 발뒤꿈치 부위에 걸어지는 밴드, 밴드와 발등덮개 간의 연결 위치의 조절로 밴드의 연결 길이조절 및 밴드의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밴드의 착탈수단은 밴드의 양측에 형성된 단추구멍들과, 단추구멍들이 단계적으로 끼워지도록 발등덮개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단추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밴드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소재인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덧신을 신은 상태에서 밴드의 착탈수단이 구비된 밴드의 단추구멍들을 발등덮개에 구비된 단추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러한 조절에 따라 밴드가 발뒤꿈치에 걸어진 상태로 사용자의 발에 맞는 밀착력을 갖도록 발등덮개를 당김으로써, 덧신이 벗겨짐이 없는 최적의 착용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등덮개를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발뒤꿈치에 걸어질 수 있도록 발등덮개 연결되는 밴드가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발등덮개 만을 필요하는 경우밴드를 분리하여 착화가 편리하도록 사용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덧신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부호 10은 덧신 전체를 지시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덧신(10)은 발바닥을 보호하는 발바닥부재(25)에 발등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20), 발등덮개(20)와 연결되어 발뒤꿈치 부위에 걸어지는 밴드(30), 밴드(30)와 발등덮개(20) 간의 연결 위치의 조절로 밴드(30)의 연결 길이조절 및 밴드(30)의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발바닥부재(25)에 연결된 발등덮개(20)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발뒤꿈치 부위에 걸어져 발등덮개(20)를 착화 상태의 발에 당기어 밀착시키는 밴드(30) 및 밴드(30)의 밀착력 조절 및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착탈수단의 구성을 기술적인 요지로 한다.
이러한 밴드(30)의 착탈수단은 밴드(30)의 양측에 형성된 단추구멍(32)들과, 단추구멍(32)들이 단계적으로 끼워지도록 발등덮개(20)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단추(40)로 구성한다.
상기 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소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뒤꿈치를 걸은 상태로 발뒤꿈치 부위의 상해 및 이물감 없이 발 앞쪽으로 당길 정도의 연성의 소재이면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밴드(30)의 체결위치에 따라 발등덮개(20)를 착용자의 발쪽으로 당기어 발등덮개(20)를 사용자의 발에 맞게 밀착력을 제공하게 된 다.
즉, 사용자가 덧신(10)을 신은 상태에서 밴드(30)의 착탈수단이 구비된 밴드(30)의 단추구멍(32)을 발등덮개(20)에 부착된 단추(40)에 끼워져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밴드(30)는 발뒤꿈치에 걸어진 상태에서 발등덮개(20)에 결합됨으로써, 밴드(30)에 의한 상호 당김에 의해 발등덮개(20)가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는 최적의 착용감을 갖게된다.
물론 상기 밴드(30)의 체결시 발등덮개(20)와 착화 상태의 사용자의 발 간에 최적의 밀착력이 보장되는 밴드(30)의 단추구멍(32)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등덮개(20)에 구비된 단추(40)에 끼우게 된다.
아울러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착화의 편리성을 갖고자 하는 경우, 밴드(30)의 착탈수단, 즉 밴드(30)의 단추구멍(32)을 발등덮개(20)의 단추(40)에서 해제하여 밴드(30)를 분리함으로써, 밴드(30)의 걸림 없이 편리한 착화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덧신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밴드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밴드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덧신 20 : 발등덮개
25 : 발바닥부재 30 : 밴드
32 : 단추구멍부 40 : 단추

Claims (3)

  1. 발바닥을 보호하는 발바닥부재(25)에 발등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20), 발등덮개(20)와 연결되어 발뒤꿈치 부위에 걸어지는 밴드(30), 밴드(30)와 발등덮개(20) 간의 연결 위치의 조절로 밴드(30)의 연결 길이조절 및 밴드(30)의 착탈이 자유로운 착탈수단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2. 제1항에 있어서,
    밴드(30)의 착탈수단은 밴드(30)의 양측에 형성된 단추구멍(32)들과, 단추구멍(32)들이 단계적으로 끼워지도록 발등덮개(20)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단추(40)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
KR2020080006891U 2008-05-27 2008-05-27 덧신 KR200900122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891U KR20090012203U (ko) 2008-05-27 2008-05-27 덧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891U KR20090012203U (ko) 2008-05-27 2008-05-27 덧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03U true KR20090012203U (ko) 2009-12-02

Family

ID=4929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891U KR20090012203U (ko) 2008-05-27 2008-05-27 덧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2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65B1 (ko) * 2019-04-15 2019-08-21 김동건 발무좀 예방 및 치료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65B1 (ko) * 2019-04-15 2019-08-21 김동건 발무좀 예방 및 치료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1302B1 (en) Heel-end slip shoe
US7552547B2 (en) Slip on athleisure shoe
US20090313854A1 (en) Versatile sandal having adjustable straps
US20080276492A1 (en) Elastic footwear strap
US8539695B1 (en) Footwear device
US20100192337A1 (en) Shoe lace protector
CA2894766A1 (en) Article for footwear that prevents wearer's foot from slipping out of footwear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WO2014009570A1 (en) Attachment for a shoe
KR20090012203U (ko) 덧신
KR200337752Y1 (ko) 신발 커버
US20120198731A1 (en) Pant Leg Protector Insole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20090123142A (ko) 덧신
JP3153197U (ja) 運動靴
JP2003180406A (ja)
KR102206760B1 (ko) 전투화용 발열 장착구
JP3126107U (ja) 履物
KR200271353Y1 (ko) 기능성 샌들
JP3072414U (ja) 履 物
JP4545413B2 (ja) 幼児用靴
JP3089148U (ja) 釣り用のスポーツサンダル
JP2007117726A (ja) 靴用中敷
KR20000050034A (ko) 유아용 신발
TWI323161B (en) Cleat protector sho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