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63U - 포장끈 - Google Patents

포장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63U
KR20090011863U KR2020080006476U KR20080006476U KR20090011863U KR 20090011863 U KR20090011863 U KR 20090011863U KR 2020080006476 U KR2020080006476 U KR 2020080006476U KR 20080006476 U KR20080006476 U KR 20080006476U KR 20090011863 U KR20090011863 U KR 200900118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acking
binding
main decorative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일
Original Assignee
고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일 filed Critical 고명일
Priority to KR2020080006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863U/ko
Publication of KR20090011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끈에 관한 것으로, 포장띠에 심부재를 형성하여 형상 유지가 가능한 끈부재, 이 끈부재에 입체감을 부여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끈부재에 형성된 메인장식부재 및 이 메인장식부재를 끈부재에 결속하도록 구비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포장끈으로 제품이 담긴 포장지를 밀봉하는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독특한 미감으로 구매자에게 구매의욕이 발생하도록 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포장끈

Description

포장끈{PACKAGE ROPE}
본 고안은 포장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장난감이나 봉제 인형 등과 같은 소형 제품을 간편하게 포장지에 삽입, 결속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매자에게 심미감을 일으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포장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 및 장난감 등과 같이 소형제품은 제작공정에 의해 소정의 포장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포장공정에 따라 제품을 포장지에 삽입하고 삽입된 제품이 포장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포장지 입구를 결착 봉쇄한다.
이때, 상기 포장지 입구를 결착, 봉쇄하는 결착수단으로 비닐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끈을 이용하기도 하고 포장지의 재질에 따라 열융착방법을 채택하여 완전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에서 비닐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끈을 이용하여 제품이 삽입된 포장지의 입구를 결착하였을 때에는 취급상 상기 끈이 풀어져 삽입된 제품이 포장지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품을 포장지에 삽입한 후에 포장지 입구 부분에 열을 가하여 융착하는 방법을 채택하기도 하는데 포장지가 완전 밀폐되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품이 삽입된 포장지를 효과적으로 밀폐결속하기 위하여 포장띠 안쪽에 소정길이의 심부재가 내장되도록 융착한 포장끈이 출시되어 있다.
종래의 포장끈은 제품이 삽입된 포장지의 상부를 간편하게 결속하는 장점이 있지만, 간소한 외관에 의해 구매자에게 심미감을 주지 못하여 구매욕구를 일으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을 보기도 전에 품질에 대한 불신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을 포장지에 삽입하고 결속하는 포장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공정을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구매자에게 독특한 심미감을 주어 구매욕구를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포장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끈은: 포장띠에 심부재를 형성하여 형상 유지가 가능한 끈부재, 이 끈부재에 입체감을 부여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끈부재에 형성된 메인장식부재 및 이 메인장식부재를 끈부재에 결속하도록 구비된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끈은 제품이 담긴 포장지를 밀봉하는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독특한 미감으로 구매자에게 구매의욕이 발생하도록 하여 생산자 및 소비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포장지를 묶고 있는 포장끈의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10)은 끈부재(20), 메인장식부재(30) 및 결속부재(40a)를 포함한다.
끈부재(20)는 소정길이를 갖는 포장띠(22) 및 상기 포장띠(22) 내측에 삽입 형성된 심부재(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끈부재(20)는 미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둘레면에 메인장식부재(30)를 형성한다. 메인장식부재(30)는 캐릭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끈부재(20)는 포장띠(22)의 내부에 심부재(24)를 형성하기 때문에 메인장식부재(30)는 포장띠(22)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물론, 심부재(24)가 포장띠(22)의 외측면에 형성될 경우, 메인장식부재(30)는 심부재(24)와 직접적으로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장식부재(30)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하나 형성된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메인장식부재(30)는 결속부재(40a)에 의해 끈부재(20)에 고정 결속된 다.
특히, 메인장식부재(30)는 결속부재(40a)에 의해 포장띠(2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시된다.
이때, 결속부재(40a)는 메인장식부재(30)를 끈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속부재(40a)는 메인장식부재(3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메인장식부재(30)의 하부로 삽입홀(42)을 형성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결속부재(40a)는 메인장식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끈부재(20)는 결속부재(40a)와 메인장식부재(30)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홀(42)에 삽입되어 서로 결속된다.
끈부재(20)는 삽입홀(42)에 억지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속부재(40a)는 메인장식부재(30)를 끈부재(20)에 일체화하는 접착제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결속부재(40a)는 실 일 수도 있고, 끈부재(20)와 메인장식부재(30)를 박음질하여 함께 결속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장식부재(30)가 끈부재(20)의 입체감을 살리는데 더하여 메인장식부재(30)에는 보조장식부재(50)가 더 구비된다.
보조장식부재(50)는 메인장식부재(30)에 덧붙여져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상품성을 높이고, 메인장식부재(30)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감을 향상시 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끈부재(20)는 제품(2)을 담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포장지(4)를 묶는 역할을 한다.
특히, 끈부재(20)의 포장띠(22)는 포장지(4)를 묶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다.
그리고, 심부재(24)는 포장띠(22)에 형성되어 외력 제거시 포장띠(22)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심부재(24)는 포장띠(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열융착공법으로 포장띠(22)와 일체화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심부재(24)는 포장띠(22)의 외측에 고정 부착되어 포장띠(22)의 형상 유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심부재(24)가 포장띠(22)에 형성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심부재(24)는 금속 등 펴지거나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사용자는 소형 봉제완구, 장난감 등 제품(2)이 삽입되는 포장지(4)를 구비하여 제품(2)을 삽입한 후 제품(2)이 삽입된 포장지(4)의 상부를 모으고 나서 끈부재(20)를 접촉한다.
이때, 끈부재(20)의 메인장식부재(30) 및 보조장식부재(50)는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입체감과 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가시킨다.
이어서, 끈부재(20)는 후측이 절곡되면서 포장지(4)의 모아진 상부를 묶게 된다.
끈부재(20)는 심부재(24)에 의해 묶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푸는 외력 작용시 쉽게 풀리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끈부재(20)는 메인장식부재(30)와 결속부재(40a)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42)에 억지 삽입됨에 따라 삽입홀(42)로부터 억지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장식부재(50)는 접착부재(52)에 의해 메인장식부재(30)의 상측에 부착 고정된다.
물론, 보조장식부재(50)는 메인장식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 결속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10)은 핀 형상의 결속부재(40b)를 구비하여 메인장식부재(30)와 끈부재(20)를 함께 결속한다.
이때, 결속부재(40b)는 메인장식부재(30)와 끈부재(20)에 동시에 내부로 삽입되어 결속하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메인장식부재(30)와 끈부재(20)를 함께 클램핑(clamping)하여 결속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히, 결속부재(40b)는 메인장식부재(30)와 끈부재(20)에 함께 삽입되고 양측에 걸림돌부(42)를 형성함으로써, 메인장식부재(30)와 끈부재(20)는 결속부재(40b)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결속부재(40b)는 끈부재(20), 메인장식부재(30) 및 보조장식부재(도시하지 않음)에 함께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걸림돌부(42)가 결속부재(40b)의 양측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결속부재(40b)는 실 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끈부재(20)와 메인장식부재(30)를 박음질하여 함께 결속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포장지를 묶고 있는 포장끈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끈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포장끈 20: 끈부재
22: 포장띠 24: 심부재
30: 메인장식부재 40a,40b: 결속부재
50: 보조장식부재

Claims (3)

  1. 포장띠에 심부재를 형성하여 형상 유지가 가능한 끈부재;
    상기 끈부재에 입체감을 부여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끈부재에 형성된 메인장식부재; 및
    상기 메인장식부재를 상기 끈부재에 결속하도록 구비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식부재는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조장식부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메인장식부재와 상기 끈부재를 함께 묶어 결속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장식부재와 상기 끈부재에 함께 삽입된 상태로 양측에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이탈 방지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끈.
KR2020080006476U 2008-05-19 2008-05-19 포장끈 KR200900118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76U KR20090011863U (ko) 2008-05-19 2008-05-19 포장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76U KR20090011863U (ko) 2008-05-19 2008-05-19 포장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63U true KR20090011863U (ko) 2009-11-24

Family

ID=4929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476U KR20090011863U (ko) 2008-05-19 2008-05-19 포장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8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48B1 (ko) * 2012-12-26 2014-07-04 고명국 포장용 장식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48B1 (ko) * 2012-12-26 2014-07-04 고명국 포장용 장식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1863U (ko) 포장끈
KR200429695Y1 (ko) 조각케이크용 포장케이스
KR20090012230U (ko) 선물포장상자
CN209241554U (zh) 防盗易撕拉链包装箱
KR200211893Y1 (ko) 포장끈
CN202233488U (zh) 手工制作的十字绣钱包
KR101057133B1 (ko) 포장지
CN205168979U (zh) 一种卷烟烟盒及其包装设备
KR200383873Y1 (ko) 선물포장용 리본
JP2020014554A (ja) 木目込み人形
KR200423617Y1 (ko)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
JP2014113219A (ja) 金魚ねぶた組立キット、および、それから製作した金魚ねぶた
CN210235830U (zh) 一种蒙古包形包装盒用三角卡扣
JP3185506U (ja) 線ファスナ式ポーチ
CN201012772Y (zh) 一种带纸质提手的礼品烟花包装袋
KR101415048B1 (ko) 포장용 장식부재
JP3070755U (ja) 包装鏡餅
CN206182548U (zh) 一种包
KR200179832Y1 (ko) 택의 연결끈에 결속되는 장식메달
CN206562011U (zh) 一种礼盒、茶叶包装盒
KR200422592Y1 (ko) 액체주입 원단
EP1145661A2 (en) Double-walled polyethylene container or bag
CN207843732U (zh) 中国结形双口味糖果盒
KR200400842Y1 (ko) 생화포장용기
CN203638341U (zh) 一种环形袋串及一种线形袋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