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405A -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405A
KR20090011405A KR1020070074944A KR20070074944A KR20090011405A KR 20090011405 A KR20090011405 A KR 20090011405A KR 1020070074944 A KR1020070074944 A KR 1020070074944A KR 20070074944 A KR20070074944 A KR 20070074944A KR 20090011405 A KR20090011405 A KR 20090011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e
information
call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405A/ko
Publication of KR2009001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05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그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따라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 통화 호를 연결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가 부재 상태이면 부재중 요청된 통화에 대한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정보만을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면 그에 대응하는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통해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와,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판단하여 그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 해제를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및 부재 상태 해제에 따라 통화 호를 연결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발신 번호 서비스, 부재 상태 정보, 부재 상태 해제 정보, 단문 메시지

Description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ADDITIONAL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BY A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발신 시에 착신 단말기의 부재중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내장 카메라나 메모리 등을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 촬영이나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등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통신 단말기의 기능 향상으로 인해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통신 단말기에 새로이 부가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등)을 이용하여 특정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 헤드셋 등을 이용한 MP3 감상, 무선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통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게임 기능, DMB 기능 등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가 통화중에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대기 모드가 설정되어 더욱 편리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때 통화중 걸려오는 전화는 때때로 통화중 발신자가 신호 대기음 중에 전화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 중요한 전화 통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중요한 업무 관련으로 인한 통화일지라도 착신자의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통화가 불가능함에도 계속 해당 통신 단말기로 계속 발신하게 된다. 이 때, 통화중 또는 부재중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착신자의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여 디스플레이(즉, 발신번호 서비스)해 주거나 발신자의 통신 단말기로 예를 들면, “부재중입니다” 등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즉, 종래에 통화중 또는 부재중 상태의 통신 단말기로의 발신을 요청하는 경우 단순한 발신 번호 서비스나 부재중 안내만을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만이 제공됨으로써,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에서 통화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부재 상태에서 해제되면 그에 대응하는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부재 상태 해제 즉시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면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부재 상태 해제 즉시 발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의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면 그에 대응하는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판단하여 그 부재 상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부재 상태 해제를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관점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통 신망을 통해 판단하여 그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부재 상태 해제를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 및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의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부재 상태이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그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의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부재 상태이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중 통화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가 부재 상태이면 부재중 요청된 통화에 대한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정보만을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부재 상태이면, 그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한 후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그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한 후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즉시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그 부재중 통화 정보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할 때, 통화 연결이 실패하면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판단한 후, 그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이러한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즉시 통화 시도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부재 중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발신 단말기(102/a), 착신 단말기(102/b),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홈 위치 등록기(108),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및 SMS 센터(11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화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발신 단말기(102/a)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호를 발생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하며, 착신 단말 기(102/b)는 교환기(106)로부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링 신호와 함께 발신자 정보(예컨대,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전송되면 해당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102/a)는 착신 단말기(102/b)와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단말기 부재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 SMS 센터(114) 및 교환기(106)로부터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에 대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단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망(104)은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에서, 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되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기지국은 노드 B(Node-B),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된다. 물론, 무선 통신망(10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한편, 발신 단말기(102/a) 및 착신 단말기(102/b)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하나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신측 무선 통신망과 착신측 무선 통신망,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로 하여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교환기(106)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 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교환기(106)는 발신 단말기(102/a)로부터의 통화 발신 요청에 따라 해당 착신 단말기(102/b)로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요청을 수행할 때, 착신 단말기(102/b)로부터의 통화 연결 실패 응답에 따라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단말기 부재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하여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린다. 이 때,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는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교환기(106)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해제, 통화중 해제, 전원오프 해제 등)가 제공되면, SMS 센터(114)와 연동하여 부재 상태 해제 정보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의 통화 발신 요청에 따른 호가 발생하면 발신 단말기(102/a)로부터의 통화 호를 착신 단말기(102/b)로 통화 착신을 요청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통화 호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교환기(106)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해제, 통화중 상태 해제, 전원오프 상태 해제 등)가 제공되면, SMS 센터(114)와 연동하여 발신 정보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108)는 발신 단말기(102/a) 및 착신 단말기(102/b)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신 단말기(102/a) 및 착신 단말기(102/b)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로파일 정보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발신 번호 서비스와 같은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108)는 유선통신 서비스에 구현할 경우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홈 위치 등록기(108)와 유선통신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정보 관리장치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거나 유선 인터넷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착신 단말기(102/b)로부터 부재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구축하며,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의 요청에 따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단말기 부재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여기에서, 단말기 부재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의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의 부재 상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는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할 경우 교환기(106)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를 판단한 후, 그 부재 상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해당 단말기 번호와 함께 저장 관리하며, 그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는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해제, 통화중 상태 해제, 전원오프 상태 해제 등)가 전송되면,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 업데이트하고, 이러한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
다음에, SMS 센터(114)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교환기(106)와 연동하여 전송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예를 들면, 부 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한 후,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한다.
또한, 전송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해제, 통화중 상태 해제, 전원오프 상태 해제 등)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한 후,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한다. 이 때, SMS 센터(114)는 교환기(106)와 연동하여 발신 단말기(102/a)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망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상태 정보 및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가 서비스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 요청이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에 따라 실패할 경우 이에 따른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 관리함과 동시에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가 전송되면,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즉시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 중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될 때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2/a)에서 사용자의 통화 발신 입력에 따라 호를 발생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통화 발신을 요청하고, 교환기(106)에서는 이러한 통화 발신에 대응하는 통화 착신을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 요청한다(단계202, 204). 여기에서, 발신 단말기(102/a) 및 착신 단말기(102/b)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하나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신측 무선 통신망과 착신측 무선 통신망,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로 하여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무선 통신망(104)은 동기식인 경우에 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BTS 및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로 구성될 수 있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 및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로 구성될 수 있고, 물론 무선 통신망(10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기(102/b)로의 통화 연결이 실패하여 그 응답을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하면(단계206),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208).
그리고,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 정보 요청에 따라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를 통해 착신 단말기(102/b)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단계210). 이 때,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등)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단계212). 이와 함께,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단계214).
그리고,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단계216). 여기에서, 교환기(106)에서는 SMS 센터(114)와 연동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응답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를 통해 착신 단말기(102/b)의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218). 이 때,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해제 상태(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등)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단계220). 이와 함께,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단계222).
이에 따라,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수신하여 이러한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등)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하도록 SMS 센터(114)로 요청한다(단계224).
다음에, SMS 센터(114)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해당 부재 상태 해제 정보와 함께 착신 단 말기(102/b)로의 즉시 통화 발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화 발신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부재중 상태 해제 정보 단문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한다(단계226).
한편, 발신 단말기(102/a)에서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부재 상태 해제 정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착신 단말기(102/b)로의 즉시 통화 발신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 후, 이러한 즉시 통화 발신 입력이 있으면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의 통화 발신을 교환기(106)로 요청하고, 교환기(106)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통화 착신을 착신 단말기(102/b)로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요청한다(단계228, 230).
이어서,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는 무선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통해 통화 호가 연결된다(단계232).
따라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이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통화 실패한 경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착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 요청이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에 따라 실패할 경우 이에 따른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 관리함과 동시에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 정보가 전송되면,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즉시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재 중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제공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될 때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2/a)에서 사용자의 통화 발신 입력에 따라 호를 발생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통화 발신을 요청하고, 교환기(106)에서는 이러한 통화 발신에 대응하는 통화 착신을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착신 단말기(102/b)로 요청한다(단계302, 304). 여기에서, 발신 단말기(102/a) 및 착신 단말기(102/b)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하나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신측 무선 통신망과 착신측 무선 통신망,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로 하여 설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무선 통신망(104)은 동기식인 경우에 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BTS 및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로 구성될 수 있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노드 B 및 기지국을 제어하여 교환기(106)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로 구성될 수 있고, 물론 무선 통신망(104)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 W-CDMA망이 아닌 GSM망 및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기(102/b)로의 통화 연결이 실패하여 그 응답을 무선 통신 망(104)을 통해 교환기(106)로 전송하면(단계306),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308).
그리고,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상태 정보 요청에 따라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를 통해 착신 단말기(102/b)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단계310). 이 때,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등)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단계312). 이와 함께,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단계314).
그리고,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단계316). 여기에서, 교환기(106)에서는 SMS 센터(114)와 연동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통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응답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를 통해 착신 단말기(102/b)의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318). 이 때,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무선 통신망(104), 교환기(106) 또는 홈 위치 등록기(108)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102/b)의 부재 해제 상태(예를 들면,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전원오프중 상태 등)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해당 착신 단말기(102/b)의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 전화번호, 가입자 정보 등)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한다(단계320). 이와 함께,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는 착신 단말기(102/b)에 대한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또는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된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교환기(106)로 제공한다(단계322).
이에 따라, 교환기(106)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110)로부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수신하여 이러한 부재 상태 해제 정보(예를 들면,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등)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착 신 단말기(102/b)로 전송하도록 SMS 센터(114)로 요청한다(단계324).
다음에, SMS 센터(114)에서는 교환기(106)로부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따라 해당 발신 단말기(102/a)의 부재중 통화 정보(예를 들면, 발신 단말기 전화 번호, 통화 요청 시간 등)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교환기(106) 및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부재중 통화 정보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02/b)로 전송한다(단계326).
한편, 착신 단말기(102/b)에서는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부재중 통화 정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발신 단말기(102/a)로의 즉시 통화 발신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 후, 이러한 즉시 통화 발신 입력이 있으면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2/a)로의 통화 발신을 교환기(106)로 요청하고, 교환기(106)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통화 착신을 발신 단말기(102/a)로 무선 통신망(104)을 통해 요청한다(단계328, 330).
이어서, 발신 단말기(102/a)와 착신 단말기(102/b)는 무선 통신망(104) 및 교환기(106)를 통해 통화 호가 연결된다(단계332).
따라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연결이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통화 실패한 경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발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화 호 연결 시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 및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착신자의 통화 가능 시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착신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부재 발생 내역에 대한 재확인을 통해 통화 호의 재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통신 서비스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부재 중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 중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될 때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부재 중 발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제공하여 부재중 상태가 해제될 때 통화 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a : 발신 단말기 102/b : 착신 단말기
104 : 무선 통신망 106 : 교환기
108 : 홈 위치 등록기 110 :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
112 :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 114 : SMS 센터

Claims (22)

  1.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면 그에 대응하는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판단하여 그 부재 상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부재 상태 해제를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교환기와 연동하여 상기 부재 상태 정보와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SMS 센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 연결이 있었음을 알리는 부재중 통화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및 위치 확인을 수행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 및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송신하는 BTS와 상기 BTS를 제어하여 교환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송신하는 노드 B와 상기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8.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로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판단하여 그 부재 상태 정보를 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해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부재 상태 해제를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 및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상태 정보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송신하는 BTS와 상기 BTS를 제어하여 교환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BS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비동기식의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송신하는 노드 B와 상기 노드 B를 제어하여 교환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RN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 가 서비스 시스템.
  11.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부재 상태이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그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및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정보는, 단문 메시지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중 해제 상태, 통화중 해제 상태 및 전원오프중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해제 정보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는, 단문 메시지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해제 정보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7.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부재 상태이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재 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부재중 통화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재중 통화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부재중 상태, 통화중 상태 및 전원오프중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 정보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태 정보는, 단문 메시지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통화 정보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통화 요청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통화 정보는, 단문 메시지로 생성되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통화 정보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의 즉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KR1020070074944A 2007-07-26 2007-07-26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1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44A KR20090011405A (ko) 2007-07-26 2007-07-26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44A KR20090011405A (ko) 2007-07-26 2007-07-26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05A true KR20090011405A (ko) 2009-02-02

Family

ID=406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44A KR20090011405A (ko) 2007-07-26 2007-07-26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4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339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11629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한 공유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공유 서버
US20080002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800115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씨시비에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및 방법.
WO2005004453A1 (en)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KR2003008320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1405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5126B1 (ko)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4065B1 (ko)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95833B1 (ko) 착신 번호 오류 수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713479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送信装置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75283B1 (ko) 이동통신에서의 번호 변경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50071945A (ko) 호 연결 실패 원인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440231B1 (ja) 着信制御装置、着信制御システム、着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11345A (ko) 선별 착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978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0600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device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